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917B1 - 복합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복합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917B1
KR100496917B1 KR10-2002-0053360A KR20020053360A KR100496917B1 KR 100496917 B1 KR100496917 B1 KR 100496917B1 KR 20020053360 A KR20020053360 A KR 20020053360A KR 100496917 B1 KR100496917 B1 KR 10049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me appliances
operation mode
pow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814A (ko
Inventor
강전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917B1/ko
Priority to US10/379,897 priority patent/US7173226B2/en
Priority to CNB031204406A priority patent/CN1224802C/zh
Priority to JP2003112942A priority patent/JP3854939B2/ja
Publication of KR2004002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17B1/ko
Priority to US11/642,843 priority patent/US7358468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가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고,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복합 가전기기는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 동작 모드와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 가운데 항상 단일의 가전기기만을 사용할 수 있는 개별 동작 모드를 구비한다. 또한 동시 동작 모드와 개별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를 구비한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 차단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 전원 차단기는 과부하시 개방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Description

복합 가전기기{COMBINED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자레인지나 토스터, 커피 메이커 등과 같이 가정 내의 일정 영역 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사 목적의 가전기기들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에는 전자레인지나 토스터, 커피 메이커 등과 같은 주방용 가전기기들이 있고, 또 스테레오 시스템과 VTR 또는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음향/영상 기기들이 있다. 이 가운데 주방용 가전기기들은 주방의 제한된 영역 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사 목적의 가전기기들이다. 이와 같은 주방용 가전기기들은 주방이라는 제한된 영역 내에서 사용되기는 하지만, 각각의 주방용 가전기기 각각은 자체적으로 제어부(마이컴)와 전원 공급부를 내장한 개별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가전기기들의 사용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오븐(또는 가스 오븐, 104)의 위쪽에는 후드 겸용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102)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전기 오븐(104)의 좌우 싱크대 위에서는 토스터(108)나 커피 메이커(110) 등을 사용한다.
이처럼 "조리"라는 유사 목적의 주방용 가전기기들이 주방 내의 여러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동선이 길어져서 조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 운동량이 많아져서 쉽게 피로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 내의 제한된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유사 목적의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된 복합 가전기기의 사용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는 가정 내의 제한된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유사 목적의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된 복합 가전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 가전기기의 각 단위 기기들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 사용에 따른 과부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는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가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고,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복합 가전기기는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 동작 모드와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 가운데 항상 단일의 가전기기만을 사용할 수 있는 개별 동작 모드를 구비한다. 또한 동시 동작 모드와 개별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를 구비한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 차단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 전원 차단기는 과부하시 개방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오븐(또는 가스 오븐, 204)의 위쪽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는 후드 겸용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202)와 토스터(208), 커피 메이커(210)가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된 것이다. 여기서 단일 시스템이란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고,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낸 후드 겸용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202) 내부에는 환기 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아래쪽에 설치된 전기 오븐(204)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수증기나 냄새,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벽걸이형 전자레인지(202)의 내부에는 이 환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환기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 환기 모터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의 단일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고 또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벽걸이형 전자레인지(202)에는 입력부(212)가 마련되어 있어 이 입력부(212)를 통해 조리에 필요한 설정 조건을 입력한다. 입력부(212)를 통해 설정된 값들과 조리 진행 상태 등은 표시부(214)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가전기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302)의 입력 포트에는 입력부(212)와 전원 공급부(308)가 연결된다. 입력부(2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개별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모드 설정 키(332)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308)의 입력 측은 가정 내에 설치되는 전원 차단기(306)에 연결된다. 즉, 전원 공급부(308)는 전원 차단기(306)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에 필요한 형태(AC 또는 DC, 전압 레벨 등)로 변환하여 각각의 단위 가전기기로 공급한다.
