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156B1 - 트램폴린(trampoline) - Google Patents

트램폴린(trampo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156B1
KR940004156B1 KR1019920005816A KR920005816A KR940004156B1 KR 940004156 B1 KR940004156 B1 KR 940004156B1 KR 1019920005816 A KR1019920005816 A KR 1019920005816A KR 920005816 A KR920005816 A KR 920005816A KR 940004156 B1 KR940004156 B1 KR 94000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ate
trampoline
ro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231A (ko
Inventor
오주환
Original Assignee
오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환 filed Critical 오주환
Priority to KR101992000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156B1/ko
Publication of KR93002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램폴린(TRAMPOL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종단면도.
제2도는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시도.
제3도는 완충 지지수단의 단면 상세도.
제4도는 A-A선 단면도.
제5도는 A-A선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답판 2 : 기압기구
3 : 좌우 회전수단 4 : 상하 안내수단
5 : 리프팅수단 6 : 완충 지지수단
7 : 상단점 완충수단 8 : 하단점 완충수단
본 발명은 전동리프터 기구와 기압기구로 되는 트램폴린(TRAMPOLINE)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뜀뛰기 운동에 의한 점프력의 향상을 시키고 전신 운동용으로도 사용되는 기압 트램폴린은 안정한 진동동작을 유지하는 점에서 코일 스프링 트램폴린에 비하여 발전된 것이나 진동폭이 협소하고 진동 동작의 상단점과 하단점에서 답판에 충격이 가해져 운동역량을 최대치로 발휘할 수 없는 결점을 가지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안정한 진동 모드를 유지하고 충분한 진동폭을 유지하며 진동 동작의 상, 하단점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동역량을 최대치로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램폴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램폴린은 답판(1)을 진동시키기 위한 기압기구(2)와 답판(1)의 좌우 회전수단(3)과 답판(1)의 상하 안내수단(4)과 답판(1)의 리프팅 수단(5)과 기압기구의 완충 지지수단(6)과 기압기구(2)의 상단점 완충수단(7)과 기압기구(1)의 하단점 완충수단(8)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기압기구(2)는 답판(1)의 상하 진동을 지지하는 실린더(21)와 실린더(21)내에서 상하부로 기압을 발생할 수 있는 피스톤(22)과 피스톤(22)에 부착되고 헤더(24)의 상부로 돌출되는 로드(26)와 헤더(24) 및 베이스부재(26)를 일체로 묶어주는 볼트(27)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답판(1)에 하중이 주어지면 하중은 로드(25)를 통해 피스톤(22)을 가압하여 실린더(21)의 저부에 기압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실린더(21)의 상부에는 진공력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에서 답판(2)의 하중과 실린더(21)저부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면 로드(25)의 하강은 중지되고 압축력은 로드(25)를 밀어올리는 탄발력으로 작용된다. 이 탄발력은 로드(25)에 미치는 가압력이 감소했을 때 로드(25)를 밀어올리게 하여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답판(1)을 진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답판(1)의 회전운동수단(3)은 로드(25)상단에 부착되는 지지판재(31) 및 베어링시트(32)와 답판(1) 중심의 베어링요소(33) 및 답판 고정볼트(33')와 지지판재(31)에 부착되어 답판(1)저부의 홈(34)에 끼워지는 고정핀기구(35)와 손잡이폴(36)에 설치되고 와이어(37)를 통해 고정핀기구(35)를 조작할 수 있는 고정핀 조작기구(38)로 이루어졌다.
