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981B1 -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981B1
KR100510981B1 KR10-2002-0063129A KR20020063129A KR100510981B1 KR 100510981 B1 KR100510981 B1 KR 100510981B1 KR 20020063129 A KR20020063129 A KR 20020063129A KR 100510981 B1 KR100510981 B1 KR 100510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ngle
unit
transfer table
cushion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251A (ko
Inventor
오세천
Original Assignee
유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혜란 filed Critical 유혜란
Priority to KR10-2002-006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9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포장 랙에 사용되는 완충재의 홈 가공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재에 형성될 일련의 홈의 각도에 구애받지않고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소재가 장착되고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송테이블이 구비되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테이블에 놓여져 공급되는 소재를 임의의 각도로 가공하게되는 가공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와 가공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급되는 소재에 원하는 각도의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게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그리고 제어부의 제어판넬을 통하여 가공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와; 가공유니트를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각도로 조정하는 단계와; 이송테이블에 소재를 상기 각도에 맞게 배열시키는 단계와; 소재에 일정각도의 홈을 연속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공조건에 따라 소재에 일정한 피치와 각도의 연속적인 홈을 성형시키게됨을 요지로 하는 완충재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각도로 완충재에 형성되는 홈을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buffer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has the function of adjusting cut-ang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의 부품을 포장하는데에 사용되는 완충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품을 끼워 고정하기 위해 완충재에 갖추어지는 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홈뿐만이 아니라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직선의 홈을 자유롭게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홈의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전반에 걸쳐 완제품 혹은 각종의 부품에 대한 물류이동은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나, 신속하면서도 이동중 제품에 손상이 없도록 운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의 이송을 실시함에 있어서 완충기능과 유동이 없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포장랙에 완충재를 설치하고 여기에 제품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재의 재료 또한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스티로폼을 이용하거나 발포EVA를 이용하여 제품을 고정시키게되나, 이 외에도 완충효과를 낼 수 있는 종이, 목재, PU, EPP(Expanded Polypropylene)등이 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하여서는 완충효과를 내는 발포EVA 소재를 재단하여 제품을 고정지지토록 하는 완충재에 관련된다. 상기 완충재는 여러가지 형상을 가지기도 하지만 보통 직선바 형태로 제작되고 제품이 끼워질 여러개의 홈이 갖추어진다. 이러한 홈의 형상 또한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에서부터 다양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형성되기도 하는 바, 수요자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게 적시에 완충재를 공급해야할 필요가 있게된다.
그럼으로 수요자가 요구하는 때와 스펙에 맞는 다양한 완충재를 제때에 조달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에 만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특정모델의 완충재만을 생산하는 전용기계의 도입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이를 위해서는 과도한 설비비가 요구되고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여 불합리한 단점이 있다. 또한 수요자가 요구하는 모델에 맞게 일일이 전용기계를 새로 구입하거나 셋팅을 다시한다는 것은 많은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이하에서는 완충재의 가공에 관련되는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며 이를 통해 본원발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1은 종래기술로서 부품포장 랙의 완충재 가공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완충재 가공장치는 지지체(10)와 지지체 상면에 형성되어 완충재를 고정시키고 좌우로 이동되는 거치대(11), 지지체에 형성된 거치대에 고정되어 완충재의 일측을 가공하는 가공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11)에는 알맞은 크기로 절단된 완충재가 적치되어 가공부재(20)에 의해 가공된다.
