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986B1 - 층간 소음 방지제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986B1
KR100506986B1 KR10-2003-0030125A KR20030030125A KR100506986B1 KR 100506986 B1 KR100506986 B1 KR 100506986B1 KR 20030030125 A KR20030030125 A KR 20030030125A KR 100506986 B1 KR100506986 B1 KR 10050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weight
parts
asphalt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730A (ko
Inventor
김우상
Original Assignee
김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상 filed Critical 김우상
Priority to KR10-2003-003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9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95/00Bituminous material, e.g. tar, asphal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제에 관한 것으로서, 유화아스팔트,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재유화분말형 수지,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우레탄 수분산제와 같은 수분산성 폴리머 등과 같이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갖는 결합제,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배합 타설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충밀성을 얻기 어려운 모서리나 이음매 부분 등에도 시공이 편리하고 또한 향상된 방음, 차음, 방진, 제진 및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층간 소음 방지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방지제{A composition for noise prevention}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방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상인 충진제와 수용액상인 결합제로 이루어져 현장 타설 방식을 통해 특히 층간 바닥충격음에 대한 차음, 제진, 방진, 방음 및 단열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단독주거 형태가 아닌 아파트를 비롯한 공동주택에 주거하고 있다. 단독주거 형태에 비하여 이 같은 공동주택 주거형태의 경우 특히 층간 소음이 문제시되고 있다. 이는 공동주택에 살면서도 독립적이고 조용한 환경을 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로는, 바닥 등을 시공할 때 별도로 방음 시트(sheet)를 적층하여 바닥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대다수이다.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로는 우레탄 시트나 아스팔트 시트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소음방지용 시트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상의 제품은 공장규격으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이를 현장에서 시공할 때는 현장 기능공이 적층해야 하므로,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시트 제품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고 모서리나 이음매 부분 등에는 시공이 불편하여 충밀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2004년 4월부터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 충격음을 경량충격음(작은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은 58dB 이하, 중량충격음(어린이가 뛰는 소리)은 50dB 이하로 규정하고자 하는 데, 이같은 시트상의 제품으로는 요구되는 방음성을 만족시키기도 어렵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모서리나 이음매 부분과 같은 부분에서도 시공이 편리하여 충밀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요구되는 소음방지 효과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를 이용한 층간 소음 방지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하던 중, 단순히 제진, 방음의 기능을 갖는 충진제를 포함하는 시트로서가 아니라 이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분말상의 충진제와, 이 충진제들과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자체가 점탄성을 가지는 결합제를 선택하여 분말상인 충진제와 수용액상인 결합제를 현장에서 배합하여 타설한 경우, 시공이 용이하고 어떤 부위라도 충밀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직접 타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이음매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시트로써 소음방지 시공이 불가능한 부분에도 충밀성을 얻을 수 있으며, 방음, 차음, 방진, 제진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방지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 소음 방지제는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가지는 결합제;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제는 크게는 분말상의 충진제와 수용액상의 결합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현장 배합 타설이 가능하다.
여기서, 수용액상의 결합제는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가지는 것이면 가능한 바, 구체적인 예로는 유화아스팔트,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재유화분말형 수지,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우레탄 수분산제와 같은 수분산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화아스팔트"는 물에 유화제나 보호콜로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수성폴리머(폴리비닐알콜, 메틸셀루로즈 등)를 사용하여 아스팔트를 수분산시킨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용되는 정의이다.
