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197B1 - 2부품형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2부품형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197B1
KR100510197B1 KR10-1999-7006273A KR19997006273A KR100510197B1 KR 100510197 B1 KR100510197 B1 KR 100510197B1 KR 19997006273 A KR19997006273 A KR 19997006273A KR 100510197 B1 KR100510197 B1 KR 10051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low pressure
high pressure
modu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053A (ko
Inventor
피터비.허튼
Original Assignee
피터 비. 허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41,951 external-priority patent/US5988203A/en
Application filed by 피터 비. 허튼 filed Critical 피터 비. 허튼
Publication of KR2000007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15Fluidic connecting means using switch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 Fuel Cell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유동 라인과 압력 센서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주 유동 라인으로부터 압력 센서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2부품형의 모듈식 밸브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매니폴드는 차압 송신기와 같은 압력 센서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제 1 모듈과, 공정 유체원에 접속되는 제 2 모듈을 구비하고, 제 2 모듈은 차단 밸브 시스템을 포함하며, 제 1 모듈은 균압기 밸브 시스템 및 유출 밸브 시스템을 포함하고, 양자의 모듈이 서로 연결되어 공정 유체가 제 1 모듈로부터 제 2 모듈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압력 센서로 이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2부품형 매니폴드{TWO-PIECE MANIFOLD}
본 발명은 주 유동 라인과 압력 센서와의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매니폴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식 2부품형 구조의 그러한 밸브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때로는, 파이프 라인과 같은 주 유동 라인을 통한 가스와 같은 유체의 유동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주 유동 라인에 배치된 유동 교축기에 의해 실현되는데, 그 교축기의 양쪽에는 고압 및 저압의 유체 압력을 얻기 위한 압력 탭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유동 교축기는 오리피스 판, 유동 노즐, 벤츄리 관 등을 포함한다. 주 유동 라인에 있는 유동 교축기의 양쪽으로부터 얻어진 고압 및 저압은 계측 압력 또는 압력 차를 측정하여 적절한 기계적 또는 전기적 신호 등에 의해 제어실과 같은 원격 지점에 전달하는 압력 센서/송신기 조립체에 의해 탐지되는데, 그 제어실에서는 압력 또는 압력 차가 조작자에 의해 감시 및/또는 기록될 수 있다.
밸브 매니폴드는 전형적으로 주 유동 라인과 압력 센서와의 사이에 장착된다. 매니폴드는 차단, 유출, 영점 검사 및 조정을 허용하면서 압력 센서로의 유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매니폴드는 전형적으로 다수의 밸브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의 밸브는 주 유동 라인의 유동로에 대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여 유동로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유체 압력 센서/송신기, 특히 차압 계측 형식의 그러한 센서/송신기는 전형적으로 압력 센서로의 고압 및 저압 유입구에 격막을 채용하여 그들 유입구에 유포되는 고압 및 저압을 탐지한다. 흔히 "공면 송신기(coplanar transmitter)"로서 지칭되는 1가지 유형의 압력 송신기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프릭(Frick)의 미국 특허 제4,466,29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프릭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격막은 테에 의해 그 외주가 형성되는 유체 대향 측면들을 구비하는데, 그러한 테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놓인다. 프릭의 특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막은 특정의 경우에는 그것이 배치되어 있는 변환기의 면에 매우 밀접하게 놓여진다.
프릭의 특허에 개시된 센서 송신기와 같은 센서 송신기에 사용되는 격막은 매우 연약하고 비싸며 압력 센서에 설치하기가 힘들다. 또한, 격막은 밸브 매니폴드와 압력 센서가 서로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는 압력 센서가 부착되는 매니폴드의 면에 밀접하게 위치된다. 그와 같이 직접 결합된 매니폴드/압력 센서 조립체에서는 일반적으로 계측 면으로서 지칭되는 매니폴드의 1개의 면이 프릭의 특허에 개시된 변환기(14)의 면(53)과 같은 압력 센서의 면에 밀봉된 채 접하게 된다. 매니폴드의 계측 면은 저압 및 고압 유출구를 구비하고, 그 양자의 유출구는 상대적으로 얕은 원통형 공동을 구비한다. 원통형 공동은 매니폴드의 계측 면이 밀봉 된 채 접하는 압력 센서의 면에 있는 저압 및 고압 유입구와 일렬로 각각 정렬된다. 따라서, 매니폴드와 압력 센서가 합치될 때에는 원통형 공동이 격막과 협력하여 원통 직경에 비해 원통 높이가 작은 대략 원통형의 챔버를 형성한다.
그리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송신기의 수리를 요할 때가 있고, 그 때에는 송신기를 매니폴드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분명한 것은 송신기를 매니폴드로부터 제거할 경우 및 통상의 경우에 연약한 성질의 격막이 노출되어 손상되기 쉽다는 점이다.
현장에서의 격막의 손상을 방지하는 1가지 방법은 매니폴드/압력 센서의 전체를 현장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오리피스 판 조립체 등으로부터 유출되는 공정 유체를 제어하는 추가의 수단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수단은 전형적으로 오리피스 판 조립체로부터의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추가 세트의 차단 밸브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매니폴드/송신기가 제거되었을 때에는 주 파이프 라인이 차단될 수 있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송신기를 수직으로 장착하는 것, 즉 격막을 수평으로 하향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기를 정향시키는 그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방안은 매니폴드 본체 내에서의 통로의 "우회"를 효과적으로 실현시키는 각종의 복잡한 통로를 매니폴드 내에 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흔히, 그것은 다양한 각도로 통로를 뚫는 것을 필요로 하고, 그에 의해 값비싼 공구 세공 및 정밀한 기계 가공이 요구된다. 또한, 그러한 복잡한 통로 시스템은 임의의 통로가 뚫려서 매니폴드의 내부에서 다른 통로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매니폴드 본체 내의 구멍에 불과한 "작업 구멍"을 종종 필요로 한다. 그러한 작업 구멍은 비록 추후에 틀어막더라도 잠재적인 누출원이 된다. 또 달리, 그러한 작업 구멍은 매니폴드 본체 내에 액체 및 기포가 모여질 수 있는 사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 구멍의 제거는 하나의 잠재적인 누출원을 제거하고, 매니폴드 본체 내에서 액체가 수집되는 것을 없애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차압 송신기에 부착된 본 발명의 모듈식 2부품형 매니폴드의 제 1 실시를 나타낸 전방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명료성을 위해 밸브를 제거한 채로 도 1의 모듈식 매니폴드의 1개의 모듈과 내부 유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전방 평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식 매니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후방 평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연결 요소 및 밀봉 요소를 나타낸 낸 도 3의 매니폴드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2개의 모듈이 연결되고 밀봉된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의 매니폴드를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이고,
도 6은 차단 판이 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모듈식 매니폴드의 차단 밸브 모듈을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7-7 선을 따라 취한 단부 입면도이고,
도 8은 또 다른 연결기 조립체를 나타낸 도 4와 유사한 전방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매니폴드/송신기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통합형 매니폴드/송신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9와 유사한 전방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밸브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압 계측 형식의 압력 센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모듈식 2부품형 밸브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 유체의 차단에 사용될 수 있는 매니폴드의 일부분 또는 모듈이 송신기에 부착된 채 남아 있는 매니폴드의 또 다른 일부분 또는 모듈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형식의 밸브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니폴드 본체부에 쉽게 뚫릴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통로 시스템을 사용하여 송신기를 수직으로 정향시킬 수 있는 모듈식 2부품형 밸브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첨부 도면, 이후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확히 파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유동 라인과 압력 센서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주 유동 라인으로부터 압력 센서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모듈식 2부품형 매니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매니폴드는 계측 면과 외주 벽, 외주 벽에 속한 제 1 대응 짝면, 계측 면에 형성되는 고압 충전 공간과 저압 충전 공간, 고압 충전 공간으로의 고압 유출 개구부 및 저압 충전 공간으로의 저압 유출 개구부를 구비하는 제 1 모듈을 포함한다. 