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757B1 -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757B1
KR100503757B1 KR10-2002-0011506A KR20020011506A KR100503757B1 KR 100503757 B1 KR100503757 B1 KR 100503757B1 KR 20020011506 A KR20020011506 A KR 20020011506A KR 100503757 B1 KR100503757 B1 KR 10050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exhaust port
rotational speed
foo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646A (ko
Inventor
이원우
오근석
이소현
손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4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개선된 공기 배출구와 습도센서 장착구조를 갖는 전자렌지는, 그 내부가 조리실과 기계실로 구획되는 본체와, 기계실 내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조리실 내로 유입시키고 기계실 내 여러 요소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구비한다.
이 전자렌지에서 공기순환유닛은 조리실 공기를 배출하고, 습도센서는 조리실내 조리상태를 감지한다. 이 전자렌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된 조리물의 정보에 따라 조리물의 조건을 판단하고, 판단된 조건에 따라 냉각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습도센서의 감지성능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함으로써 전자렌지의 조리실 내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 습도센서의 감지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는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그네트론(Magnetron)을 이용하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오븐(Oven)이다. 이러한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는 기본파 2,450 MHz를 가지며, 조리실 내로 방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키고 조리물 내의 분자들 간의 마찰열을 발생시켜 조리물을 조리한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습도센서를 갖춘 전자레인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전자렌지의 작동에서, 습도센서는 조리실 내부의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습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공정을 제어한다.
도 1은 습도센서를 갖춘 종래의 전자레인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전자렌지의 몸체(1)는 조리실(2)과 기계실(3)로 구획되어 있다. 조리실(2)을 닫기 위해 도어(4)가 본체(1)에 힌지 결합된다. 이 전자렌지는 또한 본체(1)의 전면 벽에 설치되며 다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된 콘트롤 패널(5)을 구비한다. 습도센서(6)는 본체(1)에 설치되어 조리실 내에서 조리되고 있는 조리물의 작동 조건을 감지한다.
조리실(2)은 전방이 개방되며, 이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2a)를 구비한다. 그리고 조리실(2)의 일측벽(7)의 앞부분에는 공기 유입구(7a)가 형성되어 조리실(2)과 기계실(3)이 소통되게 한다. 공기는 기계실(3)에서 유입구(7a)를 통하여 조리실(2)로 유입된다. 조리실(2)의 타측벽(8)의 뒷부분에는 조리실(2)의 공기가 본체(1) 외부의 대기로 배출되도록 배기구(8a)가 형성되어 있다.
기계실(3)에는 마그네트론(3a)과, 냉각팬(3b)과, 공기안내덕트(3c)가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론(3a)은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며, 냉각팬(3b)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기계실(3)내에 설치된 마그네트론(3a)과 같은 전장품을 냉각시킨다. 공기 안내덕트(3c)는 기계실(3)의 공기를 유입구(7a)측으로 안내한다. 냉각팬(3b)은 마그네트론(3a)과 기계실(3)의 후벽면 사이에 배치된다. 외부 공기가 본체(1) 외측에서 기계실(3) 안으로 유입되도록 기계실(3) 후벽의 미리 정해진 곳에는 다수의 공기 흡입구(3d)가 천공되어 있다.
습도센서(6)는 조리실(2)에서 나오는 공기배출통로에 위치되도록 배기구(8a)에 인접한 위치에서 조리실(2) 타측벽(8)에 설치된다. 습도센서(6)는 배기구(8a)를 통과해서 조리실(2)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이 습도센서(6)는 콘트롤 패널(5)에 설치된 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 회로기판에 신호를 출력한다.
콘트롤패널(5)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조리접시(2a)에 조리물이 놓인 전자렌지를 작동시키면, 고주파수의 전자파가 마그네트론(3a)에서 조리실(2) 안으로 방사되어 식품을 조리한다. 그러한 작동 중에, 냉각팬(3b)이 회전하여 외부공기를 흡입구(3d)를 통해 기계실(3) 안으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형성하고, 기계실(3)에 설치된 마그네트론(3a)과 같은 전장품을 냉각시킨다. 이후에 공기는 안내덕트(3c)에 의해 유입구(7a)로 안내되고, 유입구(7a)를 통과하여 조리실(2)로 공급된다. 조리실(2) 내부의 공기는,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조리되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배기구(8a)를 통해 외부(대기)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전자렌지의 작동 중에 조리물로부터 발생된 냄새 및 증기가 제거될 수 있다.
