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760B1 -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 Google Patents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760B1
KR100505760B1 KR1019970063412A KR19970063412A KR100505760B1 KR 100505760 B1 KR100505760 B1 KR 100505760B1 KR 1019970063412 A KR1019970063412 A KR 1019970063412A KR 19970063412 A KR19970063412 A KR 19970063412A KR 100505760 B1 KR100505760 B1 KR 10050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layer
adhesive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829A (ko
Inventor
데쓰유키 우타가와
히로아키 이와부치
요이치 소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6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7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Abstract

기초재시이트(1)의 편면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감응성점착층(2)을 갖고, 또한 그 반대면의 적어도 일부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의 경화물로 된 박리층(3)을 갖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0)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0)를 압력감응성점착층(2)과 박리층(3)과를 대면시켜 복수매 중첩시켜서 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이다.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0)는 간단한 장치로 가공작업성이 양호하게 제조할 수가 있고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0)를 복수매 중첩시킨 적층체는 단말부가 끝말리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본 발명은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sheet)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택배화물이나 상품포장체등에 점착되는 택배라벨(label)이나 상품표시라벨, 주의서라벨, 기타의 표시라벨 등으로서 아주 적당한 끝말림(curling)의 발생이 방지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이 시이트를 복수매 중첩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택배화물이나 상품포장체 등의 표면에 그 화물이나 상품의 종류, 취급등을 표시하기위해 라벨이 점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택배라벨, 제품표시라벨, 주의서라벨 등의 표시라벨은 이제까지 용지형상 혹은 테이프형상의 박리지로 된 대지상에 중첩시킨 것을 용지형상의 대지로부터 박리시켜 혹은 테이프형상의 대지를 일정한 위치에서 절단한 후 박리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시라벨은 이것을 사용한 후에 박리지가 쓰레기로서 남고 그 사용량에 따라 폐기물이 많아져서 환경상 바람직하지 않고 또 테이프형상의 대지를 절단할 때에 부상할 위험이 있는 등의 결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기초재시이트의 편면에 기초재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비도포부분을 남기고 압력감응성점착제를 도포해서 압력감응성점착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반대면에 박리층을 형성해서 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그 압력감응성점착층과 박리층과를 대면시켜서 복수매 중첩시킨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등록 실용신안공보제 3003840호). 이와 같은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1매씩 박리시켜서 점착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외에 박리지 등의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등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구성하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는 박리층에 일반의 가열경화형 실리콘수지의 경화물을 사용하고 있고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제조공정에서 실리콘수지를 100∼200℃정도의 고온으로 경화시키기 때문에 열로 기초재시이트가 변형하거나 수분의 방출이나 흡습에 의해 기초재시이트가 신축되거나 해서 얻어진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가 끝말리는 것을 면할 수가 없다.
그 외에 대규모의 설비를 필요로 하고 또한 가공작업에 장시간을 요한다. 더구나 가열경화형의 실리콘수지의 대부분은 다량의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위생면이나 환경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1은 종래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의 일예의 사시도이며 단말부가 끝말림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한편 근년에 자외선(UV)이나 전자선(EB)을 사용하는 UV EB 경화시스템이 개발되고 무용제로서 또한 저온으로 경화시킬수 있는 것때문에 저공해, 자원절약, 에너지절약이라는 특징에 추가해서 고성능의 도포막이 얻어지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 있어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UV EB 경화시스템의 응용은 도료, 잉크, 접착제, 피복제, 내식막, 감광성인쇄판, 치과재료용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끝말림의 발생이 방지되고 또한 간단한 장치로 가공작업성이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표시라벨등으로서 아주 적당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그것을 중첩시킨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박리층으로서 자외선이나 전자선등의 전리방사선에 의해 저온에서 경화시킬 수 있는 박리성수지의 경화물로 된 층을 사용함으로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발견에 기초해서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초재시이트의 편면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감응성 점착층을 갖고 또한 그 반대면의 적어도 일부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의 경화물로 된 박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를 압력감응성점착층과 박리층과를 대면시켜 압력감응성점착층전면이 박리층으로 덮이도록 복수매 중첩해서 된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적층체의 다른예의 단면도이다. 