제어부(302)의 출력 포트에는 표시 구동부(310)와 환기 모터 구동부(314), 마그네트론 구동부(318), 트레이 모터 구동부(322), 커피 메이커 구동부(326), 토스터 구동부(330)가 연결되며, 이들은 각각 표시부(214)와 환기 모터(316), 마그네트론(320), 트레이 모터(324), 커피 메이커(210), 토스터(208)를 구동한다. 이 가운데 전자레인지(202)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론(320)은 전자파를 발생시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트레이 모터(324) 역시 전자레인지(202)의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복합 가전기기(200)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가전기기들을 동시에 모두 사용할 때 소비되는 전력이 정격 이상일 때 과부하를 막기 위하여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고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만약 전원 공급량이 충분히 커서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 역시 큰 가정에서는 복합 가전기기(200) 전체를 동시에 사용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원 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은 가정에서는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 역시 작기 때문에 복합 가전기기(200) 전체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과부하로 인하여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차단)되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결국 복합 가전기기(200)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정 내의 전원 차단기(306)의 정력 용량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복합 가전기기(200) 전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전원 차단기(306)의 정력 용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복합 가전기기(200)를 구성하는 단위 가전기기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 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품 설치 후 실제로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전원 차단기(306) 정격 용량의 대소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의 동시/개별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동시/개별 동작 모드 설정은 제조 회사에서 파견된 제품 설치 기사가 제품 설치 직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거 환경이 바뀌면 제품의 실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에서, 전원 차단기 용량의 대소에 따른 동시/개별 동작 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의 동시/개별 동작 모드를 설정할 때, 전원 공급량 대신 전원 차단기의 용량을 사용한 것은 실제로 복합 가전기기(200)의 과부하 발생시 전원 차단기에 의해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가전기기 전체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의 초기 모드를 "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S402) 제품을 설치한 후 각각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동작시킨다(S404). 이 상태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는지를 감시하여(S406) 만약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면 전체 가전기기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복합 가전기기(200)를 다시 턴 온시키고 동작 모드를 "개별 동작 모드"로 변경한다(S408). 변경된 동작 모드는 표시부(214)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개별 동작 모드"임을 알 수 있다(S410). 만약 전원 차단기(306) 개방 감시 단계(S406)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지 않으면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이 충분히 큰 상태이다. 이 경우 복합 가전기기(200)를 다시 턴 온시키면 현재의 설정 모드인 "동시 동작 모드"가 표시부(214)를 통해 표시된다(S412).
이와 같이, 전원 차단기(306) 정격 용량의 대소에 따라 동시/개별 동작 모드 가운데 하나를 설정하는 방법 이외에, 전원 차단기의 정격 용량에 따라 일부 단위 가전기기만이라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동시 동작 모드를 추가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의 사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에서 전원 차단기 용량에 따른 동시/부분동시/개별 동작 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의 설명에서 복합 가전기기(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가전기기의 전력 사용량의 크기는 "전자레인지 > 환기 모터 > 커피 메이커 > 토스터"의 순서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의 초기 모드를 "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S502) 제품을 설치한 후(S504) 먼저 전자레인지(202)와 환기 모터(316)를 구동시킨다(S506~S508). 이 상태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는지를 감시하여(S510) 만약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면 전체 가전기기들은 물론이고 전자레인지(202)와 환기 모터(316) 마저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이다. 따라서 복합 가전기기(200)를 다시 턴 온시키고 동작 모드를 "개별 동작 모드"로 변경한다(S512). "개별 동작 모드"에서는 복합 가전기기(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가전기기들을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항상 단일의 가전기기만을 사용할 수 있다. 변경된 동작 모드는 표시부(214)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개별 동작 모드"임을 알 수 있다(S528).
만약 전원 차단기(306) 개방 감시 단계(S510)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지 않으면 커피 메이커(210)를 더 구동시킨 후(S514)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는지를 감시한다(S516). 만약 이 상태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면 현재의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이 전자레인지(202)와 환기 모터(316)만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한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복합 가전기기(200)를 다시 턴 온시키고 동작 모드를 "부분동시 동작 모드(전자레인지+환기 모터)"로 변경한다(S518). "부분동시 동작 모드(전자레인지+환기 모터)"에서는 전자레인지(202)와 환기 모터(316)만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가전기기들은 동시 사용이 불가능하다. 변경된 동작 모드는 표시부(214)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부분동시 동작 모드(전자레인지+환기 모터)"임을 알 수 있다(S528).
커피 메이커(210) 구동 후 전원 차단기(306) 개방 감시 단계(S510)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지 않으면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에 여력이 있는 경우이므로 토스터(208)를 더 구동시킨 후(S520) 전원 차단기(306)의 개방 여부를 감시한다(S522). 이 상태에서 전원 차단부(306)가 개방되면 현재의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으로는 전자레인지(202)와 환기 모터(316), 커피 메이커(210)만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합 가전기기(200)를 다시 턴 온시키고 동작 모드를 "부분동시 동작 모드(전자레인지+환기 모터+커피 메이커)"로 변경한다(S524). "부분동시 동작 모드(전자레인지+환기 모터+커피 메이커)"에서는 전자레인지(202)와 환기 모터(316), 커피 메이커(210)만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토스터(208)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변경된 동작 모드는 표시부(214)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부분동시 동작 모드(전자레인지+환기 모터+커피 메이커)"임을 알 수 있다(S528).