제 1 모듈에는 고압 및 저압 충전 공간에서 고압 유출구와 저압 유출구와의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균압기 밸브 시스템이 탑재된다. 또한, 제 1 모듈은 고압 및 저압 충전 공간으로부터 제 1 모듈의 외부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 밸브 시스템을 구비한다. 고압 및 저압 유입구는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는데, 고압 유입구는 고압 충전 공간의 고압 유출구와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저압 유입구는 저압 충전 공간의 저압 유출구와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된다. 매니폴드는 제 1 모듈에 있는 제 1 대응 짝면과 짝을 이루기에 적합한 제 2 대응 짝면을 구비하는 제 2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그 제 2 모듈은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를 포함한다.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는 제 2 대응 짝면에 형성되는데,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 및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는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되고,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도 마찬가지로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된다. 고압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는 제 1 모듈에 있는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된 고압 및 저압 유입구와 일렬로 각각 정렬된다. 고압 차단 밸브가 제 2 모듈에 배치되어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로부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로의 유체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저압 차단 밸브가 제 2 모듈에 배치되어 저압 공정유체 유입구로부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로의 유체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밀봉체는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고압 유입구와의 사이의 제 1 유체 기밀 연통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저압 유입구와의 사이의 제 2 유체 기밀 연통을 가져오고, 그에 의해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압 유출구/유입구가 추가로 저압 유출구/유입구로부터 밀봉된다. 또한, 매니폴드는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을 함께 고정시키는 연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식 매니폴드는 송신기 장착부 또는 계측 플랫폼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제 1 모듈과 차단 밸브 본체부 또는 공정 계면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제 2 모듈과의 2개의 본체부를 구비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특징은 공정 계면이 차단 밸브를 매니폴드의 별개의 부품으로서 격리시킨다는 점에 있다. 제 2 모듈은 그 중에 2개가 도시된 본 발명의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에 대해 공통적으로 구성되는데, 도시된 2개의 실시예는 매니폴드의 제 1 모듈 또는 송신기로 적합할 수 있는 본체부의 구조에서 상이하다. 그러나, 제 2 모듈은 압력 센서 장치 및/또는 온도 센서 장치 또는 다른 유형의 센서와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 1 모듈을 비롯한 다른 유형의 제 1 모듈과도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M1"으로서 지시된 본 발명의 매니폴드의 제 1 실시예가 나사 구멍(도시를 생략) 속에 수납되는 볼트(도시를 생략)에 의해 매니폴드(M1)에 고정되는 전체적으로 "T"로서 지시된 전형적인 차압 송신기와 함께 도시되어 있는데, 그 경우에 볼트는 송신기(T)의 장착 플랜지(10)에 있는 나사 구멍과 일렬로 정렬된 매니폴드(M1)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매니폴드(M1)는 전체적으로 "12"로 지시된 제 1 모듈 및 전체적으로 "14"로 지시된 제 2 모듈을 구비한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당업자는 제 2 모듈(14)이 주 유동 라인/유동 교축기에 수반되는 적절한 장착 시스템에 부착되어 유동 교축기의 양쪽에 있는 탭이 제 2 모듈(14)에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위해, 제 2 모듈(14)은 도 4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모듈(14)이 그것을 통한 유동을 측정하려는 주 유동 라인의 유동 교축기 조립체에 수반되는 장착 브라킷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나사 구멍(17)을 구비한다. 이후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모듈(12)은 제 2 모듈(14)에 있는 나사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제 1 모듈(12)에 있는 일렬로 정렬된 나사 구멍 속에 수납되는 볼트(16)에 의해 제 2 모듈(14)에 고정된다. 제 2 모듈(14)은 저압 및 고압 차단 밸브를 각각 탑재하고 있는데 반해, 제 1 모듈(12)은 2개의 균압기 밸브(22, 24) 및 2개의 유출 밸브를 탑재하고 있는데, 그 유출 밸브 중의 하나(26)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는 이후로 언급되고 본 발명의 매니폴드에 사용되는 각종 유형의 밸브 및 유출 니플이 종래의 구조로 되어 있어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볼 밸브, 플러그 밸브, 구형 밸브와 같은 밸브가 각종의 밸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채용되는 밸브는 소위 본 발명의 매니폴드가 노출되는 환경에 따라 소위 소프트 시트 또는 금속 시트의 유형으로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매니폴드 실시예(M1)의 제 1 모듈(12)의 등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모듈(12)은 집적형 구조의 속성으로 이루어지고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적절한 재료의 단일 피공작재로부터 전체적으로 기계 가공되거나 기타의 형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제 1 모듈(12)은 본체부(28) 및 네크형 몸체부(30)를 포함한다. 제 1 모듈(12)은 전체적으로 평탄하고 반대쪽의 면(도시를 생략)에 평행하게 그 면으로부터 이격된 계측 면(32)을 추가로 포함한다. 계측 면(32)은 본체부(28) 및 네트형 몸체부(30)의 양자의 공통 표면을 형성한다. 계측 면(32) 및 반대쪽의 면은 대응 짝면(31), 측벽(29) 및 반대쪽의 평행한 측벽(도시를 생략)을 포함하는 외주 벽에 인접되어 있다. 본체부(28)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인 반면에, 네크형 몸체부(30)는 모따기된 네크형 몸체부 표면(34, 36)을 구비하는데, 그 표면(34, 36)은 평탄하고 계측 면(32)에 대해 같은 크기의 둔각을 형성한다. 네크형 몸체부(30)는 나사 결합식의 고압 유출 밸브 포켓(38) 및 나사 결합식의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을 구비하고, 그 고압 유출 밸브 포켓(38),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은 모따기된 표면(34, 36)에 각각 형성된다. 고압 유출 밸브 포켓(38)은 고압 유출구(42)와 유체 연통되는 한편,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은 저압 유출구(44)와 유체 연통된다. 통로부(46A, 46B)를 포함하는 고압 유출 통로는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과 교차되고 고압 유출구(42)로 개방되는 한편, 통로부(48A, 48B)를 포함하는 저압 유출 밸브 통로는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과 교차되고 저압 유출구(44)로 개방된다. 따라서, 밸브(26)와 같은 적절한 밸브가 고압 유출 밸브 포켓(38),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 속에 수납될 때에는 통로부(46A, 46B) 사이의 유체 연통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통로부(48A, 48B) 사이의 유체 연통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 1 모듈(12)의 계측 면(32)에는 고압 충전 공간(50) 및 저압 충전 공간(5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압 충전 공간(50), 저압 충전 공간(52)은 계측 면(32)에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얕은 원통형의 공동이다. 고압 유출 포트(54)는 고압 충전 공간(50)으로 개방되어 꺾여진 통로(56)에 의해 고압 유출 통로부(46A)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저압 유출 포트(58)는 저압 충전 공간(52)으로 개방되어 꺾여진 통로(60)에 의해 저압 통로부(48A)에 접속된다. 따라서, 고압 충전 공간(50)에 있는 유체가 고압 유출 밸브 포켓(38) 속에 수납되는 적절한 밸브를 개방시켜 고압 유출구(42)를 고압 유출 포트(54)와 개방 연통되도록 함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저압 충전 공간(52)에 있는 임의의 유체가 저압 유출 밸브 포켓(40) 속에 수납되는 밸브(26)를 개방시켜 유출 포트(52)를 저압 유출구(44)와 개방 연통되도록 함에 의해 제 1 모듈(12)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고압 균압기 포트(62)가 충전 공간(54)으로 개방된다. 그러한 고압 균압기 포트(62)는 본체부(28)의 측벽(29)에 대략 평행한 본체부(28)의 측벽에 형성된 나사 결합식의 고압 균압기 밸브 포켓(66)에 통로(64)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저압 균압기 포트(68)는 본체부(28)의 측벽(29)에 형성된 나사 결합식의 저압 균압기 밸브 포켓(72)에 통로(70)에 의해 접속된다. 고압 균압기 밸브 포켓(66) 및 저압 균압기 밸브 포켓(72)은 고압 균압기 밸브 포켓(66), 저압 균압기 밸브 포켓(72)과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균압기 통로(74)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데, 통로(64, 70)는 균압기 통로(74)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다.
