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853B1 -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853B1
KR100502853B1 KR10-2000-0049304A KR20000049304A KR100502853B1 KR 100502853 B1 KR100502853 B1 KR 100502853B1 KR 20000049304 A KR20000049304 A KR 20000049304A KR 100502853 B1 KR100502853 B1 KR 10050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dioxins
tungsten
chromium
tita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145A (ko
Inventor
고동준
김우곤
김인호
양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4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8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30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68Removing 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다이옥신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이타니아 담지체상에 촉매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크롬이 1 내지 30 중량%, 텅스텐이 1 내지 40 중량% 담지된 다이옥신 제거용 촉매 및 150 ℃ 이상의 산화분위기 하에서 상기 촉매를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신 제거방법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폐가스에 함유된 다이옥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Cr·W·TiO2 CATALYST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DIOXINS}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타니아 담지체상에 크롬과 텅스텐 산화물이 담지되어 있는 촉매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하여 폐가스에 함유된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다이옥신은 75종의 이성질체가 있는 다이옥신류(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와 135종의 이성질체를 가지는 퓨란류(Polychlorinated Dibenzo Furans, PCDFs)를 총칭하여 표현하는 어휘인데, 이들 물질은 염소의 치환 개수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성질을 갖지만 보통 다이옥신으로 총칭된다. 다이옥신은 지용성이 높고 물에 잘 녹지 않아서 미생물 분해가 어려운 매우 안정한 상태이며, 자연계에서는 거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그 독성이 실질적으로 거의 영구적이다. 따라서 다이옥신은 심각한 환경 오염원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210가지의 다이옥신 이성질체들은 모두 비슷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지만 그 독성에 있어서는 각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장 독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화합물은 염소 치환 개수가 4개인 2,3,7,8-TCDD로서, 다이옥신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몇몇 나라에서는 가장 독성이 큰 2,3,7,8-TCDD를 기준으로 여러 종류의 다이옥신에 대해서 상대적인 독성을 구하고 그 값을 TEF(Toxicity Equivalency Factors)로 정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이옥신류의 농도를 계산식 1과 같이 독성등가값(Toxic Equivalents : TEQ)의 개념으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산식 1]
TEQ = ∑(농도 × TEF)
다이옥신의 주오염원은 각 나라마다 양상이 다르겠지만 크게 화학물질제조, 소각고정, 열공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이옥신은 염소 유기 화학제품의 생산 및 사용 중에 부산물로 생성 가능하며, 이러한 염소 유기 화학 제품에는 다이옥신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소각을 포함한 모든 열공정은 클로로페놀과 그 유도체들의 중요한 생성원이 되며 이것이 곧 다이옥신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소각로 등의 폐가스에 함유되어 배출되는 다이옥신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중 대표적인 방법이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로 다이옥신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촉매에 의한 산화방법에 의해 다이옥신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법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폐가스에 함유된 물과 같은 다른 성분들에 의해 흡착능력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사용이 끝난 후 다이옥신을 포함하고 있는 흡착제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촉매를 이용한 산화공정이 다이옥신 제거방법으로 주목되어 왔다.
