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225B1 -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225B1
KR100499225B1 KR10-2002-0081707A KR20020081707A KR100499225B1 KR 100499225 B1 KR100499225 B1 KR 100499225B1 KR 20020081707 A KR20020081707 A KR 20020081707A KR 100499225 B1 KR100499225 B1 KR 10049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water
water supply
valv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3562A (ko
Inventor
코이치 하토리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9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having three or more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Abstract

본 발명의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를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1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분사수(噴射水)를 안정화시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를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이 포함된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와 상기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는 각각 1곳의 물의 입구 및 복수의 물의 출구를 갖는다. 제1의 전환밸브는 물의 입구가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물의 출구의 1곳이 상기 제2의 전환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Pressure Water Feeder of Water Jet Loo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한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어느 하나의 압력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 장치의 하나로서 1곳의 물의 입구와 2곳의 물의 출구를 갖는 전환밸브를 압력수 공급원으로서의 분사펌프와 위사 삽입 노즐의 사이에 배치하고, 위사 삽입 노즐의 선택 시에는 물의 입구를 한쪽의 물의 출구에 연결시켜 압력수를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하고, 위사 노즐을 선택하지 않을 때는 물의 입구를 다른 쪽의 물의 출구에 연결시켜, 압력수를 외부에 배출하는 것이 특개평 8-19945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위사 삽입 노즐과 배출구와 같은 단말 유출구와 동일한 수의 물의 출구를 전환 밸브에 설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 수의 증가에 의해서 단말 유출구의 수가 증가하면 그 만큼 물의 출구의 수가 많아지고 전환밸브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전환할 때 밸브 몸체의 운동범위가 커진다. 또한 물의 출구의 수가 많아지면 밸브 몸체의 정지 위치의 수가 많아져서, 전환밸브의 제어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수를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1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분사수(噴射水)를 안정화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 장치는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이 포함된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제1의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는 각각 1곳의 물의 입구 및 복수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전환밸브는 상기 물의 입구가 상기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물의 출구의 1곳이 상기 제2의 전환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는 전체가 위사 삽입 노즐(분사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2곳 이상의 위사 삽입 노즐과 1곳의 배출구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사 삽입 시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는 제1의 전환밸브의 물의 입구에 공급되어, 소정의 전환밸브에 의해서 소정의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된다. 위사 삽입 노즐의 전환 시 1곳 이상의 전환밸브가 전환되어,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는 소정의 전환밸브에 의해 선택된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된다.
단말 유출구가 3곳일 때는 2곳의 전환밸브(제1 및 제2의 전환밸브)가 이용된다. 단말 유출구가 4곳 이상일 때는 적어도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가 이용되지만, 그 밖에 다른 전환밸브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1곳의 물의 입구 및 복수의 물의 출구를 갖는 적어도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를 이용하여, 제1의 전환밸브의 물의 입구를 상기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시키면서, 제1의 전환밸브의 1곳의 물의 출구를 제2의 전환밸브에 연결시키기 때문에, 압력수를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의 1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환밸브의 밸브몸체의 운동량을 작게 하거나 밸브몸체를 작게 하거나 할 수 있고 각 위사 삽입 노즐이 전환밸브를 통해서 압력수 공급원에 확실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에서의 분사수가 안정화된다.
각 전환밸브는 3곳 이상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러나 전체의 전환밸브가 2곳만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면, 전체의 전환밸브의 제어가 2곳의 전환위치를 제어하는 소위 2위치 형태 제어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전환밸브의 제어가 간단해 진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전환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용 구동 액츄에이터로서 2곳에 위치한 복수의 구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전환밸브의 전환 동작 패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의 제직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각 전환밸브를 2곳의 위치에 이동시키면 전환밸브의 반응도도 높아진다.
