KR100511207B1 -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207B1
KR100511207B1 KR10-2003-0043700A KR20030043700A KR100511207B1 KR 100511207 B1 KR100511207 B1 KR 100511207B1 KR 20030043700 A KR20030043700 A KR 20030043700A KR 100511207 B1 KR100511207 B1 KR 10051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ater pipe
cement mortar
inner mold
ou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325A (ko
Inventor
윤수열
Original Assignee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2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암거(暗渠) 수로관, 맨홀, pc 암거 박스 등을 제작하는 모울드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로하고, 아울러 이들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수로관 제조용 금형장치 및 그 금형을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全面)이 폐쇄된 통체 구조의 내형(內型)을 해체 가능하게 조립된 외형(外型) 내부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동되게 조립 후, 상기 내부 금형을 일측에 기 준비된 가압장치로 하여금 시멘트 몰탈의 양생에 따라 그 내형을 가압 장치로 하여금 외형에서 분해하거나 원래의 상태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종래 모울드의 조립에 따른 시간과 인력 소비의 절감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킨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Mold Appartus for Mmanufacturing Waterway Pipe and Method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물품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울드에서 외형과 내형의 분리 및 조립 작업을 쉽게 할수 있는 구조로 하여 작업성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 시킨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물품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9의 표시와 같은 암거 수로관(1), 농로 수로관, pc 암거 박스, 맨홀 등의 시멘트 제품을 제작 함에는 모울드를 사용함은 주지된 사실인데, 그 모울드에 대한 일예를 도 7 및 도8에 표시 하였다.
도 7은 종래의 모울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7에서 내형(內型)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모울드(10)은 상단만이 개구된 형태로 대략 장방 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내부로는 시멘트 몰탈을 충전하기위한 공간(18)을 갖는 금속재질의 외형(11)과, 그 외형(11)의 내부에 도 9표시의 수로관(1)을 형성할수 있는 간극 을 형성하면서 조립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내형(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형(11)은 대략 장방형의 저판(혹은 기판)(12)와 그 저판(12)의 좌우 양단 및 전후단으로부터 각각 전개되도록 하고자 상기 저판(12)의 각 단부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입설된 좌우측판들(13a,13b) 및 전후판들(15a,15b)로 이루어 져 있다. 상기 저판(12)에 대하여 회동되게 입설된 상기 좌우측판들(13a,13b) 및 전후판들(15a,15b)는 상기 저판(12)로부터 전개되는 일이 없는 견고한 상태로서 입설된 상태로 있도록 하거나 전개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좌우측판들(13a,13b) 및 전후판들(15a,15b)는 각각 괘지구들(14a,14b)로 결합하고 있다. 상기 괘지구들(14a ,14b)의 해지는 상기 모울드(10)의 내부로부터 완성된 제품 즉, 수로관(1)을 탈리시에 만 실행한다. 그 외에는 항시 도면 표시와 같이 잠겨진 상태로 있는다.
상기 내형(17)의 전(全)사이즈는 상기 외형(11)보다는 작게 되어 상기 외형(11)의 상기 전후판들(15a,15b)에 형성된 구멍들(19a,19b)를 통하여 상기 외형(11)을 길이 방향으로 건너지르는 형태로 결합함에 의해, 상기 외형(11)과 내형(17)과의 사이에는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여 도 9표시의 수로관(1)을 형성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 다.