배출된 공기가 조리실(2)에서 외부(대기)로 흐를 때, 습도센서(6)와 접촉된다. 습도센서(6)는 배출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신호를 콘트롤 패널(5)의 회로기판에 출력한다. 조리접시(2a)의 음식을 자동으로 조리하기 위해, 습도센서(6)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회로기판은 마그네트론(3a), 조리접시(2a), 냉각팬(3b)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자렌지에서는 조리실(2)에서 외부(대기)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8a)에 근접하여 습도센서(6)가 설치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자렌지가 연속적으로 여러 조리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조리실(2) 내의 공기는 과열되어 배기구(8a)를 경유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습도센서(6)가 과열되어 감지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조리 시 음식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 및 기름과 연기와 오염물이 배출 공기와 함께 배기구(8a)를 빠져 나가면서 습도센서(6) 표면에 달라붙으며, 이러한 수증기 및 오염물이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아 습도센서(6)의 검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조리실(2)에 조리물의 양이 많을 경우 조리실(2)내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배기구(8a)를 통해서 조리실(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배기구(8a) 외측에 설치된 습도센서(6)의 검출능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그러므로 콘트롤 패널(5)의 회로기판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조리물은 덜 익혀지거나 너무 많이 익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구와 습도센서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습도센서가 조리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과열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도센서가 조리 중에 조리실 내의 공기의 습도를 정확하게 검출을 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 내 공기의 흐름 속도를 조절하여 습도센서의 습도 검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기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명백해 질 것이며, 또는 발명의 실시에 의해 습득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조리되는 조리물의 조건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습도센서의 검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제어방법은, 조리되어질 조리물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된 조리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조리물의 조건에 따라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냉각팬을 구동하고 조리를 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서술하는 것에 의해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참조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예는 첨부도면에서 도시되고,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말한다.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술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내부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전자렌지의 공기순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렌지는 그 내부에 기계실(11)과 조리실(12)로 구획된 본체(10)를 구비한다. 조리실(12)의 바닥에는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리실(12)를 닫기 위해 본체(10)의 전면에 도어(40)가 힌지 결합된다. 또한 이 전자렌지 기계실(11)의 전방 벽에 설치되며, 전자렌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회로기판(미도시)을 갖는 콘트롤 패널(14)을 구비한다. 콘트롤 패널(14)은 사용자가 명령신호를 입력하도록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14a) 및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4b)를 구비한다. 습도센서(60)가 본체(10)에 설치되어 조리실(12) 내부의 공기의 습도를 감지함으로써 조리실(12)의 작동 조건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조리실(12) 내의 공기는 조리 중에 조리물(A)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수분을 포함하게 되며, 습도센서(60)는 콘트롤 패널(14)의 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되어 이 습도를 감지하고, 신호를 회로기판에 출력한다.
본체(10)는 내부케이스(30)와 외부케이스(20)를 포함한다. 내부케이스(30)는 그 내부에 조리실(12)을 형성하며, 외부케이스(20)는 내부케이스(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리실(12)과 구획되게 기계실(11)을 형성한다.
외부케이스(20)는 단면이 U 형상이며, 내부케이스(30) 바깥쪽 측면부를 감싸는 좌우측판부(22)(23)와 내부케이스(30)의 상방을 덮는 상판부(21)를 구비한다. 외부 케이스(20)의 가장자리 전단과 후단이 각각 내부케이스(30)의 전면판(31)과 후면판(32)에 결합되어 전자렌지의 외관을 이룬다.
