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930U -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930U
KR19990030930U KR2019970043627U KR19970043627U KR19990030930U KR 19990030930 U KR19990030930 U KR 19990030930U KR 2019970043627 U KR2019970043627 U KR 2019970043627U KR 19970043627 U KR19970043627 U KR 19970043627U KR 19990030930 U KR19990030930 U KR 199900309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cooking chamber
cooling
moisture
coo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43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930U/ko
Publication of KR19990030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930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조리실(2) 상면에 설치한 순환팬(20),
순환팬(20)을 통한 열기를 조리실(2)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1),
안내관(21)의 임의 개소에 설치하여 열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수단(30),
냉각수단(30)을 통한 응축(결)수를 배출하는 응축수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이다.

Description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본 고안은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렌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냉각수단을 통하여 순환케함으로써 수분을 응축시켜 습기를 제거토록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생시킨 고주파를 음식물에 제공하고 이때 음식물 내에서 발생하는 발열 효과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신속히 해동시키거나 조리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는 도 1 과같이 예시할 수 있는바, 조리실(2)은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원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내부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음식물을 재치 가능케 하고, 상기 조리실(2)의 우측 하단부에는 마그네트론 구동용 고압 트랜스(3)가 설치된다.
상기 고압 트랜스(3)의 상부에는 마그네트론(4)이 장착되어 상기 고압 트랜스(3)로 부터의 고압을 인가 받아 고주파를 발생하고, 상기 마그네트론(4)의 상단부에는 마그네트론(4)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2)내로 안내시키도록 도파관(5)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의 하단부에는 회전접시(7)가 장착되어 상기 마그네트론(4)의 구동시에 조리실(2)내의 음식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접시(7)의 하단에는 회전접시(7)를 지지하는 회전접시 롤러(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접시 롤러(8)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접시(7)상에 재치 되는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9)가 구동축을 개재해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리실(2)의 좌측 하단에는 상기 회전접시(7)상에 재치 되는 음식물의 종류, 중량 및 가열 상태에 따라 음식물을 투과한 상기 조리실(2)내의 고주파 출력을 검출하는 제 1 고주파센서(10)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도파관(5)의 상단에는 상기 마그네트론(4)에서 발진되는 상기 도파관(5)내의 고주파 출력을 검출하는 제 2 고주파센서(11)가 장착되어 있다.
이를 제어하는 수단으로는 도 2 와같이 직류 전원수단(12)은 도시하지 않은 교류전원 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전원 전압을 상기 전자렌지의 구동에 필요한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조리입력수단(13)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조리 기능(조리 시간 조리 메뉴, 조리 동작의 시작 정지 등으로 이하에 설명될 도 3 을 예시할 수 있다)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기능키가 제어판넬상에 배치된 형태를 이루며 주로 이하에 설명될 표시수단(19)과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중량 감지수단(14)은 상기 조리실(2)내의 부하의 변화를 판별하도록 상기 조리실(2)내에 재치 되는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9)이고, 제 1 고주파검출수단(15)은 상기 조리실(2)내에 재치된 음식물의 종류, 중량 및 가열상태에따라 음식물을 투과한 상기 조리실(2)내의 고주파 출력을 검출하는 제 1 고주파센서(10)이다.
또한, 제 2 고주파검출수단(17)은 상기 마그네트론(4)에서 발진되는 상기 도파관(5)내의 고주파 출력을 검출하는 제 2 고주파센서(11)이다.
아울러, 제어수단(16)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2)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전자렌지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조리입력수단(13)에 의해 입력된 버튼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조리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 제어수단(16)은 상기 중량감지수단(14)에 의해 감지된 음식물의 중량 데이터, 상기 제 1 고주파검출수단(15)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조리실(2)내의 고주파 출력량 및 상기 제 2 고주파검출수단(17)에 의해 검출된 상기 도파관(5)내의 고주파출력량에 따라 상기 전자렌지의 고주파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수단(16)에 제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조리입력수단(13)과, 제어수단(16)의 출력에 따라 표시되는 표시수단(19)의 일 예는 제어판넬에 설치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렌지는 조리시 발생하는 습기를 별도로 배출하는 수단이 없어서 전자렌지에 의하여 조리하는 음식물은 항상 일정한 습기를 유지할 수밖에 없고, 예를 들어 피자 등과 같이 표면이 딱딱한 요리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전자렌지에 배출 팬을 달고 배출 팬이 냉각수단을 거치면서 응축되어 습기를 배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습기를 배출 가능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배출 팬을 부가하고 배출 팬을 지난 더운 공기는 냉각 팬을 거치게 하여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이를 다시 전자렌지 내로 순환토록 하여 전자렌지 내의 습기를 없애도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렌지의 단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전자렌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순환팬 21;안내관
30;냉각수단 31;냉각수
32;냉각핀 33;냉각수관
40;응축수통 41;히터