토스터(208) 구동 후 전원 차단기(306) 개방 감시 단계(S510)에서 전원 차단기(306)가 개방되지 않으면 전원 차단기(306)의 정격 용량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200) 전체를 동시 구동하기에 충분한 경우이다. 따라서 복합 가전기기(200)를 다시 턴 온시키고 동작 모드를 "동시 동작 모드"로 변경한다(S526). 이 경우에는 복합 가전기기(200)를 구성하는 모든 단위 가전기기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변경된 동작 모드는 표시부(214)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동시 동작 모드"임을 알 수 있다(S528).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는 가정 내의 제한된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유사 목적의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된 복합 가전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 가전기기의 각 단위 기기들을 전원 차단기의 정격 용량 즉 전원 공급량에 따라 동시에 사용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시 사용에 따른 과부하의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가전기기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에서, 전원 차단기 용량의 대소에 따른 동시/개별 동작 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전기기에서, 전원 차단기 용량에 따른 동시/부분동시/개별 동작 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202 :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104, 204 : 전기 오븐
108, 208 : 토스터
110, 210 : 커피 메이커
200 : 복합 가전기기

Claims (22)

  1. 가전기기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가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 동작 모드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 가운데 항상 단일의 단위 가전기기만을 사용할 수 있는 개별 동작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가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복합 가전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과부하시 개방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기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복합 가전기기.
  6. 조리기기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단위 조리기기가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조리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시 동작 모드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조리기기 가운데 항상 단일의 단위 조리기기만을 사용할 수 있는 개별 동작 모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를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조리기기가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복합 조리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조리기기에 전자레인지가 포함되는 복합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가 후드 겸용의 벽걸이형 전자레인지인 복합 조리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 6 항에 있어서,
    과부하시 개방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기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복합 조리기기.
  13. 전원 차단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단일의 전원 공급부와, 상기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는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일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초기 모드를 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구동시킬 때 상기 전원 차단기가 개방되면 동작 모드를 개별 동작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동작 모드는 상기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개별 동작 모드는 상기 두 개 이상의 가전기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인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5. 전원 차단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단일의 전원 공급부와, 상기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는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일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초기 모드를 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 가운데 하나를 구동시키고, 구동되는 단위 가전기기의 수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전원 차단기의 개방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차단기가 개방될 때의 동시 동작되는 단위 가전기기의 수에 따라 동시/부분동시/개별 동작 모드 가운데 하나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단위 가전기기를 동작시킬 때 상기 전원 차단기가 개방되면 n-1개의 상기 단위 가전기기만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구동시킬 때 전력 사용량이 가장 큰 단위 가전기기로부터 가장 작은 단위 가전기기의 순서로 구동시키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구동시킬 때 전력 사용량이 가장 작은 단위 가전기기로부터 가장 큰 단위 가전기기의 순서로 구동시키는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19. 전원 차단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단일의 전원 공급부와, 상기 단일의 전원 공급부를 공유하는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일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초기 모드를 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제품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 가운데 하나를 구동시키고, 구동되는 단위 가전기기의 수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상기 전원 차단기의 개방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차단기가 개방될 때의 동시 동작되는 단위 가전기기의 수에 따라 동시/부분동시/개별 동작 모드 가운데 하나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설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단위 가전기기를 동작시킬 때 상기 전원 차단기가 개방되면 n-1개의 상기 단위 가전기기만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동시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가전기기의 설치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구동시킬 때 전력 사용량이 가장 큰 단위 가전기기로부터 가장 작은 단위 가전기기의 순서로 구동시키는 복합 가전기기의 설치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단위 가전기기를 구동시킬 때 전력 사용량이 가장 작은 단위 가전기기로부터 가장 큰 단위 가전기기의 순서로 구동시키는 복합 가전기기의 설치 방법.