그러나 상기 내형(17)은 중량을 줄이면서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도 8의 표시와 같이 4개의 분할체들(17a~17d)로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한 구조를 이루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외형(11)에 대하여 도 7의 표시와 같은 상태로 내형(17)을 조립시, 상기 내형(17)의 각 분할체들(17a~17d)를 그 외형(11)의 구멍들(19a,19b)를 통하여 일일히 하나씩 끼운 후 그 외형(11)의 전후판들(15a,15b)에 기설치된 볼트 등의 체결부(16)으로서 일일히 끼움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상기 내형(17)의 각 분할체들(17a~17d)는 금속 재질로서 무게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2사람이 들어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제품이 완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울드(10)의 내외형들(10,17)을 분해해야 만 그 모울드(10)으로부터 완성된 제품 즉, 도 9표시의 수로관(1)을 탈리 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내형(17)을 외형(11)로부터 분리하고자 함에는 상기 조립때와 마찬가지로 일일히 체결부(16)의 볼트 등을 해체 한 후, 그 외형(11)로부터 상기 내형(17)의 각 분할체들(17a~17d)를 상기 조립때와는 역순으로 하나씩 해체 해야하는 등의 상기 조립때와 동일의 결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그 만큼 시간과 작업 인원이 소비되는 등의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되며,이는 제품의 생산원가를 높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모울드의 조립 및 분해 구조의 개선으로, 모울드의 분해 및 조립을 쉽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물품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는 청구항1의 발명과 관련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여 수로관, 맨홀 ,PC 박스 등의 시멘트 제품을 제조하도록 된 모울드 장치에 있어서, 저판에 대해 좌우측판 및 구멍이 천공된 전후판들을 해체할 수 있게 조립하여 시멘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外型)과 그 외형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전면이 폐쇄된 통체를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외형의 내부에 상기 전후판의 구멍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위치하여 주위로는 시멘트 몰탈 타설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형(型)본체; 상기 형 본체의 전후(前後)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상기 내형과 탈착되게 결합하여 상기 내형을 형본체로부터 이동하기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 본체의 상기 가압장치와의 반대 쪽에 위치되어 그 가압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내부 금형을 미끄럼 이동되게 받아주는 롤 베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장치는 유압 실린더 장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물드 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 게한 대차(臺車)를 구비함이 바람직하고,상기 형본체, 가압 장치 및 롤 베드는 대차 위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모울드를 이용한 물품의 제작 방법은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 맨홀 및 pc 박스 등의 시멘트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면(全面)이 폐쇄된 통체 구조의 내형을 각 판들을 해체 가능하게 조립된 외형 내부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동되게 조립하는 단계; 상기 내형의 어느 일측에 기 준비된 가압장치의 선단부위를 결합 하는 단계; 상기 가압 장치가 결합된 상기 내외 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수로관 등을 제작하기 위해 준비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는 단계; 모울드의 내부로 충진된 몰탈의 양생 후 상기 가압장치의 구동에 의한 가압력으로 하여금 상기 내형을 외형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 시키는 단계; 상기 내형이 이탈된 외형의 각판 들을 해체하여 시멘트 제품을 탈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물품의 제작 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를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A"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100)은 도 9표시의 수로관(1)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대별(大別)하면 모울드(120), 가압장치 (200) 및 로울러 베드(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모울드(120)은 수로관(1)을 직접 제조함에 사용하는 것으로, 내 외형들(121,127)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가압장치(200)은 상기 모울드(120)의 일측 즉, 도1 및 도2에서 보아 우측에서 상기 모울드(120)과 인접위치되어 상기 모울드(120)에 대하여 상기 내형(127)을 상기 외형(121)로 부터 분리 및 조립함에 필요한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가압 장치(200)은 유압에 의해 작용되는 실린더 장치로서, 그 실린더장치의 실린더 몸체부(210)으로부터 신장 혹은 수축 구동을 하는 로드(Rod)(220)의 선단부가 상기 모울드(120)에 구비된 상기 내형(127)의 단면(端面)에 고정된다. 