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765B1 -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765B1
KR100500765B1 KR10-2002-0072629A KR20020072629A KR100500765B1 KR 100500765 B1 KR100500765 B1 KR 100500765B1 KR 20020072629 A KR20020072629 A KR 20020072629A KR 100500765 B1 KR100500765 B1 KR 10050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compressed air
radioactive material
equipment contaminated
decontamin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218A (ko
Inventor
김기호
박장진
양명승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7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or disposing radioactively contamin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축공기 분사호스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분사호스를 다수개의 공압 엑튜에이터에 의해 연결·설치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고속 분사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흐름 계통 내에 응축된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여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호퍼, 분사호스 및 분사노즐의 막힘을 즉시 천공함으로서 연속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제염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고속 분사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는 일측 끝단부가 분사헤드에 연결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과 압축공기 이송수단의 중간부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위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 및 압축공기 이송수단에 제어반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개의 공압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공압 액츄에이터의 상호 조합에 의한 밸브의 개폐유무에 따라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거나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이송 및 분사계통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Device for remotely decontaminating equipment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본 발명은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방사성물질인 사용후핵연료 과립·분진 또는 방사화된 먼지·분진폐기물 등으로 오염된 핫셀내의 장치·공구·장비의 표면을 드라이 아이스 펠릿(pellet)의 고속·고압 분사에 의해 제염하고, 드라이 아이스 공급, 이송 및 분사 계통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압축공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는 고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특수시험시설인 핫셀에 설치되어, 고방사성물질인 사용후 핵연료를 원료로 사용하는 DUPIC 핵연료 파우더, 펠릿, 연료봉 생산에 사용된 장비, 장치, 공구 등에 산재·고착되어 있는 고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DUPIC 혁연료 제조/공정 장비·장치·공구 등은 주로 사용후핵연료 과립 및 분진, 방사화된 먼지 및 미세분진폐기물 등으로 오염되어 있으며, 오염물질의 고방사성 때문에 작업자의 직접접촉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며, 모든 오염제거 작업은 원격으로 수행된다.
현재 고방사성물질 취급시설에서 사용되는 제염법은 고방사성 환경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제염을 할 수 없으므로 원격수단에 의해 먼저 제염용액과 제염제(종이, 솜, 헝겊 등)를 핫셀 등과 같은 고방사성 환경 내부로 집어넣은 다음,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 또는 원격취급공구 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제염제에 제염용액을 묻혀서 제염작업을 수행한다. 원격제염 후 방사성 준위가 작업자의 접근 허용치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 만 특수 방호복을 착용한 작업자가 투입되어 제염제에 제염용액을 묻혀서 제조/공정 장비·장치·공구 또는 바닥을 직접 닦으면서 제염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염 방법은 많은 양의 제염 용액과 제염제가 사용되므로, 이로 인해 다량의 2차 방사성 폐기물을 생성시키고 이러한 폐기물을 다시 취급 및 처리하는데 기술 및 경제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와 원격취급공구에 의한 제염작업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취급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누적된 피로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작업자에 의한 직접 제염은 작업자가 방사능에 피폭될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규칙에 따라 작업자가 연속적으로 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작업시간이 지연된다.