내부케이스(30)는 상자모양의 몸체(33)와, 후면판(32), 전면판(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33)는 내부에 조리실(12)을 형성하며, 전면판(31)은 몸체(33)의 전면 선단에 구비되어 조리실(12)의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후면판(32)은 몸체(33)의 후면 선단에 구비되어 조리실의 후방을 폐쇄한다. 전면판(31)과 후면판(32)은 충분히 넓어서 기계실(11)의 전면벽과 후면벽으로서 작용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콘트롤 패널(14)은 전면판(31)의 연장부에 설치되고, 후면판(32)의 연장부위에는 외부공기(대기)가 본체(10) 외부에서 기계실(11)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공(32a)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실(11)에는 마그네트론(50)과, 고압 트랜스(52), 냉각팬(51) 그리고 공기 안내덕트(53)이 설치된다. 마그네트론(50)은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해 조리실로 방사되는 고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발생시킨다. 고압 트랜스(52)는 마그네트론(50)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냉각팬(51)은 기계실(11)내에 설치된 마그네트론(50)과 같은 전장품을 냉각하기 위해 기계실(11) 안으로 대기를 흡입한다. 공기 안내덕트(53)는 기계실(11)에서 나온 공기를 조리실(12)로 안내한다. 후면판(32)의 흡입공(32a)과 인접하여 기계실(11)후방에 팬 브래킷(51a)이 배치되며, 냉각팬(51)은 이 팬브래킷(5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덕트(53)는 내부케이스(30)의 몸체(33) 측판(33R)에 천공된 유입구(34)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냉각팬(51)이 회전하면, 외부공기는 흡입공(32a)을 통해 기계실(11)로 유입되어 기계실(11) 내의 전장품을 냉각시키게 되며 계속하여 안내덕트(53)의 안내로 유입구(34)를 통해 조리실(12)로 공급되게 된다. 조리실(12)내 일측판(33L)과 타측판(33R)에는 조리물(A)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함께 공기를 조리실(12)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유닛을 형성되는데, 이 배기구 유닛은 조리실(12)의 측판(33L)(33R)에 형성된 2개의 배기구 즉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를 포함한다. 습도센서(60)는 서브-배기구(36)를 통해 조리실(1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접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배기구 유닛의 구조 및 습도센서(60)의 장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실(12)을 이루는 내부케이스(30)의 몸체(33)의 일측판(33L) 후방부에는 조리실(12)과 본체(10) 외부의 대기와 소통되도록 메인-배기구(35)가 마련되며, 내부케이스(30) 몸체(33)의 타측판(33R) 전방부에는 조리실(12)과 기계실(11)이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유입구(34)가 천공되어 있다. 이 유입구(34)와 메인-배기구(35)는 몸체(30)의 일측판(33L)과 타측판(33R)에 상호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데, 이것에 의해 조리실(12)의 공기가 조리실(12)에서 대기로 배출되기 전에 조리실(12) 안에서 효과적으로 순환한다.
그리고 내부케이스(30) 몸체(33)의 타측판(33R) 후방부에는 조리실(12)과 기계실(11)이 연통되도록 천공된 서브-배기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서브-배기구(36)는 조리실(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일부를 기계실(11)에 설치된 냉각팬(51)의 공기흡입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습도센서(6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배기구(36)와 인접하도록 기계실(11) 후방부에 배치되는데, 습도센서(60)의 설치를 위해 기계실(11)에는 공기가이드(7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70)는 서브-배기구(36)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냉각팬(51)의 공기 흡입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배기구(36)와 냉각팬(51)의 공기흡입측을 연계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70)가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팬브래킷(51a)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나, 공기 가이드(70)를 기계실(11) 안에 부착시키는 다른 기술도 가능하다.
습도센서(60)가 흡입공(32a) 및 서브-배기구(36)와 인접하도록 가이드(70)의 후방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서브-배기구(36)를 통과해서 조리실(12)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가이드(70)의 안내로 습도센서(60)와 접촉하면서 냉각팬(51)의 흡입쪽으로 유동한다. 또한, 냉각팬(51)의 흡입력으로 흡입공(32a)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습도센서(60)와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습도센서(60)의 표면에 맺힌 수분(물방울)이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에서는,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의 면적 비율은 습도센서(60)의 이상적인 검지성능이 50%이거나 그 이상을 유지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를 합한 전체 배기구(35)(36)의 면적에 대해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은 10~25%로 설정되도록 배기구(35)(36)가 설계된다. 또한 메인-배기구(35) 및 서브-배기구(36)의 면적비율에 따라 냉각팬(51)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습도센서(60)의 검지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본원의 발명자가 다수의 실험을 통해 알아낸 값으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배기구의 면적비율과 팬 회전수에 따른 습도센서의 검지성능 값
습도센서 검지성능 팬 RPM 유입구면적 메인-배기구 서브-배기구 손실
100% 2700 100% 70% 25% 5%
70% 2700 100% 76% 19% 5%
50% 2700 100% 80% 15% 5%
0% 2700 100% 80% 10% 5%
50% 1800 100% 80% 15% 5%
70% 500 100% 80% 15% 5%
100% 0 100% 80% 15% 5%
[표 1]은 냉각팬(51)의 회전속도와 전체 배기구(35)(36)의 면적에 대한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의 면적비율에 따른 습도센서의 감지성능의 변화를 보여준다.