그리고 가공부재(20)는 지지체(10) 후방 상측으로 형성된 지지대(12)에 고정되며, 상기 가공부재는 지지대에 고정결합되고 하측에 안내레일(미도시)이 형성된 작업대(21)와 안내레일에 고정되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장착된 구동부(22)와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어 완충재의 일측을 가공하는 가공금형(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손잡이(24)가 구동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제어손잡이를 잡고 구동모터를 작동시킨 후 구동부를 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거치대 상에 놓인 완충재를 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거취대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동부 및 가공금형에 의해 완충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의 홈만을 가공하게 되며 작업자가 일일이 한번의 홈 가공후 거취대를 이동시키고 다시 구동부를 온(ON)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번호 341337호의 부품포장 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방법이 있다. 도2는 상기 가공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지체(100)와,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며 외부동력에 의해 유동됨으로서 전면에 놓여진 가공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10)와, 상기 지지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외부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에 다수개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어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의 하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다수의 가공금형과, 상기 지지체 일측의 상츠으로 형성된 지지대에ㅔ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공금형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어 가공되는 상기 가공대상물의 상부이탈과 유동을 방지하는 상면덮개(300),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가공금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포장하는 포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품포장 랙의 완충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었다.
상기의 완충재 가공장치는 한번의 가공으로 완충재의 가공을 완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언급한 두개의 종래기술 모두에서는 완충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직선상의 홈을 형성시키도록 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완충재에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이 아닌 경사진 홈을 형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충재에 형성시킬 홈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하여 다양한 모델의 완충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하는 홈의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소재가 장착되고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송테이블이 구비되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테이블에 놓여져 공급되는 소재를 임의의 각도로 가공하게되는 가공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와 가공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급되는 소재에 원하는 각도의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가공장치, 그리고 제어부의 제어판넬을 통하여 가공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와; 가공유니트를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각도로 조정하는 단계와; 이송테이블에 소재를 상기 각도에 맞게 배열시키는 단계와; 소재에 일정각도의 홈을 연속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공조건에 따라 소재에 일정한 피치와 각도의 연속적인 홈을 성형시키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재 가공장치 및 방법에 의하게 되면 완충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홈에서부터 30도, 60도 등 원하는 각도의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되는 범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이 요구되는 모델의 완충재 제조시에 유리한 측면을 가지게된다.
첨부되는 도3은 본 발명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완충재의 일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완충재(10)는 길다란 사각단면을 가지는 바아이며, 상면에 등간격으로 연속적인 경사진 홈(15)이 형성되어진다.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러한 완충재가 부품포장랙에 설치되며 상기 홈에 부품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소재 셋팅 후 입력되는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소재의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연속적인 홈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하고 다양한 각도의 홈을 가지는 완충재를 생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로부터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완충재 가공장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재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재 가공장치는 프레임(100), 이송유니트(200) 그리고 가공유니트(300) 및 제어부(400)로 이루어지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이송유니트(200)는 이송테이블(210), 다수의 구름바퀴(220), 서버모터(230), 밸트(2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유니트(300)는 포스트(310), 커팅어셈블리(320), 상하위치조정수단(330), 누름판(34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그 상면으로 길다란 이송테이블(210)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테이블(210)에는 가공될 소재가 적치되며 프레임(100)의 좌우로 이동된다. 즉, 상기 이송테이블(210)은 후술할 제어부(400)에서 자동제어됨에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되어 소재를 공급시키고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테이블(210)의 좌우로의 이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구름바퀴(220), 스텝모터(230) 및 밸트(240)가 구비된다. 상기 구름바퀴(22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위로 이송테이블(210)이 얹혀져 장착된다. 상기 구름바퀴(220)는 프레임(1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회전됨으로서 상기 이송테이블의 좌우이동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이송테이블(21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서버모터(230)가 갖추어지고 상기 서버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밸트(240)가 설치된다. 