도2는 적층해야 할 복수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가 각각의 기초재시이트와 동일한 위치에 압력감응성점착층을 갖는 경우의 적층체의 단면도로서 기초재시이트(1)의 편면에 압력감응성점착층(2)이 형성되고 또한 그 반대면의 적어도 압력감응성점착층(2)에 대응하는영역(즉 압력감응성점착층의 형성위치의 바로 이면의위치)에 박리층(3)이 형성된 구조의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0)를 압력감응성점착층(2)과 박리층(3)과를 대면시켜 압력감응성점착층(2)전면이 박리층(3)으로 덮이도록 복수매 중첩시킨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3은 적층해야 할 복수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가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 마다에 압력감응성점착층이 형성되는 위치가 다른 경우의 적층체의 단면도로서 기초재시이트(1)의 편면의 단말부(A)에 압력감응성점착층(2)이 형성되고 또한 그 반대면의 다른쪽의 단말부(B)에 박리층(3)이 형성된 구조의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1)를 압력감응성점착층(2)과 박리층(3)과를 대면시켜 압력감응성점착층(2)전면이 박리층(3)으로 덮이도록 복수매 중첩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2 및 도3에 있어서 (20)은 박리시이트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상기한 (10),(11)과 다른 예의 단면도로서 기초재시이트(1)의 편면에 밀봉층(4) 및 압력감응성점착층(2)이 순차로 적층되고 또한 그 반대면에 밀봉층(5), 인쇄층(6) 및 박리층(3)이 순차로 적층된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밀봉층을 갖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2)에 있어서도 압력감응성점착층(2)과 박리층(3)은 도2의 경우와 같이 기초재시이트(1)의 양면의 동일한 단말부에 형성해도되고 또 도3과 같이 기초재시이트(1)의 양면의 다른 단말부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에 사용되는 기초재시이트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종래에 표시라벨등에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기초재시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상질지, 글라신지, 피복지등의 종이류, 폴리에스테르시이트, 폴리올레핀시이트, 폴리스티렌시이트 등의 프라스틱시이트등을 들 수가 있다. 이 기초재시이트의 두께는 특히 제한은 없고 각종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면 되지만 통상 10∼300㎛, 바람직하게는 50∼150㎛의 범위이다. 또 이 기초재시이트로서 프라스틱시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편면 또는 양면에 그 위에 형성되는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소망에 따라 모래분사나 용제처리 등에 의한 요철화처리 혹은 코로나방전처리, 오존, 자외선조사처리, 화염처리, 크롬산처리, 열풍처리 등의 산화처리 등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기초재시이트의 편면에 압력감응성점착층이 형성되고 또한 그 반대면에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으나 소망에 따라 특히 기초재시이트가 종이나 부직포에서는 기초재시이트와 압력감응성점착층과의 사이에 밀봉층을 형성해도 되고 또 기초재시이트와 박리층과의 사이에 밀봉층 또는 인쇄층 혹은 밀봉층과 인쇄층과를 순차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밀봉층은 박리제, 압력감응성점착제, 인쇄잉크의 기초재에의 침투방지외에 은폐성, 및 압력감응성점착층과의 밀착성이나 박리층과의 밀착성, 혹은 인쇄층과의 밀착성이나 인쇄적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또 기초재시이트가 종이로서 지나치게 유연한 경우에는 강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 밀봉층으로서는 통상 스티렌-부타디엔혼성중합체, 아크릴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점토, 실리카, 탄산칼슘,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충전제를 첨가한 것으로 된 층을 들 수가 있다. 이 밀봉층의 두께는 통상 0.1∼3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망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층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부티랄계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수지, 아세틸셀룰로오스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염화비닐계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혼성중합체수지등의 결합제와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안료, 용제 등을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인쇄방법, 예를 들면 그라비아인쇄,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플렉소인쇄 등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이 인쇄층위에 직접 박리층을 형성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인쇄층의 보호를위해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박리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보호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계수지, 전분, 알키드수지 등으로 된 층을 들 수가 있다. 이 보호층의 두께는 통상 0.1∼3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박리층은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의 경화물로 된 층이다. 상기한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로서는 전리방사선에 의해 저온에서 경화하고 압력감응성점착층에 대해 박리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되고 특히 제한은 없다. 전리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가 있고 특히 자외선이 아주 적당하다. 이 자외선은 예를 들면 고압수은램프, 휴존 H 램프, 크세논램프 등에서 얻을 수 있고 한편 전자선은 전자선가속기등에서 얻어진다.