[표 1]로부터, 습도센서(60)의 감지성능은, 냉각팬(51)의 회전수가 고정된 경우, 2개의 배기구(35)(36)의 전체면적에 대한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개선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배기구(35)(36)의 면적에 대한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의 비가 클수록 조리실(12)로부터 배출된 공기로 인해 습도센서(60)가 쉽게 가열되거나 표면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표 1]에 보인바와 같이, 두 배기구(35)(36) 전체면적에 대한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의 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냉각팬(51)의 회전수가 낮아질수록 습도센서(60)의 검지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냉각팬(51)의 회전수가 너무 낮아지면 기계실(11)에 설치된 전장품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과열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브-배기구(36)의 면적비율(15~25%)에 대하여 냉각팬(51)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 범위 내에서 반비례하도록 설정한다.
조리실(12)에 조리물의 양이 적고 전체 배기구(35)(36)의 면적에 대한 메인배기구(35)의 면적과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의 비가 고정된 상태에서, 냉각팬(51)이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메인-배기구(35)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 서브-배기구(36)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습도센서(60)의 검지 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조리물의 양이 적을 때에는 냉각팬(51)의 회전수를 낮출 필요가 있다. 반대로 조리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조리실(12)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냉각팬(51)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을 합한 전체 배기구(35)(36) 면적에 대해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은 10~25%로 설정된다. 나아가, 냉각팬(51)의 회전수는 전체 배기구(35)(36)의 면적에 대한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의 미리 정해진 비율에 반비례해서 미리 설정된 회전수 범위 내에서 변화하도록 설정된다. 습도센서(60)의 이상적인 검지감도 100%를 유지하기 위해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을 합한 전체 배기구(35)(36) 면적에 대해 메인-배기구(35)의 면적은 70% 정도로, 서브-배기구(36)의 면적은 25%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렌지는 냉각팬(51)의 회전수가 입력부(14a)로부터의 입력신호, 자동으로 검지된 조리물의 양 혹은 조리실(12)에 담긴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냉각팬(51)의 회전수가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는 조리실(12)로부터 고주파수의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다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은 공기의 능률적인 순환이 가능할 만큼의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더불어 메인-배기구(35)와 서브-배기구(36) 및 유입구(34)는 조리실(12)내 다른 일측판, 천정, 바닥에도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매체의 부호화된 일반적이거나 특별한 컴퓨터 처리 명령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트롤패널(14)에 마련된 입력부(14a)는 제어부(90)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사용자가 입력부(14a)의 작동버튼을 조작하면 명령신호를 제어부(90)에 출력한다. 습도센서(60)와, 무게센서(61), 온도센서(6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80)가 제어부(90)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부(90)의 판단부에서는 상기 입력단에서 입력되는 조리물에 대한 정보에 따라 조리물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90)의 출력단에는 마그네트론(50)을 구동하는 마그네트론구동부(101)와, 냉각팬(51)을 구동하는 팬구동부(102)와 조리접시(13)를 회전시키는 모터(13a)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103)와 콘트롤 패널(14)에 마련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동하는 표시 구동부(104)가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조리물의 상태에 따라 조리물이 담긴 조리실 안의 공기순환을 제어하는 공기순환유닛을 구비한다. 제어유닛은 상기 공기순환유닛을 제어하여 조리실 내 공기순환을 제어하게 되는데, 조리될 조리물의 입력정보를 받아들이는 입력단과, 그 입력단에 입력된 조리물의 입력정보에 따라 조리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된 조리물의 상태에 따라 조리물이 담긴 공기순환을 제어하는 공기순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유닛은 전술한 냉각팬(51)을 포함하고, 그 냉각팬(51)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조리실(12)내 공기의 유동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조리접시(13)는 본 발명에서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다.