상기 로드(220)의 고정은 그 로드(220)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된 고정편(222)를 통하여 보울트(224)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밖에 상기 가압장치(200)의 로드(220)과 상기 모울드(120)의 내형(127)과의 고정 방법은 상기 로드(220)과 내형(127)과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가압장치(200)의 구동에 의한 상기 로드(220)이 상기 실린더 (210)으로부터 신장되면, 이때 신장되는 로드(220)는 상기 모울드(120)의 외형(121)에 이동되게 결합된 내형(127)을 강하게 밀게되므로 상기 외형(121)에 이동되게 결합된 상기 내형(127)은 상기 로드(220)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도 2의 가상선 표시 위치로 이탈되게 된다. 상기 가압장치(200)의 로드(220)은 상기 내형(127)이 상기 외형(121)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때 까지 신장되면서 상기 내형(127)에 대하여 가압력이 작용되게 한 후 정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압장치 (200)의 작동은 미리 설정된 일반적인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 된다. 상기 가압장치(200)에 의한 외형(121)로부터의 내형(127)의 분리작용은 상기 모울드(120)으로부터 양생 완료된 수로관(1)(도9참조)을 탈리(脫離)시에 실시하며, 상기 모울드 (120)의 외형(121)로부터 수로관(1)을 탈리하는 동안에는 탈리 작업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하고자 상기 가압장치(200)의 로드(220)은 상기 내형(127)으로부터 해체되어 수축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모울드(120)의 외형(121) 및 내형(127)과 그리고 상기 가압장치(200)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외형(121)으로 부터의 수로관(1)의 탈리 작업을 보다 쉽게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차후에 도 3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울드(120)으로부터 수로관(1)의 이탈 후에는 다시 수로관(1)의 제작을 위해, 상기 내형(127)을 도1의 표시와 같이 원래 상태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에는 그동안 즉, 수로관(1)의 탈리 작업을하는 동안 분리하였던 가압장치(200)의 로드(220)을 다시 내형(127)에 결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그동안 정지 상태를 이루게 하였던 상기 가압장치(200)을 다시 작동하여 로드(220)를 신장함에 의해, 그 로드(220)의 선단 부위를 상기 내형(127)과 접하게 한후, 보울트(224)로서 고정하면 되고, 고정 후에는 상기 작동과는 반대로 상기 로드(220)을 수축위치로 작동하면,상기 로드(220)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내형(127)역시 상기 로드(22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다시 원래의 위치인 도 1의 외형(121)내부로 결합된다. 상기 가압장치(200)의 로드(220)의 수축작동시에도 상기 신장 작동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형(127)이 상기 외형(121)의 내부로 완전히 결합될 때 까지 작동된 후 멈춘다. 이러한 작동은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기 설치된 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서 실시 되는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내형(127)이 외형(121)에 결합된 후에는 다시 수로관의 제작을 위한 시멘트 몰탈이 모울드(120)의 내부로 타설되고,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한다.
상기 모울드(120)의 내부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후 수로관(1)(도9참조)의 완성을 위해 양생하는 동안에는 상기 모울드(120)은 상기 가압장치(200)으로부터 분리된후 양생실로 옮겨지게 된다. 즉, 상기 모울드(120)은 그 내형(127)이 상기 가압장치(200)의 로드(220)의 고정편(222)과 보울트(224)로서 일체화 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울트(224)를 풀면 상기 모울드(120)전체를 상기 가압장치(2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모울드(120)은 도 2의 표시와 같이, 대차(311)에 의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 레일(R1)을 따라 양생실로 옮겨지고, 그 다음에는 양생실로부터 양생 완료되어 대기중에 있던 가상선 위치의 모울드(120)이 다시 실선 위치 즉, 상기 가압장치(200)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어 상기 모울드(120)의 내형(127)과 상기 가압장치(200)의 로드(220)의 고정편(222)이 보울트(224)로서 일체로 체결 고정되고, 이어서 가압장치(200)의 상기와 같은 신장 및 신축되는 반복 작동에 의해 상기 모울드(120)의 내외형들(121,127)의 분리와 결합작업이 신속하게 실행되면서, 원하는 수로관(1)의 제작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200)역시 상기 모울드(120)와 동일의 대차(312)에 지지되어 레일(R2)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울드(120)가 가압장치(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는 동안에는 가압장치(200)은 작업자들에게 지장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상기 레일(R2)를 따라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로울러 베드(400)역시 상기 모울드(120) 및 상기 가압장치(200)이 지지된 대차들(311,312)과 동일의 대차(313)위에 올려져서 레일(R3)을 따라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되게 위치되어 있다. 로울러 베드(400)은 상기 가압장치(200)의 신장 작동시 상기 모울드(120)의 외형(121)로부터 빠져나오는 내형(127)을 자연스럽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로울러 베드(400)은 장방형 틀체(410)과 그 틀체(410)에 전 길이를 따라 회전되게 설치된 봉상의 로울러(4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가압장치(200)의 신장 작동시 상기 모울드(120)의 외형(121)로부터 빠져나오는 내형(127)은 도1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상기 로울러베드(400)의 틀체(410)의 위에 얹혀지면서 상기 로울러(420)의 구름 운동으로 인해 서서히 미끄 럼 이동되어, 내형(127)의 이동을 보다 부드럽게 되도록 도와준다. 상기 가압장치(200)의 신축 작동시에도 마찬 가지이다.