고압 유출구(76)는 고압 충전 공간(50)으로 개방되고, 제 1 모듈(12)의 대응 짝면(31)에 형성된 고압 유입구(82)로 개방되는 고압 토막 통로(80)에 고압 유출 통로(78)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저압 유출구(84)는 저압 충전 공간(52)으로 개방되고, 제 1 모듈(12)의 대응 짝면(31)에 형성된 저압 유입구(90)로 개방되는 저압 토막 통로(88)에 저압 유출 통로(86)에 의해 접속된다.
본체부(28)는 외주를 따라 이격된 4개의 관통 구멍(33)을 구비하고, 그 관통 구멍(33)을 통해 적절한 볼트가 공지의 형식으로 연장되어 제 1 모듈(12)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절한 송신기의 장착 플랜지(10)에 고정시킨다. 또한, 나사 결합식의 폐색 구멍(35, 37)이 후술되는 목적으로 제 1 대응 짝면(31)에 형성된다.
고압 유입구(82)는 제 1 대응 구멍(82A) 및 더 큰 제 2 대응 구멍(82B)과 동축상으로 연장되는데, 제 1 대응 구멍(82A) 및 제 2 대응 구멍(82B)은 각각 후술되는 목적으로 환형 쇼울더(82C) 및 환형 쇼울더(82D)를 각각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저압 유입구(90)는 제 1 대응 구멍(90A) 및 더 큰 제 2 대응 구멍(90B)과 동축상으로 연장되는데, 제 1 대응 구멍(90A) 및 더 큰 제 2 대응 구멍(90B)은 각각 후술되는 목적으로 환형 쇼울더(90C) 및 환형 쇼울더(90D)를 각각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압 유입구(82)를 경유하여 제 1 모듈(12)로 유입되는 고압 유체가 고압 충전 공간에 들어가서 그 곳에서 그 압력이 탐지, 측정 및 송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자의 유출 밸브가 폐쇄되고 균압기 밸브(22, 24)가 폐쇄된 상태가 되면, 고압 충전 공간(50), 저압 충전 공간(52)으로부터 유출되는 유동이 방지될 것이다. 충전 공간으로부터 유체를 제거는 것이 요구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2 모듈(14)의 차단 밸브가 폐쇄되었다고 가정하면, 유출 밸브(26) 및 기타의 상응하는 유출 밸브가 개방되어 고압 충전 공간(50), 저압 충전 공간(52)으로부터 고압 유출구(42), 저압 유출구(44)로 유체가 각각 유출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모듈(12)은 2개의 균압기 밸브, 즉 균압기 밸브(22, 24)를 포함한다. 송신기의 영점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 2개의 균압기 밸브(22, 24)는 고압 충전 공간(50), 저압 충전 공간(52) 사이의 유체 연통이 허용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그와 관련하여, 밸브(22)(저압 균압기 밸브 포켓(72) 속에 수납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통로(70, 74) 사이의 유체 연통이 허용되지 않음을 관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밸브(24)(고압 균압기 밸브 포켓(66) 속에 수납된)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통로(64, 74) 사이의 유체 연통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양자의 균압기 밸브(22, 24)가 개방되면, 고압 충전 공간(50), 저압 충전 공간(52)은 통로(70, 74, 64)를 경유하여 서로에 개방 연통된다.
제 1 모듈(12)에 도시된 통로 시스템은 꺾여진 통로의 수를 최소로 요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것임을 관측할 수 있다. 예컨대, 꺾여진 통로(56, 78, 60, 86)를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통로가 제 1 모듈(12)의 외부에 형성된 평탄한 표면에 수직하게 뚫린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통로(88, 48A, 48B)는 통로(80, 46A, 46B)와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한편, 통로(80, 46A, 46B)도 역시 마찬가지로 동축상으로 연장된다. 그에 의해, 기계 가공이 매우 단순화되고, 값비싼 지그, 복잡한 앵글 드릴링 또는 다른 복잡한 기계 가공 절차가 생략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M2"로 지시된 본 발명의 매니폴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역시 모듈식으로 구성되는 도 3에 도시된 매니폴드는 제 1 모듈(100)이 단일의 균압기 밸브 및 2개의 유출 니플 등을 구비한 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매니폴드와는 상이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모듈은 매니폴드(M1)의 설명과 관련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이고 집적형 구조로 구성되며 예컨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부터 기계 가공되는 제 1 모듈(100)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계측 면(102), 대향 측벽(104, 106), 전방 대응 짝면(108) 및 전체적으로 평행한 반대쪽의 후방 벽(110)을 구비한다. 계측 면(102)에는 고압 충전 공간(112), 저압 충전 공간(114)이 형성되는데, 그 고압 충전 공간(112), 저압 충전 공간(114)은 전체적으로 얕은 원통형 공동이다. 고압 충전 공간(112)으로는 고압 유출구(116) 및 고압 균압기 포트(118)가 개방된다. 저압 충전 공간(114)으로는 저압 유출구(120) 및 저압 균압기 포트(122)가 개방된다. 제 1 모듈(100)의 후방 벽(110)에는 균압기 밸브 포켓(124)이 형성된다. 균압기 밸브 포켓(124)은 통로(126, 128) 및 균압기 밸브 포켓(124)으로 개방된 통로(130)를 경유하여 고압 균압기 포트(118)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된다. 마찬가지로, 균압기 밸브 포켓(124)은 통로(132, 134, 136)을 경유하여 저압 충전 공간(114)의 저압 균압기 포트(122)와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된다. 제 1 모듈(100)의 측벽(104)에는 공지의 형식대로 유출 니플 등을 구비할 수 있는 통로(134, 132)를 경유하여 저압 충전 공간(114)과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된 나사 결합식의 저압 유출구(138)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1 모듈(100)의 측벽(106)에 형성되는 고압 유출구(139)는 통로(126, 128)를 경유하여 고압 충전 공간(112)과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된다. 그러한 고압 유출구(139)도 역시 유출 니플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로(134)는 저압 유출구(138)와 대략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한편, 통로(136)는 균압기 밸브 포켓(124)과 대략 동축상으로 연장되는데, 양자의 통로(134, 136)는 대략 서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저압 충전 공간(114)과 통로(134)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로(132)는 통로(134)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고압 충전 공간(112)은 제 1 모듈(100)의 대응 짝면(108)에 형성된 고압 유입구(140)와 통로(142, 144)를 경유하여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되는데, 통로(142)는 고압 유입구(140)와 대략 동축상으로 연장되고, 통로(142, 144)는 대략 서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저압 충전 공간(114)에 형성되는 저압 유출구(120)는 통로(148, 150)를 경유하여 저압 유입구(146)와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되는데, 통로(148)는 저압 유입구(146)와 대략 동축상으로 연장되고, 통로(150, 148)는 대략 서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제 1 모듈(100)은 공지의 형식대로 외주를 따라 이격된 관통 구멍(103)을 구비하고, 그 관통 구멍(103)을 통해 나사 볼트가 연장되어 관통 구멍(103)과 일렬로 정렬된 송신기 플랜지(10)의 나사 구멍 속에 수납되고, 그에 의해 제 1 모듈(100)이 송신기(T)에 연결될 수 있다. 모듈(10)에 있는 통로 시스템이 관통 구멍(103)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 육면체, 보다 구체적으로 계측 면(102), 반대쪽의 면(도시를 생략) 및 그 각각이 인접 관통 구멍(103)의 외주에 접하는 4개의 가상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행 육면체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 1 모듈(100)의 대응 짝면(108)도 역시 후술되는 목적을 위한 나사 구멍(109, 111)을 구비한다.