또한 압력수 공급장치는 1곳 이상의 제3의 전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는 제1의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이 포함된 상기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의 1곳에 상기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의 압력수 공급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1곳 이상의 제3의 전환밸브는 제2의 배출구와 상기 위사 삽입 노즐과는 다른 1곳 이상의 제2의 위사 삽입 노즐이 포함된 2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압력수 공급원과는 다른 제2의 압력수 공급원에서의 압력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의 압력수 공급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전환밸브 중 배출구에 연결되는 물의 출구를 갖는 2곳의 전환밸브와 전체의 물의 출구를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하는 2곳의 전환밸브는 동축(同軸)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서 일체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구동장치를 전환밸브마다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2곳의 압력수 공급계에 있어서, 배출구에 연결되는 물의 출구를 갖는 전환밸브와 전체 위사 삽입 노즐에만 연결되는 전환 밸브가 동축에 접속될 경우, 전체 위사 삽입 노즐에만 연결되는 전환밸브를 가지고 위사 삽입 노즐의 전환을 실행하면 배출구에 연결되는 물의 출구를 갖는 전환밸브도 전환되어 위사 삽입 노즐에서 압력수가 분사될 수 있고, 2곳의 압력수 공급장치의 위사 삽입 노즐에서 동시에 압력수가 분사되어 위사 삽입에 지장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2곳의 압력수 공급계에서는 배출구에 연결된 물의 출구가 설치된 2곳의 전환밸브와 물의 출구를 전체 위사 삽입 노즐에만 연결한 2곳의 전환밸브가 동축에 접속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2곳의 위사 삽입 노즐에서 동시에 압력수가 분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10)는 제1, 제2 및 제3의 위사 삽입 노즐(12, 14 및 16)을 이용한 다색 위사 삽입의 물 분사식 직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위사 삽입 노즐(실제로는 분사구)(12, 14, 16)과 배출구(18)는 압력수가 대기압 영역에 유출되는 단말 유출구로서 작용한다. 위사 삽입 노즐(12, 14 및 16)은 위사 삽입이 가능한 위사에 각각 대응되어 있다.
압력수 공급장치(10)는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의 압력수를 받아들이는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20, 22)가 설치된 제1의 압력수 공급계와 제2의 압력수 공급원(28)에서의 압력수를 받아들이는 제3의 전환밸브(24)가 설치된 제2의 압력수 공급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26 및 28)에서의 압력수를 어느 하나의 위사 삽입 노즐(12, 14 및 16)과 배출구(18)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도시(圖示)한 예에서의 배출구(18)는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26 및 28)에서의 압력수를 회수탱크(30)에 배출하는 공유 배출구로 작동한다.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는 공유의 제1의 로터리 솔레노이드(32)의 구동축(34)에 커플링(36)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어 있으면서 함께 구동된다. 이것에 비해, 제2의 전환밸브(22)는 도시하지 않은 제2의 로터리 솔레노이드의 구동축(40)에 커플링(42)에 의해서 연결되어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전환밸브(20, 22 및 24)는 각각 1곳의 물의 입구(44, 46 및 48)와 2곳의 물의 출구(50, 52, 54, 56, 58 및 60)와 1곳의 전환유로(62, 64 및 66)를 가지고 있다(도 3 참조).
물의 입구(44, 46, 48)와 물의 출구(50, 54, 56, 58, 60)는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물의 출구(52)는 제1의 전환밸브(20)의 밸브 몸체에 설치되어 있고, 전환밸브(62, 64 및 66)는 대응하는 전환밸브의 밸브 몸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의 밸브 몸체는 일체(一體)로 결합되어 있다.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출구의 1곳은 밸브 몸체에 전환유로(62)와 함께 형성된 물의 출구(52)로서, 상기 물의 출구(52)는 전환밸브(6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의 밸브 몸체를 일체화하기 위한 동축에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제3의 전환밸브(24)의 밸브 몸체에 형성된 연결통로(68)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통로(68)는 제1, 제3의 전환밸브(20, 24)가 일체(一體)로 구동되어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와 제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출구(16)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는 전환유로(62), 물의 출구(52), 연결통로(68) 및 물의 출구(60)를 통해서 파이프(82)에 의해서 배출구(18)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제1의 전환밸브(20)에 있어서, 물의 입구(44)는 파이프(70)에 의해서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 연결되어 있고, 물의 출구(52)와는 다른 그 밖의 물의 출구(50)는 파이프(72)에 의해서 제2의 전환밸브(22)의 물의 입구(46)에 연결되어 있다.