유화아스팔트를 결합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셀룰로즈 화이버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화아스팔트의 유동성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스팔트는 고온에서 흘러내려 재료가 분리되는 단점을 가지므로 충분한 양으로 결합제로 사용할 없다. 이는 아스팔트에 존재하는 아스팔텐 이외의 말텐, 로진이나 기타 오일 성분들이 온도에 대한 유동성이 크기 때문인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유화아스팔트와 함께 셀룰로즈 화이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셀룰로즈 화이버"란, 천연피혁, 면, 폐지폐, 폐신문지, 폐지 및 폐종이팩 등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길이 7mm 이하가 되도록 미분쇄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유화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5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결합에 참여할 결합제의 부족으로 인해 입자간 탈리가 발생되고, 바탕면과의 결합력이 부족하게 되어 제진 및 방진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유화폴리머 아스팔트"라는 용어는 유화아스팔트에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제진 및 방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폴리머를 혼합한 수분산성을 갖는 재료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는 탄성재료로서 자체만으로도 우수한 제진성능을 가지나, 고온에서는 연성의 성질을 가져서 제진성이 감소되므로 고온에서의 아스팔트의 감온성을 폴리머를 도입하여 개선함으로써 고온에서도 탄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제진성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 이같은 유화폴리머 아스팔트이다. 즉, 아스팔트 자체만으로도 이후로 설명되는 충진제 재료들을 결합시킬 수는 있으나, 고온에서의 아스팔트의 용융으로 인한 재료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스팔트의 감온성을 개선해야 하므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녹아내리는 현상을 없애고, 접착력을 강화하고, 폴리머의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제진 및 방음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규정치 이상의 폴리머가 도입된 경우에는 폴리머의 결합력 발휘로 인해 오히려 아스팔트보다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아스팔트 100중량부 당 폴리머는 80중량부 이하로 도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화폴리머 아스팔트의 제조에 도입되는 폴리머로는 라텍스계, 아크릴 에멀젼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우레탄 수분산제 등의 수분산성계 폴리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유화아스팔트나 유화폴리머 아스팔트를 결합재로 사용하는 것이 비용적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나, 이것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결합재로서 재유화분말형 수지,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등의 수분산성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유화아스팔트나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제조시에 도입된 폴리머를 단독적으로 결합제로 사용하더라도 충진제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재유화분말형 수지"라는 용어는 유화된 상태의 수분산성 폴리머를 분말화한 것으로 물이 첨가 되면 다시 원래의 수분산성 폴리머로 되돌아가는 수지로서 정의되어진다.
그리고 "수분산성 폴리머"라는 용어는 물에 불용성 폴리머가 유화제나 보호콜로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수성폴리머(폴리비닐알콜, 메틸셀루로즈 등)의 도움을 받아 균일하게 물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의 폴리머로서 정의되어진다.
"라텍스"라는 용어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천연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라텍스,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 등을 포함하는 고무 탄성을 갖는 수분산성 폴리머로서 정의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결합제는 환경친화적인 수용성의 제품으로서, 콘크리트나 유기, 무기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제진 및 방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분말상의 충진제란,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 및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는 통상 다공성을 갖는 충진제이면 가능하다. 구체적인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의 예로는 스티로폼, 경량골재, 다공성 실리카, 포러스 카본, 목분, 펄프, 섬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는 바, 그 입자크기는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크기가 10mm보다 클 경우에는 균일한 배합의 어려움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의 발생으로 양질의 소음방지층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그 함량은 상기 결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의 함량이 결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이면 차음 또는 방음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300중량부 초과면 결합제의 부족으로 입자간 또는 바닥 슬라브면과 본 발명 소음방지제층간의 접착력의 열세로 탈리현상이 일어나거나 발포력 저하로 인한 결합제층의 공극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는 다공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료 및 무기 충진제이다. 다공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폐타이어 입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등의 발포체 분쇄물 등을 들 수 있고, 무기충진제로는 탄산칼슘, 실리카, 클레이,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입자 또한 10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은 결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 바, 그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제진 및 방진 성능이 저하되고 200중량부 초과면 충진제간 또는 바닥 슬라브면과의 결합력이 나빠져 우수한 제진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음 방지제에서는 상기와 같은 분말상의 충진제를 상기 결합제와 혼합함에 있어서 충진제 표면의 젖음성을 개선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를 포함한다. 분산제로는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알킬에스터 설페이트염, 알킬아릴포스페이트, 로진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제의 사용량은 결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분산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분산제를 구성하고 있는 과도한 유화제 성분으로 인하여 충진제 및 슬라브 면과의 결합력이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소음 방지제를 벽면, 즉 수직면에 시공할 때에는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점도가 20,000cps 이상 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증점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로는 폴리아크릴산소다, 메틸셀룰로즈, 전분, 당밀, 카제인,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즈, 프로필메틸 셀룰로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점제를 사용할 경우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결합제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이 불가할 정도로 점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2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층간 소음 방지제를 현장 시공하는 방법은 분말상인 충진제와 수용액상인 결합제를 현장에서 배합할 때 분산제를 도입하여 결합제 내로 충진제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인 시공의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는 바, 먼저 바닥 슬라브층 시공 후에 상기와 같이 배합된 소음방지제를 타설한다. 이때, 최종적으로 보호 몰탈층이 타설될 부분까지 벽면을 따라 소음방지제를 타설하는 것이 충밀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소음방지제층을 형성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량 기포콘크리트층 및 보호몰탈층을 타설하면 된다.
