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114B1 -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114B1
KR100507114B1 KR10-2002-0080423A KR20020080423A KR100507114B1 KR 100507114 B1 KR100507114 B1 KR 100507114B1 KR 20020080423 A KR20020080423 A KR 20020080423A KR 100507114 B1 KR100507114 B1 KR 10050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intake negative
intake
deceleration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953A (ko
Inventor
조준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1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5Intake air or mixtur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2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차량의 엔진 제어에서 인테이크 매니폴더(Intake Manifold)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검출하는 공기압 센서(MAP : Mass Air Pressure)의 고장시 흡기 부압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엔진 부조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 차량이 아이들 운전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가속 혹은 감속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순간적인 흡기 부압과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적용하고,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와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아이들 운전 영역이 아닌 상태이면 가속 혹은 감속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아이들 운전 영역이 아닌 상태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이면 순간적인 흡기 부압을 적용하고,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상태이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를 적용하는 과정 및, 상기의 각 운전 영역의 조건에 따른 흡기 부합의 적용 조건이 결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ENGINE CONTROLLING SYSTEM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테이크 매니폴더(Intake Manifold)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검출하는 공기압 센서(MAP : Mass Air Pressure)의 고장시 흡기 부압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엔진 부조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서 엔진 제어를 위해서는 인테이크 매니폴더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량과 엔진 회전수를 설정된 맵 테이블을 통해 기본 연료량을 산출한 다음 냉각수의 온도, 흡기 온도, 부하 정도 등의 각종 보정 펙터값을 감한하여 최종 연료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최종 연료량에 따라 인젝터 개방시간을 추출한 다음 각 기통별 점화시기에 따라 산출된 최종 연료량을 각각의 연소실에 분사하여 준다.
즉, 각각의 연소실에 분사하기 위한 "기본 연료량 = 흡기 부압 × 연료 조성계수 × 충진효율 × 흡기온 보정계수"로 산출되는데, 여기서 흡기 부압은 실제의 운전 조건과 상관없이 공기압 센서(MAP 센서)에서 검출되는 값의 환산을 통해 계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 연료량 계산에 적용되는 흡기 부압을 측정하는 공기압 센서(MAP 센서)가 고장인 경우, 예를 들어 센서가 오픈되어 있는 경우에는 센서의 출력이 4.5V로 상승하여 흡기 부압이 실제 조건과 달리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료량이 과농하게 분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오프 아이들 영역에서는 급격한 엔진 회전수의 변동으로 인하여 운전성의 측면에서 쇼크 및 스트럼블(Stumble)이 발생되며, 흡입 공기량이 적은 아이들 영역에서는 엔진 스톨(Stall)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량 센서(MAP 센서)의 신호에 따른 흡기 부압의 계산시 아이들 운전 영역에서는 상한치를 제한하고, 가감속중 이외의 오프 아이들 운전 영역에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합의 평균치를 사용하며, 가감속시와 같은 실제적으로 급격한 흡기 부압의 변동이 발생되는 운전 영역에서는 그 순간의 흡기 부압을 적용하여 연료량이 희박하게 제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공기압 센서(MAP 센서)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흡기 부압의 급격한 변동을 제한함으로써 연료량의 과농을 방지하여 에미션을 감소시키고, 가감속 이외의 오프 아이들 운전 영역에서는 흡기 부압의 평균치로 기본 연료량을 계산하므로 엔진회전수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여 운전성 측면에서 쇼크 및 스트럼블 발생을 배제시키며, 아이들 운전 영역과 같은 흡입 공기량이 적은 운전 영역에서는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연료량의 과농에 의한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 검출부와; 가속 페달의 구동 변위를 검출하는 가속페달 검출부와;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와;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압 검출을 통해 공기량을 검출하고, 흡기 부압 산출을 위한 신호로 제공하는 공기압 검출부와; 상기 검출되는 