도 3은 도 1에서 "B"로 표시한 모울드 만을 분리하여 구체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동도(同圖)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압장치(200)(도1참조)과 같이 요부를 구성하는 모울드 (120)만을 표시한 것으로, 상기 모울드(120)은 대략 장방형으로 상부만이 개구되게 제작되어 시멘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121)과 그리고 상기 외형(121)에 그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 내형(127)로 이루어져 있다.상기 외형(121)과 내형(127)에 의해 모울드 본체를 형성하게 된다.이러한 상태로 결합되면, 상기 모울드(120)의 외형(121)과 내형(127)과의 사이에는 간극(126)이 형성되며, 그 간극(126)으로 상기 외형(121)의 개구를 통하여 수로관(1)을 제작하기 위한 시멘트 몰탈이 타설된다. 타설된 시멘트 몰탈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모울드(120)을 구성하는 상기 내형(127)의 단면부위에는 도 1 표시의 가압장치 (200)에의 로드(220)의 고정편(222)이 보울트(224)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내형(127)을 상기 외형(121)로부터 이탈되게 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하는 힘을 가압장치(200)으로부터 받게 한다(도1참조). 상기 내형(127)은 양생완료 된 수로관(1)로부터의 이탈을 쉽게 하고자,상기 내형(127)의 전 둘레에는 시멘트 몰탈의 타설 전에 이형제 등을 바르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동도에서 외형(外型)의 각판이 해체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외형(121)은 종래(도7,8참조)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저판(혹은 기판)(121e)와 그 저판(121e)의 좌우 양단 및 전후단으로부터 각각 전개되도록 하고자 상기 저판(121e)의 각 단부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입설된 좌우측판들 (121a,121b) 및 전후판들(121c,121d)로 이루어 져 있다. 상기 저판(121e)에 대하여 전개 가능하도록 입설된 상기 좌우측판들(121a,121b) 및 전후판들(121c,121d)는 상기 저판(121e)로부터 전개되는 일이 없는 견고하게 입설된 상태로 있도록 하고자, 상기 좌우측판들(121a,121b) 및 전후판들(121c,121d)는 각각 괘지구들(124a,124b)로 결합하고 있다. 상기 괘지구들(124a,124b)의 해지는 상기 모울드(120)의 내부로부터 완성된 제품 즉, 수로관(1)(도9 참조)을 탈리시에 만 실행한다. 그 외에는 항시 도3 표시와 같이 잠겨진 상태로 있는다. 또한 상기 전후판들(121c,121d)에는 상기 내형(127)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멍들(125a,125b)가 각각 천공되어 있다.
