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56Y1 - 세탁기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56Y1
KR200158956Y1 KR2019970010071U KR19970010071U KR200158956Y1 KR 200158956 Y1 KR200158956 Y1 KR 200158956Y1 KR 2019970010071 U KR2019970010071 U KR 2019970010071U KR 19970010071 U KR19970010071 U KR 19970010071U KR 200158956 Y1 KR200158956 Y1 KR 200158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washing machine
shock absorber
spring housing
buff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759U (ko
Inventor
박영복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0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5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6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bowl or casings;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6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세탁기의 세탁공정 및 탈수공정시에 완충관체의 내부에서 승강 작용을 하는 스프링수납체에 결합된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갑작스런 충격이나 진동 등을 적절하게 완충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의 완충관체 내부에서 완충봉재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하이동을 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수납체의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시키고 완충관체 내부의 진공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납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체를 나선형 스프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완충장치{WASHING MACHINE}
본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의 세탁공정 및 탈수공정시에 완충관체의 내부에서 승강 작용을 하는 스프링수납체에 결합된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갑작스런 충격이나 진동 등을 적절하게 완충시켜줄 수 있는 세탁기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탁기의 완충장치는 도1 내지 도4에 나타내었다.
상기 완충장치의 구성은 세탁기의 내부에 지지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완충 봉재(Snubber bar)와, 상기 완충봉재(5)를 따라 상,하습동을 하기 위하여 지지체 (1)에 연결된 완충관체(2)와, 상기 완충관체(2)의 내주면과의 마찰로 인해 충격과 진동 등을 완충시키는 완충봉재(5)에 결합된 스프링수납체(3)와, 상기 스프링수납체(3)를 압지하여 많은 마찰을 얻기 위하여 설치 되는 코일스프링(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의 세탁행정이나 탈수행정시에 동반되는 충격 및 진동은 지지대(1)를 통해 완충관체(2)로 전달되어진다.
상기 충격과 진동을 전달받은 완충관체(2)는 완충봉재(5)를 따라 상,하 미끄럼 이동을 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의 완충관체(2)는 완충봉재(5)에 결합된 스프링수납체(3)와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과 진동 등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수납체(3)에 결합된 코일스프링(4)의 탄력에 의해 스프링수납체(3)와 완충관체(2)는 더큰 마찰력을 불러일으키게 되므로 완충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코일스프링(4)은 도3에 나타내었는바, 상기의 코일스프링(4)은 스프링수납체(3)의 상,하습동 운동에 따른 복원력이 미흡하여 완충관체(2) 내부의 진공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될 뿐만아니라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4(a)와 같은 탄성스프링(6)을 스프링수납체(3)에 결합시켜서 사용하기도 하는바, 상기의 탄성스프링(6)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탄성스프링(6) 자체의 변형에 의해 도4(b)와 같이 절곡부(7)가 서로 맞닿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잦은 교체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세탁기의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시에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등을 나선형스프링이 장착되는 스프링수납체에 의해 효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서 완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항상 적정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완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스프링수납체의 일부절결 단면도
도3은 종래 스프링수납체에 결합되던 코일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도4(a)(b)는 종래 스프링수납체에 결합되던 탄성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및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고안 완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고안 스프링수납체의 일부절결 단면도
도7은 본고안 나선형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중 부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1-완충관체 102-스프링수납체
103-여유홈 104-고정공
105-완충봉재 106-나선형스프링
107-절곡부 108-내향절곡부
본고안의 구성을 도5 내지 도8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세탁기의 완충관체(101) 내부에서 완충봉재(105)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수납체(102)의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시키고 완충관체(101) 내부의 진공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납체(102)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체를 나선형 스프링(106)으로 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스프링(106)을 스프링수납체(10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선형 스프링(106)의 일측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절곡부(107)와, 상기 절곡부(107)가 고정되어질수 있도록 스프링수납체(10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공(104)을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나선형스프링(106)은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스프링(106)을 장착하고 있는 스프링수납체(102)의 승강작용이 적정한 장력을 가지고 미끄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 수납체(102)의 스프링안착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여유홈(103)을 더 구비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8은 나선형스프링이 동작중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시킨 내향절곡부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기의 세탁행정이나 탈수행정시에 동반되는 충격 및 진동은 완충관체(101)로 전달되어진다.