상기 고정핀 조작기구(38)로 고정핀기구(35)를 홈(34)에서 분리시키면 베어링요소(33)가 베어링시트(32)위에서 좌우 이동이 허용되어 답판(1)은 경쾌하게 회전동작 될 수 있는 것이고, 고정핀기구(35)를 홈(34)에 끼워두면 답판(1)은 회전불능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 안내수단(4)은 상기 지지판재(31)좌우에 부착시킨 안내봉(41)을 실린더 헤더(24)의 절개부(42)에 결합하고 안내봉(41)의 저단에 완충스프링(43)을 장착한 것으로 안내봉(41)은 답판(1)측의 지지판재(31)와 함께 고정요소인 절개부(42)내에서 상하로만 이동되어 로드(25)의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고 완충스프링(43)은 안내봉(41)의 상승폭이 최대치로 되었을때 헤더(24)와 안내봉(41)의 충돌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다른 상하 안내수단으로 제4도와 같이 로드(25)를 원형이 아닌 단면구조(45)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로드의 단면구조는 상하로 진동되는 로드(25)의 상하 운동만을 허용하고 회전동작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팅 수단(5)은 실린더(21)의 상부에 부착되는 배기 체크밸브(51)(흡입불가 배기가능)와 실린더(21)의 저부에 부착되는 흡기 체크밸브(52)(흡입가능 배기불가)로 구성되었다. 리프팅 수단(5)은 상기 밸브(51)(52)를 적절히 개방했을때 동작되며 리프팅 동작은 피스톤(22)의 상하 진동이 계속될때 피스톤 저부 실린더내의 공기량이 조금씩 증가하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 상부 실린더 내의 공기량이 조금씩 감소하여 피스톤(22)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압중심이 차츰 상승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 지지수단(6)은 실린더(2)의 베이스 부재(26)를 저판(64)에 묶어주는 지지핀(61)과 베이스부재(26) 상부의 완충스프링(62)과 베이스부재(26)저부의 완충시트(63)로 구성하였다. 답판(1)의 격심한 상하 진동시 실린더(21)는 저판(64)과 함께 불안정하게 요동하게 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불필요한 진동의 일부를 지지핀(61)의 유격내에서 베이스부재(26) 상하의 완충스프링(62) 및 완충시트(63)가 흡수하게 되어 트램폴린 사용시의 요동과 소음을 감소하여 준다.
상기 실린더(21)의 상단점 완충수단(7)은 헤더(24)내의 입구에 쿠션링(72)을 부착한 완충홀(71)과 피스톤(22) 상부의 완충홀(71)에 대응된 쿠션판재(73)로 구성되었다. 쿠션판재(73)는 피스톤(22)이 실린더(21)의 최상부 위치로 이동했을때 쿠션링(72)에 압접되며 이때 쿠션링(72)과 쿠션판재(73)와 피스톤(22)과 헤더(24)로 폐쇄된 공간은 피스톤 피스톤(22)의 충격을 완충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21)의 하단점 완충수단(8)은 로드(25)내에 구성되는 완충공간부(81)에 의해 주어진다. 공간부(81)는 피스톤(22)이 실린더의 최하위 위치로 이동했을때에 실린더(21)의 실질 압축 공간부로 활용되어 피스톤(22)의 유효진동폭을 최대화 하면서 피스톤(22)의 하강충격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25) 내부의 공간부(81)는 제2도와 같이 실린더(21)외부에 설치되고 공기 통로(83)로 실린더(21)의 저부에 연결된 완충탱크(84)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의 압력은 완충탱크(84)내에 미치므로 마찬가지로 완충탱크(84)는 피스톤(22)의 유효 진동폭을 확대하며 피스톤(22)의 하강충격을 완충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정한 진동모드를 유지하는 기압기구에 좌우 회전수단과 상하 안내수단을 구성하여 답판의 상하진동은 물론 회전운동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리프팅 수단의 구성으로 답판을 점진상승시켜 운동역량을 최대치로 발휘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단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상승위치에서 피스톤이 진동할때 피스톤과 실린더 헤더와의 직접적인 충력을 방지하였으며 하단점 완충수단을 구성하여 피스톤의 하위진동시 진동의 유연성을 부여하고 피스톤의 유효진동폭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하였으며 완충지지수단을 구성하여 답판과 실린더의 격심한 진동으로 인한 지지판과 실린더간의 요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트램폴린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답판의 상하 진동을 지지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상하 왕복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과 피스톤 상부에 고정되어 헤더 상부로 돌출되는 로드 등으로 이루어진 기압기구(2)와 상기 로드 상단의 답판(1) 회전운동수단(3)과 답판(1)의 상하 안내수단(4)과 답판(1)의 리프팅 수단(5)과 기압기구(2)의 상단점 완충수단(7)과 기압기구(1)의 하단점 완충수단(8)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답판(1)의 회전운동수단(3)은 로드(25)상단에 부착되는 지지판재(31) 및 베어링시트(32)와 답판(1) 중심의 베어링요소(33) 및 답판 고정볼트(33')와 지지판재(31)에 부착되어 답판(1)저부의 홈(34)에 끼워지는 고정핀기구(35)와 손잡이폴(36)에 설치되고 와이어(37)를 통해 고정핀기구(35)를 조작할 수 있는 고정핀 조작기구(3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안내수단(4)은 