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145B1 -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145B1
KR100511145B1 KR10-1999-7007490A KR19997007490A KR100511145B1 KR 100511145 B1 KR100511145 B1 KR 100511145B1 KR 19997007490 A KR19997007490 A KR 19997007490A KR 100511145 B1 KR100511145 B1 KR 10051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ireless device
operating element
function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200A (ko
Inventor
바이드너볼프강
무가스한스
클라인베른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208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111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7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자 가이드를 위해 사용되는 무선 장치(1), 특히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무선 장치(1)의 기능을 선택 및/또는 활성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11 내지 16)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11 내지 16)와, 디스플레이 장치(5) 상에서의 무선 장치(1) 기능들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위치적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11 내지 16)가 디스플레이 장치(5)에 바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 장치{Radio Apparatus}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 번호 제 1 96 05 373.0 호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진 무선 전화기가 이미 공지된 바 있다.
도 1은 이동 무선 장치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하위 메뉴 항목을 해당 조작 소자에 할당하는 각각 하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무선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작자를 안내하기 위한 기본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장치는 이에 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무선 장치의 기능들을 선택 및/또는 활성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의 무선 장치 기능들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위치적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과 개관이 현저하게 간단해지고 개선된다. 따라서 조작이 더 신속하고 확실해진다.
종속항에 기재된 조치들에 의해, 독립항에 제시된 무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개선예가 가능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무선 장치의 해당 기능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화살표 모양의 그래픽 기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와 해당 기능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위치적 할당이 더욱 개선되며 사용자의 개관의 용이성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를 조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히 어두울 때에도 간단하고 확실하고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가 조작 구역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조작 구역 내에서 키가 절약되며 이로써 사용자가 보기에 조작 구역이 더 단순해지고 조작이 간단해지므로 조작 편리성이 증진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가 바람직하게는 무선 장치의 케이싱 표면의 에지 영역 바로 가까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무선 장치를 쥐고 있는 손의 손가락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한 손으로도 무전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은 무선 전화기로 형성된 무선 장치를 도시하며, 이는 예컨대 이동 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장치(1)는 그의 케이싱 표면(20)에, 10 개의 영숫자 키패드(30), 별표 키(35) 및 우물정자 키(40)를 구비한 조작 구역(25)을 포함한다. 조작 구역(25)은 또한 걸려온 전화를 받거나 회선 점유를 위한 온 후크(통화) 키(45) 및 통화 상태를 종료하거나 회선 해제를 위한 오프 후크(종료) 키(50)를 포함한다. 상기 두 기능은 단일 키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구역(25)은 케이싱 표면(20)에서 조작 구역(25)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5)에 기본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본 상태 키(55)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 구역(25)은 정보 키(65)를 포함하며, 상기 키를 작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5)에는 현재 세팅된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조작 구역(25)에 배치된 리턴 키(60)의 작동에 의해 마지막에 행해진 조작 과정은 취소된다. 즉, 예컨대 전화할 상대자의 선택을 위해 마지막에 입력한 숫자가 지워지거나, 디스플레이 장치(5) 상에 현재 세팅된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 텍스트의 디스플레이로부터 현재 세팅된 메뉴 항목으로 리턴된다. 디스플레이 장치(5)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양 종방향 측면 중 하나는 조작 구역(25) 쪽을 향하고 다른 종방향 측면은 무선 장치(1)의 상부 에지에 있는 안테나(70) 쪽을 향한다. 