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548B1 -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 Google Patents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548B1
KR100510548B1 KR10-2003-0066503A KR20030066503A KR100510548B1 KR 100510548 B1 KR100510548 B1 KR 100510548B1 KR 20030066503 A KR20030066503 A KR 20030066503A KR 100510548 B1 KR100510548 B1 KR 10051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ifferential amplifier
input signal
input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293A (ko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548B1/ko
Priority to TW093127792A priority patent/TWI279984B/zh
Priority to JP2004274051A priority patent/JP4685396B2/ja
Priority to US10/949,165 priority patent/US7091741B2/en
Publication of KR2005003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14Interface arrangement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2Shaping pulses by amplifying
    • H03K5/023Shaping pulses by amplifying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는 제 1 차동 증폭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제 3 차동 증폭기를 구비한다. 제 1 차동 증폭기는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1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 3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 및 상기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들을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와 공유한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차동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단일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된다.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며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버퍼는 차동 입력 신호 및 단일 입력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Input buffer capable of reducing input capacitance of input signal}
본 발명은 입력 버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 버퍼로 인가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에 관한 것이다.
입력 버퍼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차동 입력 신호(differential signal pair) 단일 입력 신호(single-ended signal)로 구분할 수 있다. 차동 입력 신호는 서로 반대되는 위상을 가진 두 개의 신호가 쌍을 이루어 입력 버퍼로 인가된다. 반대로 단일 입력 신호는 하나의 신호만을 구비한다.
두 개의 신호가 입력 버퍼로 인가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신호를 차동 입력 신호로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동작이나 단일 입력 신호로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두 개의 신호를 차동 입력 신호 또는 단일 입력 신호로서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버퍼(100)는 세 개의 차동 증폭기(110, 120, 130)들을 구비한다. 입력되는 두 개의 신호(IN, INB)가 차동 입력 신호라면 제 1 차동 증폭기(110)만 동작한다.
즉, 제 1 차동 증폭기(110)는 두 개의 입력 신호(IN, INB)의 크기를 비교하고 증폭하여 출력 신호(VO1)를 출력한다. 입력되는 두 개의 신호(IN, INB)가 단일 입력 신호라면, 즉 서로 다른 위상과 데이터를 가지는 신호라면 제 2 차동 증폭기(120)와 제 3 차동 증폭기(130)가 동작한다.
제 2 차동 증폭기(120)와 제 3 차동 증폭기(130)는 각각 입력 신호(IN, INB)와 기준 전압(VREF)의 크기를 비교하고 증폭하여 출력 신호들(VO2, VO3)을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입력 버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차동 입력 신호와 단일 입력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차동 입력 신호는 도 3의 (1)에 도시되어 있고 단일 입력 신호는 도 3의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차동 입력 신호는 두 개의 신호가 서로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단일 입력 신호는 두 개의 신호가 서로 다른 신호임을 알 수 있다. 즉, 두 개의 신호는 위상이나 데이터에 있어서 서로 어떠한 관련도 없다.
도 2의 210은 도 1의 제 1 차동 증폭기(110)에 대응되고 220은 도 1의 제 2 차동 증폭기(120)에 대응되며 230은 도 1의 제 3 차동 증폭기(130)에 대응된다.
입력되는 두 개의 신호(IN, INB)가 차동 입력 신호라면 제 1 차동 증폭기(210)의 제 1 스위치(SW1)만 연결되어 제 1 차동 증폭기(210)만이 동작된다. 즉, 제 1 차동 증폭기(210)는 두 개의 입력 신호(IN, INB)의 크기를 비교하고 증폭하여 출력 신호(VO1)를 출력한다.
입력되는 두 개의 신호(IN, INB)가 단일 입력 신호라면, 즉 서로 다른 위상과 데이터를 가지는 신호라면 제 2 차동 증폭기(220)와 제 3 차동 증폭기(230)의 제 2 스위치(SW2)와 제 3 스위치(SW3)가 동작한다.
제 2 차동 증폭기(220)와 제 3 차동 증폭기(230)는 각각 입력 신호(IN, INB)와 기준 전압(VREF)의 크기를 비교하고 증폭하여 출력 신호들(VO2, VO3)을 출력한다.