상기 충격과 진동을 전달받은 완충관체(101)는 완충봉재(105)를 따라 상,하 미끄럼이동을 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의 완충관체(101)는 완충봉재(105)에 결합된 스프링수납체(101)와의 마찰력에 의해 충격과 진동 등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수납체(102)에 도6과 같이 결합된 나선형스프링(106)의 탄력에 의해 스프링수납체(102)를 지속적으로 탄지를 하고 있기 때문에 완충관체(2)와의 더큰 마찰력을 불러일으키게 되므로 높은 완충효율을 얻을 수 있게된다.
특히, 상기의 나선형스프링(106)의 끝단부에 형성된 절곡부(107)를 완충관체 (101)에 형성된 고정공(104)으로 도7과 같이 끼워서 고정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나선형스프링(106)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동시에 상기 나선형스프링(106)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스프링(106)을 도8과 같이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시켜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나선형 스프링(106)을 도9와 같이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형성시켜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5 및 도6에 표현한 바와같이 나선형스프링(106)이 안착되는 스프링수납체(102)의 안착부에는 여러개의 여유홈(103)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의 여유홈(103)에 의해 나선형스프링(106)의 탄력이 확실하게 발휘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의 여유홈(103)에 의해 완충관체(101) 내부의 진공압이 유지되어지는 동시에 스프링수납체(102)의 승강작용이 적정한 장력을 가지고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효율적인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스프링수납체에 결합되는 나선형스프링에 의해 갑작스런 충격이나 진동 등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는 동시에 항상 적정의 마찰력을 유지시킴으로서 향상된 완충효율을 얻을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의 나선형스프링에 의해 완충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세탁기의 완충관체 내부에서 완충봉재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하 미끄럼 이동을 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수납체의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시키고 완충관체 내부의 진공압을 유지 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납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체를 나선형 스프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스프링을 스프링수납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스프링의 일측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가 고정되어질수 있도록 스프링수납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스프링은 원형의 단면형상 또는 사각의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스프링을 장착하고 있는 스프링수납체의 승강작용이 적정한 장력을 가지고 미끄럼이동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수납체의 스프링안착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여유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완충장치.
KR2019970010071U 1997-05-07 1997-05-07 세탁기의 완충장치 KR200158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071U KR200158956Y1 (ko) 1997-05-07 1997-05-07 세탁기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071U KR200158956Y1 (ko) 1997-05-07 1997-05-07 세탁기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59U KR19980065759U (ko) 1998-12-05
KR200158956Y1 true KR200158956Y1 (ko) 1999-10-15

Family

ID=1950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071U KR200158956Y1 (ko) 1997-05-07 1997-05-07 세탁기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759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4014B1 (en) Friction damper for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AU720787B2 (en) Friction damper for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GB2305068A (en) Geophone shock absorber
KR200158956Y1 (ko) 세탁기의 완충장치
KR101228500B1 (ko)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마찰 댐퍼
KR101048092B1 (ko) 드럼세탁기용 댐퍼
KR101257348B1 (ko)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2 스테이지 마찰 댐퍼
KR20000052088A (ko) 차량용 완충장치
CN110965269B (zh) 一种洗衣机减震器及洗衣机
CN219888624U (zh) 一种复合减震器
CN218472943U (zh) 一种转辙机悬臂电机的减震机构
RU2176203C2 (ru) Поглощ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3839376U (zh) 一种组合式橡胶减震垫
SU1305468A1 (ru) Гаситель колебаний
SU1618924A1 (ru) Амортизатор
KR940004156B1 (ko) 트램폴린(trampoline)
KR200289783Y1 (ko) 유압실린더의 쿠션플런저 고정구조
KR10025322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댐퍼
KR200160615Y1 (ko) 쇽업소버의 댐퍼스프링구조
SU1645677A1 (ru) Амортизатор
KR100263899B1 (ko) 소음저감 및 자동 장력유지를 위한 체인가이드
SU1737182A2 (ru) Амортизатор
KR20000033256A (ko) 전자동 세탁기의 댐퍼구조
SU1754978A1 (ru) Амортизатор
SU1747762A1 (ru) Пружинн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