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720B1 -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720B1
KR100502720B1 KR1020040068409A KR20040068409A KR100502720B1 KR 100502720 B1 KR100502720 B1 KR 100502720B1 KR 1020040068409 A KR1020040068409 A KR 1020040068409A KR 20040068409 A KR20040068409 A KR 20040068409A KR 100502720 B1 KR100502720 B1 KR 10050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noise
battery
volta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도학만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
Priority to KR102004006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의하면, 배터리(200)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전기부하(4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부하(4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는 배터리(200)에서 출력되는 전원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부(310)와, 배터리(200)와 전기부하(4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200)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30)와, 노이즈 검출부(310)에 의해 검출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칭부(33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3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우에만 한하여 전기부하(400)에 차량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불필요한 대기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며, 이로 인해 배터리(200)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항법장치, GPS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장치 등과 같은 외장용 전기부하(400)를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 기존과 같이 시거 잭에 전원단자를 연결해야 하는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배선 작업의 공수가 줄고 간편하며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Power Control Device In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장착된 전기부하를 작동시키기 위한 차량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고 전원공급라인 설치를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는 위치를 추적하여 표시하고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하는 차량항법장치(일명; GPS, 네비게이션이라 함)와, 운전 중인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통화하기 위한 핸즈프리장치와, 차량 주변을 소형 카메라로 촬영/녹화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분석할 때 활용하기 위한 영상녹화장치 등이 외장형으로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항법장치나 핸즈프리장치와 같은 특화된 기능을 구현하는 자동차의 외장형 전기부하는 통상적으로 차량 실내의 운전석 전방(데시보드 또는 룸미러)에 배치되며, 시거 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즉, 자동차에 시동을 걸면, 전기부하에도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기부하에서는 전원공급용 와이어를 통해 시거 잭과 전기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구동하기 때문에, 차량 실내에는 별도의 배선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즉, 전원공급용 와이어의 일단을 커넥터를 통해 시거 잭에 연결한 후 이의 타단을 운전석 전방에 배치된 전기부하에 접속시킴으로써, 차량 실내에서 별도의 배선작업이 요구된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또는 GPS 단말기와 같은 전기부하(1)가 룸미러에 장착되는 타입인 경우에는 전원공급용 와이어(2)를 차량 실내의 천정부까지 연장 배선해야 하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난해한 것은 물론이며 차량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운전석에는 통상 시가 잭(3)이 하나만이 구성되는데, 여기에 네비게이션 또는 GPS 단말기 등이 접속된 경우에는 핸즈프리장치와 같은 다른 전기부하는 사용할 수 없어 시각 잭(3) 활용에도 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를 전압 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내부에 외장형으로 장착된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를 제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차량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운행 중지(시동오프)시에는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발전기에서 출력된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원 제어장치는; 배터리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에서는; 시동키의 조작으로 발전기가 가동함에 따라 배터리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높게 변화되는 현상을 통해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며, 차량이 운행 중으로 판단되면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는;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부와, 배터리와 전기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노이즈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이즈 검출부는;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에서 직류 성분을 차단하고 전원 노이즈 성분을 출력하는 차단부와, 이 차단부에서 출력하는 전원 노이즈 성분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이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전원 노이즈 성분을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이 변환부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전원 노이즈 성분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컴은; 배터리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운행중으로 판단하여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온 동작시키며,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운행 중지로 판단하여 전기부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스위칭부를 오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 발전기에서 출력된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원 제어장치는;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부와, 배터리와 전기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배터리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노이즈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여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컴은; 배터리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차량 운행 중으로 판단하여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부를 온 동작시키며,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운행 중지로 판단하여 전기부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스위칭부를 오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부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항법장치, GPS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장치 및 영상녹화장치 중 적어도 어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의 엔진룸에 장착된 차량 발전기(이하, 발전기라 약칭한다)를 가동하는 경우, 차량 배터리에서 차량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배터리(이하, 배터리로 약칭한다)에 의해 충전된 차량 전원은 차량에 장착된 각종 전기부하에 제공된다.
즉, 발전기의 가동에 따라 배터리에서 제공하는 차량 전원은 직접 영향을 받는데, 특히 차량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은 발전기를 가동 상태에서 일정 레벨보다 높고 발전기를 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 레벨보다 낮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는 차량 전원의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전기부하에 차량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동 키(101), 발전기(100), 차량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200), 상기 배터리(2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전원에 따라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400), 그리고 상기 배터리(200)와 상기 전기부하(4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출력하는 차량 전원의 전원 노이즈에 따라 상기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부하(400)에 차량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부하(400)로의 차량 전원을 차단하는 차량 전원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시동 키(101)는 발전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운전자의 키 조작에 의해 발전기(100)를 가동한다.