제2의 전환밸브(22)의 물의 출구(54 및 56)는 각각 파이프(74 및 76)에 의해서, 제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12 및 14)에 연결되어 있다.
제3의 전환밸브(24)에 있어서, 물의 입구(48)는 파이프(78)에 의해서 제2의 압력수 공급원(28)에 연결되어 있고, 물의 출구(58 및 60)는 각각 파이프(80 및 82)에 의해서 제3의 위사 삽입 노즐(16) 및 배출구(18)에 연결되어 있다. 물의 출구(60)는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26 및 28)에서의 압력수를 파이프(82)를 통해서 배출구(18)에 유도하여, 회수탱크(30)에 배출시키는 공유 배출구로서 작동한다.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는 제1의 전환밸브(20)에 의해 물의 입구 (44)를 물의 출구(50)에 연결하여, 제3의 전환밸브(24)에 의해 물의 입구(48)를 물의 출구(60)에 연결하는 제1의 위치(도 3(20a, 20b) 및 (24a, 24b) 참조)에서 또한 제1의 전환밸브(20)에 의해 물의 입구(44)를 물의 출구(52)에 연결하면서, 제3의 전환밸브(24)에 의해 물의 입구(48)를 물의 출구(58)에 연결하여, 연결통로(68)를 물의 출구(60)에 연결하는 제2의 위치(도 3(20c) 및 (24c) 참조)에서 제1의 로터리 솔레노이드(32)에 의해 각도를 이루며 회전된다.
제2의 전환밸브(22)는 물의 입구(46)를 물의 출구(54)에 연결시키는 제1의 위치(도 3(22a) 참조)에서 또한 물의 입구(46)를 물의 출구(56)에 연결시키는 제2의 위치(도 3(22b) 참조)에서 제2의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의해 각도를 이루며 회전된다.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는 제1 및 제2의 위치 조정판(84 및 86)과 스토퍼(88)에 의해서, 제1 및 제2의 위치의 어느 하나의 전환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제한된다. 위치 조정판(84 및 86)은 제1의 전환밸브(20)(또는 제1의 로터리 솔레노이드(32))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비해 스토퍼(88)는 커플링(36)(또는 구동축(34))과 함께 각도를 형성하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전환밸브(22)는 제3 및 제4의 위치 조정판(90 및 92)과 스토퍼(94)에 의해서, 제1 및 제2의 위치의 어느 하나의 전환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제한된다. 위치 조정판(90 및 92)은 제2의 전환밸브(22)(또는 제2의 로터리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비해, 스토퍼(94)는 커플링(42)(또는 구동축(40))과 함께 각도를 이루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의 압력수는 파이프(70)에 의해서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에 위사 삽입 타이밍별로 항상 공급되어 있고, 제2의 압력수 공급원(28)에서의 압력수도 파이프(78)에 의해서 제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입구(46)에 위사 삽입 타이밍별로 항상 공급되어 있다.
압력수 공급장치(10)에 있어서, 압력수를 제1의 위사 삽입 노즐(12)에 공급할 때,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는 도 3(20a 및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위치에 변위(또는 유지)되고, 제2의 전환밸브(22)는 도 3(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위치에 변위(또는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수는 제1의 전환밸브(20)의 전환유로(62) 및 물의 출구(50), 파이프(72)를 거쳐서, 제2의 전환밸브(22)의 물의 입구(46), 전환유로(64) 및 물의 출구(54), 파이프(74)를 거쳐 제1의 위사 삽입 노즐(12)에 흘러 들어간다.
제1의 압력수 공급계에 있어서, 압력수를 제2의 위사 삽입 노즐(14)에 공급할 때,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는 도 3(20b 및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위치에 변위(또는, 유지)되고, 제2의 전환밸브(22)는 도 3(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위치에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수는 제1의 전환밸브(20)의 전환유로(62) 및 물의 출구(50), 파이프(72)를 거쳐, 제 2의 전환밸브(22)의 물의 입구(46), 전환유로(64) 및 물의 출구(56), 파이프(76)를 거쳐서 제2의 위사 삽입 노즐(14)에 흘러 들어간다.