사용 시에는 고압 유입구(140)를 경유하여 제 1 모듈(100)에 유입되는 고압 유체가 통로(142, 144)를 경유하여 고압 충전 공간(112) 속을 통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압 유입구(146)를 경유하여 제 1 모듈(100)에 유입되는 저압 유체가 통로(148, 150)를 경유하여 저압 충전 공간(114) 속을 통과한다. 유출 포트(138, 139)에 적절한 유출 니플 등이 배치되어 폐쇄된 위치에 있고, 아울러 균압기 밸브가 균압기 밸브 포켓(124) 속에 배치되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고압 유체 및 저압 유체가 각각 고압 충전 공간(112) 및 저압 충전 공간(114)을 통과하여 빠져나올 수가 없다. 균압화를 이루기 위해, 균압기 밸브 포켓(124) 속의 밸브가 개방되고, 그에 의해 전술된 통로 시스템을 경유하여 고압 충전 공간(112)과 저압 충전 공간(114)과의 사이의 개방된 유체 연통이 제공된다. 고압 충전 공간(112), 저압 충전 공간(114)을 유출시키기 위해, 유출 포트(138, 139)의 유출 니플 또는 밸브가 개방되어 고압 충전 공간(112), 저압 충전 공간(114)내의 유체가 각각 대기중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고압 유입구(140)가 효과적으로 환형 쇼울더(156, 158)를 각각 형성하는 제 1 대응 구멍(152) 및 더 큰 제 2 대응 구멍(154)과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압 유입구(146)는 도 5를 참조하여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대응 구멍(160)및 더 큰 제 2 대응 구멍(162)과 동축상으로 연장되어 환형 쇼울더(164, 166)를 형성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모듈(14) 및 그 내부의 포트 형성 구조를 알 수 있다. 제 2 모듈은 모듈(12, 100)과 마찬가지로 집적형 구조의 속성으로 이루어지고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적절한 재료의 단열 피가공재로부터 전체적으로 기계 가공된다. 제 2 모듈(14)은 그로부터 제 1 돌출부(172), 제 2 돌출부( 174)가 돌출되는 본체부(170)를 구비하고, 제 1 돌출부(172)는 통상의 형식대로 나사 결합되어 주 유동 라인/오리피스 판 조립체 등의 고압측에 접속될 수 있는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174)는 통상의 형식대로 주 유동 라인/오리피스 판 조립체 등에 접속될 수 있는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178)를 형성한다. 제 2 모듈(14)의 본체부(170)는 평탄한 제 2 대응 짝면(180) 및 반대쪽의 공정측 면(182)을 형성한다. 본체부(170)는 대략 평탄한 상단면(184), 그 평탄한 상단면(184)과 같은 크기의 둔각을 형성하는 모따기된 평탄한 측면(186, 188)을 포함한다. 본체부(170)를 통해 이격 나사 구멍(171)이 연장되어 제 2 모듈(14)이 오피피스 판 조립체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모따기된 면(188)에는 고압 차단 밸브 포켓(190)이 형성되는 모따기된 면(186)에는 저압 차단 밸브 포켓(192)이 형성되는데, 그 고압 차단 밸브 포켓(190), 저압 차단 밸브 포켓(192)에는 도 1의 도면 부호 "18, 20"으로 지시되고 당업자에게도 주지된 바와 같이 차단 밸브의 수납을 위해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압 차단 밸브 포켓(190)은 평탄한 제 2 대응 짝면(180)에 대략 수직하게 뚫린 통로(194)와 교차한다. 통로(194)는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176)와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된 꺾여진 통로(196)에 접속된다. 따라서, 밸브(18)가 고압 차단 밸브 포켓(190)에 배치되면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176)를 경유하여 제 2 모듈(14)로 유입되는 고압 유체가 통로(196)를 통해 유동되고, 그 밸브(18)가 개방되었다고 가정하면 고압 유체가 통로(194)를 통과하여 제 2 모듈(14)의 제 2 대응 짝면(180)에 있는 고압 유출구(도시를 생략)를 통해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저압 차단 밸브 포켓(192)은 제 2 대응 짝면(180)에 대략 수직하게, 그리고 그 제 2 대응 짝면(180)에 형성된 저압 유출구(200)(도 5를 참조)와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통로(198)와 교차한다. 다시, 그 통로(198)는 저압 유입구(178)로 개방된 꺾여진 통로(202)과 연통된다. 따라서,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178)에 유입되는 저압 유체는 통로(202)를 통해 유동되고, 밸브(20)가 개방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통로(198) 및 저압 유출구(200)를 통해 유동될 것이다. 밸브(18, 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주 유동 라인/오리피스 조립체로부터 제 2 모듈(14), 즉 매니폴드의 실시예 "M1" 또는 "M2"를 통한 공정 유체의 유동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 2 모듈(14)은 2개의 차단 밸브, 즉 차단 밸브(18, 20)를 구비한다. 분명한 것은 2개 이상의 차단 밸브가 단순히 본체부(170)의 축방향 길이를 연장시켜 고압 차단 밸브 포켓(190), 저압 차단 밸브 포켓(192)과 같은 추가의 밸브 포켓을 수용하도록 함에 의해 고압 및 저압 통로 시스템의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차단 밸브는 2개의 모듈이 서로 분리되었을 때에 여분의 안전 특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모듈(100, 12)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모듈(14)의 통로 시스템은 복잡하게 꺾여지도록 구멍을 뚫는 것을 최소로 요한다. 통로(194, 198)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공정 유체 유출구와 동축상으로, 그리고 제 2 대응 짝면(180)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단지 통로(196, 192)만이 꺾여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매니폴드는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와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여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관형 슬리브(206), 제 1 관형 슬리브(204)는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200) 및 도시를 생략한 상응하는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 속에 개재되어 끼워 맞춰진다. 실제로, 제 2 모듈(14)은 모듈(12, 100)의 유출구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정 유체 유출구에 대해 둘러싸는 관계에 있는 대응 구멍을 구비한다. 2개의 모듈을 유체가 새지 않게 결속되도록 함께 연결하기 위해, 우선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 및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듈(14)에 위치시킨다. 매니폴드의 실시예 "M1"의 경우, 대응 짝면(31, 180)을 제 1 관형 슬리브(204)가 제 1 대응 구멍(82A) 속에, 그리고 제 2 관형 슬리브(206)가 제 1 대응 구멍(90A) 속에 수납되도록 함께 옮긴다. 그에 의해, 제 1 밀봉 링(208)이 제 2 대응 구멍(82B) 속에, 제 2 밀봉 링(210)이 제 2 대응 구멍(90B) 속에 옮겨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은 PTFE 수지와 같은 중합체 재료 또는 적절히 변형될 수 있는 기타의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모듈(14, 12)이 연결되었을 때에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이 압축되도록 하는 축방향 두께로 형성된다. 즉,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의 축방향 두께는 모듈이 연결되었을 때에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이 맞대어 접하는 쇼울더의 간격보다 더 크다. 여하간, 모듈이 그와 같이 짝을 이루었을 때에는 볼트(16)가 제 2 모듈(14)의 구멍(183, 185)을 통해 위치되어 제 1 모듈(12)의 정렬 구멍(35, 37) 속에 나사 결합된다. 볼트(16)가 조여짐에 따라, 대응 짝면(180, 31)은 서로를 향해 강압되고,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은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의 각각과 매니폴드의 2개와의 유체 기밀식 결속이 이루어질 정도로 압축되고 변형된다. 유사한 형식으로, 매니폴드의 실시예 "M2"도 조립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를 수납하는 모듈(100, 12)의 대응 구멍은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를 수납하는 제 2 모듈(14)의 대응 구멍보다 약간 더 크고, 그에 따라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는 활주가 가능하도록 모듈(12, 100)의 각각의 대응 구멍 속에 수납된다. 따라서, 모듈이 분리되었을 때에는 제 2 모듈(14)의 대응 구멍 속에 개재되어 끼워 맞춰지는 슬리브가 제 2 모듈(14)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채 유지된다.따라서, 미네소타(Minnesota), 에덴 프라이어리(Eden Prairie)에 소재하는 로즈마운트 코포레이티드(Rosemount, Inc.)에 의해 시판되고 압력 센서로서 취성의 격막을 사용하는 로즈마운트 모델 3051C 차압 송신기와 같은 차압 송신기와 함께 본 발명의 모듈식 매니폴드를 사용하여 매니폴드를 실시예 "M1"의 경우의 모듈(12) 또는 "M2"의 경우의 모듈(100) 및 나머지 압력 송신기로 이루어지는 2개의 모듈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동시에,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제 2 모듈(14)은 주 유동 라인으로부터의 유동을 차단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2 모듈(14)은 도 6에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00"으로 지시된 차단 판 또는 차단 블록을 구비하는데, 그 차단 판 또는 차단 블록은 커버 판으로서 작용하고 제 2 대응 짝면(180)과 짝을 이룬다. 차단 판(300)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에 통로(194, 198)로부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밀봉시키고, 그에 따라 차단 밸브가 개방 위치로 남아 있는 경우에 안전 조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차단 판(300)의 상세한 구성 및 용도는 이후에 충분하게 설명된다.