그런데, 도 2의 입력 버퍼(200)를 살펴보면, 입력 신호(IN)는 트랜지스터들(TR1, TR4)로 인가되고 입력 신호(INB)는 트랜지스터들(TR2, TR5)로 인가된다.
따라서 입력 커패시턴스가 2배가되어 입력 신호(IN, INB)가 차동 입력 신호이거나 단일 입력 신호인 두 경우 모두에 대하여 입력 버퍼(200)의 고속 동작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이며 차동 입력 신호와 단일 입력 신호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는 제 1 차동 증폭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제 3 차동 증폭기를 구비한다.
제 1 차동 증폭기는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1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 3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 및 상기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들을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와 공유한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차동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단일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된다.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며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이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1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1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는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제 5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3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3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는 제 6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를 연결하는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를 연결하는 제 4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4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4 노드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제 7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7 노드를 연결하는 제 5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4 노드와 상기 제 7 노드를 연결하는 제 6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1 제어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발생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는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는 제 1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1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1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제 2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는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3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3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4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제 1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고,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가 제 2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가 제 3 차동 증폭기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제 3 노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4 노드가 연결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버퍼(400)는 제 1 차동 증폭기(410), 제 2 차동 증폭기(420) 및 제 3 차동 증폭기(430)를 구비한다.
제 1 차동 증폭기(410)는 제 1 입력 신호(IN1) 및 제 2 입력 신호(IN2)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1 출력 신호(VO1)를 출력한다. 제 1 차동 증폭기(410)는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2 트랜지스터(TR2)를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TR1)는 제 1 입력 신호(IN1)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1 출력 노드(NOUT1)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1 노드(N1)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R2)는 제 2 입력 신호(IN2)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출력 노드(NOUT2)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노드(N2)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는 제 1 제어 신호(CTRLS1)에 응답하여 연결된다. 제 1 차동 증폭기(410)는 제 5 노드(N5)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IS1), 제 1 제어 신호(CTRLS1)에 응답하여 제 1 노드(N1)와 제 5 노드(N5)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SW1) 및 제 1 제어 신호(CTRLS1)에 응답하여 제 2 노드(N2)와 제 5 노드(N5)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치(SW2)를 더 구비한다.
도 4의 입력 버퍼(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 1 차동 증폭기(410)는 제 1 입력 신호(IN1) 및 제 2 입력 신호(IN2)가 인가되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TR1, TR2)을 제 2 차동 증폭기(420) 및 제 3 차동 증폭기(430)와 공유한다.
즉, 제 2 차동 증폭기(420)는 제 1 차동 증폭기(410)와 제 1 트랜지스터(TR1)를 공유한다. 그리고 제 3 트랜지스터(TR3)를 구비한다.
제 3 트랜지스터(TR3)는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3 출력 노드(NOUT3)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3 노드(N3)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노드(N1)와 제 3 노드(N3)는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연결된다.
제 2 차동 증폭기(420)는 제 6 노드(N6)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IS2),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3 노드(N3)와 제 6 노드(N6)를 연결하는 제 3 스위치(SW3) 및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1 노드(N1)와 제 6 노드(N6)를 연결하는 제 4 스위치(SW4)를 더 구비한다.
제 3 차동 증폭기(430)는 제 1 차동 증폭기(410)와 제 2 트랜지스터(TR2)를 공유한다. 그리고 제 4 트랜지스터(TR4)를 구비한다. 제 4 트랜지스터(TR4)는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4 출력 노드(NOUT4)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노드(N4)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노드(N2)와 제 4 노드(N4)는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연결된다.
제 3 차동 증폭기(430)는 제 7 노드(N7)와 접지 전압(VSS)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IS3),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2 노드(N2)와 제 7 노드(N7)를 연결하는 제 5 스위치(SW5) 및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4 노드(N4)와 제 7 노드(N7)를 연결하는 제 6 스위치(SW6)를 더 구비한다.
제 1 입력 신호(IN1)는 차동 동작 모드에서 제 2 입력 신호(IN2)와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다. 차동 동작 모드에서 제 1 차동 증폭기(410)만 동작된다. 즉, 제 1 제어 신호(CTRLS1)에 응답하여 제 1 스위치(SW1)와 제 2 스위치(SW2)가 연결된다.