압력수를 제1 및 제2의 위사 삽입 노즐(12 및 14)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할 때도, 제2의 압력수 공급원(28)에서 제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입구(48)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수는 도 3(24a 및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의 전환밸브(24)의 전환유로(66) 및 물의 출구(60) 및 파이프(80)를 통해서 배출구(18)에 공급되어, 회수탱크(30)에 회수된다.
또한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수는 제1의 전환밸브(20)의 전환유로(62)에서 물의 출구(52)로 들어가지만, 물의 출구(52)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통로(68)를 나타내는 도 3(24a 및 24b)에서는 제 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출구(58 및 60) 중 어느 하나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출구(58 및 60) 중 어느 하나에도 유출되지 않는다.
제2의 압력수 공급계에 있어서, 압력수를 제3의 위사 삽입 노즐(16)에 공급할 때는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0 및 24)은 도 3(20c 및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위치에 변위(또는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2의 압력수 공급원(28)에서 제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입구(48)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수는 제3의 전환밸브(24)의 전환유로(66) 및 물의 출구(58) 및 파이프(80)를 거쳐서 제3의 위사 삽입 노즐(16)에 흘러 들어간다.
그러나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입구(44)에 공급되어 있는 압력수는 제1의 전환밸브(20)의 물의 출구(52), 연결통로(68), 제3의 전환밸브(24)의 물의 출구(60) 및 파이프(82)를 통해서 배출구(18)에 공급되고, 회수탱크(30)에 회수된다.
또한 제2의 전환밸브(22)의 물의 입구(46)에는 제1의 압력수 공급원(26)에서의 압력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압력수를 제3의 위사 삽입 노즐(16)에 공급하는 사이, 제2의 전환밸브(22)는 도 3(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위치 중 어느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 선택한 위치에 의해서 유지된다.
압력 유체 공급장치(10)에 의하면 압력수를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1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위사 삽입 노즐(12, 14)이 전환밸브(20, 22)를 통해서 압력수 공급원(26)에 확실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위사 삽입 노즐(12, 14)에서의 분사수가 안정화된다.
또한 전체의 전환밸브(20, 22, 24)가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전환밸브의 제어가 2곳의 전환위치를 제어하는 소위 2곳의 위치제어로 가능하기 하면서 전환밸브의 제어를 용아하게 한다.
더욱, 제1, 제3의 전환밸브(20, 24)를 직기의 주축 모터에서 독립한 1곳의 전용 전동 액츄에이터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전동 액츄에이터를 각각 설치하지 않고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전환밸브(22)도 직기의 주축 모터에서 독립한 전용 전동 액츄에이터로 구동시키고 있으며, 각 전환밸브의 전환 동작 패턴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조건의 제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2곳의 전동 액츄에이터는 함께 2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각 전환밸브의 밸브 몸체는 2곳의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함으로써 운동범위는 작아지고, 전환밸브의 반응도도 높아진다.
각 전환밸브는, 상기와 같이 밸브 몸체가 내측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밸브 몸체가 외측의 구조의 것으로도 가능하고, 물의 입구 및 물의 출구가 외측의 부재 및 내측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압력수 공급장치와 같이, 4곳의 단말 유출구용의 장치 및 2곳의 전환밸브를 이용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용의 장치와 2곳 이상의 전환밸브를 이용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전술 실시예의 유체회로이고, 압력수 공급장치(10)는 2곳의 압력수 공급계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N1, N2 및 N3는 각각 제1, 제2 및 제3의 위사 삽입 노즐(12, 14 및 16)로, V1, V2 및 V3는 각각 제1, 제2 및 제3의 전환밸브(20, 22 및 24)로, P1 및 P2는 각각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26 및 28)으로, D는 회수탱크로의 배출구(18)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의 압력수 공급계는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V1 및 V2)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2의 압력수 공급계는 제3의 전환밸브(V3)에 의해서 형성된다. 2곳의 압력수 공급계에서는 압력수 공급원(P1, P2)에 접속된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V1 및 V3)를 그들의 밸브 몸체를 동축(同軸)으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96)(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몸체와 연결부재(96)는 1곳의 부재(部材)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96)에 의해서 2곳의 전환밸브가 동축에 접속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에 형성된 연결통로(68)로 연결하고, D인 배출구(18)를 양쪽 압력수 공급계에서 함께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3의 전환밸브(22 및 24)의 밸브 몸체를 연결통로가 설치되지 않은 연결부재(98)에 동축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압력수의 배출구(D1 및 D2)를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원별로 구비하게 된다.