본 발명의 매니폴드는 특히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을 관측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모따기된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차단 밸브(18, 20)가 편리하게도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꺽여짐을 주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M1"과 관련하여, 유출 밸브도 역시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꺾여진다. 특히, 매니폴드의 실시예 "M1"의 경우에는 차단 밸브 및 유출 밸브를 상향으로 꺾여지게 함에 의해 차단 밸브와 유출 밸브와의 사이에 배치된 균압기 밸브(22, 24)의 용이한 조작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남겨진다.언급된 바와 같이, 특정의 경우에는 매니폴드의 2개의 모듈이 전술된 바와 같이 분리되었을 때에 제 2 모듈(14)이 적절한 차단 판 또는 커버 판을 구비하여 차단 밸브가 충분하지 않게 개방되었더라도 여전히 공정 유체의 누출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면 부호 "300"에 의해 지시되며 제 2 모듈(14)의 제 2 대응 짝면(180)과 짝을 이루는 표면(302)을 구비하는 차단 판 또는 차단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차단 판(300)은 모듈(12, 100)에 있는 대응 구멍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대응 구멍을 구비하여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 및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를 수납한다. 또한, 차단 판(300)은 나사 볼트를 수납하여 차단 판(300)을 제 2 모듈(14)에 고정시키는 나사 구멍을 구비하는데, 그 중의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볼트(16)가 매니폴드의 실시예 "M1" 또는 "M2"에 대해 조여질 경우, 제 1 밀봉 링(208), 제 2 밀봉 링(210)은 강압적으로 제 2 모듈(14), 차단 판(300) 및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 속에 밀봉 결속됨을 알 수 있다. 차단 판(300)은 제 1 모듈(12)의 유출구와 일렬로 정렬되고 감압 통로(310)와 수직하게 교차되는 고압 통로(306) 및 저압 통로(308)를 구비하는데, 감압 통로(310)는 그 속에 유출 니플 등이 수납되어 제 2 모듈(14)을 통해 공급되는 임의의 압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나사 구멍(312)과 동축상으로 연장된다. 차단 밸브 중의 하나가 우연히 개방되었을 경우에 공정 유체를 안전하게 유출시키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과 함께, 차단 판(300)도 역시 제 2 모듈(14)이 모듈(12 또는 10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제 1 관형 슬리브(204), 제 2 관형 슬리브(20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이에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모듈을 유체가 새지 않게 결속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M2A"로서 지시된 도 8의 실시예를 유체의 출입에 있어 전술된 모듈(100)과 동일한 모듈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것이 유사하게 제 1 모듈(12)과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모듈(14A)은 모든 면에 있어 제 2 모듈(14)과 동일하지만, 다만 모듈(14A)이 볼트(16)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183, 185)을 구비하지 않고, 제 1 모듈(100A)이 볼트(16)의 나사 단부를 수납하는 나사 구멍(109, 111)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오히려, 모듈(14A)은 바람직하게는 집적적으로 형성되고 모듈(14A)의 표면(184A)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랜지(300)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모듈(14A)은 바람직하게는 집적적으로 형성되고 표면(184A)과 대향된 표면(도시를 생략)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랜지(302)를 구비한다. 제 1 플랜지(300)는 이격된 볼트 구멍(304, 306)을 구비하는 한편, 제 2 플랜지(302)도 역시 도시를 생략한 이격된 볼트 구멍을 구비한다. 모듈(100A)은 바람직하게는 집적적으로 형성되고 표면(102A)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3 플랜지(308)와, 바람직하게는 집적적으로 형성되고 표면(102A)과 대향된 평행한 표면(도시를 생략)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4 플랜지(310)를 구비한다. 제 3 플랜지(308)는 나사 구멍(312, 314)을 구비하는 한편, 제 4 플랜지(310)는 나사 구멍(316, 318)을 구비한다. 제 3 플랜지(308), 제 4 플랜지(310)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308A, 308A)이 각각 대응 짝면(108A)과 동일 평면상에 놓임을 알 수 있다. 비록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마찬가지로 제 1 플랜지(300), 제 2 플랜지(302)도 제 2 대응 짝면(180)(도 3을 참조)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평탄한 표면을 구비함을 일 수 있다. 모든 면에 있어서, 모듈(100A, 14A)은 각각 제 1 모듈(100), 제 2 모듈(14)과 동일하다. 모듈(14A, 100A)을 연결시키기 위해, 볼트 구멍(304, 306)이 대응 나사 구멍(312, 314)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그리고 제 2 플랜지(302)에 있는 대응 볼트 구멍이 제 4 플랜지(310)에 있는 나사 구멍(316, 318)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대응 짝면을 함께 모은다. 이어서, 볼트(320)를 제 1 플랜지(300)에 있는 볼트 구멍(304, 306) 및 제 2 플랜지(302)에 있는 대응 볼트 구멍 속으로 통과시키고, 모듈(14, 100)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모듈(100A, 14A)의 대응 짝면이 모여질 때까지 나사 구멍(312, 314, 316, 318) 속에 수납한다.언급된 바와 같이, 볼트(320)와 함께 제 1 플랜지(300), 제 2 플랜지(302), 제 3 플랜지(308), 제 4 플랜지(310)를 사용하여 모듈(100A, 14A)을 조립하는 것은 단순히 제 1 모듈(12)에 제 3 플랜지(308), 제 4 플랜지(310)와 유사한 플랜지를 마련함에 의해 모듈(14, 12)을 연결시키기 위한 변형례로서 채용될 수 있다.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임이 분명한 것은 공정 계면 또는 제 2 모듈이 기본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공정 라인 또는 주 유동 라인과 임의의 다른 매니폴드, 모듈, 계기 또는 매니폴드/계기와의 사이에 공정 계면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인데, 그 목적은 주 유동 라인, 예컨대 파이프 라인 속에 배치된 유동 교축기의 양측에서 주 유동 라인 중의 유체 유동을 샘플링하여 교축기를 가로지르는 차압 또는 차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본 발명의 제 2 모듈은 고압 및 저압 차단 밸브를 포함하고, 유동 라인 속에 배치된 유동 교축기의 양측에서 유동 라인 속으로 인입되는 탭에 공지의 형식대로 쉽게 부착될 수 있는 독립형 밸브 시스템을 제공해준다. 그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제 2 모듈의 대응 짝면이 전술된 2개의 제 1 모듈과 짝을 이루도록 형성되지만, 다른 매니폴드 모듈의 형상과도 역시 짝을 이룰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 2 모듈(공정 계면)은 현장 설치 작업 및 차압 변환기/송신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해주고, 그에 의해 그러한 설치 작업 및/또는 제거 중에 유동 라인의 가동을 상당한 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일이 결코 없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은 제 1 모듈 또는 계기 플랫폼이 각종의 센서 장치 또는 변환기를 내장하거나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의해 통합된 매니폴드/변환기, 예컨대 적절한 압력 센서를 사용하는 통합형 매니폴드/차압 변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계기 플랫폼이 차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이외에도 적절한 차압 송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그에 의해 통합형 매니폴드/차압 변환기/차압 송신기, 즉 (a) 적절한 밸브 장치를 통해 유체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 (b) 유체의 파라미터들을 검출 및 계측하는 기능 및 (c) 검출 및 게측된 파리미터들을 송신 및/또는 기록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일체형 유닛이 형성된다. 