그러면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는 모두 제 5 노드(N5)에 연결되고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2 트랜지스터(TR2)는 제 1 차동 증폭기(410)에만 이용된다. 제 1 차동 증폭기(410)는 제 1 입력 신호(IN1)와 제 2 입력 신호(IN2)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증폭하여 제 1 출력 신호(VO1)를 출력한다.
단일 동작 모드에서 제 1 입력 신호(IN1)와 제 2 입력 신호(IN2)는 서로 다른 신호이다. 즉 서로의 위상이나 데이터 값이 관련이 없다.
단일 동작 모드에서 제 1 차동 증폭기(410)를 제외한 제 2 차동 증폭기(420)와 제 3 차동 증폭기(430)만 동작된다. 즉,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3 스위치(SW3)와 제 4 스위치(SW4), 제 5 스위치(SW5)와 제 6 스위치(SW6)가 연결된다.
그러면 제 2 차동 증폭기(420)는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3 트랜지스터(TR3)를 구비하고, 제 3 차동 증폭기(430)는 제 2 트랜지스터(TR2)와 제 4 트랜지스터(TR4)를 구비한다.
제 2 차동 증폭기(420)는 제 1 입력 신호(IN1)와 기준 전압(VREF)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증폭하여 제 2 출력 신호(VO2)를 출력한다. 제 3 차동 증폭기(430)는 제 2 입력 신호(IN2)와 기준 전압(VREF)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증폭하여 제 3 출력 신호(VO3)를 출력한다.
도 4의 입력 버퍼(400)는 수신되는 입력 신호(IN1, IN2)가 차동 입력 신호이면 제 1 차동 증폭기(410)만을 이용하여 제 1 출력 신호(VO1)를 출력하고 수신되는 입력 신호(IN1, IN2)가 단일 입력 신호이면 제 2 차동 증폭기(420)와 제 3 차동 증폭기(430)를 이용하여 제 2 출력 신호(VO2) 및 제 3 출력 신호(VO3)를 발생한다.
즉, 수신되는 입력 신호(IN1, IN2)의 종류에 따라 차동 동작 모드나 단일 동작 모드의 양쪽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입력 버퍼(400)는 도 2의 입력 버퍼(200)와 달리 제 1 입력 신호(IN)는 제 1 트랜지스터 (TR1)로만 수신하고 제 2 입력 신호(INB)는 제 2 트랜지스터(TR2)로만 수신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IN1, IN2)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도 4의 입력 버퍼(400)처럼 제 1 트랜지스터(TR1)를 제 1 차동 증폭기(410)와 제 2 차동 증폭기(420)가 공유하고 제 2 트랜지스터(TR2)를 제 1 차동 증폭기(410)와 제 3 차동 증폭기(430)가 공유하면 제 1 및 제 2 입력 신호(IN1, IN2)의 입력 커패시턴스가 도 2의 입력 버퍼(200)에 비하여 줄어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의 입력 버퍼(500)를 참조하면, 입력 버퍼(500)는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를 구비한다.
제 1 트랜지스터(TR1)는 제 1 입력 신호(IN1)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1 출력 노드(NOUT1)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1 노드(N1)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R2)는 제 2 입력 신호(IN2)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출력 노드(NOUT2)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노드(N2)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3 트랜지스터(TR3)는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3 출력 노드(NOUT3)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3 노드(N3)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TR4)는 기준 전압(VREF)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4 출력 노드(NOUT4)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노드(N4)에 제 2 단이 연결된다.
제 1 제어 신호(CTRLS1)에 응답하여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2 트랜지스터(TR2)가 제 1 차동 증폭기(510)를 구성한다.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1 트랜지스터(TR1)와 제 3 트랜지스터(TR3)가 제 2 차동 증폭기(520)를 구성한다.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2 트랜지스터(TR2)와 제 4 트랜지스터(TR4)가 제 3 차동 증폭기(530)를 구성한다.
제 1 제어 신호(CTRLS1)에 응답하여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가 연결된다.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1 노드(N1)와 제 3 노드(N3)가 연결되며 제 2 제어 신호(CTRLS2)에 응답하여 제 2 노드(N2)와 제 4 노드(N4)가 연결된다.