첨부되는 도5는 상기 밸트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밸트(240)는 상기 이송테이블(210)의 하부에 길게 설치되고 상기 밸트의 양단부는 왕복대와 고정되어져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가로방향 대략 중간지점에 서버모터(230)가 설치되며 상기 서버모터(230)의 직상방 좌우측으로 안내롤러(235)가 갖추어진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서버모터(230)와 안내롤러(235)를 따라 상기 밸트(240)가 결합되어 서버모터(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밸트와 함께 상기 이송테이블(210)은 좌우로 이동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밸트의 상면, 즉 서버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형성되는 기어에 치합되는 부에는 기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인 치형이 갖추어진 것을 사용토록함이 좋다. 이것은 서버모터의 회전시 밸트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하여 오차없이 상기 밸트가 정확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가공유니트(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언급한 것처럼 상기 가공유니트(300)는 크게 포스트(310), 커팅어셈블리(320), 상하위치조정수단(330) 그리고 누름판(340)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 포스트(310)는 프레임(100)의 후방측에 연이어 설치되는 보조프레임(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프레임(110)과 직접 결합되는 바닥판(311)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버티칼바아(3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티칼바아(312)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판(311)의 내부에서 부싱(미도시)등으로 연결되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311)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버티칼바아(312)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수단(311a)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핑수단(311a)으로서 나사결합되는 볼트로서 상기 버티칼바아(312)를 고정되도록하고 있으며, 또한 이뿐만 아니라 기타의 단동척 혹은 연동척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커팅어셈블리(3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팅어셈블리(320)는 포스트(31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모터(323)에 의해 회전되는 커터(325)가 갖추어져 실제적인 소재가공을 수행하는 부위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상기 버티칼바아(312)의 외주면을 감싼채 전방으로 길게 뻗은 가이드빔(321)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빔(321)의 좌우측으로 길다란 가이드바아(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빔(321)의 하부에 모터(323)가 슬라이더(324)와 연결되어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 단부에는 커터(325)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324)는 상기 가이드바아(322)에 체결되어 가이드바아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이에 결합된 모터를 전후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모터(323)의 이동을 위해 상기 가이드빔(321)의 후방측으로 유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326)를 설치토록 한다.
한편, 상기 모터(323)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커터(325)는 절삭을 위한 금속커터로서 상기 회전축에 직각을 유지하면서 설치될 수도 있으며, 혹은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터가 회전축과 수직하게 결합될 경우에는 커터의 두께 만큼의 홈을 가공할 수 있게되나,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커터의 두께 이상의 홈을 한번에 가공할 수 있게되는 이점을 가지게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터의 센터부에 비스듬한 경사를 가지는 보조판을 체결하여 상기 커터를 회전축에 기울어지게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팅어셈블리(320)는 버티칼바아(312)에 결합되어 상기 버티칼바아(312)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져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게되며, 또한 상기 커팅어셈블리(320)는 상기 버티칼바아(312)를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팅어셈블리(320)가 버티칼바아를 따라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므로서 결국에는 가이드빔(321)에 장착되는 모터(323)의 위치가 변하게되어 최종적으로 소재에 가공될 홈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게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티칼바아(312)의 상단부로부터 아암(331)이 연장 설치되며 상기 아암(331)에 형성되는 홀을 통하여 하부로 직립하게 스크류(332)가 구비되는 상하위치조정수단(330)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332)의 상단부는 상기 아암(331)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같은 부재와 결합되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스크류(332)의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빔(321)과 연결되어져 있다. 즉, 상기 스크류(332)의 하단부는 상기 가이드빔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며 이로인해 스크류의 상단부에서 핸들을 돌림에 따라 상기 커팅어셈블리는 상승 혹은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급되는 소재를 가압하여 커터에 의한 가공시 소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누름판(3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누름판(340)은 실린더의 피스톤(341)과 연결되어 상승 혹은 하강되는 길다란 바아이며 다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커팅어셈블리의 가이드빔과 연결되며 소재 이동 후 홈 가공시에 소재를 가압하여 소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어서, 제어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제어판넬이 구비됨을 알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어판넬을 통해 작업자가 작업조건을 입력함에 의해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완충재 가공장치에 있어서 요구되는 작업조건으로는 소재에 형성된 홈간의 간격(이하 피치라 한다), 가공할 홈의 갯수등이며 이외에도 여러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피치의 간격에 따라 서버모터의 작동이 제어되어 이송테이블은 일정간격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의 회전을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기술로서 자동으로 일정한 각도로의 회전 및 가공홈 깊이가 조정되도록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스트의 회전을 기어장치나 각도센서등을 이용하여 제어부에서 입력하는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포스트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제어부에서 입력할 조건으로서 상기 포스트의 회전각도 및 커팅어셈블리의 상하위치도 포함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완충재 가공장치를 이용한 완충재의 가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재의 가공방법은 포장부품랙에 사용되는 완충재에 필요한 홈을 가공함에 있어서, 특히 완충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 뿐 아니라 여러각도를 가지는 대각선의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함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그 주요한 공정을 보면, 제어부의 제어판넬을 통하여 가공조건을 입력하는 단계(Ⅰ)와, 가공유니트를 특정 각도로 조정하는 단계(Ⅱ)와, 이송테이블에 소재를 상기 각도에 맞게 배열시키는 단계(Ⅲ) 및 연속가공단계(Ⅳ)로 구성이 된다.
