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987B1 -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 Google Patents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987B1
KR100669987B1 KR1020050043206A KR20050043206A KR100669987B1 KR 100669987 B1 KR100669987 B1 KR 100669987B1 KR 1020050043206 A KR1020050043206 A KR 1020050043206A KR 20050043206 A KR20050043206 A KR 20050043206A KR 100669987 B1 KR100669987 B1 KR 100669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rocking
shock absorbing
bump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951A (ko
Inventor
백경태
Original Assignee
백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태 filed Critical 백경태
Priority to KR102005004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9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 요동운동을 하는 요동체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흡수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동작 정밀도 및 부품 수명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링상으로 구비되고, 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링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접동하며, 적어도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 형성된 제2개구부를 갖는 범퍼 링과,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개구된 구간 내에서 왕복 요동 운동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요동체는, 요동 운동 시, 상기 제1개구부의 단부보다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 먼저 접촉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Shock absorbing and relieving apparatus for rocking movement and solenoid rocking apparatus}
도 1 (a) 및 (b)는 각각 종래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및 완화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a) 및 (b)는 도 2에 따른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범퍼링의 서로 다른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6은 본 발명의 범퍼 링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요동장치가 채용된 워터제트직기용 체인지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도 8에 따른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로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의 평면도들.
본 발명은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거리 혹은 각도 내에서,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계속 반복운동 즉, 요동운동을 하는 구조의 정지되는 양측에 충격을 흡수 완화시켜줄 수 있는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계속되는 반복운동 즉, 요동운동을 하는 구조에서 그 요동체는 일방향으로의 운동이 어떤 특정 시점에서는 멈추어져 반대 방향으로 운동이 진행되어야 하고, 반대로 타방향으로의 운동도 어떤 특정 시점에서는 멈추어져 역시 반대 방향으로 운동이 다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동체의 요동운동을 위해서는, 요동운동을 일으키는 구동원 자체가 요동체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운동하도록 반복진행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면 되나, 구동원 자체의 구동력 제어로는 요동체의 요동운동 범위를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요동체의 요동운동을 정지시켜 줄 수 있는 별도의 구조체가 필요하며, 이러한 구조체로서는, 요동체의 요동운동방향의 양단에 스토퍼(stopper)의 기능을 하는 부재를 두어, 요동체가 이 스토퍼 부재에 부딪치도록 함에 따라 요동체의 요동운동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체는 필연적으로 요동체와 부딪치기 때문에, 요동체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동체와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키는 기구로서, 종래에는 요동체에 별도의 범퍼 구조를 형성하거나, 스토퍼 기구에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종래 요동체의 충격 흡수 및 완화구조는 스토퍼 기구(12)에 부딪히는 요동체(10)에 일정 정도의 탄성이 부여되도록 요동체(10)에 홈(11)을 형성하였는 데, 이 경우, 요동체(10)가 스토퍼 기구(12)의 벽면에서 정확히 멈추지 않고, 반발력에 의해, 다시 일정정도 반대 방향으로 튕겨져, 정확한 동작 제어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 동작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요동체(10)에 형성된 홈(11)의 근방에서 요동체(10)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요동체(10)가 파열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도 1(b)에서 볼 수 있는 종래 요동체의 충격 흡수 및 완화구조의 다른 예에 따르면, 요동체(20)에 부딪히는 스토퍼 기구(22)의 벽면에 우레탄과 같은 완충부재(23)를 부착하였는 데, 이 경우, 요동체(20)가 고속 반복 운동을 할 경우, 완충부재(23)가 피로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또한, 완충부재(23)의 반발력 등으로 인해 요동체(20)의 멈춤 위치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요동체의 동작 제어는, 특히 요동체를 워터제트 직기의 체인지 밸브 등에 사용할 경우, 더욱 까다로운 수준으로 요구되어진다.