전술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러한 일체형 유닛은 제 2 모듈, 즉 모듈(14)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러한 일체형 유닛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모듈(100)과 통합형 유닛을 형성하는 형식의 차압 송신기(T2)가 도시되어 있는데, 적절한 제 1 압력 센서 및 제 2 압력 센서가 매니폴드부(100)와 송신기부(T2)와의 사이에 작동상 연결되어 차압 송신기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기(T2)와의 일체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12)의 구성이 도시되는데, 도 9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모듈(12)과 송신기(T2)와의 사이에 적절한 압력 센서가 작동상 연결되어 차압을 검출 및 측정함을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다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적절한 압력 센서는 미국 특허 제3,618,390호, 제3,231,114호, 제3,295,326호, 제3,350,945호, 제3,372,594호, 제3,258,971호, 제3,158,000호에 도시된 것들을 포함하고, 그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송신기(T2)에 채용되는 회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3,854,0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포함하지만, 당업자라면 다른 공지의 회로가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압력 센서와 회로와의 사이의 작동 커플링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4,466,290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것은 다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 모듈(14)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되어 차압 측정 및 파이프 라인과 같은 주 유동 라인을 통한 유체의 유동을 이루는 완비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는 유용한 매니폴드/변환기/송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컴팩트하고 유용한 구조는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기술상의 경험이 많지 않은 작업자에 의해 고장난 유닛을 대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형적으로 매우 정교하고 손상되기 쉬운 변환기 또는 센서가 보호되도록 보장하는 백업 유닛을 최종 사용자가 현장에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당업자는 고압 및 저압 변환기 공간, 예컨대 모듈(100)의 계측면에 형성된 모듈(100) 내의 고압 충전 공간(112), 저압 충전 공간(114)이 본 발명의 매니폴드와 함께 사용되는 압력 센서 또는 센서/송신기에 대한 각각의 고압 및 저압 유입구와 작동상 연계되도록 정렬되는 크기 및 이격 간격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계측면, 예컨대 제 1 모듈의 면(102)은 예컨대 로즈마운트 모델 3051C와 같은 공면의 송신기로서의 센서/송신기와 직접 짝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모듈식 매니폴드는 용이하게 다른 종류의 센서/송시기와 짝을 이루기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고압 및 저압 송신기 공간의 이격 간격 및 구성은 제 1 모듈의 계측면이 짝을 이루는 센서 또는 센서/송신기의 특성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고압 유입구(176)와 저압 유입구(178)는 그 중심 간격이 2-1/8" 이격되어 유동 라인/오리피스 판 조립체로부터 표준 NPT 유동 라인을 수용한다. 그러나, 그와는 다른 고압 유입구(176), 저압 유입구(178)의 간격이 사용될 수 있고, 고압 유입구(176), 저압 유입구(178) 사이의 간격은 계측면에 있는 고압 송신기 공간 및 저압 송신기 공간 사이의 간격(중심 대 중심)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니폴드의 독특한 2부품형 구조에 의해, 제 1 모듈(12)에 대한 고압 및 저압 유입구의 구성 및 간격과, 제 1 모듈, 즉 모듈(12)이나 또는 모듈(100)의 고압 및 저압 계측 공간에 대한 다양한 변화가 허용될 수 있다.
전술된 설명 및 실례는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들이다. 그러한 견지에서, 당업자는 모두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주 유동 라인과 압력 센서와의 사이에 위치되어 주 유동 라인으로부터 압력 센서로 유동하는 유체를 제어하기에 적합한 모듈식 밸브 매니폴드로서,
    계측면, 제 1 대응 짝면을 포함한 외주 벽, 계측면에 형성된 고압 송신기 공간과 저압 송신기 공간,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으로 개방된 고압 유출구 및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으로 개방된 저압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 1 모듈과;
    제 1 모듈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고압 유출구와 상기 저압 유출구 사이와의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균압기 밸브 시스템과;
    제 1 모듈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모듈의 외부에서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 및 저압 송신기 공간으로부터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키는 유출 밸브 시스템과;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압 유출구와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고압 유입구 및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압 유출구와 유체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저압 유입구와;
    제 1 모듈상의 제 1 대응 짝면과 짝을 이루기 적합한 제 2 대응 짝면을 구비하고,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를 포함하는 제 2 모듈과;
    제 2 대응 짝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와 각각 선택적으로 유체 연통되며,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된 상기 고압 유입구 및 저압 유입구와 각각 일렬로 정렬되는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제 2 모듈 속에 배치되어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로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고압 차단 밸브와;
    제 2 모듈 속에 배치되어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로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저압 차단 밸브와;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고압 유입구와의 사이의 제 1 유체 기밀 연통 및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저압 유입구와의 사이의 제 2 유체 기밀 연통을 이루는 밀봉체와;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연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밸브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의 일단부에 대해 돌출되고 타단부에 대해 수납되는 고압 관형 성형체 및 저압 관형 성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 관형 성형체는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저압 유입구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성형체는 각각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 및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에 형성된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에 각각 맞물려 끼워 맞춰지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제 2 단부는 상기 고압 유입구 및 저압 유입구에 형성된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에 활주식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 및 상기 고압 유체 유입구와,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 및 상기 저압 유입구는 상기 제 1 관형 성형체 및 제 2 관형 성형체를 둘러싸는 관계로 제 1 환형 홈 및 제 2 환형 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이 연결될 때에 변형이 가능한 제 1 밀봉 링이 상기 제 1 환형 홈에 수납되고 변형이 가능한 제 2 밀봉 링이 상기 제 2 환형 홈에 수납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 1 관형 성형체 및 제 2 관형 성형체가 각각 상기 제 1 모듈과 제 2 모듈에 유체가 새지 않게 결속되도록 상기 제 1 밀봉 링 및 제 2 밀봉 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는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제 2 대응 짝면과 평행하게 이격된 단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기는 상기 단부면과 상기 제 2 대응 짝면을 통해 연장된 관통 구멍 및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제 1 대응 짝면내의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식으로 수납되는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볼트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와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를 선택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고압 공정 유체 통로와,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와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를 선택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저압 공정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에는 고압 차단 밸브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 차단 밸브 포켓은 상기 고압 공정 유체 통로와 교차하고, 상기 고압 차단 밸브는 상기 고압 차단 밸브 포켓에 배치되어 상기 고압 공정 유체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모듈에는 저압 차단 밸브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저압 차단 밸브 포켓은 상기 저압 공정 유체 통로와 교차하고, 상기 저압 차단 밸브는 상기 저압 차단 밸브 포켓에 배치되어 상기 저압 공정 유체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전체적으로 평면의 상단면을 한정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제 1 평면 측벽과 그에 대향하는 제 2 평면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은 상기 상단 평면과 동일한 둔각을 형성하고, 상기 고압 차단 밸브 포켓은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압 차단 밸브 포켓은 상기 제 2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은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대향된 배후 벽을 한정하고, 상기 배후 벽에는 균압기 밸브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균압기 밸브 포켓과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과의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제 