전환밸브들을 동축에 접속하게 되면 통상 전환밸브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계의 전체의 전환밸브는 2곳의 물의 출구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곳의 물의 출구만을 보유하고 있는 전환 밸브의 밸브 몸체들을 동축에 접속함으로써 전환밸브의 구조의 복잡화를 최소한으로 한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밸브 몸체의 운동범위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환밸브의 정지위치도 2곳으로 할 수 있고, 전환밸브의 제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와 구조가 복잡하게 될 경우,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계는 3곳 이상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는 전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제1 및 제2의 압력수 공급계 외에 제2의 압력수 공급계와 동일한 형태의 제3의 압력수 공급계를 설치하고, 제1의 압력수 공급계와 제3의 압력수 공급계의 2개의 동일한 전환밸브 또는 3곳의 압력수 공급계에서의 동일한 형태의 전환밸브의 밸브 몸체를 동축 또는 일체로 하여, 공유하는 구동장치에 의해서 일체로 구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1곳의 압력수 공급계만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 공급원(P)과 2곳의 전환밸브(V1, V2)를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압력수 공급원(P)에서의 압력수를 3곳의 위사 삽입 노즐(N1, N2, N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전환밸브는 2위치 형태로 1곳의 물의 입구와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위사 삽입 노즐(N1)은 압력수 공급원(P)에 접속된 전환밸브(V1)의 한쪽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2, N3)은 전환밸브(V1) 외의 물의 출구에 접속된 전환밸브(V2) 중 어느 하나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1곳의 압력수 공급계만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 공급원(P)과 2곳의 전환밸브(V1, V2)를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압력수 공급원(P)에서의 압력수를 4곳의 위사 삽입 노즐(N1, N2, N3, N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전환밸브(V1)는 1곳의 물의 입구와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는 2위치 형태이고, 전환밸브(V2)는 1곳의 물의 입구와 3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는 3위치 형태이다. 위사 삽입 노즐(N1)은 압력수 공급원(P)에 접속된 전환밸브(V1)의 한쪽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2, N3, N4)은 전환밸브(V1) 외의 물의 출구에 접속된 전환밸브(V2) 중 어느 하나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1곳의 압력수 공급계만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 공급원(P)과 3곳의 전환밸브(V1, V2, V3)를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압력수 공급원(P)에서의 압력수를 4곳의 위사 삽입 노즐(N1, N2, N3, N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예에서 각 전환밸브는 2위치 형태로, 1곳의 물의 입구 및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위사 삽입 노즐(N1)은 압력수 공급원(P)에 접속된 전환밸브(V1)의 한쪽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2)은 전환밸브(V1) 외의 물의 출구에 접속된 전환밸브(V2)의 한쪽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3, N4)은 전환밸브(V2)의 다른 쪽의 물의 출구에 접속된 전환밸브(V3) 중 어느 하나의 물의 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1곳의 압력수 공급계만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 공급원(P)과 전환밸브(V1)를 직렬적으로 접속하면서 전환밸브(V2, V3)를 병렬적으로 전환밸브(V1)에 접속하여, 압력수 공급원(P)에서의 압력수를 