워터제트직기의 경우, 매우 고속으로, 그리고 장시간 쉬지 않고 고속 운전되기 때문에, 피로 조건이 매우 가혹하다. 예컨대, 워터제트직기용 체인지 밸브의 경 우, 1회 동작이 10ms의 고속운동으로, 3개월에 1억회의 개폐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이러한 워터제트직기의 경우에는, 체인지 밸브의 동작이 신속, 정확히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충격 흡수 및 완화 구조를 채용할 경우, 체인지 밸브의 동작 정밀도 및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며, 직기 가동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복 요동운동을 하는 요동체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흡수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동작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상으로 구비되고, 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링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접동하며, 적어도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 형성된 제2개구부를 갖는 범퍼 링과,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개구된 구간 내에서 왕복 요동 운동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요동체는, 요동 운동 시, 상기 제1개구부의 단부보다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 먼저 접촉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링상으로 구비되고, 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링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접동하며, 적어도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 형성된 제2개 구부를 갖는 범퍼 링과, 상기 하우징 및 범퍼 링을 관통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체결되고,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개구된 구간 내에서 왕복 요동 운동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또는 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 및 축부재를 왕복 요동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요동 운동 시, 상기 제1개구부의 단부보다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 먼저 접촉하는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및 완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는, 내면이 원호로 형성된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 내에 삽입되고, 링상으로 구비된 범퍼 링(40)과, 하우징(30) 내에서 반복 요동운동하는 요동체(50)를 포함한다.
하우징(30)은 내면이 원호로 형성된 원통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그 측벽(32)에 제1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30) 내에 요동체(50)인 축부재(52) 및 지지부재(51)가 관통되어 있고, 축부재(52)는 몸체(53)에 연결되어 있고, 이 몸체(53)는 하우징(30)과의 사이에 베어링(54)이 개재되어, 하우징(30)에 접동한다.
한편, 하우징(30) 내에는 범퍼 링(40)이 삽입되는 데, 이 범퍼 링(40)도 하우징(30)에 대응하도록 링상으로 형성된다. 범퍼 링(40)에는 제1개구부(33)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42)에 제2개구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범퍼 링(4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플라스틱재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재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범퍼 링(40)은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벌어지는 힘으로 하우징(30)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범퍼 링(40)은 하우징(30)의 측벽(32) 내면에 대략 밀착되어 하우징(30)의 내면에 접동한다.
범퍼 링(40)과 하우징(30)의 사이에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점성재가 개재될 수 있는 데, 이러한 점성재로는 점도를 갖는 윤활제, 예컨대, 그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의 개구 각은 제1개구부(31)의 개구된 구간의 개구 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하우징(30)에 관통 설치된 요동체(50)는 이 범퍼 링(40)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개구부(31) 및 제2개구부(41)를 관통하여 반복 요동운동한다. 특히, 요동체(50)의 지지부재(51)는 제1개구부(31) 및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 내에서 반복 요동하게 된다.
요동체(50)의 축부재(52) 및/또는 지지부재(51)의 일단에는 별도의 구동원이 연결되어 요동체(50)를 반복 요동운동시키며, 그 타단에는 체인지 벨브 등과 같은 피동체가 연결되어, 요동체(50)의 요동운동을 전달받아, 한정된 일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동원으로는 전자식 로타리 솔레노이드 유닛이 사용될 수 있고, 이 외에도 기계식 크랑크 운동, 레버 운동, 캠 운동, 엑센트릭 운동, 유공압 실린더 운동 등의 여러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요동체(50)의 지지부재(51)는 제1개구부(31) 및 제2개구부(41)의 내에서 반복 요동하게 되므로, 도3(a) 및 도3(b)에서 볼 수 있는 운동 양태를 보이게 된다.