상기 저장부(80)에는 조리실(12)내 조리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설정되는 냉각팬(51)의 회전수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80)의 제어 데이터는 플로피 디스크 등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해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또한 인터넷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검색을 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자렌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작용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어부(90)에 의해 이행될 수 있도록 저장이 가능하다.
먼저, 조리물(A)을 조리하기 위해 조리실(12)의 조리접시(13)에 조리물(A)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도어(40)를 닫은 상태에서 콘트롤 패널(14)에 마련된 입력부(14a)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전자렌지를 작동시키면, 마그네트론(50)에서 조리실(12)로 고주파수의 전자기파가 방사되고, 조리물(A) 내의 수분분자 배열이 반복적으로 변화하고 분자 사이에 마찰열이 발생하고 조리물의 조리가 진행된다.
또한, 냉각팬(51)이 구동함에 따라 외부공기는 흡입공(32a)을 통해 기계실(11)로 흡입되어 마그네트론(50) 및 고압트랜스(52)등을 냉각시키면서 안내덕트(53)와 유입구(34)를 통해 조리실(12)로 공급된다. 이때, 기계실(11)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흡입공(32a)과 인접하게 배치된 습도센서(60)와도 접촉한다. 조리실(12)로 들어간 공기는 조리가 진행되면서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배기구(35)(36)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즉, 조리실(12) 공기의 일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방향으로 메인-배기구(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나머지는 도 4의 F2 방향으로 서브-배기구(36)를 통해 기계실(11)로 배출된다. 이때, 서브-배기구(36)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습도센서(60)와 접촉한다. 따라서 습도센서(60)에는 수증기가 맺혀 이의 저항값이 변화되며 이것이 콘트롤패널(14)의 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된다.
또한, 서브-배기구(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실(11)내 가이드(70)를 통해 냉각팬(51)의 공기 흡입측과 연계되기 때문에, 냉각팬(51)의 공기 흡입력에 의해 조리실(12)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습도센서(60)는 서브-배기구(36)를 통해 배출되는 조리실(12)공기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습도를 검지하기 때문에, 습도센서(60)의 표면 오염도가 월등하게 줄어들어 검지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특히 조리 과정 중에 조리물(A)에서의 수증기 발생량은 점차 줄어들며 이것에 의해 습도센서(60) 표면에 물방울이 더 이상 맺히지 않는다. 이때부터는 냉각팬(51)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즉 수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는 외부공기에 의해 습도센서(60) 표면에 맺힌 물방울이 증발 제거된다. 즉, 습도센서(60)에서는 맺히는 수분보다 흡입공기에 의해 증발되는 량이 많기 때문에 습도센서(60) 표면에 맺힌 수증기는 용이하게 제거된다.
결국, 한번의 조리가 끝나가면서 습도센서(60)는 다음 조리공정에서도 동작 가능하도록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에서 입력부(14a)에서 입력되는 조리물에 대한 입력 정보와, 조리실(12)내 조리물의 양 및 종류에 따라 냉각팬의 회전수가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리를 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희망하는 조리 모드를 선택한다(S10). 이 조리모드 선택 단계에서 사용자는 콘트롤패널(14)에 마련된 입력부(14a)를 조작함으로써 조리물의 양과 종류, 희망 요리시간과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상세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 대신에 자동 요리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리모드 선택 단계(S10)에서 자동조리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90)는 조리접시(13)에 마련된 무게센서(61)의 출력신호에 따라 조리접시(13)에 놓인 조리물(A)의 양을 감지한다.
희망 조리모드를 선택한 후에, 제어부(90)는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조리접시(13)에 놓인 조리물(A)의 상태를 판정한다(S20).
