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096Y1 -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096Y1
KR200278096Y1 KR2020010037470U KR20010037470U KR200278096Y1 KR 200278096 Y1 KR200278096 Y1 KR 200278096Y1 KR 2020010037470 U KR2020010037470 U KR 2020010037470U KR 20010037470 U KR20010037470 U KR 20010037470U KR 200278096 Y1 KR200278096 Y1 KR 200278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forming
wall surfac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택
Original Assignee
김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택 filed Critical 김근택
Priority to KR2020010037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096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 슬라브 각 내면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각부들이 만나는 부분에 4개의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세그먼트의 각부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벽체부 및 상기 테이퍼부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양단이 일정 길이 힌지를 매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몸체와,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에 각각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양단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을 각각 상기 양벽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와;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거푸집에 적정 개수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놓여지는 상하 작동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2 실린더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실린더의 몸체와 고정 연결되는 구조체와; 상기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콘트리트 타설 완료후,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구조체를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MOLD SYSTEM FOR MANUFACTURING INNER WALL OF SEGMENT IN BRIDGE IN WHICH ILM PC BOX GIRDER IS APPLIED}
본 고안은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 슬라브 각 내면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본 출원인이 1999년 12월 27일자로 선출원하여 2000년 4월 6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년 17883호(발명의 명칭:아일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제작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그먼트 제작방법)가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술인 세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시스템은, 구조물의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 거푸집 유니트와; 상기 구조물의 좌우측 벽체의 외부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수단에 의해서 지지되는 외부 거푸집 유니트와; 상기 하부 거푸집 유니트 및 상기 외부 거푸집 유니트를 그 하부에서 중간 지지수단을 거쳐서 동시에 지지하는 가로 지지대와; 상기 외부 거푸집 유니트와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구조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내부 거푸집 유니트와; 상부 슬라브를 형성하는 내부 상면 거푸집 유니트와; 이 내부 상면 거푸집 유니트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상기 하부 거푸집 유니트상에 재치되는 바닥 플레이트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출원인이 선출한 종래 기술은 세그먼트를 구성하는벽체 슬라브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거푸집 유니트와, 상부 슬라브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 상면 거푸집 유니트를 별도로 설치함과 아울러 이 설치 작업을 수작업으로 수행함에 함에 따라 설치 및 분해 작업이 난해할뿐만 아니라 그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 슬라브 각 내면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세그먼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벽체부 2 : 바닥부
3 : 상부 4 : 테이퍼부
5 : 내부공간 700 :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
710 :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 720 : 절곡부
721 : 힌지 740 : 제1 실린더
730 : 몸체 731 : 피스톤 로드
750 : 스페이서 760 : 제2 실린더
770 : 구조체 800 : 인출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각부들이 만나는 부분에 4개의 테이퍼부를 구비하여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세그먼트의 각부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벽체부 및 상기 테이퍼부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양단이 일정 길이 힌지를 매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몸체와,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에 각각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양단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을 각각 상기 양벽체부를 형성하기 위한 벽체 거푸집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와;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거푸집에 적정 개수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면에 놓여지는 상하 작동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하단부가 상기 제2 실린더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실린더의 몸체와 고정 연결되는 구조체와; 상기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콘트리트 타설 완료후,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과 구조체를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서 설명되는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벽체부(1)와 바닥부(2)와 상부(3)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각부(1)(2)(3)들이 만나는 부분에 4개의 테이퍼부(4)를 구비하여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5)을 갖는 세그먼트(10)의 각부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거푸집 시스템은 가로 지지대(100) 및 잭(110)위에 하부 거푸집 유니트(200) 및 외부 거푸집 유니트(210)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양벽체부(1) 및 바닥부(2)용 철근 및 쉬스관(300)을 상기 하부 거푸집 유니트(200) 및 외부 거푸집 유니트(210)의 내측을 따라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벽체부(1)와 바닥부(2) 및 상부(3)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벽면용 거푸집(400)을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부(3)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스관(500)을 상기 외부 거푸집 유니트(210) 및 상부(3)의 내측면 형성용 거푸집(400)상에 설치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벽체부(1)와 바닥부(2)와 상부(3)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600)를 타설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600) 타설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400)을 탈형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가로 지지대(100) 하부의 잭(200)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거푸집 유니트 (200)및 외부 거푸집 유니트(210)를 탈형하는 제7 단계를 거쳐서 제작되는 아이엘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의 세그먼트의 내벽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됨을 밝혀둔다.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은 크게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과, 제1 실린더(740)와, 스페이서(750)와, 제2 실린더(760)와, 구조체(770)와, 인출수단(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은 상기 양벽체부(1) 및 상기 테이퍼부(4)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측 내벽용 거푸집(710)은 양단이 일정 길이 힌지(721)를 매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720)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3)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실린더(740)는 몸체(730)와,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에 각각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730)의 양단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피스톤 로드(731)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을 각각 상기 양벽체부(1)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그관(300)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750)는 상기 바닥부(2)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부 거푸집(200)에 적정 개수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2)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된다.