좌측의 좁은 측면과 케이싱 표면(20)의 좌측 에지 사이에는 상기 좁은 측면을 따라 케이싱 표면(20)에 제 1 조작 소자(11), 제 2 조작 소자(12) 및 제 3 조작 소자(13)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5)의 우측의 좁은 측면과 케이싱 표면(20)의 우측 에지 사이에는 상기 좁은 측면을 따라 제 4 조작 소자(14), 제 5 조작 소자(15) 및 제 6 조작 소자(16)가 배치된다. 6 개의 조작 소자(11 내지 16)의 크기는, 이들이 디스플레이 장치(5)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또한 무선 장치(1)의 케이싱 표면(20)의 에지 영역에도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조작 소자들(11 내지 16)은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무선 장치(1)의 기능들에 직접 위치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는 무선 장치(1)를 쥐고 있는 손의 손가락으로 한 손 조작을 할 수 있다. 조작 소자(11 내지 16)들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되고 위치적으로 직접 할당된 기능들이 선택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조작 소자(11 내지 16)는 디스플레이 장치(5)의 양쪽 좁은 측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구역(25)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에는 조작자를 안내하기 위한 기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서 기본 메뉴는 하위 메뉴 항목으로서 전화 번호부 기능, 포켓 계산기 기능, 스케줄 기능 및 텍스트 편집 기능을 포함한다. 제 1 조작 소자(11)는 전화 번호부 기능의 디스플레이에, 제 2 조작 소자(12)는 포켓 계산기 기능의 디스플레이에, 제 3 조작 소자(13)는 스케줄 기능의 디스플레이에, 제 5 조작 소자(15)는 텍스트 편집 기능의 디스플레이에 위치적으로 할당된다. 위치적 할당은 화살표 모양의 그래픽 기호에 의해 지원되는데, 이는 해당 조작 소자(11, 12, 13, 15)와, 디스플레이 장치(5) 상에서 무선 장치(1)의 해당 기능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4 조작 소자(14)와 제 6 조작 소자(16)에는 아무 기능도 할당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하위 메뉴 항목이 6 개 이상인 경우, 개별 조작 소자는 여태까지는 보이지 않던 기본 메뉴의 기능들로 전환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는 무선탑으로부터 방사되는 긴 띠의 수로 수신 품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기호(75) 및 무선 장치(1)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기호(80)를 포함한다.
10 개의 영숫자 키패드(30)를 이용해서 전화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5)의 기본 메뉴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는 도 2에 따른, 입력한 전화 번호의 디스플레이로 대체되며, 입력된 전화 번호는 상위 메뉴 항목을 형성하고 그것에 대해 두 개의 하위 메뉴 항목이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제 2 조작 소자(12)에는 입력된 전화 번호를 반복 선택하는 기능이 하위 메뉴 항목으로서 할당되고, 제 3 조작 소자(13)에는 입력된 전화 번호를 무선 장치(1)의 전화 번호 메모리 내에 저장하는 기능이 하위 메뉴 항목으로서 할당된다. 제 2 조작 소자(12)의 작동에 의해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어 입력된 전화 번호의 반복 선택이 실행된다. 제 3 조작 소자(13)의 작동시 마찬가지로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어 입력된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메모리에 저장된다.
무선 장치(1)에 의해 다이얼링된(dialed) 상대자의 전화를 받을 때 또는 온 후크 키(45)를 작동시킴으로써 걸려온 전화를 받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5)의 현재 디스플레이는 사라지고, 도 3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에는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는 "통화"라는 단어와 통화의 지속 시간이 나타난다. 또한 전화 번호 및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장치(1)로부터, 전화를 건 통화 상대자의 이름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5 조작 소자(15)에는 녹음 기능이 할당되므로, 제 5 조작 소자(15)를 작동시키면 현재 통화가 녹음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4에 따라, 무선 장치(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 통화 상대자의 전화 번호에는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 이름이 할당된다. 통화중 무선 장치(1)에 제 3 자로부터의 전화가 오면, 이는 디지털 교환 기술에 의해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3 조작 소자(13)에는 이 소자를 작동하면 원래의 통화 연결을 유지하면서 중간에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이 하위 메뉴 항목으로서 할당된다. 이로 인해, 두 개의 통화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3 조작 소자(13)의 작동에 의해 두 번째 통화를 받은 후, 도 4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된다. 이 경우 현재 진행중인 통화, 그 지속 시간 및 해당 통화 상대자의 전화 번호가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 나타난다. 도 5a는 원래의 통화중 받은 두 번째 통화에 관한 것이다. 제 2 조작 소자(12)에는, 이 소자를 작동하면 첫 번째 통화로 넘어가는 기능이 할당된다. 이 경우 제 3 조작 소자(13)에는 아무 기능이 할당되지 않고 다만 현재 두 번째 통화가 진행중이라는 정보만이 할당된다. 제 6 조작 소자(16)에는 회의 접속 기능이 할당되므로, 이 소자(16)를 작동하면 모든 세 통화자 사이의 회의 접속이 구현된다. 제 5 조작 소자(15)에 할당된 녹음 기능은 앞의 도 4 및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도 5b에 따라, 제 2 조작 소자(12)의 작동에 의해 두 번째 통화로부터 원래 통화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후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장치(5)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이 경우 현재 통화인 첫 번째 통화, 그 지속 시간 및 해당 통화 상대자의 전화 번호가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 나타난다. 이제 제 3 조작 소자(13)에는 이 소자(13)를 작동시키면 두 번째 통화로 전환되는 기능이 할당된다. 이제 제 2 조작 소자(12)에는 원래의 통화가 행해진다는 정보만이 할당되므로 상기 제 2 조작 소자(12)를 작동시킬 경우 아무 기능도 활성화되지 않는다. 녹음 기능 및 회의 접속 기능은 도 5b에서도 도 5a에서와 같이 실현된다.