상기 내형(127)의 전(全) 사이즈는 상기 외형(121)보다는 작은 전면(全面)이 폐쇄된 장방형의 통체구조를 이루고 있다(도4,도5참조). 상기 내형(127)의 전(全) 길이는 상기 외형(121)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상기 내형(127)을 상기 외형(121)로 부터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내형(127)은 상기 외형(121)의 내부에 상기 전후판들(121c,121d)에 형성된 구멍들(125a,125b)을 통하여 상기 외형(121)을 길이 방향으로 건너지르는 형태로 결합 하고 있다.
따라서, 양생 완료된 수로관(1)을 모울드(120)으로부터 탈리하고자 로드 (220)을 신장하게 되는 경우, 상기 내형(127)은 유압력으로 신장되는 로드 (220)으로부터 작용되는 힘에 의해서 상기 외형(121)의 구멍들(125a,125b)로부터 완전히 이탈 시킬수 있다. 상기 내형(127)을 상기 외형(121)로부터 이탈되게 하면, 상기 외형(121)의 내부에는 양생 완료된 수로관(1)(도9참조)만이 남게 된다. 이때 수로관(1)을 상기 외형(121)로부터 탈리하려고 하면, 신장 상태를 이루어 상기 외형(121)을 길이방향으로 건너지르고 있던 로드(220)을 수축 상태로 하지 않으면안된다. 그 이유는 수로관(1)을 탈리시 로드(220)에 걸리기 때문이다. 상기 로드(220)을 내형(127)로부터 분리하려고하면 보울트(224)(도1,도3참조)를 해체하면된다. 상기 로드(220)을 내형(127)로부터 해체 후에는, 상기 로드(220)을 수축하면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모울드(120)의 내형(127)과 외형(121) 그리고 가압장치의 로드(220)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렇게 분리된 상기 외형(121)으로 부터도 수로관(1)을 탈리 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외형(121)을 도 6에 표시한바와 같은 상태로 분리하지 않으면안 된다. 상기 외형(121)의 분리는 상기 모울드(120)의 전.후에 설치된 괘지구들(124a,124b)을 해제 상태로 하면, 상기 모울드(120)의 저판(121e)로부터 힌지 상태를 이루어 입설된 좌우측판들(121a,121b) 및 전후판들(121c,121d)을 그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전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외형(121)로부터는 도 9표시의 수로관(1)을 쉽게 탈리할 수 있 다. 수로관(1)의 탈리 작업 완료 후 상기 외형(1)의 조립은 상기 저판(121e)에 대하여 전개 되어 있던 좌우측판들(121a,121b) 및 전후판들(121c,121d)을 수직으로 입설후 상기 괘지구들(124a,124b)을 통하여 다시 고정하면 된다. 이러한 작업은 수로관(1)의 탈리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로관을 제작하는 예를 일 예로 들어 설명 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된 수로관 이외에 맨홀, pc 암거 박스 등의 제품을 제작하는 데에도 적용될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 할수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멘트 몰탈의 양생 여부에 따라 내형을 가압장치로 하여금 외형에서 분리하거나 원래의 상태로 결합할 수 있게 한 구조에 의해, 종래 모울드 조립에 있어서 발생되는 시간과 인력 소비를 절감하여 그 만큼 모울드 분해 및 조립을 쉽게 하는 작업성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제조 원가의 절감과 아울러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하여 전체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를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B"로 표시한 모울드 만을 분리하여 구체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동도(同圖)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동도에서 외형(外型)의 각 측판들이 해체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의 모울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7에서 내형(內型)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울드에서 제작되는 제품 중 하나인 수로관을 일 예로들어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울드장치 120 : 모울드
121 : 외형(外型) 127 : 내형(內型)
200 : 가압장치 210 : 실린더
220 : 로드(Rod) 400 : 로울러베드
R1,R2,R3 : 레일

Claims (5)

  1.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여된 수로관, 맨홀 ,PC 박스 등의 시멘트 제품을 소정 위치로 이탈하기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유압 실린더의 가압장치를 구비한 모울드 장치에 있어서,