상기 제2 실린더(760)는 상기 스페이서(750)의 상단면에 놓여지는 상하 작동된다.
상기 구조체(770)는 하단부가 상기 제2 실린더(760)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실린더(740)의 몸체(730)와 고정 연결된다.
상기 인출수단(800)은 상기 양벽체부(1)와 바닥부(2)와 상부(3)를 형성하기 위한 콘트리트 타설 완료후,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과 구조체(770)를 상기 내부공간(5)으로부터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절곡부(720)를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3)의 내벽면 형성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해제하는 유지/해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유지/해제수단은 그 일례로 실린더 몸체(910)가 상기 제1 실린더(740)의 몸체(7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920)가 상기 절곡부(7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한편, 양단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부재(940a)와;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 부재(940a) 양단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절곡부(720)와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940b)로 이루어진 보조 유지부재(94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조 유지부재(940) 이외에도 상기 구조체(770)와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간에 연결되어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을 상기 벽체부(1)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스관(300)측으로 밀어주는 또다른 보조 유지부재(950)를 더 구비할수도 있다.
상기 또 다른 보조 유지부재(9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부재(950a)와;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 부재(950a) 양단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구조체(770)와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950b)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단계와 제4 단계 사이에서 실시되는 것이다.
먼저, 바닥부(2)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스관(300)에 적정 개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수단(850)들을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수단(850)은 철근 및 쉬스관(300)내에 위치되어 하부 거푸짐 유니트(200)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부로 개구된 나사공((851a)을 구비하여서 된지지대(851)와, 상기 지지대(851)의 나사공(851a)내에 나사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봉(852)와, 이 나사봉(852)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너트부재(852a)와, 상기 너트부재(852a)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롤러(772)가 가이드되는 가이더(853)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구조체(770)에 내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과 제1 실린더(740)가 하나의 어셈블리로 결합된 본 고안의 시스템을 상기 내부공간(4)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잡업을 실시한다.
즉, 구조체(770)를 구성하는 최하단 가로부재(771)에 롤러(772)를 설치한 후, 이 롤러(772)를 상기 안내수단(850)상에 로딩한 다음, 별도의 푸쉬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어셈블리들을 상기 내부공간(4)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안내수단(850)들과는 다른 위치에 바닥부(2)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스관(300)에 스페이서(750)를 적정 개수 설치한다.
여기서, 스페이서(750)의 높이는 생성될 바닥부(2)의 높이와 동일하다.
이후, 스페이서(750)의 상단부와 상기 구조체(770)간의 간격 사이로 제2 실린더(760)를 삽입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실린더(760)를 작동시켜 상기 구조체(770)들이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 올라가도록 하여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이 상부(3)의 내벽면 형성면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 실린더(76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롤러(772)의 위치도소정 높이 상승된 위치에 있게 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수단(850)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 실린더(740)를 작동시켜 양방향 피스톤 로드(731)가 전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양방향 피스톤 로드(731)가 전진 구동되면, 한쌍의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은 양벽체부(1)의 내벽면 형성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해제수단을 구성하는 실린더(910) 및 보조 유지/해제수단(940)(950)을 설치 또는 작동시킨다.
이후, 폼타이(860)를 이용하여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외부 거푸집 유니트(210)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후, 전술한 제4 단계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함과 아울러 콘크리트(600)를 타설하는 제5 단계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의 타설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완전히 양생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폼타이(860)를 제거한 다음, 상기 롤러(772)에 직하방으로 대응되는 바닥부(2)의 상면에 아이(??)자 형상의 가이드 부재(870)를 설치한다.