분사 매개체로서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하는 제염방법은 제2차 폐기물을 생성시키지 않으므로 산업현장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종 종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염방법은 드라이 아이스가 저장되어 분사 될 때 드라이 아이스의 고유성질로 인하여 드라이 아이스 공급 호퍼의 주입구와 드라이 아이스 분사 호스 및 분사 노즐 부분에서 막힘 현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현상은 드라이 아이스가 습기 또는 유분 등과 결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제염장치의 연속 작동을 불가능케 하여 빈번히 제염 작업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막힘을 제거하기 하기 위해서는 드라이 아이스가 자연적으로 승화 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분사건의 노즐 끝단 부분을 강제적으로 막고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압축공기가 역류하여 잔류 드라이 아이스가 제거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염장치의 부품을 손상시키고, 장치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또한, 제염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특히 산업용 제염장치는 구성 부품이 방사능에 쉽게 손상되므로 고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원자력 환경에서는 직접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축공기 분사호스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분사호스를 다수개의 공압 엑튜에이터에 의해 연결·설치하여 압축공기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고속 분사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흐름 계통 내에 잔류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여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호퍼, 분사호스 및 분사노즐의 막힘을 즉시 천공함으로서 연속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제염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고속 분사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는 일측 끝단부가 분사헤드에 연결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과 압축공기 이송수단의 중간부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위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 및 압축공기 이송수단에 제어반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개의 공압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공압 액츄에이터의 상호 조합에 의한 밸브의 개폐유무에 따라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거나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이송 및 분사계통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측면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밸브 구성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헤드의 구성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10) 및 압축공기 이송수단(20)에 다수개의 공압 액츄에이터(30)를 설치하고, 상기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10)과 압축공기 이송수단(20)의 끝단을 분사헤드(40)에 각각 연결하여, 다수개의 공압 액츄에이터(30)의 상호조합에 의한 밸브의 개폐 유무에 따라 압축공기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거나,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이송 및 분사 계통 내부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축공기 이송수단(20)은 콤프레셔등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분사헤드(40)로 이송하는 것으로, 압축공기 이송호스(21)에 설치되어 건조기(도시없음)에서 공급되는 정화된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메인밸브(22)와, 상기 메인밸브(22)를 통해 이송된 압축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3)와, 상기 필터(23)와 연결되어 정화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24)와, 상기 레귤레이터(24)와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분사헤드(40) 방향의 압축공기 이송호스(25)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드라이 아이스 공급수단(10)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이송배관(26)과, 상기 이송배관(26)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7) 및 볼밸브(2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압축공기 이송수단(20)의 공기량은 메인밸브(22)를 통해 조절되며, 압축공기 이송배관(26)은 분사헤드(40)측 이송호스(25)와 연결되는 제 1 이송배관(261)과,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10)과 연결되는 제 2 이송배관(2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27) 및 볼밸브(28)는 핫셀내부에서 오염된 물질이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호스(13) 및 압축공기 호스(25)를 통하여 핫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방사선에 강인한 스테인레스 스틸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10)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이 저장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11) 하부에 위치하도록 몸체에 부착되는 공압식 진동기(12)와, 상기 호퍼(11) 하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분사헤드(40) 방향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호스(13)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압축공기 이송배관(26)과 연결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은 압축공기 이송배관(26)의 제 2 이송배관(26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압식 진동기(12)는 몸체(50)에 설치되는 것으로, 위에 호퍼(11)가 부착되어 있어 진동기(12)가 작동되면, 호퍼(11)는 진동기(12)와 같은 주파수로 떨면서 저장하고 있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으로 보내게 된다. 또한, 진동기(12) 하단부와 몸체(50) 연결부분에는 진동시 떨림이 몸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무패드(6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호퍼(11)에서 드라이아이스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으로 공급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양은 피드 레이트 밸브(73)을 이용하여 공압식 진동기(12)의 떨림의 세기(주파수)를 조종함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은 호퍼(11)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초저온 상태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시 주변 공기와 결합하여 드라이 아이스 펠릿 입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제로 감싸져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은 몸체(50)와 접촉하는 부분이 없도록 즉, 오직 호퍼(11)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지속적인 떨림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압 액츄에이터(30)는 압축공기 이송배관(26) 및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이동방향 