촉매를 이용한 다이옥신의 완전 분해 방법은 다이옥신을 함유한 가스를 촉매층에 흘려보내 폐가스에 같이 존재하는 산소와의 산화반응에 의해 다이옥신을 CO2와 H2O, 및 HCl 또는 Cl2로 분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촉매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에 있어서, 폐가스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다이옥신을 분석하는 방법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일차적으로 적절한 촉매선정을 위해 클로로벤젠(chlorobenzene)이나 클로로페놀(chloro phenol),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과 같이 다이옥신과 구조가 유사하거나 분해하기 어려운 모사반응물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테스트한 다음, 이를 실제 다이옥신 함유 가스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공지문헌인 "Chemo sphere, Vol.19, No.1-6, pp.361-366, 1989"에서도 클로로벤젠의 분해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타이타니아에 Pt를 담지한 촉매가 다이옥신의 제거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으며, 클로로벤젠이 다이옥신보다 더 분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촉매를 사용한 산화방법에 의해 다이옥신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촉매로는 일반적으로 암모니아와 같은 환원제를 이용하여 폐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V2O5-WO3-TiO2 촉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공지문헌인 "Chemo sphere, Vol.26, No.12, pp.2167-2172, 1993"에서는 NOx 제거에 사용되는 촉매인 V2O5-WO3-TiO2 촉매를 사용하여 200 내지 350 ℃ 범위에서 다이옥신을 제거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 95-95750호에서도 V2O5-WO3-TiO 2로 이루어진 촉매를 사용하여 200 내지 250 ℃ 범위에서 다이옥신을 제거한다고 개시되어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제 5,254,794호에서는 TiO2, SiO2, ZrO2 등으로 이루어진 담체에 Pt와 같은 귀금속을 담지한 촉매를 사용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한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특허 제 95-163877호와 유럽특허 제 0,645,172,A1에서는 SiO2-B2O3-Al2O3 등으로 이루어진 담체에 Pt와 Au와 같은 두 가지 금속을 담지한 촉매를 사용하고 있는데, V2O5-WO3-TiO2 촉매나 TiO2에 Pt를 담지한 촉매보다 훨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V2O5-WO3-TiO2계 촉매나 귀금속 담지 촉매에 비해 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다이옥신 제거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타이타니아 담지체에 크롬과 텅스텐이 담지된 촉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타니아 담지체에 크롬과 텅스텐이 담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폐가스 등에 함유되어 있는 다이옥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이타니아 담지체상에 촉매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크롬이 1 내지 30 중량%, 텅스텐이 1 내지 40 중량% 담지된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50 ℃ 이상 온도의 산화분위기 하에서 상기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와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신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폐가스 중의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타이타니아 담지체 상에 크롬과 텅스텐을 담지시킨 촉매를 사용할 경우 저렴하게 촉매를 제조할 수 있으며, 다이옥신의 제거효율도 매우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다이옥신을 제거하기 위한 촉매는 타이타니아 담지체 상에 촉매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크롬이 1 내지 30 중량%, 텅스텐이 1 내지 40 중량% 담지된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에 있어서 크롬 또는 텅스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보다 작은 경우는 크롬 또는 텅스텐 담지효과가 적어 촉매활성이 저조하며, 반면에 크롬 또는 텅스텐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롬 및 텅스텐의 함량이 너무 많아 촉매 표면에 잘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촉매활성이 오히려 떨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텅스텐의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촉매를 다이옥신 제거에 사용하는 경우 촉매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미세한 분말 혹은 펠렛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촉매를 필터나 허니콤형 반응기에 코팅하거나 직접 허니콤형 반응기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촉매의 제조는 촉매제조의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허니콤 형태로 촉매를 제조할 경우 타이타니아를 직접 허니콤형 반응기로 사출성형하거나 또는 허니콤형 반응기에 타이타니아를 코팅하고, 이를 크롬과 텅스텐을 혼합하여 녹인 용액에 담그거나 각각의 용액에 차례로 담근 후 꺼내고 건조하여 크롬과 텅스텐이 타이타니아 표면에 담지되도록하여 촉매를 제조한다. 분말이나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도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150 ℃ 이상의 온도의 산화분위기 하에서 상기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와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신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이옥신 제거방법에서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와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를 반응은 150 ℃ 이상의 산화분위기 하에서 이루지는 바, 150 ℃ 이하의 온도에서는 상기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의 활성이 떨어져 다이옥신 제거효율이 떨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와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의 반응온도는 200 내지 450 ℃인 것이 좋다.