그리고 배터리(200)는 발전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 전원을 충전하고 전기부하(400)에 충전된 차량 전원을 제공한다. 이 때, 전기부하(400)는 자동차에 특화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장착하는 차량항법장치,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핸즈프리장치), 영상녹화장치 등과 같이 차량에 장착하는 외장형 전기 기기는 물론이며, 내장형 전기 기기도 포함한다.
차량 전원 제어부(300)는 배터리(200)에서 출력하는 차량 전원의 전원 노이즈를 검출하는 전원 노이즈 검출부(310)와, 배터리(200)와 전기부하(400)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차량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30), 전원 노이즈 검출부(310)에 의해 검출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차량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여 스위칭부(33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32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노이즈 검출부(310)는 차단부(311)와, 증폭부(312)와, 변환부(313), 및 평활부(314)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의 상세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차단부(311)는 배터리(200)에서 출력하는 차량 전원에서 직류 성분을 차단하고 전원 노이즈 성분을 출력하며, 캐패시터(C1)와 저항(R11), 그리고 다이오드(D1)(D2)로 구성한다.
그리고 증폭부(312)는 차단부에서 출력하는 전원 노이즈 성분을 증폭하며, 연산 증폭기(OP1)(OP2), 저항(R12)(R13)(R14)(R15)들로 구성한다. 연산증폭기(OP1)는 버퍼(buffer) 동작을 하고, 연산증폭기(OP2)는 증폭 작용한다.
또한, 변환부(313)는 증폭부(312)에 의해 증폭된 전원 노이즈 성분을 직류로 변환하며, 연산증폭기(OP3), 저항(R16)(R17)(R18)(R19)들, 다이오드(D3)(D4)로 구성한다.
또한, 평활부(314)는 변환부(313)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전원 노이즈 성분을 평활하여 마이컴(320)에 출력하며, 연산 증폭기(OP4), 저항(R20)(R21) 및 캐패시터(C2)(C3)로 구성한다.
한편, 스위칭부(3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컴(320)의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며, 이 스위칭 회로는 마이컴(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턴 온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저항(R22)(R23)(R24)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의 동작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신호(S1)는 배터리(200)에서 출력하는 차량 전원으로 직류 성분을 포함한다. 차단부(311)의 캐패시터(C11)에 의해 직류 성분이 차단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신호(S2)는 차량 전원에서 직류 성분이 차단되고 남은 전원 노이즈 성분을 나타낸다. 즉, 차단부(311)에서 출력하는 전원 노이즈 성분은 크기가 미약하므로 증폭부(312)에서 소정의 비율로 증폭하며, 이때 증폭된 신호는 도 5c의 신호(S3)로 나타난다.
계속하여 증폭된 전원 노이즈 성분은 변환부(313)에 인가되고, 변환부(313)는 입력 신호를 반전하고 일정 레벨의 직류 성분을 포함하도록 하여 도 5d의 신호(S4)와 같이 변환한다. 변환부(313)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신호는 평활부(314)를 거치면서 평활된 도 5e의 신호(S5)와 같은 검출신호를 마이컴(32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320)은 전원노이즈 검출부(310)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 즉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시동키(101)에 의해 발전기(100)가 가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동 오프(OFF)한 경우에는 마이컴(320)에 입력되는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V1)은 기준 전압 레벨(Vf) 보다 낮다. 이 때 마이컴(320)은 스위칭부(330)를 턴 오프 하여 차량 전원이 전기부하(40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운전자에 의해 시동 키(101)를 조작하여 시동 온한 경우, 마이컴(320)에 입력되는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V2)은 기준 전압 레벨(Vf) 보다 높다. 이후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조작하는 경우 마이컴(320)에 입력되는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V3)은 시동 온 경우의 전압 레벨(V2) 보다 높게 나타난다.