이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으로 경화되는 라디칼부가형, 라디칼중합형, 백금부가형, 양이온경화형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자외선경화형과 종래의 가열경화형의 경화특성을 제1표에 나타낸다.
자외선경화 가열경화
라디칼부가형 라디칼중합형 백금부가형 양이온경화형 부가축합형
경화온도(℃) 0∼80 0∼80 0∼80 0∼80 100∼200
경화시간(초)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3∼5 10∼30
경화성 양호 양호 떨어짐 양호 양호
경화설비
가공작업성 용이 용이 용이 용이 곤란
즉 자외선경화형은 어느 것이나 종래의 가열경화형에 비해서 경화온도가 낮고 또한 경화시간이 짧은 외에 경화설비가 적고 가공작업성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경화온도가 낮기 때문에 얻어진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변형이나 흡습방습에 의한 끝말림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로서 상기한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라디칼부가형, 라디칼중합형, 백금부가형, 양이온경화형의 어느 형의 것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 백금부가형은 경화에 요하는 시간이 약간 길고 경화성이 떨어지지만 자외선조사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또 양이온경화형은 표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염기성물질에 의한 경화저해를 받기 쉽다. 따라서 박리층에 양이온경화형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이 박리층과 접하는 층에 염기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층과 박리층과의 사이에 장벽층을 형성하면 된다. 예를 들면 기초재 또는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에 경화저해를 일으키는 염기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염기성물질등에 의한 경화저해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초재 또는 인쇄층과 박리층과의 사이에 장벽층을 형성하면 된다. 물론 이 장벽층은 상기한 인쇄층의 보호를 위해 보호층을 겸해도 된다.
장벽층으로서는 염기성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조모성이 있는 것이면 되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면 소위 투명니스나 전술한 보호에 사용되는 수지로부터 적절히 선정할 수가 있다. 또 압력감응성점착층이 통상의 가교형점착제(유기계가교제로 가교되는형)로 되는 경우 박리가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압력감응성점착층으로서 비가교형점착제 또는 금속계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이 문제는 없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4가지형의 전리 방사선경화형 박리성수지로서 박리성이 요구되는 것때문에 통상 자외선감응성실리콘수지가 사용되지만 특히 자외선감응성 백금부가형 실리콘수지 및 자외선감응성 양이온경화형 실리콘수지가 상기한바와같이 대규모의 설비를 설치하는 일이 없이 실용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자외선감응성 라디칼부가형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실록산과 메르캅토기를 함유하는 실록산 및 광촉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광촉매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아세트페논, 프로피오페논, 벤조페논, 크산톤,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플루오레논 등을 들 수가 있다.
자외선감응성 라디칼중합형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일기가 도입된 실리콘계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와 광중합개시제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가 있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종래에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 공지의 것, 예를 들면 유기과산화물, 카르보닐화합물, 유기황화합물, 아조화합물 등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자외선감응성 백금부가형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다관능비닐기가 도입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및 백금계촉매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백금계촉매로서는 광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백금비스(2,4-펜타디오네이트), 디페닐백금(1,5-시클로옥타디엔), 디페닐백금(2,4-헥사디엔) 등의 광활성촉매나 이것과 에틸아조카르복실레이트로 대표되는 광붕괴억제제와의 조합등을 들 수가 있다.
다시 또 자외선감응성 양이온경화형 실리콘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에테르기 또는 에폭시기가 도입된 실리콘계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와 광양이온중합촉매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가 있다. 광양이온중합촉매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종래에 광양이온중합촉매로서 공지의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아릴술포늄염, 트리아릴요오드늄염, 비스(도데실페닐)헥사플루오르안티모네이트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리층은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자외선감응성 실리콘수지로 된 층을 기초재시이트상, 밀봉층상, 인쇄층상, 보호층상 또는 장벽층상에 형성하고 파장영역이 바람직하게는 200∼400nm, 양이온경화형실리콘수지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nm의 범위에 있는 자외선을 또 백금부가형실리콘수지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400nm의 범위에 있는 자외선을 0∼80℃ 정도의 온도로 조사해서 경화시킴으로서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박리층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박리층의 두께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되고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통상은 0.1∼10.0㎛, 바람직하게는 0.5∼4.0㎛의 범위이다.