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의 산출과 각 보정 계수의 적용을 통한 최종 연료량 산출 및 분사 유지시간 결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와; 흡입 공기량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기본 연료량 산출을 위한 기준 매 테이블과 각 운전 조건에 따른 흡기 부압 적용을 위한 데이터 및 학습되는 흡기 부압의 평균치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의 개폐가 조정되어 산출된 연료량을 대응되는 각 연소실에 분사하는 인젝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차량이 아이들 운전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가속 혹은 감속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순간적인 흡기 부압과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적용하고,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와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아이들 운전 영역이 아닌 상태이면 가속 혹은 감속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아이들 운전 영역이 아닌 상태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이면 순간적인 흡기 부압을 적용하고,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상태이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를 적용하는 과정 및; 상기의 각 운전 영역의 조건에 따른 흡기 부합의 적용 조건이 결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는 흡기온 검출부(10)와 가속페달 검출부(20), 엔진 회전수 검출부(30), 공기압 검출부(40), 제어부(50), 메모리부(60) 및 인젝터(70)로 이루어지는데, 흡기온 검출부(10)는 인테이크 매니폴더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가속페달 검출부(20)는 운전자 구동하는 가속 페달의 구동 변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30)는 크랭크 샤프트(Crank Shift)의 회전수 검출을 통해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공기압 검출부(40)는 MAP 센서로 인테이크 매니폴더를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흡기 부압 산출을 위한 신호로 적용된다.
제어부(50)는 상기 검출되는 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의 산출과 각 보정 계수의 적용을 통한 최종적인 연료량의 산출을 수행한 다음 그에 따른 인젝터(70)의 개폐시간의 산출과 각 기통별 점화시기에 따라 산출된 연료량의 분사 제어를 수행하여 준다.
상기의 제어부(50)는 연료량 계산에 적용되는 보정계수인 흡기 부압의 계산에서, 현재의 운전 조건이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공기압 검출부(40)의 신호에 관계없이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고, 가감속중 이외의 오프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합의 평균치를 사용하며, 가감속시와 같이 실제적으로 급격한 흡기 부압의 변동이 발생되는 운전 영역에서는 그 순간의 흡기 부압을 적용하여 연료량이 희박하게 제어되지 않도록 한다.
메모리부(60)는 상기 제어부(50)가 검출되는 흡입 공기량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기본 연료량 산출을 위한 기준 매 테이블과 각 운전 조건에 따른 흡기 부압 적용을 위한 데이터 및 학습되는 흡기 부압의 평균치가 저장된다.
인젝터(70)는 상기 제어부(7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노즐의 개폐가 조정되어 산출된 연료량을 대응되는 각 연소실에 분사하여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본 발명에서 각 운전 조건에 따라 흡기 부압을 결정하여 연료량 산출에 적용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엔진 시동 온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어부(50)는 검출되는 각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의 엔진 상태 정보가 아이들 운전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1).
상기에서 엔진 상태 정보가 아이들 운전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운전 조건이 가속 혹은 감속중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흡기 부압에 대해서는 해당 순간에서의 흡기 부압(PBi)과 흡기 부압의 상한치(PB)를 제한하여 적용하고(S103),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흡기 부압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PBmean)를 적용한다(S104).
또한, 상기 S101의 판단에서 현재의 엔진 상태 정보가 아이들 운전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상태이면 현재의 운전 조건이 가속 혹은 감속중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의 판단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흡기 부압에 대해서는 해당 순간에서의 흡기 부압(PBi)을 적용하고(S106),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흡기 부압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PBmean)를 적용한다(S107).
상기와 같이 각각의 운전 조건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한 흡기 부압의 조건이 결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을 결정하고, 여기에 각 보정 조건을 더 포함하여 최종 연료량을 결정하며 최종 연료량을 기반으로 인젝터(70)의 개폐시간을 산출하여 각 기통별 점화시기에 따라 인젝터(70)의 개방을 제어하여 상기 산출된 연료량을 대응되는 각 연소실에 분사하여 준다(S108).