본 발명의 층간 소음 방지제를 타설하여 소음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타설층의 두께가 3mm 내지 90mm 되도록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요구되는 소음방지 정도에 따라 이는 변형 가능한 정도임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화아스팔트는 이온교환수 40중량부에 양이온 유화제(알킬아민계) 또는 음이온 유화제(노닐페닐계 유화제, 옥틸-페닐계 유화제) 또는 비이온 유화제(폴리에틸렌글리콜에틸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페티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페닐에스테르 등)나 수성폴리머(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등)를 1.5중량부 사용하여 아스팔트 55중량부를 수분산한 제품이며, 이같은 유화아스팔트에 폴리머를 균일하게 분산한 것이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제품이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된 유화아스팔트나 유화폴리머 아스팔트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결합제로서 유화아스팔트 100중량부를 분산제(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2.3중량부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셀룰로즈 화이버 22중량부를 투입한 후 충분히 교반시켰다. 그 다음 실리카 30중량부, 스티로폼 입자 55중량부, 우레탄폼 입자 45중량부,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한 후 15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편의 비중은 1.1이고, 점도는 8,700cps이었다.
실시예 2
결합제로서 유화아스팔트 76중량부에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금호석유화학 KSL 106) 24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분산제(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1.3중량부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 30중량부, 스티로폼 입자 55중량부, 우레탄폼 입자 45중량부,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한 후 15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편의 비중은 1.2이고, 점도는 7,200cps이었다.
실시예 3
결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금호석유화학 KSL 106) 100중량부에 분산제(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5중량부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 30중량부, 스티로폼 입자 55중량부, 우레탄폼 입자 45중량부,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한 후 15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편의 비중은 1.2이고, 점도는 7,500cps이었다.
실시예 4
결합제로서 유화아스팔트 100중량부에 분산제(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1.6중량부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 30중량부, 스티로폼 입자 55중량부, 우레탄폼 입자 45중량부,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한 후 15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편의 비중은 1.1이고, 점도는 7,600cps이었다.
실시예 5
결합제로서 아크릴 에멀젼(대한고분자 DPC-475) 100중량부에 분산제(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0.9중량부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 30중량부, 스티로폼 입자 55중량부, 우레탄폼 입자 45중량부,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투입한 후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한 후 15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시편의 비중은 1.2이고, 점도는 8,400cps이었다.,
비교예 1: 시판되고 있는 발포고무계 방음시트(15mm 두께 시편, 비중 0.8)
비교예 2: 시판되고 있는 용융아스팔트계 제진시트(15mm 두께 시편, 비중 1.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구체 조성을 정리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결합제 유화아스팔트 100 - - 100 - 발포고무계 시트 용융아스팔트 시트
유화폴리머아스팔트 - 100(1) - - -
스티렌-부타디엔라텍스 - - 100 - -
아크릴 에멀젼 - - - - 100
충진제(2) 실리카 30 30 30 30 30
스티로폼 입자 55 55 55 55 55
우레탄폼 입자 45 45 45 45 45
탄산칼슘 10 10 10 10 10
분산제(소듐트리폴리포스페이트) 2.3 1.3 0.5 1.6 0.9
셀룰로즈 화이버(3) 22 - - - -
비중 1.1 1.2 1.2 1.1 1.2 0.8 1.3
점도(cps) 8,700 7,200 7,500 7,600 8,400 - -
(주)(1)유화아스팔트 76중량부+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24중량부(2)충진제는 모두 입자크기가 10mm 이하인 것임(3)천연피혁, 면, 폐지폐, 폐신문지, 폐지 및 폐종이팩 등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길이 7mm 이하로 미분쇄한 것
이와같이 얻어진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층간소음 방지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산업규격(KS)인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 현장 측정 방법 중에서 표준경량 충격원에 의한 방법은 KS F2810-1에 의거하여, 표준중량 충격원에 의한 방법은 KS F 2810-2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측정 대상 바닥 위에 표준 경량/중량 충격원을 이용해서 충격음을 발생시키고 주변 벽으로부터 50cm 이상 떨어진 바닥 평면내로 중앙점 부근 1점을 포함해서 평균적으로 분포하는 3 내지 5점으로 한다. 측정 주파수는 50 내지 5,000Hz까지를 1/3 옥타프 밴드로 측정한 뒤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주파수(Hz)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경량충격음 저감량(dB) 500 10 11 8 8 9 4 4
1000 11 12 10 10 10 5 6
4000 12 11 9 9 9 6 7
중량충격음 저감량(dB) 63 9 8 9 8 9 5 4
125 10 10 10 9 10 6 5