4곳의 위사 삽입 노즐(N1, N2, N3, N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각 전환밸브는 2위치 형태로 1곳의 물의 입구와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전환밸브(V1)의 물의 입구는 압력수 공급원(P)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1, N2)은 병렬적으로 전환밸브(V2)에 접속되어, 위사 삽입 노즐(N3, N4)은 병렬적으로 전환밸브(V3)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에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압력수 공급장치는 압력수 공급계를 1곳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수는 어느 하나의 위사 삽입 노즐에 공급되기 때문에 회수탱크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도 10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2곳의 압력수 공급계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압력수 공급계는 2곳의 전환밸브(V1, V2)를 한쪽의 압력수 공급원(P1)에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쪽의 압력수 공급계는 2곳의 전환밸브(V3, V4)를 다른 쪽의 압력수 공급원(P2)에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양쪽 압력수 공급계는 압력수 공급원(P1 및 P2)에 접속된 전환밸브(V1 및 V3)를 연결부재(96)로 동축에 연결하여 연결통로(68)에 의해서 함께 공유하는 배출구(D)에 접속하고, 그것에 의해서 압력수 공급원(P1, P2)에서의 압력수를 4곳의 위사 삽입 노즐(N1, N2, N3, N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각 전환밸브는 2위치 형태로 1곳의 물의 입구와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고, 위사 삽입 노즐(N1, N2)은 전환밸브(V1)에 접속된 전환밸브(V2)의 물의 출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3, N4)은 전환밸브(V3)에 접속된 전환밸브(V4)의 물의 출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2곳의 압력수 공급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2곳의 압력수 공급계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압력수 공급계는 2곳의 전환밸브(V1, V2)를 한쪽의 압력수 공급원(P1)에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쪽의 압력수 공급계는 2곳의 전환밸브(V3, V4)를 다른 쪽의 압력수 공급원(P2)에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양쪽 압력수 공급계는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된 전환밸브(V2 및 V4)를 연결부재(98)로 동축에 연결하고, 압력수 공급원(P1, P2)에 각각 접속된 전환밸브(V1 및 V3)의 한쪽의 물의 출구를 각각 배출구(D1 및 D2)에 접속함으로써 압력수 공급원(P1, P2)에서의 압력수를 4곳의 위사 삽입 노즐(N1, N2, N3, N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각 전환밸브는 2위치 형태로 1곳의 물의 입구와 2곳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위사 삽입 노즐(N1, N2)은 전환밸브(V1)에 접속된 전화밸브(V2)의 물의 출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위사 삽입 노즐(N3, N4)은 전환밸브(V3)에 접속된 전환밸브(V4)의 물의 출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압력수 공급장치는 2곳의 압력수 공급계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압력수 공급계는 3곳의 전환밸브(V1, V2, V3)를 가지고, 전환밸브(V1)를 한쪽의 압력수 공급원(P1)에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V1)에 전환밸브(V2, V3)를 각각 병렬적으로 접속하여, 전환밸브(V3)의 2곳의 물의 출구를 각각 위사 삽입 노즐과 배출구에 접속하고 있다. 다른 쪽의 압력수 공급계는 1곳의 전환밸브(V4)를 다른 쪽의 압력수 공급원(P2)에 직렬적으로 접속하고, 전환밸브(V4)의 2곳의 물의 출구를 각각 위사 삽입 노즐과 배출구에 접속하고 있다. 전환밸브(V3)와 전환밸브(V4)가 연결부재(98)로 동축에 연결되고, 물의 출구가 위사 삽입 노즐과 배출구에 각각 접속되는 다른 압력수 공급계의 전환밸브가, 1곳의 구동장치에서 구동된다.