1 통로 및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과 상기 균압기 밸브 포켓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제 2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균압기 밸브는 상기 밸브 포켓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통로와 제 2 통로와의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은 상기 배후 벽과 제 1 대응 짝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대향된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는 제 1 유출 포트 및 제 2 유출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출 포트는 상기 제 1 통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 2 유출 포트는 상기 제 2 통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출 포트 및 제 2 유출 포트는 제 1 유출 부품 및 제 2 유출 부품을 나사 결합식으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은 제 1 대향 측벽 및 제 2 대향 측벽, 상기 제 1 측벽에 형성된 제 1 균압기 밸브 포켓, 상기 제 2 측벽에 형성된 제 2 균압기 밸브 포켓, 상기 제 1 균압기 밸브 포켓과 제 2 균압기 밸브 포켓과의 유체 연통을 위해 개방되어 그 사이에 연장된 균압기 통로,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과 상기 제 1 균압기 밸브 포켓과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과 상기 제 2 균압기 밸브 포켓과의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해 각각 개방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균압기 통로를 가로질러 각각 연장되는 제 1 스터브 통로와 제 2 스터브 통로, 상기 제 1 균압기 밸브 포켓에 수납되는 제 1 균압기 밸브 및 상기 제 2 균압기 밸브 포켓에 수납되는 제 2 균압기 밸브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상기 제 1 균압기 밸브가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과 상기 균압기 통로와의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균압기 밸브가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과 상기 균압기 통로와의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은 본체부 및 네트형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형 몸체부는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대향된 배후면을 한정하며, 상기 제 1 유출 포트 및 제 2 유출 포트는 상기 배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출 포트는 제 1 유출 통로에 의해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출 포트는 제 2 유출 통로에 의해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에 접속되며, 상기 네트형 몸체부는 제 1 네트형 몸체부 면과 제 2 네트형 몸체부 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 1 네트형 몸체부 면 및 제 2 네트형 몸체부 면은 상기 네트형 몸체부의 대향면이며, 상기 제 1 네트형 몸체부 면에는 제 1 유출 밸브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네트형 몸체부 면에는 제 2 유출 밸브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출 밸브 포켓은 상기 제 1 유출 통로와 교차하고, 상기 제 2 유출 밸브 포켓은 상기 제 2 유출 통로와 교차하며, 상기 제 1 유출 밸브 포켓에는 상기 제 1 유출 통로를 통한 유동을 제어하는 제 1 유출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출 밸브 포켓에는 상기 제 2 유출 통로를 통한 유동을 제어하는 제 2 유출 밸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출 통로 및 제 2 유출 통로는 상기 제 1 유출 포트 및 제 2 유출 포트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그리고 상기 계측면에 평행한 제 1 유동로 및 상기 제 1 유동로를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서로에 평행한 제 2 유동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유입구는 제 1 유동로 부분과 제 2 유동로 부분을 구비한 제 1 고압 통로에 의해 상기 고압 유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고압 통로의 제 1 유동로 부분은 상기 제 1 유출 통로의 제 1 유동로와 동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압 유입구는 저압 통로에 의해 상기 저압 유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저압 통로는 제 1 유동로 부분과 제 2 유동로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저압 통로의 상기 제 1 유동로 부분은 상기 제 2 유출 통로의 상기 제 1 유동로와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본체의 일부 및 상기 네트형 몸체부에 걸친 공통의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네트형 몸체부 면 및 제 2 네트형 몸체부 면은 상기 공통면과 동일한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이 분리될 때에 상기 제 2 모듈에 고정시키기 위한 차단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제 2 대응 짝면과 짝을 이루기 적합한 제 3 대응 짝면을 구비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제 3 대응 짝면에 형성된 고압 감압 유출구와 상기 제 3 대응 짝면에 형성된 저압 감압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감압 유출구 및 저압 감압 유출구는 감압 통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며, 상기 감압 통로는 상기 감압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감압 유출구는 감압 밸브를 수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고압 감압 유출구와의 사이의 제 1 유체 기밀 연통 및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저압 경감 유출구와의 사이의 제 2 유체 기밀 연통을 실행하고, 상기 연결기는 상기 차단판을 상기 제 2 모듈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듈은 상기 제 2 대응 짝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는 제 1 플랜지 면을 구비한 제 1 플랜지 및 상기 제 2 대응 짝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는 제 2 플랜지 면을 구비한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 1 플랜지 면 및 제 2 플랜지 면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모듈은 상기 제 1 대응 짝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는 제 3 플랜지 면을 구비한 제 3 플랜지 및 상기 제 1 대응 짝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는 제 4 플랜지 면을 구비한 제 4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플랜지 및 제 4 플랜지는 각각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에 있는 상기 볼트 구멍을 통해 나사 볼트가 수납되고 상기 제 3 플랜지 및 제 4 플랜지에 있는 나사 구멍에 각각 나사 결합식으로 수납되어 상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을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는 각각 다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플랜지 및 제 4 플랜지는 다수의 나사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상기 관통 구멍은 각각 상기 제 3 플랜지 및 제 4 플랜지의 나사 구멍 중의 하나와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21. 유체의 고압원을 제공하는 유동 제어기와 상기 유동 제어기의 반대측에 있는 유체의 저압원을 포함한 주 유동 라인에 부착되는 밸브 모듈로서,
    상기 유체의 고압원으로부터 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를 추가로 포함한 제 1 대응 짝면을 제공하는 밸브체와;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어 유체 연통 통로를 형성하는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 및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어 유체 연통 통로를 형성하는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밸브체에 배치되어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로의 유체의 유동을 각각 제어하는 고압 차단 밸브와;
    상기 밸브체에 배치되어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로의 유체의 유동을 각각 제어하는 저압 차단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모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상의 제 1 대응 짝면과 짝을 이루기 적합한 제 2 대응 짝면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를 보호하는 차단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상기 제 2 대응 짝면에 형성된 고압 공정 감압 유출구와 상기 제 2 대응 짝면에 형성된 저압 공정 감압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압 감압 유출구 및 저압 감압 유출구는 감압 통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며, 상기 감압 통로는 유출 포트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유출 포트는 상기 고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고압 감압 유출구와의 사이의 유체 기밀 연통을 이루는 제 1 밀봉체 및 상기 저압 공정 유체 유출구와 상기 저압 감압 유출구와의 사이의 유체 기밀 연통을 이루는 제 2 밀봉체의 감압 밸브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모듈.