조리물(A)의 상태를 판정한 후, 제어부(90)는 조리물의 양과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비교하여 냉각팬(51)의 회전수(회전속도)를 상승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단계(S30)에서 입력부(14a)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 혹은 자동/수동으로 감지된 조리물의 량이 기준량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냉각팬(51)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고 판단하고 제어부(90)는 팬구동부(102)를 제어하여 냉각팬(51)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S40).
단계(S30)에서 회전속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90)는 회전속도를 낮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 단계(S50)에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 혹은 자동 혹은 수동으로 감지된 조리물의 량이 기준량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회전수 하강이라고 판단하고 제어부(90)는 팬구동부(102)를 제어하여 냉각팬(51)의 회전수를 낮춘다(S60). 상기 냉각팬(51)의 회전속도는 높은 회전수 설정에서 낮은 회전수 설정으로 줄이는 방법과 냉각팬(51)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냉각팬(51)의 회전수는 자동으로 조절되며, 조리실 공기의 원활한 순환은 습도센서(60)의 검지성능을 향상 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위치의 습도센서와 이 습도센서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비하는 전자렌지를 제공한다. 상기 습도센서가 개선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센서의 표면의 과열이 방지되며, 센서는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쉽게 오염이 되지 않는다. 또한, 습도센서의 표면에 증착된 수분의 양이 조리 과정의 종료 직전에 현저히 감소되며, 습도센서의 표면에 증착된 수분은 냉각팬에 의해 흡입된 대기에 의해 빨리 그리고 거의 완전히 증발된다. 그러므로 습도센서는 다음 조리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습도 감지 작동을 효과적인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습도센서는 전자렌지가 여러 조리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한 작동을 수행한다. 더구나 냉각팬의 회전수(회전속도)가 조리실에 담긴 조리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조리실 내의 공기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고 습도센서의 감지 성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에 대한 변화가 당업자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습도 센서를 갖춘 종래 전자렌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센서를 갖춘 전자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센서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 전자렌지의 조리실 공기의 배출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전자레인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기계실 12:조리실
20:외부케이스 30:내부케이스
34:유입구 35:메인 배기구
36:서브 배기구 51:냉각팬
60:습도센서 70:가이드
80:저장부 90:제어부

Claims (31)

  1. 조리실과 기계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요소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기계실 및 조리실로 흡입하여 상기 기계실의 가열요소를 냉각시키고 상기 조리실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팬과,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상태로부터 상기 조리실의 조리 분위기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와,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조리물의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습도센서의 감지 성능이 향상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조리실의 제1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과 상기 본체 외부의 대기를 소통시키는 메인 배기구와, 상기 조리실의 제2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과 상기 냉각팬의 공기 흡입측을 소통시키는 서브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배기구와 서브 배기구는 상기 메인 배기구와 상기 서브 배기구의 전체면적에 대한 상기 서브 배기구의 면적의 비율이 15~25% 정도가 되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조리실에서 나와 상기 서브 배기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상기 전체면적에 대한 상기 서브 배기구의 면적의 비율에 반비례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화하도록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는 전자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양보다 적은 경우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에서 더 감소하도록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양보다 많은 경우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에서 더 증가하도록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는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리물의 양과 종류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회전속도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양과 종류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 속도의 데이터 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전자레인지.