도 5의 입력 버퍼(500)는 도 4의 입력 버퍼(400)와 달리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를 제 1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한다. 도 4의 입력 버퍼(400)에서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1 스위치(SW1)와 제 2 스위치(SW2)를 이용한다.
도 4의 입력 버퍼(400)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를 이용하지만 도 5의 입력 버퍼(500)는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1 스위치(SW1)만을 이용한다.
따라서, 도 5의 제 1 차동 증폭기(510)는 도 4의 제 1 차동 증폭기(410)보다 스위치에 의한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의 입력 버퍼(400)는 제 1 노드(N1)와 제 3 노드(N3)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3 스위치(SW3) 및 제 4 스위치(SW4)를 이용하지만 도 5의 입력 버퍼(500)는 제 1 노드(N1)와 제 3 노드(N3)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2 스위치(SW2)만을 이용한다.
따라서, 도 5의 제 2 차동 증폭기(520)는 도 4의 제 2 차동 증폭기(420)보다 스위치에 의한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입력 버퍼(400)는 제 2 노드(N2)와 제 4 노드(N4)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5 스위치(SW5) 및 제 6 스위치(SW6)를 이용하지만 도 5의 입력 버퍼(500)는 제 2 노드(N2)와 제 4 노드(N4)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3 스위치(SW3)만을 이용한다.
따라서, 도 5의 제 3 차동 증폭기(530)는 도 4의 제 3 차동 증폭기(420)보다 스위치에 의한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도 5의 입력 버퍼(500)는 제 1 내지 제 4 노드(N1, N2, N3, N4)를 연결하는 스위치들(SW1, SW2, SW3)의 연결 구조가 제 4의 입력 버퍼(400)와 다른 점을 제외하면 도 5의 제 1 내지 제 3 차동 증폭기(510, 520, 530)의 구조는 도 4의 제 1 내지 제 3 차동 증폭기(410, 420, 430)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버퍼는 차동 입력 신호 및 단일 입력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두 개의 신호를 차동 입력 신호 또는 단일 입력 신호로서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 버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차동 입력 신호와 단일 입력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Claims (19)

  1.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1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차동 증폭기 ;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차동 증폭기 ;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 및 상기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 3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차동 증폭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트랜지스터들을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차동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단일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며,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1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1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는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제 5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 ;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 ; 및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 ; 및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3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3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는,
    제 6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 ;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를 연결하는 제 3 스위치 ;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6 노드를 연결하는 제 4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 ; 및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4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4 노드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제 7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 ;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7 노드를 연결하는 제 5 스위치 ;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4 노드와 상기 제 7 노드를 연결하는 제 6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1. 제 1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1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1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
    제 2 입력 신호를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2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2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2 트랜지스터 ;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3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3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 ;
    상기 기준 전압을 게이트로 수신하고 제 4 출력 노드에 제 1 단이 연결되고 제 4 노드에 제 2 단이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제 1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고,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가 제 2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가 제 3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제 3 노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4 노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차동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 및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단일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와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이며,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동작 모드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단일 동작 모드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증폭한 신호와 상기 제 2 입력 신호 및 상기 기준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증폭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전류원 ;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전류원 ; 및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를 연결하는 제 1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1 전류원 ;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전류원 ;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3 노드를 연결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 2전류원 ;