폐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다이옥신은 본 발명의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와 반응함으로써 하기식 1 또는 2와 같은 산화반응에 의해 분해되어 제거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본 발명의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를 이용하여 다이옥신의 모사반응물로 흔히 사용되는 퍼클로로에틸렌에 대한 산화반응실험 결과, 반응온도 300 ℃에서 텅스텐의 함량을 촉매 총중량에 대하여 5 중량%로 고정시키고 크롬의 함량을 1, 10, 30 중량%로 증가시키면 다이옥신 제거율은 각각 88%, 99%, 92% 정도가 된다. 또한 크롬 함량을 촉매 총중량에 대하여 5 중량%로 고정시키고, 텅스텐 함량을 1, 10, 30, 40 중량%로 증가시키면 다이옥신 제거율은 각각 72%, 99%, 96%, 74% 정도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제조
담체인 분말형태의 타이타니아에 물을 첨가한 후 여기에 바인더로 콜로이드 형태의 실리카를 타이타니아 중량의 약 10 %정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슬러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 용액을 잘 혼합하면서 슬러리 용액에 코디어라이트 (cordierite) 재질의 허니콤형 반응기를 담근 후 꺼내서 타이타니아가 허니컴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고, 이를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이렇게 타이타니아가 코팅된 허니콤 반응기를 물에 용해된 H2WO4 용액에 담근 후 꺼내어 건조함으로써 텅스텐이 촉매표면에 담지되도록 하였고, 약 450 ℃ 공기중에서 소성하였다. 담지된 텅스텐의 양은 텅스텐 용액의 농도 및 담그는 횟수를 조절하였다. 또한 텅스텐이 담지된 허니컴 반응기를 다시 Cr(NO3)3·9H2O 용액에 담근 후 꺼내어 크롬이 담지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텅스텐과 크롬이 담지된 촉매는 약 450 ℃에서 공기중에서 소성하여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폐가스내의 다이옥신 제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촉매를 사용하여 폐가스내에 존재하는 다이옥신의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다이옥신 제거율 시험은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펌프를 사용하여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를 촉매로 통과시킨 후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폐가스에 포함된 다이옥신의 농도 측정은 대기오염 공정시험법에 따라 폐가스를 채집하고, 정제와 농축과정을 거친 후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50 ℃, 공간속도(가스유량/촉매반응기 부피) 2,200 hr-1에서 독성등가지수(TFT)를 갖는 17종의 다이옥신에 대하여 다이옥신 제거율 시험을 실시하여 전단(유입구)과 후단(배출구)에서 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였다.
[표 1]
다이옥신류 반응기 전단 농도(ngTEQ/Nm3) 반응기 후단 농도(ngTEQ/Nm3)
2,3,7,8-TCDF 0.069 0.033
1,2,3,7,8-PeCDF 0.210 0.083
2,3,4,7,8-PeCDF 3.823 0.907
1,2,3,4,7,8-HxCDF 1.066 0.253
1,2,3,6,7,8-HxCDF 2.300 0.349
2,3,4,6,7,8-HxCDF 7.056 0.566
1,2,3,7,8,9-HxCDF 0.390 0.023
1,2,3,4,6,7,8-HpCDF 1.323 0.171
1,2,3,4,7,8,9-HpCDF 0.256 0.019
OCDF 0.002 -
2,3,7,8-TCDD 0.046 0.017
1,2,3,7,8-PeCDD 0.280 0.071
1,2,3,4,7,8-HxCDD 0.175 0.029
1,2,3,6,7,8-HxCDD 0.439 0.066
1,2,3,7,8,9-HxCDD 0.216 0.033
1,2,3,4,6,7,8-HpCDD 0.487 0.048
OCDD 0.128 0.008
합계 18.266 2.67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출구에서의 다이옥신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총 86%의 다이옥신이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상의 다이옥신 제거용 촉매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다이옥신 제거율인 70%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수치임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폐가스 등에 함유된 다이옥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4)

  1. 타이타니아 담지체상에 촉매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크롬이 1 내지 30 중량%, 텅스텐이 1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 또는 30 초과 내지 40 이하 중량% 담지된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2. 삭제
  3. 150 내지 450℃의 온도의 산화분위기 하에서 제 1항의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와 다이옥신이 함유된 폐가스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신 제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와 폐가스의 반응온도는 200 내지 4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2000-0049304A 2000-08-24 2000-08-24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50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304A KR100502853B1 (ko) 2000-08-24 2000-08-24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304A KR100502853B1 (ko) 2000-08-24 2000-08-24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145A KR20020016145A (ko) 2002-03-04