  5. 조리실과 기계실을 갖는 본체와,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요소와,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조리실로 유입시키고 상기 기계실에 설치된 가열요소를 냉각시키는 냉각팬과, 상기 조리실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상태로부터 상기 조리실의 조리 분위기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리될 조리물의 입력정보를 받아들이고,
    상기 입력 정보를 통해 상기 조리물의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입력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습도센서의 감지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된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냉각팬을 작동시키고 조리물을 조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양보다 적은 경우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에서 더 감소하도록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양보다 많은 경우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미리 정해진 기준속도에서 더 증가하도록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조리물의 양과 종류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되는 회전속도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통해 판단된 조리물의 양과 종류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 속도의 데이터 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이 상기 습도센서의 표면에 형성된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습도센서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기계실 안에 마련되는 공기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센서는 대기가 서브 배기구를 통해 냉각팬의 공기 흡입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에 위치하는 전자 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냉각팬을 지지하는 팬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된 전자 레인지.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은 회전수 설정에서 낮은 회전수 설정으로 줄이는 방법과 냉각팬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방법, 그리고 이들 조합의 어느 하나로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전자레인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메인 배기구와 서브 배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구의 전체 면적에서 상기 서브 배기구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에 반비례하도록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회전 속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18. 삭제
  1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를 줄이는 것은 상기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높은 회전수 설정에서 낮은 회전수 설정으로 줄이는 방법과 상기 냉각팬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방법 그리고 이들 조합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배기구는 상기 배기구 전체 면적에 대해 15~25%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02-0011506A 2001-12-07 2002-03-05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KR100503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5,198 2001-12-07
US10/005,198 US6689996B2 (en) 2001-12-07 2001-12-07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401A Division KR20040071663A (ko) 2001-12-07 2004-06-25 전자레인지의 제어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646A KR20030047646A (ko) 2003-06-18
KR100503757B1 true KR100503757B1 (ko) 2005-07-26

Family

ID=217146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506A KR100503757B1 (ko) 2001-12-07 2002-03-05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KR1020040048401A KR20040071663A (ko) 2001-12-07 2004-06-25 전자레인지의 제어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401A KR20040071663A (ko) 2001-12-07 2004-06-25 전자레인지의 제어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9996B2 (ko)
EP (1) EP1318699A3 (ko)
JP (1) JP3971271B2 (ko)
KR (2) KR100503757B1 (ko)
CN (1) CN12921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83B1 (ko) * 2002-03-11 2008-02-2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컨트롤러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장치
JP2005299948A (ja) * 2004-04-07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イクロ波焼成炉
US10857722B2 (en) 2004-12-03 2020-12-08 Pressco Ip Llc Method and system for laser-based, wavelength specific infrared irradiation treatment
US10687391B2 (en) 2004-12-03 2020-06-16 Pressco Ip Ll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narrowband, wavelength specific cooking, curing, food preparation, and processing
US7425296B2 (en) 2004-12-03 2008-09-16 Pres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wavelength specific thermal irradiation and treatment
KR20060122128A (ko) * 2005-05-25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쿨링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69948A1 (en) * 2006-01-26 2007-07-26 C. Cretors And Company Fire containment system
DE102007058390B4 (de) * 2007-12-03 2009-10-01 Sartorius Ag Vorrichtung zur thermogravimetrischen Materialfeuchtebestimmung
DE102007058391B4 (de) * 2007-12-03 2009-10-01 Sartorius Ag Vorrichtung zur Materialfeuchtebestimmung
MX2008002698A (es) * 2008-02-26 2009-06-23 Quinasa S A De C V Metodos para la obtencion de polvos estables de pulpa de aguacate libres de conservadores y productos compactados del mismo.
KR101041652B1 (ko) * 2008-10-30 2011-06-14 박찬홍 단일 펌프식 농업용 급배수 배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수및 배수 방법
EP2390587B1 (de) * 2010-05-27 2019-07-17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einer dampferzeugungsfunktion
CA2802357C (en) 2010-06-11 2019-04-23 Pressco Ip Llc Cookware and cook-packs for narrowband irradiation cooking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332877B2 (en) 2010-06-11 2016-05-10 Pressco Ip Llc Cookware and cook-packs for narrowband irradiation cooking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IT1406582B1 (it) * 2010-06-21 2014-02-28 Unox Spa Sistema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all'interno di un forno di cottura.