즉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부가한 팬과, 팬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전자렌지 내로 순환토록 하는 안내관과, 안내관의 임의 개소에 설치하여 더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도로, 전자렌지의 조리실(2) 상면에 설치한 순환팬(20), 순환팬(20)을 통한 열기를 조리실(2)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1), 안내관(21)의 임의 개소에 설치하여 열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수단(30), 냉각수단(30)을 통한 응축(결)수를 배출하는 응축수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수단(30)을 지나서 조리실(2)내로 안내되는 입구 부위에는 히터(41)를 부가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조리과정 및 제어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순환팬(20)역시 도 2 에 보인 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도어와 연동하여 구동하도록 설계하여도 된다. 이 경우 본 고안은 순환팬(2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구현 가능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순환팬(20)이 회전하는 것에서부터 설명한다. 순환팬(20)이 회전하면 조리실(2)내의 조리에 의한 습기를 함유한 열기가 안내관(21)으로 배출된다. 안내관(21)으로 배출되는 열기는 도 3 에서와같이 냉각수단(30)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냉각수단(30)을 열기가 지나면 열기에 함유한 수분이 냉각핀(32)에 접촉하면서 응결(응축)하여 물로 변한다. 그러면 이들은 상호 뭉쳐서 흘러 응측수통(40)으로 배출되고 사용자는 필요시 이를 모아 버리면 된다. 따라서 열기에 있던 수분은 현저히 줄어들고 냉각수단(30)을 지나면서 냉각된 공기는 히터(41)를 지나 다시 실내의 열기로 가열되므로 조리의 지속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냉각수단(30)의 일 예로는 냉각수(31)를 보관하는 냉각수관(33)과, 냉각수관(33)을 지지하며 수분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냉각핀(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관(33)의 상단에는 마개(34)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도 4 상태로 구현 할 수 있고, 응축수통(40)을 필요시 전자렌지에서 분리하여청소하면 된다. 이와같이 응축수통(40)을 들어내는 경우에는 전자렌지의 기능 및 순환팬(20)의 기능 및 마그네트론(4)의 구동이 멈추도록(즉 응축수통(40)이 재치한 상태에서만 전자렌지가 작동되게) 제어수단(16)에 프로그램 시킴이 요구된다. 이러한 스위치 구조는 여러 가지 경우로 구현 가능하므로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상기에서 마개(34)는 냉각수(31)를 교환하거나 보충할 때 필요하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능 하는 본고안은 조리시 조리실(2)내의 수분이 현저히 줄어들므로 꼬들꼬들한 요리를 전자렌지에서도 구현 가능토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내부 공기가 순환되는 안내관을 두고, 안내관에는 냉각수단을 부가하여 냉각시 응축수가 생성토록 하여 습기를 제거하므로 전자렌지에서도 수분 함량이 적은 요리를 조리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자렌지의 조리실(2) 상면에 설치한 순환팬(20),
    순환팬(20)을 통한 열기를 조리실(2)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1),
    안내관(21)의 임의 개소에 설치하여 열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수단(30),
    냉각수단(30)을 통한 응축(결)수를 배출하는 응축수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30)을 지나서 조리실(2)내로 안내되는 입구 부위에는 순환된 공기를 조리실 온도와 일치시키는 히터(41)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30)은 냉각수(31)를 보관하는 냉각수관(33)과, 냉각수관(33)을 지지하며 수분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냉각핀(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관(33)의 상단에는 마개(3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KR2019970043627U 1997-12-30 1997-12-30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KR199900309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627U KR19990030930U (ko) 1997-12-30 1997-12-30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627U KR19990030930U (ko) 1997-12-30 1997-12-30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30U true KR19990030930U (ko) 1999-07-26

Family

ID=6969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627U KR19990030930U (ko) 1997-12-30 1997-12-30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93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9268B1 (en)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87130B1 (en) Vapor cooker
EP0023827B1 (en) Cooking appliance of hot air circulating type
KR100503757B1 (ko) 전자레인지와 그 제어방법
US20080075823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63757A1 (en) Steam generator,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63758A1 (en) Water level sensor, steam generator having the same, heating cooker having the steam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875968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US6878912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US200602895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time of microwave oven
US6878913B2 (en)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KR19990030930U (ko) 습기 제거가 가능한 전자렌지
KR920009906B1 (ko) 열풍 순환 전자레인지의 그릴가열방법
KR19980023681A (ko) 전자렌지의 열 순환 장치및 방법
KR100436264B1 (ko) 전자렌지의 취사방법
JPH08130087A (ja) 電子レンジ
KR0136055Y1 (ko) 전자레인지
JP4604799B2 (ja) 加熱装置
JP2012241942A (ja) 加熱調理器
JP2005155961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KR20000043271A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흡기방법
KR20060004350A (ko) 온도감지 장치를 갖는 전자렌지
KR19990003199U (ko)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저판 흡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