도 10에 따라 기본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조작 소자(11)가 작동되면, 하위 메뉴 항목으로서 전화 번호부 기능이 선택되어 새로운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 도 6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다. 전화 번호부 기능을 위한 하위 메뉴 항목으로서 전화 번호 메모리의 엔트리가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엔트리는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전화 가입자의 이름과 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4 조작 소자(14)에는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상향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 메모리 내에서 알파벳 시작 방향으로 다음 상대자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제 6 조작 소자(16)에는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하향을 지시하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 메모리 내에서 알파벳 끝 방향으로 다음 상대자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제 1 조작 소자(1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5)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전화 상대자의 전화 번호가 전화 번호 메모리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전화 번호는 제 1 조작 소자(11)에 가시적으로 할당된다. 제 3 조작 소자(13)를 통해서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 전화 상대자에 관한 추가 정보가 전화 번호 메모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정보는예컨대 상기 전화 상대자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에 기본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경우, 제 2 조작 소자(12)가 작동되면, 하위 메뉴 항목인 "포켓 계산기"가 선택되고 도 7에 따른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전환되며,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 포켓 계산기 기능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제 1 조작 소자(11)에는 덧셈 기능이, 제 2 조작 소자(12)에는 뺄셈 기능이, 제 3 조작 소자(13)에는 곱셈 기능이, 제 4 조작 소자(14)에는 나눗셈 기능이, 제 5 조작 소자(15)에는 백분율 기능이, 그리고 제 6 조작 소자(16)에는 결과 기능이 할당된다. 그리고 숫자 입력은 10 개의 영숫자 키패드(30)로 이루어진다. 현재 수행되는 계산 과정도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 기본 메뉴로부터 제 3 조작 소자(13)의 작동에 의해 스케줄 기능이 하위 메뉴 항목으로 선택되면, 스케줄 기능이 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새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 도 8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의 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무선 장치(1)의 스케줄 메모리의 엔트리가 해당 스케줄의 특징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스케줄에는 이름이 할당된다.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상향 화살표가 할당된 제 4 조작 소자(14)를 통해, 바로 앞선 스케줄 엔트리가 스케줄 메모리로부터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하향 화살표가 할당된 제 6 조작 소자(16)를 통해 바로 다음 엔트리가 스케줄 메모리로부터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전화 번호부 기능과 유사하게, 알파벳순이 아닌, 예컨대 글자수에 따른 순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제 1 조작 소자(11)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 스케줄에 속하는 스케줄이 날짜 및 시간의 형태로 할당된다. 제 1 조작 소자(11)를 작동하면 하위 메뉴 항목인 상기 스케줄이 선택되어 새로운 상위 메뉴 항목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5)의 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스케줄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 3 조작 소자(13)를 작동하면, "새 스케줄"의 기능이 선택되어 역시 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새 상위 메뉴 항목으로 나타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5)의 새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제로 상태에서부터 새 스케줄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따른 전화 번호부 기능의 선택시 또는 도 8에 따른 스케줄 기능의 선택시, 이름의 입력은 10 개의 영숫자 키패드(3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장치(5)에는 상기 입력의 일렬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진다. 현재 입력은 항상 점멸 신호(85)로 표시된 상기 열의 한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점멸 신호(85)의 위치는 상기 열에서 제 2 조작 소자(12)를 이용하여 좌측으로, 또는 제 5 조작 소자(15)를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조작 소자(12, 15)에 할당된 화살표 방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5)에 그래픽적으로 표시된다.