지지부재(51)는, 도3(a)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개구부(31)의 일단에 부딪혀 정지하게 되고, 다시, 도3(b)의 상태가 되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개구부(31)의 타단에 부딪혀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왕복 요동운동 시, 이 지지부재(51)에 가장 먼저 닿는 것은 범퍼 링(40)의 제2개구부(41)의 양측 단부(43a)(43b)가 된다. 예컨대, 지지부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가장 먼저 닿는 것은 범퍼 링(40)의 제1 단부(43a)이고, 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가장 먼저 닿는 것은 범퍼 링(40)의 제2 단부(43b)이다. 지지부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범퍼 링(40)은, 제1단부(43a)가 제1개구부(31)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지지부재(51)에 밀려 하우징(30)의 제1단부(33a)와 일치되며, 이렇게 제1단부(43a)가 지지부재(51)에 밀리는 사이에 제2단부(43b)는 하우징(30)의 제1개구부(31)의 제2단부(33b) 외측으로 돌출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
이렇게 지지부재(51)가 제2개구부(41)의 양측 단부(43a)(43b)에 닿기까지 지 지부재(51)는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의 개구 각만큼 자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 즉, 도 3(a) 및 도 3(b)에서 B구간 만큼이 지지부재(51)의 자유운동구간이 된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 볼 때, 제2개구부(41)의 제1 단부(43a) 및 제2 단부(43b)에 닿은 지지부재(51)는 범퍼 링(40)을 밀면서 A구간을 움직인다. 이 때, 범퍼 링(40)과 하우징(30)의 사이에는 소정 점도를 갖는 점성재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이 점성재에 의해, 하우징(30)의 내벽에 접하면서 움직이는 범퍼 링(40)의 움직임이 저항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51)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 A구간이 지지부재(51)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 주는 구간이 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볼 때, 지지부재(51)는 하우징(30)의 제1개구부(31)의 양측 단부(33a)(33b)에서 멈추게 되고, 결국, 지지부재(51)는 제1개구부(31)의 개구된 구간의 개구 각만큼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개구부(31)의 개구된 구간, 즉, 도 3(a) 및 도 3(b)에서 C구간 만큼이 지지부재(51)의 "구속구간"이 된다. 그리고, B구간동안 지지부재(51)는 아무런 구속없이 자유운동하게 되므로, "자유운동구간"이 된다. A구간동안은 지지부재(51)가 그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충격 흡수 및 완화 구간"이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51)가 하우징(30)의 제1개구부(31)의 양측 단부(33a)(33b)에 닿아 정지할 때마다 충격이 흡수 및 완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요동체(50)의 충격 흡수 및 완화 기능은 하우징(30) 내벽과 범퍼 링 (40) 외벽과의 접동 마찰력에 기인하는 데, 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점도의 점성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우징(30)과 범퍼 링(40)이 너무 잘 접동할 경우, 요동체(50)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줄 수 없게 되고, 하우징(30)과 범퍼 링(40)이 접동이 곤란할 정도의 점성재라면, 하우징(30)과 범퍼 링(40)이 쉽게 파손되기 쉬우며, 고속 동작 시, 하우징(30)과 범퍼 링(40)이 마찰열로 인하여 붙어버릴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점도의 점성재가 필요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성재로서, 그리스와 같은 적정한 점도의 점성 윤활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성 윤활재를 보다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범퍼 링(4)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포켓(44)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포켓(44)은 범퍼 링(40)의 일측면, 예컨대, 외측 마찰면에 형성된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상의 포켓(44)에 점성 윤활재가 수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장시간 점성재가 하우징(30)과 범퍼 링(40)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켓(44)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범퍼 링(44)의 외벽을 따라 파형 또는 사형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점성재를 또 다른 방법으로 보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범퍼 링(40)과 하우징(30) 간의 마찰력은 탄성체인 범퍼 링(40)이 벌어지는 힘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범퍼 링(40)은 고속 운동 시,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빠져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30)의 내면을 향한 외측 마찰면이 역테이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상방을 향한 외경(a)이 하방을 향한 외경(b)보다 작게 되도록 한다. 물론, 이 때, 하우징(30)의 내면도 범퍼 링(40)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서 볼 수 있는 요동체의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에 솔레노이드 유닛(60)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유닛(60)은 장착 지지대(63)를 갖춘 솔레노이드 본체(61)를 구비하며, 이 솔레노이드 본체(61)로부터 일정 각도로 반복 회전운동하는 회전축(62)이 연장되어 나온다. 이 회전축(62) 단부에는 요동체(50)의 지지부재(51)에 접속되도록 접속 부재(6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접속 부재(64)로는 커플링이 사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본체(61)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기구가 사용될 수 있는 데, 회전축(62)을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전극을 바꾸어 전원이 공급되면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작용을 반복한다.