먼저, 가공조건 입력단계(Ⅰ)에서는 여러가지 가공에 필요한 조건들을 제어판넬을 이용하여 입력시키는 절차이다. 대표적인 가공조건으로서는 소재에 형성시킬 홈의 갯수 또는 홈간의 거리, 즉 피치를 입력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로는 여러개의 조건을 입력시켜두고 필요에 따라 특정의 조건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공조건을 입력한 후에는, 가공유니트를 특정각도로 조정하는 단계(Ⅱ)를 거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유니트에 대한 각도조정을 수동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하고 있다. 가공유니트의 각도조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포스트를 회전시켜 특정의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바닥판에 구비되는 클램핑수단을 풀어 버티칼바아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둔 후, 원하는 각도로 버티칼바아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각도조정을 위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눈금을 표시해두거나 기타의 공지수단을 이용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는, 이송테이블에 소재를 적재하는 단계(Ⅲ)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개의 소재를 일정각도로 동시에 가공하도록하며, 따라서 소재배치시에 서로 단차를 두면서 셋팅하게 된다. 각도에 따라 소재를 일정단차를 두면서 셋팅하므로서 여러개의 소재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연속가공단계(Ⅳ)에서는 제어판넬에서 온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소재가 적재된 이송테이블은 일정거리만큼 이동하여 멈추게되며, 이때 누름판이 하강하여 소재의 단부를 가압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가공유니트의 모터는 전진되면서 회전되는 커터에 의한 소재에 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모터가 최대로 전진되어 홈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는 다시 원위치로 후퇴된다. 그리고 누름판은 다시 상승되며 이어서 이송테이블은 제어부에 입력된 홈의 피치에 맞게 전진이동되어 멈추며 다시 누름판은 하강하여 소재를 고정시킨다. 이후의 공정은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최종의 홈을 가공한 후에는 상기 이송테이블은 원래의 위치로 후퇴된다. 그 이후에는 작업자가 가공된 소재를 대체하여 미 가공 소재를 다시 적재하고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완충재에 홈을 가공함에 있어서 원하는 각도의 홈을 자유롭게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부수하여 하나의 장치로서 다양한 모델의 완충재를 생산할 수 있어 소량다품종인 완충재의 제조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기술로서 부품포장 랙의 완충재 가공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완충재 가공장치에 의해 생산되는 완충재의 일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 본원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재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5 - 밸트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조도.