PL2469974T3 (pl) * 2010-12-21 2017-06-30 Whirlpool Corporation Sposób sterowania chłodzeniem w urządzeniu do podgrzewania mikrofalowego i urządzenie do podgrzewania mikrofalowego
JP5766056B2 (ja) * 2011-07-12 2015-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WO2014166311A1 (zh) * 2013-04-11 2014-10-1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4000482B (zh) * 2014-06-05 2017-05-03 翡柯机械(福建)有限公司 空气能烹饪装置及安全食品的加工方法
CN107404778B (zh) * 2016-05-18 2020-07-3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加热烹饪系统及其驱动控制电路、检测方法
CN107013953A (zh) * 2017-04-14 2017-08-0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
CN110326979B (zh) * 2019-05-24 2021-01-08 广州国为食品有限公司 利用具备加湿功能的食材热处理装置热处理食材的方法
CN111588264B (zh) * 2020-04-20 2021-09-28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外置湿度检测装置的蒸烤设备的控制方法
JP7280900B2 (ja) * 2021-01-26 2023-05-2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97A (ko) * 1990-07-31 1992-02-28 이헌조 전자레인지의 냉동식품 자동요리방법 및 장치
KR950023219A (ko) * 1993-12-16 1995-07-28 이헌조 저소음 저자레인지 및 저소음 전자레인지의 냉각팬 제어방법
KR970014443U (ko) * 1995-09-12 1997-04-28 전자레인지의 가스감지장치
KR970062523A (ko) * 1996-02-16 1997-09-12 김광호 전자렌지의 송풍팬 제어장치
KR980008936U (ko) * 1996-07-22 1998-04-30 김광호 속도 가변 냉각팬을 갖는 전자렌지
KR20000062805A (ko) * 1999-03-09 2000-10-25 윤종용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후드팬 속도제어방법
JP2001182940A (ja) * 1999-12-24 2001-07-06 Osaka Gas Co Ltd 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2381A (en) * 1977-08-30 1979-07-24 Litton Systems, Inc. Microwave oven sensing system
US4181744A (en) * 1977-08-30 1980-01-01 Litton Systems, Inc. Method of browning foods in a microwave oven
US4582971A (en) * 1984-02-07 1986-04-15 Matsh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EP0397397B1 (en) * 1989-05-08 1995-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heating apparatus
KR960007569Y1 (ko) 1990-06-30 199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팬모터 회전수 조절회로
JPH07318077A (ja) * 1994-05-26 1995-12-08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KR20010090951A (ko) * 2000-04-08 2001-10-22 구자홍 전자 렌지의 팬 회전 속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97A (ko) * 1990-07-31 1992-02-28 이헌조 전자레인지의 냉동식품 자동요리방법 및 장치
KR950023219A (ko) * 1993-12-16 1995-07-28 이헌조 저소음 저자레인지 및 저소음 전자레인지의 냉각팬 제어방법
KR970014443U (ko) * 1995-09-12 1997-04-28 전자레인지의 가스감지장치
KR970062523A (ko) * 1996-02-16 1997-09-12 김광호 전자렌지의 송풍팬 제어장치
KR980008936U (ko) * 1996-07-22 1998-04-30 김광호 속도 가변 냉각팬을 갖는 전자렌지
KR20000062805A (ko) * 1999-03-09 2000-10-25 윤종용 벽부착형 전자렌지 및 그 후드팬 속도제어방법
JP2001182940A (ja) * 1999-12-24 2001-07-06 Osaka Gas Co Ltd 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63A (ko) 2004-08-12
EP1318699A3 (en) 2007-05-02
US6689996B2 (en) 2004-02-10
EP1318699A2 (en) 2003-06-11
JP2003185146A (ja) 2003-07-03
US20030116561A1 (en) 2003-06-26
CN1292199C (zh) 2006-12-27
KR20030047646A (ko) 2003-06-18
CN1423093A (zh) 2003-06-11
JP3971271B2 (ja)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757B1 (ko)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JP2004184060A (ja) 電子レンジ及びその制御方法
US6774347B2 (en) Microwave oven with humidity sensor
KR100453243B1 (ko)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KR20060122128A (ko) 전자레인지의 쿨링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GB2340010A (en) Combined microwave oven and extractor hood
KR100485347B1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100453245B1 (ko)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KR100436265B1 (ko) 전자레인지
KR100453244B1 (ko)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KR0177887B1 (ko) 가열조리기
KR100436266B1 (ko) 전자레인지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36264B1 (ko) 전자렌지의 취사방법
JPH08130087A (ja) 電子レンジ
KR100283655B1 (ko) 전자렌지의 조리상태 자기진단방법
KR100564405B1 (ko) 후드겸용 다기능 전자 레인지의 배기 구조
KR19980023681A (ko) 전자렌지의 열 순환 장치및 방법
KR19990030930U (ko)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KR19990058224A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환풍팬 모터 제어방법
KR20050008088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공기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