솔레노이드 본체(61)에는 장착 지지대(63)가 형성되어,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와 결합된다.
한편, 하우징(30)은 별도의 프레임 부재(70)에 장착되는 데, 이 프레임 부재(70)에는 솔레노이드 유닛(60)의 장착 지지대(63)가 결합되도록 장착대(71)가 구비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유닛(60)의 접속부재(64)는 지지부재(51)에 접속되고, 장착 지지대(63)가 프레임 부재(70)의 장착대(71)에 별도의 볼트 부재(9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유닛(60)이 작동하게 되면, 회전축(62)에 연결된 접속부재(64)가 소정각도로 반복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51)도 동일하게 반복 회전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부재(52)도 반복 회전운동하게 된다. 그러면, 축부재(52)의 반대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와 같은 피동기구도 개폐 동작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지지부재(51) 및 요동체 전체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범퍼 링(40)에 의해 충격이 흡수 및 완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요동장치가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요동장치가 워터제트직기의 체인지 밸브에 채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프레임 부재(70)는 체인지 밸브 본체(80)에 체결된다. 이 체인지 밸브 본체(80)에는 인렛 파이프(81)가 1개 구비되고, 아웃렛 파이프(82a)(82b)가 2개 구비되어, 인렛 파이프(8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아웃렛 파이프(82a)(82b)에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이 때, 물의 선택적 배출의 기능을 요동체(50)가 담당하게 된다. 예컨대, 요동체(50)의 요동운동에 의해 아웃렛 파이프(82a)(82b)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이 체인지 밸브의 보다 구체적인 작동원리는 공지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2559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는 범퍼 링(40)에 제2개구부(41)가 2개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부재(51)의 양단이 제2개구부(41)에 걸리게 되고, 범퍼 링(40)에 의한 지지부재(51)의 충격 흡수 및 완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작동 원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요동체(50)로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53)와, 제1가이드부재(53)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1개구부(31) 및 제2개구부(41)를 관통하는 제2가이드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53)는 베어링(55)에 지지된 채로 소정 거리를 왕복 요동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는 제2가이드부재(54)가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가이드부재(54)는 하우징(30)의 제1개구부(31)의 개구된 구간(C)만큼 운동하게 되는 데, 이 거리가 구속구간이 되며, 범퍼 링(40)의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B)만큼이 자유 운동구간이 된다. 그리고, 제1개구부(31)의 개구된 구간(C)에서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B)만큼 뺀 구간(A)이 충격 흡수 및 완화 구간이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요동체(50)의 충격을 흡수 완 화할 수 있게 되며, 요동체(50)의 균형을 잡아주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개구부(31)의 개구된 구간(C)의 개구 각이 제2개구부(41)의 개구된 구간(B)의 개구 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지지부재(51)가 제1부분(51a) 및 제2부분(51b)으로 구비되고, 제2부분(51b)의 두께가 제1부분(51a)보다 작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분(51a)과 제2부분(51b)은 서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지지부재(51)에 의해, 지지부재(51)는 그 왕복 요동운동 시, 제1개구부(31)의 단부(33a)(33b)보다 제2개구부(41)의 단부(43a)(43b)에 먼저 닿을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그 충격이 흡수 및 완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범퍼 링(40)이 운동 중 항상 하우징(30) 내에 있을 수 있어, 하우징(30)의 제1개구부(31) 단부 모서리와, 범퍼 링(40)의 외측면 사이의 간섭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렇게 범퍼 링(40)이 하우징(30) 내에 삽입된 구조 뿐 아니라,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범퍼 링(40)이 하우징(30) 외측에 끼워져, 그 내면이 하우징(30)의 외면과 접동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범퍼 링(40)의 오무라드는 힘과, 범퍼 링(40) 및 하우징(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요동체(50)의 충격이 흡수 및 완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도 9 내지 도 12의 구조가 그대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충격 흡수 후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자체 탄성체와는 달리 반발하지 않아 정확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충격 흡수 및 완화 구조를 범퍼 링으로 형성함으로써, 저가로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요동체의 운동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넷째, 고속 운동 시에도 무리없는 동조운동을 할 수 있다.