도 6 - 가공유니트에 대한 상세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레임 200 : 이송유니트
210 : 왕복대 220 : 구름바퀴
230 : 스텝모터 240 : 밸트
300 : 가공유니트 310 : 포스트
311 : 바닥판 312 : 버티칼바아
311a: 클램핑수단 320 : 커팅어셈블리
321 : 가이드빔 322 : 가이드바아
323 : 모터 330 : 상하위치조정수단
331 : 아암 332 : 스크류
340 : 누름판 400 : 제어부

Claims (5)

  1.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소재가 장착되고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송테이블이 구비되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회전되는 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커터가 임의로 선정된 각도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이송테이블에 놓여져 공급되는 소재를 선정된 각도로 일정하게 가공하게되는 가공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와 가공유니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급되는 소재에 원하는 각도의 홈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니트는,
    소재가 놓여지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의 좌우 양단부를 지지하며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구름바퀴와;
    상기 이송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버모터와;
    상기 이송테이블의 하면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서버모터의 직상부 좌우로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에 의해 안내되고 서버모터의 회전에 연동하는 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보조프레임의 상면에 수직상방으로 직립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체결되며 길다란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에 커터가 장착된 모터가 결합되어 전후진하게되는 커팅어셈블리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며 그 단부가 상기 커팅에셈블리와 나사결합되어 핸들조작에 의해 상기 커팅에셈블리의 상하위치를 조정하게되는 상하위치조정수단과;
    상기 커팅어셈블리의 우측단부에 형성되어 승하강되면서 공급되는 소재를 가압고정시키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모터의 회전축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결합되어 가공될 홈의 두께조절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5. 제어부의 제어판넬을 통하여 가공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와;
    가공유니트를 입력된 조건에 상응하는 각도로 조정하는 단계와;
    이송테이블에 소재를 상기 각도에 맞게 배열시키는 단계;
    소재에 임의로 선정된 일정각도의 홈을 연속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공조건에 따라 소재에 일정한 피치와 각도의 연속적인 홈을 성형시키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방법.
KR10-2002-0063129A 2002-10-16 2002-10-16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KR10051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129A KR100510981B1 (ko) 2002-10-16 2002-10-16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129A KR100510981B1 (ko) 2002-10-16 2002-10-16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64U Division KR200306197Y1 (ko) 2002-10-16 2002-10-16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51A KR20030007251A (ko) 2003-01-23
KR100510981B1 true KR100510981B1 (ko) 2005-08-31

Family

ID=2772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129A KR100510981B1 (ko) 2002-10-16 2002-10-16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6815A (zh) * 2018-08-13 2018-11-06 南京皓焜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任意调整角度的开口变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251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7028B1 (en) Drilling machine for panels
US8458871B2 (en) Secondary positioning device for workpiece machining
CN205112021U (zh) 一种长板料钻孔机
US5014583A (en) Push feed system for a saw
KR101393358B1 (ko) 고중량 판재 절단장치
KR100510981B1 (ko)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와 그 방법
CN213291502U (zh) 一种清废打孔机
KR200306197Y1 (ko) 부품포장랙의 완충재 가공장치 및 가공각도 조정기능을가지는 완충재 가공장치
CN111469230A (zh) 一种多功能数控精铣机
CN217647227U (zh) 一种具有左右边框调节机构的不锈钢制品生产用压瓦机
JPH04234602A (ja) 平らな工作物を加工するための工作機械
CN216139108U (zh) 用于异形板材的倒角切削机构和倒角机
CN212146827U (zh) 一种双工位双钻铣机构数控五面钻铣机
JP2854243B2 (ja) プレカット用かんな盤
CN111687711A (zh) 一种分切v槽磨边多功能机
CN113732134B (zh) 一种用于铝型材的辊压机
CN110788169A (zh) 一种电梯地坎的折弯工艺及其折弯设备
CN220075740U (zh) 纸盒贴角机
JPH05185338A (ja) 曲げ・レーザ複合加工装置
KR200367337Y1 (ko) 완충재 가공장치
CN217195807U (zh) 一种全自动四边锯切设备
CN214871767U (zh) 一种无机非金属材料成型设备
CN219686214U (zh) 一种可调式橡胶开炼机
CN219520681U (zh) 一种型材开槽机
CN217433910U (zh) 一种双工位代木板直线修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