이 박리층은 기초재시이트의 전면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도2 및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초재시이트의 압력감응성점착층과 반대면의 적어도 일부분, 통상은 그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에 적층되는 다른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압력감응성점착층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하면 된다.
박리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므로서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는 날인이나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기초재시이트와 박리층과의 사이에 소망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층, 인쇄층, 보호층, 혹은 장벽층은 상기한 박리층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그보다 넓은 범위에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이 박리층의 반대측의 기초재시이트상, 또는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밀봉층상에 형성되는 압력감응성점착층은 압력감응성점착제로 된 층이다. 이 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종래에 공지의 것, 예를 들면 아크릴계압력감응성점착제, 고무계압력감응성점착제, 실리콘계압력감응성점착제 등을 들 수가 있으나 이들 중에서 비가교형의 것, 금속계가교제로 가교된 것 및 유기가교제로 가교된것이 압력감응성점착층과 박리층과의 박리성, 압력감응성점착층과 피접착체와의 접착성 등의 면으로부터 아주 적당하다. 그리고 이들 압력감응성점착제는 대응하는 박리층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박리층에 자외선감응성 라디칼중합형 또는 백금부가형실리콘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비가교형압력감응성점착제, 금속계가교제로 가교된 압력감응성점착제 및 유기계가교제로 가교된 압력감응성점착제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박리층에 자외선감응성 양이온경화형실리콘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압력감응성점착층에 유기계가교제로 가교된 압력감응성 점착제를 사용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박리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비가교형 또는 금속계가교제로 가교된 압력감응성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계가교제로서는 종래에 공지의 것, 예를 들면 티타늄, 알루미늄, 지르코늄의 킬레이트화합물을 들 수가 있고 한편 유기계가교제로서는 종래에 공지의 것,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에폭시화합물, 멜라민화합물 등을 들 수가 있다. 물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아크릴계 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는 주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산에스테르단독중합체, 아크릴산에스테르단위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성중합체 및 아크릴산에스테르와 다른 관능성단량체와의 혼성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부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펜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헥실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헵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옥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노닐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데실에스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관능성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무수말레산 등의 카르복실기함유단량체,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에스테르 등의 히드록실기함유단량체, (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함유단량체등을 들 수가 있다.
이 아크릴계압력감응성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용제형과 유제형으로 대별되고 용제형은 통상 상기한 아크릴계폴리머, 용제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가교제나 점착부여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경우 가교제로서는 상기한 금속계가교제나 유기계가교제를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유제형은 통상 상기한 아크릴계폴리머, 유화제, 수성용매,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점착부여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무계 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는 주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혼성중합체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이 고무계압력감응성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부여제, 가소제, 충전제등을 배합할 수가 있다. 또 형태로서는 통상 용제형이나 상기한 고무의 유액을 사용한 유제형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시 또 실리콘계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주성분으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이나 폴리디페닐실록산을 함유하고 다시 또 소망에 따라 점착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등을 함유하는 용제형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압력감응성점착제에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점착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송진계수지, 폴리테르펜계수지등의 천연수지, 지방족계석유수지(C5계등), 방향족계석유수지(C9계등), 지환족계석유수지(DCPD계등), 쿠마론수지, 알킬페놀수지, 크실렌수지 등의 합성수지등을 들 수가 있다.
압력감응성점착제로 된 압력감응성점착층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노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이 압력감응성점착층의 두께도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통상은 5∼50㎛, 바람직하게는 10∼30㎛의 범위이다.