상기 지지판재(31) 좌우에 부착시킨 안내봉(41)을 실린더 헤더(24)의 절개부(42)에 결합하고 안내봉(41)의 저단에 완충스프링(43)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안내수단은 로드(25)를 원형이 아닌 단면구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리프팅 수단(5)은 실린더(21)의 상부에 부착되는 흡입불가 배기가능 체크밸브(51)와 실린더(21)의 저부에 부착되는 흡입가능 배기불가 체크밸브(5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기압기구(2)는 실린더(2)의 베이스부재(26)를 저판(64)에 묶어주는 지지핀(61)과 베이스부재(26)상부의 완충스프링(62)과 베이스부재(26)저부의 완충시트(6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7.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21)의 상단점 완충수단(7)은 헤더(24)내면의 입구에 쿠션링(72)을 부착한 완충홀(71)과 피스톤(22)상부의 완충홀(71)에 대응된 쿠션판재(7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8.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21)의 하단점 완충수단(8)은 로드(25)내에 구성되는 완충공간부(81)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9.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21)의 하단점 완충수단(8)은 실린더(21)외부에 설치되고 공기 통로(83)로 실린더(21)의 저부에 연결된 완충탱크(8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폴린.
KR1019920005816A 1992-04-08 1992-04-08 트램폴린(trampoline) KR94000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816A KR940004156B1 (ko) 1992-04-08 1992-04-08 트램폴린(trampo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816A KR940004156B1 (ko) 1992-04-08 1992-04-08 트램폴린(trampo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231A KR930021231A (ko) 1993-11-22
KR940004156B1 true KR940004156B1 (ko) 1994-05-16

Family

ID=1933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816A KR940004156B1 (ko) 1992-04-08 1992-04-08 트램폴린(trampo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41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0091A (zh) * 2013-04-09 2013-06-26 苏州益童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旋转弹跳床
CN103263748A (zh) * 2013-05-13 2013-08-28 苏州益童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旋转弹跳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0091A (zh) * 2013-04-09 2013-06-26 苏州益童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旋转弹跳床
CN103263748A (zh) * 2013-05-13 2013-08-28 苏州益童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旋转弹跳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231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05782A (ja) 自動車のフードオーバースラムバンパー緩衝装置
JP2012521500A (ja) 家具ヒンジ
WO2000040863A1 (ko) Body supporting apparatus fro hermetic compressor
KR940004156B1 (ko) 트램폴린(trampoline)
JP2005104425A (ja) 車両用シート
KR950014580B1 (ko) 압력조절가능한 공압 트램폴린
KR102247214B1 (ko) 세탁기용 댐퍼 장치
JPH11325159A (ja) オイルダンパー装置
KR100241490B1 (ko) 압축기의 현가 장치
KR102543740B1 (ko) 개선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JPH0240308Y2 (ko)
KR200336979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02605952B1 (ko)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CN220646132U (zh) 吸能降噪氧气泵
KR101165093B1 (ko) 드럼 세탁기의 댐퍼 구조
KR20022499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200338523Y1 (ko) 안마매트용 전자진동체
KR19980077299A (ko) 공압트램폴린
KR200336745Y1 (ko) 솔레노이드용 완충장치
KR20070055140A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파킹로드 완충구조
KR200158956Y1 (ko) 세탁기의 완충장치
KR200383742Y1 (ko) 소형 공기 압축기용 방진러버
JP2686654B2 (ja) リフトハイドロマウント
KR100648373B1 (ko)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KR0134363Y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