KR100502853B1 true KR100502853B1 (ko) 2005-07-20

Family

ID=1968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304A KR100502853B1 (ko) 2000-08-24 2000-08-24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50B1 (ko) * 2000-12-29 2003-05-0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가스 내의 다이옥신 및 질소산화물 제거용 저온 촉매 및이를 이용한 연소배가스의 처리방법
US8071497B2 (en) 2006-12-29 2011-12-06 Uop Llc Process and facility for removing one or more compounds
CN105903463A (zh) * 2016-05-23 2016-08-31 渤海大学 一种钛酸铬多孔可见光催化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940A (ja) * 1987-12-08 1989-06-14 Mitsubishi Heavy Ind Ltd 窒素酸化物の除去用触媒
JPH06182202A (ja) * 1992-12-21 1994-07-05 Mitsubishi Heavy Ind Ltd 低温脱硝触媒
JPH1057760A (ja) * 1996-08-20 1998-03-03 Mitsubishi Chem Corp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JPH1099646A (ja) * 1996-09-27 1998-04-21 Mitsubishi Chem Corp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KR20010055238A (ko) * 1999-12-10 2001-07-04 이구택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용 텅스텐-크롬-타이타니아 촉매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1940A (ja) * 1987-12-08 1989-06-14 Mitsubishi Heavy Ind Ltd 窒素酸化物の除去用触媒
JPH06182202A (ja) * 1992-12-21 1994-07-05 Mitsubishi Heavy Ind Ltd 低温脱硝触媒
JPH1057760A (ja) * 1996-08-20 1998-03-03 Mitsubishi Chem Corp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JPH1099646A (ja) * 1996-09-27 1998-04-21 Mitsubishi Chem Corp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KR20010055238A (ko) * 1999-12-10 2001-07-04 이구택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용 텅스텐-크롬-타이타니아 촉매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방법
KR100428564B1 (ko) * 1999-12-10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용 텅스텐-크롬-타이타니아 촉매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145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8528A1 (en) Catalyst for removing aromatic halogenated compounds comprising dioxin, carbon monoxide, and nitrogen oxide and use thereof
KR100502853B1 (ko)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502852B1 (ko)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바륨·타이타니아 촉매 및이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402430B1 (ko)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CN110302830A (zh) 高湿度环境下的VOCs净化用分子筛基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0000471A (ja) 排ガス処理用触媒、排ガス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5125236A (ja) ダイオキシンを含む芳香族ハロゲン化合物、一酸化炭素及び窒素酸化物を除去する触媒及びその用途
JP2000024500A (ja) 排ガス処理用触媒、排ガス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850060B1 (ko) 배가스 중의 함염소 유기 화합물의 분해방법 및 그 방법에사용하는 촉매
KR100423413B1 (ko) 다이옥신 제거용 크로미아/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377886B1 (ko) 염소계 유기화합물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642B1 (ko) 다이옥신화합물제거용크로미아/알루미나촉매및이를이용한다이옥신화합물제거방법
JP3509286B2 (ja)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JP3790943B2 (ja) 排ガス浄化用触媒及び排ガス浄化方法
JP3538984B2 (ja)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KR100460665B1 (ko) 폐가스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 및 다이옥신의 동시 제거방법
JP3707503B2 (ja) 揮発性有機塩素化合物の分解触媒
KR0163096B1 (ko) 아산화질소의 제거 방법
KR100485087B1 (ko) 폐가스중에 포함된 질소산화물과 다이옥신을 동시에 제거하는 방법
KR10020648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크로미아/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방법
JP2005262175A (ja) 排ガス処理触媒及び排ガス処理方法
JP3744587B2 (ja)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KR100406364B1 (ko) 질소산화물과염소계유기화합물제거용크로미아/제올라이트촉매및이를이용한폐가스중의질소산화물및염소계유기화합물제거방법
JP2000042409A (ja) 塩素化有機化合物分解用触媒および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
KR100503227B1 (ko) 염소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용 산화촉매 및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