이 압력감응성점착층은 기초재시이트전면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통상은 1개소의 단말부근방을 남겨두고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작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1매씩 박리시킬 때에 박리되기 쉽게 하기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력감응성점착층의 점착력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gf/25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력이 500gf/25mm 미만에서는 피접착체에 점착시킬 때에 부상박리가 발생하거나 박리불량이 생겨서 표시라벨로서의 기능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점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한 점착력은 1000gf/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는 피접착체의 종류에 따라 피접착체로부터 박리가능한 것이라도 되고 또 피접착체에 영구접착되는 것이라도 된다. 따라서 점착력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한 점착력은 일본공업규격 Z 0237-1980에 준거해서 구한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에 대한 값이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면에 두께 15㎛의 점토피복을 실시한 평량 90g/m2의 상질지로 된 기초재시이트의 편면에 자외선감응성 양이온경화형 실리콘계 박리제[도시바실리콘(주)제, 상품명:TPR 6500]을 마이어바아를 사용해서 도포한 후 고압수은의 자외선조사기(120W) 2등을 사용해서 도포면에 10m/분의 속도로 실온에서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서 두께 2.0㎛의 박리층을 형성했다.
다음에 이 박리층의 반대측의 기초재시이트표면에 아크릴용제계 강압력감응성점착제[도요잉크제조(주)제, 상품명:BPS 4429-4]를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 롤나이프도포기로 도포해서 건조시켜 두께 20㎛의 압력감응성점착층을 형성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제조했다. 이어서 이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임의의 크기로 평판으로 절단하여 압력감응성점착층과 박리층을 대면시켜서 100매를 적층한 후 각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도포면적이 80%가 되도록 재단해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조했다.
이 적층체에 대해 적층후의 끝말림의 유무 및 적층체제조 14일 후의 첨부작업성을 조사했다. 또 적층전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점착력을 일본공업규격 Z0237-1980에 준거해서 측정하고 다시 또 피접착체[스테인레스강판(SUS 306)]에 점착시킨때의 부상박리의 발생의 유무를 조사했다. 이들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 아크릴용제계 강압력감응성점착제[BPS 4429-4]에 대해 고체형분 100중량부당 금속계가교제[도요잉크제조(주)제, 상품명: BXX4805] 0.5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제조하고 다시 또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조했다. 이들 평가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양면에 두께 15㎛의 점토피복을 실시한 평량 90g/m2의 상질지로 된 기초재시이트의 편면에 자외선감응성 백금부가형 실리콘계 박리제[신에쓰가가꾸 고오교(주)제, 상품명:X-62-5413]에 대해 그 고체형물 100중량부당 백금촉매로서 동사제 [Cat-PL-5000] 5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마이어바아를 사용해서 도포한 후 80℃에서 8초간 열처리하여 이어서 고압수은의 자외선조사기(160W) 2등을 사용해서 도포면에 10m/분의 속도로 실온에서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서 두께 2.0㎛의 박리층을 형성했다.
다음에 이 박리층의 반대측의 기초재시이트표면에 아크릴용제계 강압력감응성점착제[도요잉크제조(주)제, 상품명:BPS 4429-4]를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 롤나이프도포기로 도포해서 건조시켜 두께 25㎛의 압력감응성점착층을 형성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제조했다. 이어서 이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임의의 크기로 평판으로 절단하여 압력감응성점착층과 박리층을 대면시켜서 100매를 적층한 후 각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도포면적이 80%가 되도록 재단해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조했다. 이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에 대해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평가했다. 이들 평가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 아크릴용제계 강압력감응성점착제[BPS 4429-4]에 대해 고형분 100중량부당 금속계가교제[도요잉크제조(주)제, 상품명: BXX4805] 0.5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사용한 것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제조하고 다시 또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조했다. 이들 평가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 있어서 압력감응성점착제로서 아크릴용제계 강압력감응성점착제[BPS 4429-4]에 대해 고형분 100중량부당 이소시아네이트계가교제[도요잉크제조(주)제, 상품명: BHS8515] 0.5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사용한 것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제조하고 다시 또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조했다. 이들 평가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1에서 사용한 기초재시이트의 편면에 가열경화형실리콘수지[도레 다우코닝 실리콘(주)제, SRX357]에 그 고체형분 100중량부당 촉매로서 동사제의 [SRX212] 0.6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마이어바아를 사용해서 도포한 후 130℃에서 1분간 열풍건조처리해서 실리콘수지를 경화시켜 2.0㎛의 박리층을 형성했다. 이하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제조하고 다시 또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적층체를 제조했다. 이들 평가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점착제 아크릴계비가교 아크릴계금속가교 아크릴계비가교
박리제(실리콘수지) 양이온경화형 양이온경화형 백금부가형
적층후의끝말림 없음 없음 없음
적층체제조14일후의 첨부작업성1) 양호 양호 양호
점착력2)(g/25mm) 1400 1500 1300
점착시이트의 부상박리발생유무 없음 없음 없음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점착제 아크릴계금속가교 아크릴계이소시아네이트가교 아크릴계비가교
박리제(실리콘수지) 백금부가형 백금부가형 가열경화형
적층후의끝말림 없음 없음 있음
적층체제조14일후의 첨부작업성1) 양호 양호 불량(끝말림)
점착력2)(g/25mm) 1450 1600 1450
점착시이트의 부상박리발생유무 없음 없음 없음
주 1) 적층체 제조후 14일 2) 점착력은 일본공업규격 Z 0237-1980에 준거해서 냉간압연 스테인레스 강판에 대한 값으로 측정했다.