및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압축공기 이송배관(26)의 제 1 이송배관(261)과 제 2 이송배관(262)의 교차점을 지나 제 1 이송배관(261)에 제 1 공압 액츄에이터(31)가 설치되고, 제 2 이송배관(262)에 제 2 공압 액츄에이터(32)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이송배관(262)과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호퍼방향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에 제 3 공압 액츄에이터(33)가, 분사헤드방향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에 제 4 공압 액츄에이터(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핫셀 내부에 설치된 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도시없음)에 의해 핫셀 공간에서 제염 대상체까지 거리가 조정되는 상기 분사헤드(40)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과 압축공기를 혼합하여 노즐(41)을 통하여 분사하는 것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호스(13)는 약 45도 방향으로, 압축공기 이송호스(25)는 직선으로 분사헤드(40)에 연결되어 있다. 즉, 압축공기가 분사헤드(40) 내부를 고속으로 직진하면서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빨아들여서 압축공기에 실어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 아이스 공급수단(10)과 압축공기 이송수단(20)은 모두 몸체(5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반(7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반(70)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공급량, 압축공기 공급 속도 및 공급량을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분사헤드(40)의 노즐(41)을 통하여 분사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분사속도와 분사량을 조종하고, 또한,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공급, 이송 및 분사계통을 퍼징(purging)하기 위하여 공압메카니즘을 제어하는 것으로, 시작/정지를 선택하는 제 1 스위치(71)와, 건조기(도시없음)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압을 표시하는 압축공기압 게이지(72)와, 호퍼(11)에서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으로 공급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양을 조절하는 피드 레이트 밸브(73)와, 분사헤드(4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강도와 양을 조종하는 사용공기압밸브(74)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분사를 수동과 자동 모드로 전환하는 제 2 스위치(75)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분사시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76)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는 모드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흐름계통 내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제거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제 3 스위치(7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스위치(77)는 3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 1 단계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헤드(40)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는 모드, 제 2 단계는 호퍼방향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호퍼(11)의 주입구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는 모드, 제 3 단계는 분사헤드방향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 이송호스(13) 및 노즐(41)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는 모드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제 3 스위치(77)의 각 단계에 따라 압축공기 이송배관(26)과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14)에 설치된 공압 액츄에이터(30)의 개폐 유무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어반의 조작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UPIC 핵연료 파우더, 펠릿, 연료봉 생산에 사용된 장비, 장치, 공구 등에 산재·고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먼저 제 3 스위치를 제 1 단계로 전환하고, 제 1 스위치를 작동하여 본 발명을 가동시킨 후, 사용공기압밸브와 피드 레이트 밸브를 이용하여 공기압 및 공급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 3 스위치가 제 1 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제 2 공압 액츄에이터는 폐쇄되고, 제 1,3,4 공압 액츄에이터가 열려서 압축공기 및 드라이 아이스 펠릿이 압축공기 이송배관 및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을 통해 분사헤드로 이송된 후, 노즐을 통해 오염물질의 표면을 향하여 분사되며, 오염물질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강한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제거된다.
또한, 오염물질 제거 후, 호퍼방향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호퍼의 주입구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 3 스위치를 제 2 단계로 전환하면, 제 2,3 공압 액츄에이터가 열리고, 제 1,4 공압 액츄에이터가 폐쇄되어 압축공기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압축공기가 제 2 이송배관을 통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과 호퍼 주입구 내의 잔류 드라이 아이스를 호퍼로 호퍼방향으로 강제·이송시킨다. 즉, 호퍼방향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과 호퍼 주입구 내의 잔류드라이 아이스가 제거된다.
또한, 오염물질 제거후, 분사헤드방향으로 잔류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 3 스위치를 제 3 단계로 전환하면, 제 2,4 공압 액츄에이터가 열리고, 제 1,3 공압 액츄에이터가 폐쇄되어 압축공기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압축공기가 제 2 이송배관을 통해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분사헤드방향으로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 이송호스 및 노즐 내의 잔류드라이 아이스를 외부로 강제·이송시킨다. 즉, 분사헤드의 노즐을 통해 잔류 드라이 아이스가 분사되므로, 분사헤드방향 이송배관 및 이송호스내의 잔류 드라이 아이스가 제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공기 이송수단과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수단이 다수개의 공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원하는 제어모드를 선택함으로서 공압 액츄에이터의 상호 조합에 의한 밸브의 개폐 유무에 따라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드라이 아이스 펠릿의 흐름계통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호퍼방향 또는 분사헤드방향 등 양방향으로 제거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호퍼 주입구의 막힘 현상을 제거하고,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이송 및 분사 노즐 내부에 수분발생과 막힘으로 인한 장치의 효율성 감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염장치의 연속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제염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측면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밸브 구성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헤드의 구성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 (11) : 호퍼