    저판에 대해 좌우측판 및 구멍이 천공된 전후판들을 해체할 수 있게 조립하여 시멘트 몰탈을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外型)과, 상기 외형보다는 작은 사이즈의 전면이 폐쇄된 통체를 이루어 상기 외형의 내부에 시멘트 몰탈 타설용 공간부를 형성하며 결합되며, 상기 외형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상기 가압장치와 탈착되게 결합되는 내형으로 이루어진 형(型)본체를 포함하는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모울드로서 수로관, 맨홀 및 pc 박스 등을 형성후, 상기 모울드로부터 시멘트 제품을 탈리하여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면(全面)이 폐쇄된 통체 구조의 내형을 각 판들을 해체 가능하게 조립된 외형 내부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이동되게 조립하는 단계;
    상기 내형의 어느 일측에 기 준비된 가압장치의 선단부위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가압 장치가 결합된 상기 내외 형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수로관 등을 제작하기 위해 준비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는 단계;
    모울드의 내부로 충진된 몰탈의 양생 후 상기 가압장치의 구동에 의한 가압력으로 하여금 상기 내형을 외형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시멘트 제품의 탈리를 위해 상기 내형이 이탈된 상기 외형의 각판 들을 해체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 제작방법.
KR10-2003-0043700A 2003-06-30 2003-06-30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KR10051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700A KR100511207B1 (ko) 2003-06-30 2003-06-30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700A KR100511207B1 (ko) 2003-06-30 2003-06-30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325A KR20050002325A (ko) 2005-01-07
KR100511207B1 true KR100511207B1 (ko) 2005-08-31

Family

ID=3721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700A KR100511207B1 (ko) 2003-06-30 2003-06-30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91A (ko) 2014-12-26 2016-07-06 박대용 수로관 제조장치
KR20160079490A (ko) 2014-12-26 2016-07-06 박대용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31B1 (ko) * 2009-06-02 2012-01-19 한만성 측구 수로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157419B1 (ko) * 2010-08-16 2012-06-22 강말선 사각수로관 성형용 금형장치
CN114227908B (zh) * 2021-12-20 2023-08-11 河南合盛杭萧装配制造有限公司 一种水泥预制支撑板浇筑用钢结构固定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491A (ko) 2014-12-26 2016-07-06 박대용 수로관 제조장치
KR20160079490A (ko) 2014-12-26 2016-07-06 박대용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325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CN106426525A (zh) 预制管廊模具
CN111618991B (zh) 预制钢筋砼空心模板的自动化生产方法
KR101798977B1 (ko) 비닐튜브를 이용한 중공슬래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중공슬래브
KR100511207B1 (ko) 수로관 제조용 모울드 장치 및 그 모울드를 이용한 수로관의 제작 방법
AU2009202374A1 (en) Moulding apparatus for forming blocks made from concrete or other cured material
EP34828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concrete block from a form
US4126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crete elements
CN106564121A (zh) 预制混凝土构件模具液压脱模机构
CN202016110U (zh) 一种活络式抽芯内模
JP6282473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CN111391112B (zh) 内有交叉孔的预制钢筋砼空心模板的生产方法
CN109629437A (zh) 一种箱梁移动式整孔现浇设备及其使用方法
CN211340444U (zh) 变截面箱梁整体脱模式模板
CN209224273U (zh) 一种生产无机发泡混凝土墙板固定式可翻转的成型机
WO2020256141A1 (ja) コンクリート杭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329914B2 (ja) 暗渠ブロック製造用型枠
KR200278096Y1 (ko)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KR101655843B1 (ko) 수로관 제조장치
RU268621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устотелых панелей
CN210589828U (zh) 用于预制装配式构件的模具
CN217414336U (zh) 一种用于提高扭王字块表观质量的预制模板
CN213174805U (zh) 一种土建基模固定夹具
CN211842481U (zh) 快拆式混凝土箱梁内模
CN216099546U (zh) 一种井盖浇灌模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