    상기 제 4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전류원 ;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4 노드를 연결하는 제 3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는,
    상기 차동 동작 모드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단일 동작 모드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KR10-2003-0066503A 2003-09-25 2003-09-25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KR10051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503A KR100510548B1 (ko) 2003-09-25 2003-09-25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TW093127792A TWI279984B (en) 2003-09-25 2004-09-14 Input buffer capable of reducing input capacitance seen by input signal
JP2004274051A JP4685396B2 (ja) 2003-09-25 2004-09-21 入力信号の入力キャパシタンスを減らせる入力バッファ
US10/949,165 US7091741B2 (en) 2003-09-25 2004-09-24 Input buffer capable of reducing input capacitance seen by input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503A KR100510548B1 (ko) 2003-09-25 2003-09-25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293A KR20050030293A (ko) 2005-03-30
KR100510548B1 true KR100510548B1 (ko) 2005-08-26

Family

ID=3437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503A KR100510548B1 (ko) 2003-09-25 2003-09-25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91741B2 (ko)
JP (1) JP4685396B2 (ko)
KR (1) KR100510548B1 (ko)
TW (1) TWI2799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320B2 (en) 2009-09-28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in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17B1 (ko) * 2004-09-20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버퍼 및 출력 특성 보정이 가능한 입력 버퍼링 방법
KR100699862B1 (ko) * 2005-08-26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이중 기준 입력 수신기 및 이의 입력 데이터신호 수신방법
US7930492B2 (en) 2005-09-12 2011-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US7966446B2 (en) 2005-09-12 2011-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and method having point-to-point link
KR100782323B1 (ko) * 2006-10-16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드라이버의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및 방법
KR100912091B1 (ko) 2007-04-30 200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884606B1 (ko) * 2007-07-12 2009-02-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메모리소자의 입력 버퍼
US7961007B2 (en) * 2009-04-30 2011-06-14 Apple Inc. Receiver to match delay for single ended and differential signals
KR101079603B1 (ko) * 2009-08-11 2011-11-03 주식회사 티엘아이 3레벨 전압을 이용하는 차동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차동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8432185B2 (en) 2011-05-25 2013-04-30 Apple Inc. Receiver circuits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signals
US8410814B2 (en) * 2011-06-16 2013-04-02 Apple Inc. Receiver circuits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956A (en) * 1990-05-21 1992-11-24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apparatus providing multi-level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JP3143262B2 (ja) * 1993-05-28 2001-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増幅回路
GB2305038B (en) * 1995-09-07 2000-03-15 Pilkington Micro Electronics Amplifier circuit
JP3031313B2 (ja) * 1997-09-11 2000-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回路
US6573760B1 (en) * 1998-12-28 2003-06-03 Agere Systems Inc. Receiver for common mode data signals carried on a differential interface
JP2000332548A (ja) * 1999-05-12 2000-11-30 Lucent Technol Inc 信号増幅回路および平衡入出力型差動増幅回路
GB2393055B (en) * 2002-09-10 2006-08-30 Wolfson Ltd Transconductance amplif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320B2 (en) 2009-09-28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in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8067A1 (en) 2005-03-31
KR20050030293A (ko) 2005-03-30
TW200515704A (en) 2005-05-01
JP4685396B2 (ja) 2011-05-18
JP2005102217A (ja) 2005-04-14
US7091741B2 (en) 2006-08-15
TWI279984B (en) 200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4907A (en) Amplifier with dynamic compensation and method
US5933056A (en) Single pole current mode common-mode feedback circuit
KR100674913B1 (ko) 캐스코드 형태의 클래스 ab 제어단을 구비하는 차동증폭 회로
KR100510548B1 (ko) 입력 신호의 입력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는 입력 버퍼
EP2244381B1 (en) Class AB amplifier systems
EP1980017B1 (en) Amplifier circuit
US20060012429A1 (en) Self biased differential amplifier
JP2004343277A (ja) 入力バッファ回路
US6194919B1 (en) Main amplifier
US7449953B2 (en) Input buffer design using common-mode feedback (CMFB)
JPWO2007105282A1 (ja) ゲイン可変増幅器
US7342418B2 (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US20080106334A1 (en) Low-voltage operational amplifier and operational amplifying method
US6327190B1 (en) Complementary differential input buffer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90146697A1 (en) Circuit for buffering having a coupler
KR100771859B1 (ko) 전류 제어가 용이한 증폭 회로
US7688145B2 (en) Variable gain amplifying device
JPS6282595A (ja) 共通ゲ−トを有するmos差動センス増幅器
KR20060136137A (ko) 연산 증폭기
KR20070000167A (ko) 연산 증폭기
US6566942B2 (en) Multistage amplifier circuit
US6496066B2 (en) Fully differential operational amplifier of the folded cascode type
KR100369123B1 (ko) 데이터출력버퍼
JP3968818B2 (ja) アンプ
JP2003078367A (ja) 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