이는 도 10에 따른 기본 메뉴에서 제 5 조작 소자(15)를 이용하여 해당 하위 메뉴 항목을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5) 상의 텍스트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텍스트를 입력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의 텍스트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9에 도시된다. 추가의 텍스트는 도 9에 따른 텍스트 편집 기능의 경우 제 4 조작 소자(14) 또는 제 6 조작 소자(16)를 작동함으로써 무선 장치(1)의 텍스트 메모리로부터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4 조작 소자(14)에는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상향 화살표가 할당되며, 제 6 조작 소자(16)에는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하향 화살표가 할당된다. 제 4 조작 소자(14)의 작동시 텍스트 메모리는 저장된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제 1 방향, 예컨대 알파벳의 시작 쪽으로 진행된다. 제 6 조작 소자(16)의 작동시 텍스트 메모리는 저장된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예컨대 알파벳의 끝 쪽으로 진행된다. 제 1 조작 소자(11)의 작동시 송신 기능이 호출되어, 소정 수신자 및 그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임의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고려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 소자들(11 내지 16)은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의 보다 양호한 할당을 위한 화살표 모양의 그래픽 기호를 사용하면서,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무선 장치(1) 기능의 해당 디스플레이에 위치적으로 할당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다 양호한 할당을 위해 부가로 컬러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조작 소자들(11 내지 16)은 또한 조명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는 크게 또는 작게 구성될 수도 있고 보다 많거나 적은 조작 소자들이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 장치(5)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무선 장치(1)의 기능을 선택 및/또는 활성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11 내지 16)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1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11,...,16)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에서 무선 장치(1)의 기능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위치적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무선 장치(1), 특히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동작 모드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하나의 조작 소자에 상기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동작 모드에 할당된 제 2 동작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소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제 1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 상에서 상기 무선 장치(1)의 해당 기능의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되는 그래픽 기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무선 장치(1)의 케이싱 표면(20)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는 조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에 의해 조작 메뉴의 하위 항목이 선택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1)에 배치된 전화 번호 메모리의 엔트리가 선택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0 개의 영숫자 키패드(30)를 구비한 조작 구역(25)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는 상기 조작 구역(25)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 소자(11 내지 16)는 상기 무선 장치(1)의 케이싱 표면(20)의 에지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KR10-1999-7007490A 1997-02-20 1998-02-18 무선 장치 KR100511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6595A DE19706595C1 (de) 1997-02-20 1997-02-20 Funkgerä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und mindestens einem Bedienelement
DE19706595.3 1997-02-20
PCT/DE1998/000482 WO1998037681A1 (de) 1997-02-20 1998-02-18 Funk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200A KR20000071200A (ko) 2000-11-25
KR100511145B1 true KR100511145B1 (ko) 2005-08-31

Family

ID=782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490A KR100511145B1 (ko) 1997-02-20 1998-02-18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36712B1 (ko)
EP (1) EP0962084B1 (ko)
JP (1) JP3894958B2 (ko)
KR (1) KR100511145B1 (ko)
CN (1) CN1124011C (ko)
DE (2) DE19706595C1 (ko)
ES (1) ES2251769T3 (ko)
TW (1) TW365714B (ko)
WO (1) WO1998037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648A (ja) * 1998-09-29 2000-04-11 Nec Saitama Ltd 携帯用電子機器
JP3123990B2 (ja) * 1998-10-05 2001-01-1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端末
AU6354599A (en) * 1998-11-05 2000-05-29 Lucent Technologies Inc. Display terminal
GB9824307D0 (en) * 1998-11-05 1998-12-30 Lucent Technologies Inc Display terminal
DE19949716C2 (de) * 1999-10-15 2002-08-01 Bosch Gmbh Robert Mobil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EP1285518B1 (de) * 2000-05-31 2005-0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funktelefon mit assoziativer benutzeroberfläche
US7302279B2 (en) 2002-12-18 2007-11-27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and information items for use there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3684A2 (en) * 1993-07-08 1995-01-11 US WEST Technologies, Inc. Mobile telephone user interface including fixed and dynamic function keys and method of using same
EP0731590A2 (de) * 1995-03-06 1996-09-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telef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0403B1 (de) * 1990-08-07 1995-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Tastatur-und Anzeigenbeleuchtung
US5258748A (en) * 1991-08-28 1993-11-02 Hewlett-Packard Company Accessing and selecting multiple key functions with minimum keystrokes
DE4136065A1 (de) * 1991-10-31 1993-05-06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aend. Stiftung & Co Kg, 8510 Fuerth, De Tragbares, programmgesteuertes geraet der unterhaltungselektronik und/oder der telekommunikationstechnik mit spielfunktion
US5483251A (en) * 1992-12-31 1996-01-09 At&T Corp. Abridgment of text-based display information
US5373551A (en) * 1993-01-04 1994-12-13 At&T Corp. Selectable display for a telephone terminal
CH686541A5 (de) * 1993-03-24 1996-04-15 Andreas Peiker Elektronisches Handgeraet.