250 11 11 10 10 10 6 4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유화아스팔트,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등과 같이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갖는 결합제를 사용하여 여기에 차음 또는 방음,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를 첨가하고 분산제와 혼합하여 타설하는 경우(실시예 1 내지 5)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진 시트 등에 비하여 충격음 저감량이 월등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유화아스팔트를 결합제로 사용할 경우 셀룰로즈 화이버를 더 첨가한 경우(실시예 1)가 셀룰로즈 화이버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실시예 4)에 비하여 유화아스팔트의 재료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유화아스팔트,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재유화분말형 수지,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우레탄 수분산제와 같은 수분산성 폴리머 등과 같이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가지는 결합제에 차음 또는 방음,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를 첨가하고, 배합시에 분산제를 포함시켜 타설하는 경우 현장에서 배합 타설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충밀성을 얻기 어려운 모서리나 이음매 부분 등에도 시공이 편리하고 또한 향상된 방음, 차음, 방진, 제진 및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소음 방지제의 시공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Claims (6)

  1.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가지는 결합제;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방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충진제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재료 자체가 점탄성을 가지는 결합제는 유화아스팔트, 유화폴리머 아스팔트, 재유화분말형 수지,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및 우레탄 수분산제와 같은 수분산성 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유화폴리머 아스팔트는 유화아스팔트에 라텍스, 아크릴 에멀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또는 우레탄 수분산제와 같은 수분산성 폴리머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차음 또는 방음 충진제는 스티로폼, 경량골재, 다공성 실리카, 포러스 카본, 목분, 펄프 및 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으로 그 함량은 결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0중량부이고;
    제진 또는 방진 충진제는 폐타이어 입자, 폴리에틸렌 발포체 분쇄물,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분쇄물, 우레탄 발포체 분쇄물, 탄산칼슘, 실리카, 클레이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으로 그 함량은 결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유화아스팔트이며, 셀룰로즈 화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현장 배합 타설형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방지제.
KR10-2003-0030125A 2003-05-13 2003-05-13 층간 소음 방지제 KR10050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25A KR100506986B1 (ko) 2003-05-13 2003-05-13 층간 소음 방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25A KR100506986B1 (ko) 2003-05-13 2003-05-13 층간 소음 방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30A KR20040097730A (ko) 2004-11-18
KR100506986B1 true KR100506986B1 (ko) 2005-08-09

Family

ID=3737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125A KR100506986B1 (ko) 2003-05-13 2003-05-13 층간 소음 방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58A (ko) 2015-02-25 2016-09-02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45B1 (ko) 2006-12-27 2007-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제진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658A (ko) 2015-02-25 2016-09-02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동 감쇠용 점탄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진동 감쇠시트 및 진동 감쇠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30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7789B (zh) 一种发泡混凝土夹芯的防爆保温多功能板材的制备方法
JP3009059B2 (ja) 発泡結合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13900B (zh) 泡沫混凝土及制备方法
KR1019638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복합 중층막 보수공법
US6319579B1 (en) Settable mix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und insulating floor construction
AU2012206496A1 (en) Coating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4985937B2 (ja) 床用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
US20220306532A1 (en) Fire resistant compositions and articl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7488012A (zh) 一种湿拌复合轻集料混凝土及其制备方法
WO2020208401A1 (en) Dry powder composition, composite and method for attenuating impact noise in a building
KR100506986B1 (ko) 층간 소음 방지제
KR100521694B1 (ko) 발포 폴리스티렌 폐재를 이용한 단열,흡음,충격음방지재및 그 제조방법.
MX2010010288A (es) Materiales de tabla-roca que incorporan matriz de microparticulas.
KR100506987B1 (ko) 층간 소음 방지제
CN208685883U (zh) 复合板及其包含该复合板的浮筑楼板
EP1095913A1 (en) Technological additive for agglomerating projectable building materials and utilization of the additive in projected mortars and concretes
CN108911689A (zh) 一种吸声材料
KR101722983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기포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닥충격음 저감용 기포 콘크리트
KR102577733B1 (ko) 층간소음방지 모르타르 조성물, 모르타르층,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소음방지 바닥구조
CN110357508B (zh) 一种隔声减振防火砂浆及其制备方法
CN108439894A (zh) 新型降噪隔声的材料以及制造方法
CN109138244A (zh) 复合板及其在浮筑楼板中的用途
CN107793110A (zh) 一种增韧型隔音隔墙板及其制备方法
CN109912286B (zh) 一种干式地暖模块及其制备方法
JP2012255269A (ja) 耐震スリッ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