본 발명은, 압력수를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의 중 1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환밸브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분사수를 안정화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의 1-1선을 따라 이루어진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P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2곳의 압력수 공급장치에서의 전환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2곳의 압력수 공급장치의 유체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8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공급장치의 제9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체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압력수 공급장치
12, 14, 16, N1, N2, N3, N4: 위사 삽입 노즐(단말 유출구)
18, D, D1, D2: 배출구(단말 유출구)
20, 22, 24, V1, V2, V3, V4: 전환밸브
26, 28, P, P1, P2: 압력수 공급원
30: 회수탱크
32: 로터리 솔레노이드(전동 액츄에이터)
34, 40: 구동축
36, 42: 커플링
44, 46, 48: 물의 입구
50, 52, 54, 56, 58, 60: 물의 출구
62, 64, 66: 전환유로
68: 연결통로
70, 72, 74, 76, 78, 80, 82: 파이프
96, 98: 연결부재

Claims (4)

  1. 제1의 압력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압력수를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 각각은 1곳의 물의 입구 및 복수의 물의 출구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제1의 전환밸브는 상기 물의 입구가 상기 압력수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물의 출구의 1곳이 상기 제2의 전환밸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체의 전환밸브는 2곳의 물의 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전환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용 전동 액츄에이터이고, 2위치 형태의 복수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3의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전환밸브는 상기 압력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압력수를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상기 3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의 1곳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의 압력수 공급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1곳 이상의 전환밸브는 상기 압력수 공급원과는 다른 제2의 압력수 공급원으로부터의 압력수를 배출구 및 상기 위사 삽입 노즐과는 다른 1곳 이상의 위사 삽입 노즐을 포함하는 2곳 이상의 단말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의 압력수 공급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압력수 공급계에 포함되는 전환밸브의 하나와 상기 제2 압력수 공급계에 포함되는 전환밸브 중의 하나가, 배출구에 연결되는 물의 출구를 갖는 전환밸브끼리 또는 모든 물의 출구가 위사 삽입 노즐에 연결되는 전환밸브끼리 동축에 접속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일체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KR10-2002-0081707A 2002-04-22 2002-12-20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KR100499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8812A JP2003313752A (ja) 2002-04-22 2002-04-22 水噴射式織機の圧力水供給装置
JPJP-P-2002-00118812 2002-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562A KR20030083562A (ko) 2003-10-30
KR100499225B1 true KR100499225B1 (ko) 2005-07-01

Family

ID=2926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707A KR100499225B1 (ko) 2002-04-22 2002-12-20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313752A (ko)
KR (1) KR100499225B1 (ko)
CN (1) CN1281802C (ko)
TW (1) TW5833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8251B2 (ja) * 2004-12-14 2011-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KR100669987B1 (ko) * 2005-05-23 2007-01-16 백경태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CN102061553A (zh) * 2011-01-28 2011-05-18 丁云法 一种喷水织机单泵多喷嘴引纬装置及其引纬织造工艺
CN102505287B (zh) * 2011-11-03 2014-01-22 宁波宏大纺织仪器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的自动补水装置及方法
JP5969900B2 (ja) * 2012-11-19 2016-08-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における主軸の回転数制御方法及び装置
CN103061007B (zh) * 2013-01-28 2014-08-13 苏州三和仪器有限公司 喷水织机引纬机构的多喷针组合装置
CN106835453A (zh) * 2017-03-29 2017-06-13 苏州三和仪器有限公司 一种喷水织机的集成化自动补水装置及其自动补水方法
JP6969345B2 (ja) * 2017-12-15 2021-11-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多色ウォータジェット織機による製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3410A (zh) 2003-11-05
CN1281802C (zh) 2006-10-25
KR20030083562A (ko) 2003-10-30
TW200305668A (en) 2003-11-01
JP2003313752A (ja) 2003-11-06
TW583362B (en) 200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225B1 (ko)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US8082952B2 (en) Piezoelectric bending element actuator for servo valve
US4651785A (en)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with pneumatic picking of at least two weft threads
EP0915259B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connector device
US7025090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s
CN107387473B (zh) 串列借道式多路液压控制装置
JPH06307402A (ja) 弁ステーション
US6161586A (en) Tournament oil path constituting apparatus
JP2003313753A (ja) 水噴射式織機の圧力水供給方法及び装置
CN108688329B (zh) 用于喷墨印刷的设备
KR100225980B1 (ko) 중장비의 사행방지장치
KR100502849B1 (ko)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 장치
JPH11152653A (ja) サブノズルの噴射制御装置
US20220018341A1 (en) Cylinder drive device and flow channel unit
JP3118722B2 (ja) 液圧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935952B2 (ja) 水噴射織機の緯入れノズル
KR970007038Y1 (ko) 다(多)작동기를 갖춘 중장비의 오동작 방지제어장치
US11084056B2 (en) Color change system
JPH0329344Y2 (ko)
RU2413819C2 (ru) Гидро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езависимых потоков
JPH101847A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切り換え弁の動作安定化方法
WO2001027706A1 (en) Positioner
JPH05214745A (ja) 車両の走行直進制御回路
KR20000021957A (ko) 중장비의 주행직진 유압회로
JP2002138347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