US5412713A (en) * 1993-04-13 1995-05-02 At&T Corp. Display for a telephone terminal
US5396547A (en) * 1993-04-13 1995-03-07 At&T Corp. Arrangement for entering information into a directory on a telephone terminal
CA2121173C (en) * 1993-04-13 1997-11-18 Kimberly Ann Baals Arrangement for displaying menu screens on a telephone terminal
CA2112757C (en) * 1994-01-04 2005-12-20 William V. Pezzullo Screen-based telephone set for interactive enhanced telephony service
CA2157623C (en) * 1994-09-20 1999-12-21 Lars Stig Soren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adio communication menu
US5797091A (en) * 1995-03-07 1998-08-18 Xypoint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JP3664322B2 (ja) * 1995-04-07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DE19529182A1 (de) * 1995-08-08 1997-02-13 Siemens Ag Funkgerät
JPH09116450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受信機
US5852783A (en) * 1996-01-03 1998-12-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tools with multi-functional information key
WO1997029582A1 (en) * 1996-02-12 1997-08-14 Sprint Telecommunications Venture Mobile telephone having user interface including navigation and selection controls
DE19605373C2 (de) * 1996-02-14 1998-11-19 Bosch Gmbh Robert Gerä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US6046730A (en) * 1996-03-15 2000-04-04 At&T Corp Backlighting scheme for a multimedia terminal keypad
US5969718A (en) * 1996-09-27 1999-10-19 Elsag International N.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oftkey prompted user interface
US5867774A (en) * 1996-12-27 1999-02-02 Motorola, Inc. Smart remote control panel for a radi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3684A2 (en) * 1993-07-08 1995-01-11 US WEST Technologies, Inc. Mobile telephone user interface including fixed and dynamic function keys and method of using same
EP0731590A2 (de) * 1995-03-06 1996-09-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telef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8372A (zh) 2000-03-22
EP0962084A1 (de) 1999-12-08
KR20000071200A (ko) 2000-11-25
WO1998037681A1 (de) 1998-08-27
DE19706595C1 (de) 1998-07-09
JP2001508977A (ja) 2001-07-03
JP3894958B2 (ja) 2007-03-22
TW365714B (en) 1999-08-01
ES2251769T3 (es) 2006-05-01
DE59813009D1 (de) 2005-09-22
CN1124011C (zh) 2003-10-08
US8036712B1 (en) 2011-10-11
EP0962084B1 (de)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9824B2 (en)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128475A (en) Wireless telephone with sliding keyboard
JP3123490B2 (ja) 携帯通信装置および表示情報選択方法
US5901222A (en) User interface for portable telecommunication devices
US20020168947A1 (en) Integral navigation keys for a mobile handset
EP0860970A2 (en) Telephone number directory
US2007008270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s of functions a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elephone keys
US20060019717A1 (en) Method for using multi-function key in a portable phone
EP1028570A1 (en)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s on a display of such a terminal
WO2003034695A1 (en)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EP1791332A1 (en) Selection menu for electronic device with both text entry characters and operands
KR100511145B1 (ko) 무선 장치
WO2001028197A1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WO1997029582A1 (en) Mobile telephone having user interface including navigation and selection controls
US6519480B1 (en) Wireless telephone with virtual dialer
GB2246491A (en) A telephone incorporating a bar code reader for reading subscriber number information
US7313389B1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EP1028571A1 (en) Method of entering a subscriber number
KR2005007912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0030616A (ko) 다이얼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EP1796352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s of functions and characters associated with telephone keys
JP2000349889A (ja) スクロール機能付き電話端末装置
JP3346314B2 (ja) 通信端末装置
GB2278758A (en) User interface for a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