  23. 통합형 밸브 매니폴더/차압 변환기/차압 송신기로서,
    계측면과 외주 벽, 상기 계측면에 형성된 고압 송신기 공간과 저압 송신기 공간,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으로 개방된 고압 유출구와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으로 개방된 저압 유출구를 구비하는 계기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의 의해 지지되고, 상기 고압 유출구와 상기 저압 유출구와의 사이의 유체 연통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균압기 밸브 시스템과;
    상기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에서 상기 플랫폼의 고압 공간 및 저압 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출 밸브 시스템과;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압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고압 유입구 및 상기 제 1 대응 짝면에 형성되고 상기 저압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저압 유입구와;
    상기 고압 송신기 공간에 작동상 연결되는 고압 센서 소자 및 상기 저압 송신기 공간에 작동상 연결되는 저압 센서 소자와;
    상기 계기 플랫폼과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에 작동상 연결되고 상기 계측면에 배치된 송신기에 의해 지지되는 차압 송신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밸브 매니폴더/차압 변환기/차압 송신기.
KR10-1999-7006273A 1997-01-09 1998-01-08 2부품형 매니폴드 KR100510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07797P 1997-01-09 1997-01-09
US60,035,077 1997-01-09
US08,941,951 1997-10-01
US08/941,951 US5988203A (en) 1997-10-01 1997-10-01 Two-piece manifold
PCT/IB1998/000227 WO1998030880A2 (en) 1997-01-09 1998-01-08 Two-piece valve manif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53A KR20000070053A (ko) 2000-11-25
KR100510197B1 true KR100510197B1 (ko) 2005-08-24

Family

ID=2671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73A KR100510197B1 (ko) 1997-01-09 1998-01-08 2부품형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015861B1 (ko)
JP (1) JP4757361B2 (ko)
KR (1) KR100510197B1 (ko)
CN (1) CN1187586C (ko)
AT (1) ATE239213T1 (ko)
AU (1) AU738140B2 (ko)
CA (1) CA2277138C (ko)
DE (1) DE69814112T2 (ko)
NO (1) NO320410B1 (ko)
TW (1) TW354371B (ko)
WO (1) WO19980308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6224B2 (en) * 2003-03-06 2005-11-22 Bei Technologies, Inc. Micromachined vibratory gyroscope with electrostatic coupling
DE502004001209D1 (de) * 2003-04-03 2006-09-28 Alois Schwarz Einrichtung zur steuerung der strömung von flüssigen oder gasförmigen medien
US6901803B2 (en) * 2003-10-02 2005-06-07 Rosemount Inc. Pressure module
DE102005060473A1 (de) 2005-12-17 2007-06-28 Merck Patent Gmbh Konjugierte 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US7448275B1 (en) 2007-09-12 2008-11-11 Rosemount Inc. Bi-planar process flui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US7779698B2 (en) 2007-11-08 2010-08-24 Rosemount Inc. Pressure sensor
CN105757385A (zh) * 2016-05-05 2016-07-13 谢博 一种石油管道调控式计量分流器
CN106017599A (zh) * 2016-06-27 2016-10-12 苏州科博思流体科技有限公司 一种多连接孔的法兰流量计
CN105953974A (zh) * 2016-06-30 2016-09-21 扬中市众成管路配件有限公司 一种压力变送器
US10480981B2 (en) * 2017-05-30 2019-11-19 Dieterich Standard, Inc. Self-draining mount head for transmitter
CN110375093B (zh) * 2019-07-04 2020-12-11 陆海燕 用于天然气安全输送的自动断流换源并联式控制阀
CN110579309B (zh) * 2019-10-23 2021-05-07 诸暨市竟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压力变送器预防检测物质带出结构
AT524398B1 (de) * 2020-11-11 2022-07-15 Avl List Gmbh Druckmessvorrichtung
DE102021112984A1 (de) 2021-05-19 2022-11-24 Gemü Gebr. Müller Apparatebau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Ventilblocks oder Ventilkörp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1881A (en) * 1957-01-28 1959-02-03 John E Hewson Valve manifold
US4193420A (en) * 1978-03-02 1980-03-18 Hewson John E Differential pressure transducer process mounting support and manifold
US4281683A (en) * 1978-12-11 1981-08-04 Poly-Glas Systems Modular multiple-fluid component selection and delivery system
US4231261A (en) * 1979-05-21 1980-11-04 Inland Steel Company Fluid pressure measuring device
US4319492A (en) * 1980-01-23 1982-03-16 Anderson, Greenwood & Co. Pressure transmitter manifold
GB2086535A (en) * 1980-10-16 1982-05-12 Marown Engineering Ltd Improvements in the manifolding of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s
US4466290A (en) * 1981-11-27 1984-08-21 Rosemount Inc. Apparatus for conveying fluid pressur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transducer
LU86802A1 (fr) * 1987-03-09 1987-08-12 Ceodeux Sa Centrale de commande pour gaz sous pression
JP3439482B2 (ja) * 1991-02-22 2003-08-25 Smc株式会社 流体機器
US5277224A (en) * 1993-03-02 1994-01-11 Century Industries Inc. Five valve manifold for use with a pressure sensing apparatus
US5449294A (en) * 1993-03-26 1995-09-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 valve assembly and process
CN1149392C (zh) * 1994-12-08 2004-05-12 罗斯蒙德公司 与压力变送器一起使用的复式接头
TW368650B (en) * 1998-02-19 1999-09-01 Ind Tech Res Inst Prism object lens of optical pickup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9882A (zh) 2000-10-11
TW354371B (en) 1999-03-11
CA2277138A1 (en) 1998-07-16
AU738140B2 (en) 2001-09-06
JP4757361B2 (ja) 2011-08-24
DE69814112D1 (de) 2003-06-05
WO1998030880A2 (en) 1998-07-16
DE69814112T2 (de) 2003-10-23
CN1187586C (zh) 2005-02-02
AU5876098A (en) 1998-08-03
EP1015861A2 (en) 2000-07-05
CA2277138C (en) 2009-12-08
EP1015861B1 (en) 2003-05-02
KR20000070053A (ko) 2000-11-25
JP2002515978A (ja) 2002-05-28
NO993373L (no) 1999-09-08
NO320410B1 (no) 2005-11-28
NO993373D0 (no) 1999-07-08
ATE239213T1 (de) 2003-05-15
WO1998030880A3 (en) 200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203A (en) Two-piece manifold
KR100510197B1 (ko) 2부품형 매니폴드
US6009758A (en) Manifold for use with a pressure transmitter
US7472608B2 (en) Flangeless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 f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systems
EP0094429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fluid pressur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transducer
US4993754A (en) Liquid level coplanar transmitter adapter
US4738276A (en) Modular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manifold for a fluid conveying pipeline
EP0737285B1 (en) Multpile valve manifold for use with a pressure sensing apparatus
US4672728A (en) Pressure signal instrumentation having removable flanges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US6000427A (en) Manifold for use with dual pressure sensor units
US5725024A (en) Manifold valve having controlled vent port integral with flange
EP1328784B1 (en) In-line pressure transmitter
JP7019802B2 (ja) 一体型フラッシングリング付きダイアフラムシール
JPH05503563A (ja) 温度および/または圧力の夫々測定と制御のための装置
NL193559C (nl) Alarmklepstation.
MXPA99006393A (es) Cabezal de distribucion de dos piezas
JPH0275927A (ja) 差圧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