결국, 시동 온하여 아이들링 상태를 유지하거나 가속 페달을 조작하여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차량 전원의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보다 높으며, 이때 마이컴(320)은 스위칭부(330)의 트랜지스터(TR1)(TR2)를 턴 온하여 배터리(200)의 차량 전원을 전기 부하(4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차량 전원을 전기 부하에 공급하는 동안에, 차량 운행을 정지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에서 출력하는 차량 전원의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아지고, 이에 따라 마이컴(320)이 스위칭부(330)를 제어하여 전기부하(400)로의 차량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이러한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를 통해 외장형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면, 차량 내부에서의 전기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장형 부하기기를 설치하여도 전기 배선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등(4)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 천정까지 연장된 기본 배선(미도시)과 룸미러 타입의 전기부하(400)를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부(300)를 갖춘 전기 배선을 통해 전기 접속시키면, 자동차 시동 키의 조작으로 발전기가 가동되면 전기부하(400) 역시 자동으로 구동하며, 발전기의 가동이 중지되면 전기부하(400) 역시 이의 구동이 중지된다. 이에 따라 전기부하(400)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작업을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자동으로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원 제어부(300)를 외부로 노출된 경우로 도시하였지만, 전원 제어부(300)를 전기부하(400)에 내장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의하면, 차량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기부하에 차량 전원을 공급함에 의해 불필요한 대기 전력의 소모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서는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장용 전기부하를 차량에 설치함에 있어서 기존과 같이 시거 잭에 전원단자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배선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 공수가 줄고 간편하며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에 장착된 전기부하의 배선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에서 노이즈 검출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에서 스위칭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의 노이즈 검출부에서 전원 노이즈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장치가 자동차 실내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전기 101 : 시동키
200 : 배터리 300 : 전원 제어부
310 : 노이즈 검출부 320 : 마이컴
330 : 스위칭부 400 : 전기부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 발전기에서 출력된 전원이 저장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에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장치는 상기 배터리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에 따라 차량의 운행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에서 직류성분을 차단하고 전원 노이즈 성분을 출력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에서 출력되는 전원 노이즈 성분을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전원 노이즈 성분을 직류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전원 노이즈 성분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평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부와;
    상기 배터리와 전기부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노이즈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배터리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운행중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온 동작시키며,
    전원 노이즈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운행 중지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부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40068409A 2004-08-30 2004-08-30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KR10050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09A KR100502720B1 (ko) 2004-08-30 2004-08-30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09A KR100502720B1 (ko) 2004-08-30 2004-08-30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720B1 true KR100502720B1 (ko) 2005-07-20

Family

ID=3730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409A KR100502720B1 (ko) 2004-08-30 2004-08-30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7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655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이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30133942A (ko) * 2012-05-30 2013-12-1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spi 통신 보호 장치
CN104333214A (zh) * 2014-10-31 2015-02-04 胡治素 基于555定时器的车载直流电源转换接口模块
KR101571441B1 (ko) 2015-08-11 2015-11-24 주식회사 다음에너지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원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981679A (zh) * 2017-05-31 2018-12-1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路装置、物理量测量装置、电子设备以及移动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655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이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636397B1 (ko) * 2010-07-29 2016-07-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마이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30133942A (ko) * 2012-05-30 2013-12-1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spi 통신 보호 장치
KR101964196B1 (ko) * 2012-05-30 2019-04-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spi 통신 보호 장치
CN104333214A (zh) * 2014-10-31 2015-02-04 胡治素 基于555定时器的车载直流电源转换接口模块
KR101571441B1 (ko) 2015-08-11 2015-11-24 주식회사 다음에너지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원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26702A1 (ko) * 2015-08-11 2017-02-16 주식회사 다음에너지 물의 전기분해를 위한 전원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981679A (zh) * 2017-05-31 2018-12-1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路装置、物理量测量装置、电子设备以及移动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1619A (en) Automatic safety switch for preventing accidental battery discharge
US7683503B2 (en) Dead battery preventing device for preventing engine start failure of vehicle having economy running function and dead battery prevention method
US20060072266A1 (en) Voltage controller for use in electronic appliance us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method thereof
CN109661330B (zh) 车辆用蓄电装置
KR100502720B1 (ko) 자동차용 전원 제어장치
JP2008114678A (ja) 車両用電源装置
US20040169419A1 (en) Safety switch for preventing an unintentional vehicle battery discharge
JP2003503998A (ja) 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3167419B2 (ja) 自動車用バッテリ監視装置
KR101011530B1 (ko) 차량의 전압 보상 장치
JPH04222426A (ja) 自動車用バッテリの充電システム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JP2004050892A (ja) 車載負荷制御システム及び車載負荷制御方法
KR100493466B1 (ko)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
KR100254423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컨버터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436644B1 (ko) 차량의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용 비디오 레코딩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200295777Y1 (ko) 차량의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용 비디오 레코딩장치
JP2001135495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962151B2 (ja) 自動車用ドアミラー装置
KR20080021487A (ko) 차량용 미러 장치
KR19980053885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200178252Y1 (ko) 자동변속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이중안전장치의 설치구조
KR20050092920A (ko) 차량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9990003993A (ko) 차량의 전원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