상기의 기본 연료량은 "흡기 부압 × 연료조성계수 × 충진효율 × 흡기온 보정계수"의 연산으로 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속 혹은 감속 이외의 오프 아이들 운전 영역에서는 흡기 부압의 평균치를 적용하여 기본 연료량을 계산하므로 엔진회전수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여 운전성 측면에서 쇼크 및 스트럼블 발생을 배제시키고, 아이들 운전 영역과 같은 흡입 공기량이 적은 운전 영역에서는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연료량의 과농에 의한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하여 엔진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유지된다.
또한, 공기압 센서(MAP 센서)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흡기 부압의 급격한 변동을 제한함으로써 연료량의 과농을 방지하여 에미션을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에서 엔진 제어를 수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

Claims (5)

  1.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 검출부와;
    가속 페달의 구동 변위를 검출하는 가속페달 검출부와;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와;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압 검출을 통해 공기량을 검출하고, 흡기 부압 산출을 위한 신호로 제공하는 공기압 검출부와;
    상기 검출되는 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의 산출과 각 보정 계수의 적용을 통한 최종 연료량 산출 및 분사 유지시간 결정 및 제어하는 제어부와;
    흡입 공기량 및 엔진 회전수를 기반으로 기본 연료량 산출을 위한 기준 매 테이블과 각 운전 조건에 따른 흡기 부압 적용을 위한 데이터 및 학습되는 흡기 부압의 평균치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의 개폐가 조정되어 산출된 연료량을 대응되는 각 연소실에 분사하는 인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운전 조건이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MAP 센서의 신호에 관계없이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 혹은 감속 이외의 오프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합의 평균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 혹은 감속시와 같이 실제적으로 급격한 흡기 부압의 변동이 발생되는 운전 영역에서는 그 순간의 흡기 부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5. 현재 차량이 아이들 운전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아이들 운전 영역이면 가속 혹은 감속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순간적인 흡기 부압과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적용하고,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와 흡기 부압의 상한치를 제한하여 적용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아이들 운전 영역이 아닌 상태이면 가속 혹은 감속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아이들 운전 영역이 아닌 상태에서 가속 혹은 감속중이면 순간적인 흡기 부압을 적용하고, 가속 혹은 감속중이 아닌 상태이면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흡기 부압의 평균치를 적용하는 과정 및;
    상기의 각 운전 영역의 조건에 따른 흡기 부합의 적용 조건이 결정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연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KR10-2002-0080423A 2002-12-16 2002-12-16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0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423A KR100507114B1 (ko) 2002-12-16 2002-12-16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423A KR100507114B1 (ko) 2002-12-16 2002-12-16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953A KR20040053953A (ko) 2004-06-25
KR100507114B1 true KR100507114B1 (ko) 2005-08-09

Family

ID=3734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423A KR100507114B1 (ko) 2002-12-16 2002-12-16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1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953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83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iming at which ignition is stopped wh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ecomes stopped
US7975670B2 (e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for torque-demand-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578866A1 (en) Purging device for during the idle stop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82105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047314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US7168422B1 (en)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60591B2 (ja) エンジンの空気量制御装置
KR100507114B1 (ko)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US6302091B1 (en) 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 for engines having feedback delay time compensation
US6935162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in an evaporated fuel processing system
JP200909734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038732A (ja) 内燃機関の燃料制御装置
JP3353416B2 (ja) 内燃機関の燃料制御装置
KR100461398B1 (ko) 차량용 엔진의 가속 연료량 보정 방법
JP3344122B2 (ja) 内燃機関の燃料圧制御装置
JPH0430358Y2 (ko)
KR100305815B1 (ko) 자동차의공기량보정장치및방법
JP4514602B2 (ja) 内燃機関の燃料カット制御方法
KR100405695B1 (ko) 연료량 제어방법
KR19990031680U (ko) 연료 분사량 제어장치
KR19980036855A (ko) 스로틀 밸브의 개도 변화량에 따른 연료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90363B1 (ko) 비동기 분사량의 이원화 보정방법
KR100427270B1 (ko) 가속시 연료량 학습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1182594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9980049754A (ko) 시동시 연료 분사량 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