제2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실시예1∼5에 있어서는 적층후의 끝말림도없고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1은 박리제로서 가열경화형의 실리콘수지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경화시의 온도가 높고(130℃), 적층후의 끝말림이 확인되고 첨부작업성이 나쁘다.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는 간단한 장치로 가공작업성이 양호하게 제조할 수가 있고, 더구나 종래 제품과 같이 끝말림의 발생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이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를 복수매 중첩시킨 적층체는 단말부가 끝말리는 일이 없기때문에 1매씩 박리시켜서 택배화물이나 상품포장체 등에 택배라벨이나 상품표시라벨, 주의서라벨 등의 표시라벨로서 작업성이 양호하게 점착시킬 수가 있다. 또 택배배송용 라벨로서 박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날인이나 필기 후 그 부분을 절취하여 수령증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초재시이트
2. 압력감응성점착층
3. 박리층
4. 밀봉층
5. 밀봉층
6. 인쇄층
10.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11.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12.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20. 박리시이트
A. 단말부
B. 단말부

Claims (5)

  1. 기초재시이트(1)의 편면의 일부에 압력감응성점착층(2)을 갖고 또한 그 반대면의 일부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박리성수지의 경화물로 된 박리층(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전리방사선경화형 박리성수지가 자외선감응성실리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자외선감응성 실리콘수지가 자외선감응성 양이온경화형실리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자외선감응성 실리콘수지가 자외선감응성 백금부가형실리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10)를 압력감응성점착층(2)과 박리층(3)과를 대면시켜 압력감응성점착층(2) 전면이 박리층(3)으로 덮이도록 복수매 중첩시켜서 된 압력감응성 점착시이트적층체.
KR1019970063412A 1996-11-29 1997-11-27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KR10050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412A KR100505760B1 (ko) 1996-11-29 1997-11-27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9247 1996-11-29
KR1019970063412A KR100505760B1 (ko) 1996-11-29 1997-11-27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29A KR19980042829A (ko) 1998-08-17
KR100505760B1 true KR100505760B1 (ko) 2005-09-26

Family

ID=4367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412A KR100505760B1 (ko) 1996-11-29 1997-11-27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20B1 (ko) * 1999-04-30 2003-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이용한 라미네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29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5516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067519B1 (ko) 표면보호용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0352124A2 (en) Adhesive label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P3420044B1 (en) Clear extended content label with selectively detackified adhesive
JP2007190914A (ja) 複合シート
EP263189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label
JP4151838B2 (ja) 光学用保護テープ
JPH10212461A (ja)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積層体
JP3660462B2 (ja) 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
KR100505760B1 (ko)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및 압력감응성점착시이트 적층체
JP5005141B2 (ja)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2005275387A (ja) 貼替防止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574524B2 (ja) フォトマスク保護用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6262869A (zh) 胶粘片
JP3547635B2 (ja) タック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6371B2 (ja) 印刷用再剥離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68214A (ja) ステッカー用粘着フィルムおよびステッカー
JP3660461B2 (ja) 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
JP7023682B2 (ja) 粘着フィルム、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物の製造方法
JPH0731002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
JP2001098226A (ja) Uv硬化型感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接着性シート
JPH10263466A (ja) 感圧接着性プリント用シート
JP2001011395A (ja) Uv硬化型感圧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接着性シート
JP2849307B2 (ja) 透明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326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