(12) : 공압식 진동기
(13): 분사헤드방향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호스
(14) :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 (20) : 압축공기 이송수단
(21) : 건조기방향 압축공기 이송호스 (22) : 메인밸브
(23) : 필터 (24) : 레귤레이터
(25) : 분사헤드방향 압축공기 이송호스
(26): 압축공기 이송배관 (261):제 1 이송배관
(262): 제 2 이송배관 (27) : 체크밸브
(28) : 볼밸브 (30) : 공압액츄에이터
(31) : 제 1 액츄에이터 (32) : 제 2 액츄에이터
(33) : 제 3 액츄에이터 (34) : 제 4 액츄에이터
(40) : 분사헤드 (41) : 노즐
(50) : 몸체 (60) : 고무패드
(70) : 제어반 (71) : 제 1 스위치
(72) : 압축공기압 게이지 (73) : 피드 레이트 밸브
(74) : 사용공기압 밸브 (75) : 제 2 스위치
(76) : 표시기 (77) : 제 3 스위치

Claims (4)

  1. 핫셀에 설치되어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는 일측 끝단부가 분사헤드에 연결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과 압축공기 이송수단의 중간부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위와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 및 압축공기 이송수단에 제어반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개의 공압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공압 액츄에이터의 상호조합에 의한 밸브의 개폐유무에 따라 드라이 아이스 펠릿을 분사하거나,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 이송 및 분사계통 내에 잔류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제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이송수단은 압축공기 이송호스에 설치되어 건조기에서 공급된 압축공기 량을 조절하는 메인밸브와, 상기 메인밸브를 통해 이송된 압축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와 연결되어 정화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와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분사헤드 방향의 압축공기 이송호스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드라이 아이스 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압축공기 이송배관과,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및 볼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아이스 펠릿 공급수단은 드라이 아이스 펠릿이 저장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위치하도록 몸체에 부착되는 공압식 진동기와, 상기 호퍼 하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분사헤드 방향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호스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압축공기 이송배관과 연결되는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액츄에이터는 압축공기 이송배관의 제 1 이송배관과 제 2 이송배관의 교차점을 지나 제 1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 1 공압 액츄에이터와, 제 2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 2 공압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 이송배관과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호퍼방향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 3 공압 액츄에이터와, 분사헤드방향의 드라이 아이스 펠릿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 4 공압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KR10-2002-0072629A 2002-11-21 2002-11-21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KR10050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629A KR100500765B1 (ko) 2002-11-21 2002-11-21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629A KR100500765B1 (ko) 2002-11-21 2002-11-21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883U Division KR200258336Y1 (ko) 2001-09-19 2001-09-19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218A KR20030025218A (ko) 2003-03-28
KR100500765B1 true KR100500765B1 (ko) 2005-07-14

Family

ID=2772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629A KR100500765B1 (ko) 2002-11-21 2002-11-21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610B1 (ko) * 2002-08-08 2005-10-13 한전기공주식회사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기기에 대한 화학 제염 장치
KR100795777B1 (ko) * 2006-12-29 2008-01-17 한국원자력연구원 드라이아이스 펠렛 분사 제염성능과 오염입자 포집성능향상방법 및 장치
KR100925481B1 (ko) * 2009-07-08 2009-11-06 선광원자력안전(주) 방사성 오염 금속폐기물용 제염장치
KR101725946B1 (ko) * 2016-09-23 2017-04-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마재 회수형 블라스트 제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218A (ko) 200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 coating from a substrate
AU665949B2 (en) Blasting apparatus and method
JP6193604B2 (ja) ドライアイスを用いた除染システム及び除染方法
EP3515661A1 (en)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both wet and dry blas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pparatus
JP5702331B2 (ja) 汚染物質除去装置
EP0771612A1 (en) Floor surface blasting apparatus
KR100500765B1 (ko)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JP2015110260A (ja) 汚染物質除去方法
KR200258336Y1 (ko)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장비의 원격제염장치
KR101967107B1 (ko) 자동 연마 제염시스템
JP5787823B2 (ja) 汚染物質除去装置
US5749470A (en) Installation for decontaminating a radioactively contaminated surface
KR101985827B1 (ko) 발전소 등의 기계설비 배관에 형성되는 스케일이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배관 오염물제거장치
JP2013242155A (ja) 除染方法
WO1995022432A1 (en) Blasting device with adjustable blast strength
US66848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and offline cleaning of industrial systems
JPH1043700A (ja) ドライアイスブラスト装置
JP5245042B2 (ja) ブラスト装置の運転方法
EP0201145B1 (en) Grit blasting apparatus
JP5187499B2 (ja) ブラスト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5003960B2 (ja) ブラスト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3163226A (ja) ブラスト除染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ブラスト施工方法
KR200490490Y1 (ko) 샤워식 방사능 제염시스템
US5851308A (en) Acid bottl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40149324A1 (en) Apparatus for online and offline cleaning of industria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