이후, 실린더(910) 및 보조 유지/해제수단(940)(950)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제1 실리더(740)를 작동시켜 도 6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린더(760)를 작동시켜 상기 구조체(770)를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760)의 작동으로 인해상기 구조체(770)가 하강되면 상기 롤러(770)는 상기 가이드 부재(870)에 로딩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은 상부(2)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은 양벽체부(1)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실린더(760)를 상기 구조체(770)와 양생 완료된 바닥부(2)와 동일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750) 사이에서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750)는 상기 바닥부가 양생 완료된 상태가 되면 그 내부에 매몰되기 때문에 바닥부(2)의 표면과 스페이서(750)의 표면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후, 푸쉬수단(미도시)를 이용하여 구조체(770)에 내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과 제1 실린더(740)가 하나의 어셈블리를 상기 내부공간(4)으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을 실시한 후에, 다음 세그먼트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순서를 진행 완료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0)의 내벽면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따르면,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양벽체부와 바닥부와 상부 슬라브 각 내면을 형성하는 거푸집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4)

  1. 양벽체부(1)와 바닥부(2)와 상부(3)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각부(1)(2)(3)들이 만나는 부분에 4개의 테이퍼부(4)를 구비하여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5)을 갖는 세그먼트의 각부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벽체부(1) 및 상기 테이퍼부(4)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양단이 일정 길이 힌지(721)를 매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720)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3)의 내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과;
    몸체(730)와,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에 각각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730)의 양단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방향 피스톤 로드(731)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을 각각 상기 양벽체부(1)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스관(300)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740)와;
    상기 바닥부(2)를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및 쉬스관(300)에 적정 개수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2)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750)와;
    상기 스페이서(750)의 상단면에 놓여지는 상하 작동되는 제2 실린더(760)와;
    하단부가 상기 제2 실린더(760)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실린더(740)의 몸체(730)와 고정 연결되는 구조체(770)와;
    상기 양벽체부(1)와 바닥부(2)와 상부(3)를 형성하기 위한 콘트리트 타설 완료후, 상기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과 상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10)과 구조체(770)를 상기 내부공간(5)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720)를 상기 힌지(721)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3)의 내벽면 형성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해제하는 유지/해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해제수단은 실린더 몸체(910)가 상기 제1 실린더(740)의 몸체(7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920)가 상기 절곡부(7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양단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부재(940a)와;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 부재(940a) 양단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절곡부(720)와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940b)로 이루어진 보조 유지부재(940)를 더 구비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부재(950a)와;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 부재(950a) 양단의 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각각 상기 구조체(770)와 벽체부측 내벽면용 거푸집(7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950b)로 이루어진 또 다른 보조 유지부재(9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KR2020010037470U 2001-12-05 2001-12-05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KR200278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70U KR200278096Y1 (ko) 2001-12-05 2001-12-05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70U KR200278096Y1 (ko) 2001-12-05 2001-12-05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096Y1 true KR200278096Y1 (ko) 2002-06-20

Family

ID=7307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70U KR200278096Y1 (ko) 2001-12-05 2001-12-05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0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02B1 (ko) * 2004-04-13 2006-10-16 (주)씨씨엘 코리아 자주식 엠.에스.에스 공법
KR101103001B1 (ko) 2010-05-18 2012-01-05 동도산업 주식회사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KR101195442B1 (ko) 2010-05-06 2012-10-30 김근택 박스거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스거더 제작방법
KR20180064807A (ko) * 2016-12-06 2018-06-15 홍주이엔씨(주) 일체형 내부몰드 베이스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02B1 (ko) * 2004-04-13 2006-10-16 (주)씨씨엘 코리아 자주식 엠.에스.에스 공법
KR101195442B1 (ko) 2010-05-06 2012-10-30 김근택 박스거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스거더 제작방법
KR101103001B1 (ko) 2010-05-18 2012-01-05 동도산업 주식회사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KR20180064807A (ko) * 2016-12-06 2018-06-15 홍주이엔씨(주) 일체형 내부몰드 베이스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KR101978689B1 (ko) * 2016-12-06 2019-05-15 홍주이엔씨(주) 일체형 내부몰드 베이스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26525A (zh) 预制管廊模具
KR200278096Y1 (ko)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KR200424776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관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교각
KR10078711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관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교각
KR100283525B1 (ko) 자립식 터널거푸집의 설치방법
KR20020089689A (ko) 복합부재 판넬과 유압 잭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법
CN106564121A (zh) 预制混凝土构件模具液压脱模机构
KR100718264B1 (ko) 공기압을 이용한 거푸집
JP3705597B1 (ja) コンクリート内型枠
CN111361004A (zh) 一种墩柱预制件的制造方法及桥墩
KR20100057293A (ko)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KR102094279B1 (ko) 이동형 강재 거푸집
JP3527106B2 (ja) 箱抜フォームを装着した型枠による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US4471936A (en) Mould core for casting concrete elements
KR20040102272A (ko) 연속압출공법을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더블-티이 교량 상판 및 그 거푸집
CN111571775A (zh) 一种装配式空心墩身及其施工装置和施工方法
KR100445347B1 (ko) 일체형 아이엘엠용 세그먼트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이엘엠 교량시공 공법
JP2620687B2 (ja) 移動式型枠によるカルバートの施工法
KR200189326Y1 (ko) 아이엘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제작 거푸집 시스템
CN219427054U (zh) 预制构件立模模具及其立模制作设备
KR102086134B1 (ko)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CN215760219U (zh) 一种便于施工和后期改造的密排风井隔墙托梁结构
CN215253401U (zh) 一种格构式钢板混凝土l型结构
CN220699968U (zh) 匹配预制节段箱梁工艺孔成孔的预埋装置
KR200274810Y1 (ko) 일체형 아이엘엠용 세그먼트 거푸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