다섯째, 충격흡수량이 거의 일정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링상으로 구비되고, 측벽에 형성된 제1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링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접동하며, 적어도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 형성된 제2개구부를 갖는 범퍼 링; 및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의 개구된 구간 내에서 왕복 요동 운동하는 요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요동체는, 요동 운동 시, 상기 제1개구부의 단부보다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 먼저 접촉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범퍼 링의 사이에는 소정 점도를 갖춘 점성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링에는 상기 점성제가 보유되도록 홈 형상의 유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링과 상기 하우징의 마찰면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범퍼 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역테이퍼지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체는,
    상기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관통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충격 흡수 및 완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요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요동체를 왕복 요동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KR1020050043206A 2005-05-23 2005-05-23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KR10066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06A KR100669987B1 (ko) 2005-05-23 2005-05-23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06A KR100669987B1 (ko) 2005-05-23 2005-05-23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51A KR20060120951A (ko) 2006-11-28
KR100669987B1 true KR100669987B1 (ko) 2007-01-16

Family

ID=3770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206A KR100669987B1 (ko) 2005-05-23 2005-05-23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6045A (zh) * 2017-10-12 2018-01-19 谢文欢 减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59U (ko) * 1998-12-16 2000-07-05 양동주 워터젯 직기용 노즐장치의 선택로터
KR20030083562A (ko) * 2002-04-22 2003-10-30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KR20040000314A (ko) * 2002-06-24 2004-01-03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59U (ko) * 1998-12-16 2000-07-05 양동주 워터젯 직기용 노즐장치의 선택로터
KR20030083562A (ko) * 2002-04-22 2003-10-30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물 분사식 직기의 압력수 공급장치
KR20040000314A (ko) * 2002-06-24 2004-01-03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물 분사식 직기의 전환 밸브 및 압력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51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7321B1 (en) Reciprocating power tool
RU2341366C2 (ru) Инерционно-уда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арианты)
RU2011142909A (ru)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RU2011149802A (ru) Инструмент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JP2009526190A (ja) 駆動機構の改善された方形真空ゲートバルブ
US20140026623A1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JP2001500070A (ja) 電気的な工作機械
KR20120124938A (ko) 로터리타입 댐퍼
RU2010111915A (ru) Инструмент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0669987B1 (ko) 요동운동용 충격 흡수 완화장치 및 솔레노이드 요동 장치
RU2012122545A (ru) Приводной инструмент
JP2008272897A (ja) 往復動工具
WO2022027983A1 (zh) 一种筋膜枪机芯
KR102247214B1 (ko) 세탁기용 댐퍼 장치
KR102543740B1 (ko) 개선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KR101849716B1 (ko) 캠궤도 가변형 힌지댐퍼 및 힌지장치
KR20130001625A (ko) 비접촉식 도어 완충장치
KR200205130Y1 (ko) 밸브구동기의 완충장치
CN214713391U (zh) 一种筋膜枪
KR100363910B1 (ko) 교반장치를 갖는 세탁기용 펄세이터
KR102467531B1 (ko) 복수의 압력제어부재를 갖는 댐퍼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KR900008255Y1 (ko) 솔레노이드의 동작부 완충장치
KR940004156B1 (ko) 트램폴린(trampoline)
KR100613866B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조립체
JP2001083438A (ja) シャッ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