KR10-2002-0053360A 2002-09-05 2002-09-05 복합 가전기기 KR10049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360A KR100496917B1 (ko) 2002-09-05 2002-09-05 복합 가전기기
US10/379,897 US7173226B2 (en) 2002-09-05 2003-03-06 Complex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 installing the same
CNB031204406A CN1224802C (zh) 2002-09-05 2003-03-17 复合家用器具及其控制和安装方法
JP2003112942A JP3854939B2 (ja) 2002-09-05 2003-04-17 複合家電機器及びその制御及び設置方法
US11/642,843 US7358468B2 (en) 2002-09-05 2006-12-21 Complex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 insta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360A KR100496917B1 (ko) 2002-09-05 2002-09-05 복합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14A KR20040021814A (ko) 2004-03-11
KR100496917B1 true KR100496917B1 (ko) 2005-06-23

Family

ID=3198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360A KR100496917B1 (ko) 2002-09-05 2002-09-05 복합 가전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173226B2 (ko)
JP (1) JP3854939B2 (ko)
KR (1) KR100496917B1 (ko)
CN (1) CN122480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18B1 (ko) * 2014-06-18 2014-12-04 권명준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138B1 (ko) * 2003-12-02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겸용 전자 레인지
DE602004008014T2 (de) * 2003-12-02 2008-04-30 Lg Electronics Inc. Kaffeemaschine und Mikrowellenherd und zugehöriges Steuerverfahren
US7400239B2 (en) 2004-09-03 2008-07-15 Simply Automated, Incorporated Univers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US8027752B2 (en) 2005-06-09 2011-09-27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hanging resource consumption in an appliance
US8615332B2 (en) * 2005-06-09 2013-12-24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urrent attenuator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pliances
US8250163B2 (en) * 2005-06-09 2012-08-21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oupling device
US7363093B2 (en) * 2005-11-29 2008-04-22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multi-compartment dishwasher
JP4830730B2 (ja) * 2006-09-06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家庭電気製品収納庫
DE102007016075A1 (de) * 2007-04-03 2008-10-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lektrogerät mit verringertem Standbyverbrauch
US10083255B2 (en) 2012-12-14 2018-09-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quipment fault detection, diagnostics and disaggregation system
KR102231092B1 (ko) 2013-09-05 2021-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
DE102013223934A1 (de) * 2013-11-22 2015-05-2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CN111240548A (zh) * 2014-01-06 2020-06-05 三星电子株式会社 控制设备
JP5950483B2 (ja) * 2015-03-25 2016-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1079118B2 (en) 2016-04-12 2021-08-03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microwave and hood system
US11523473B2 (en) 2016-04-12 2022-12-06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microwave and hood system
US11038351B2 (en) 2019-08-05 2021-06-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haring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liances on an alternating current circuit
RU2750410C1 (ru) * 2020-09-28 2021-06-28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Усынин Система компоновки предметов бытовой техники
KR20230106420A (ko) 2022-01-06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306A (en) * 1986-09-26 1987-10-27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system
KR920006967A (ko) * 1990-09-21 1992-04-28 김용원 여러개의 전자기기를 복합하여 하나의 일체로 구성한 멀티시스템(Multisystem)
KR930007042A (ko) * 1991-09-24 1993-04-22 강진구 다기능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
JPH11289419A (ja) * 1998-04-01 1999-10-19 Ricoh Co Ltd 複合装置
KR200253665Y1 (ko) * 2001-04-19 2001-11-17 이만우 다기능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624A (en) * 1982-02-11 1986-01-07 Copeland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compressor
JPH0521949Y2 (ko) * 1985-12-02 1993-06-04
AT389923B (de) 1988-01-29 1990-02-26 Sfs Stadler Ag Selbstbohrende und -gewindeschneidende schraube zum eindrehen in gasbeton
US5799822A (en) * 1994-04-21 1998-09-01 Krh Thermal Systems Vending machine including multiple failure control devices
US6365988B1 (en) 1998-12-04 2002-04-02 Dreefs Gmbh Schaltgerate Und Systeme Power controller for setting the power of the electrical loads of an electrical appliance
US6624399B2 (en) * 2000-11-15 2003-09-23 Zenon Rypan Space saving cooking appliance
US6825449B2 (en) * 2001-04-26 2004-11-30 Tutco, Inc. Cooling controller with push-to-turn rotary switch
US6794770B2 (en) * 2001-04-26 2004-09-21 Tutco, Inc. Interface control swit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306A (en) * 1986-09-26 1987-10-27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system
KR920006967A (ko) * 1990-09-21 1992-04-28 김용원 여러개의 전자기기를 복합하여 하나의 일체로 구성한 멀티시스템(Multisystem)
KR930007042A (ko) * 1991-09-24 1993-04-22 강진구 다기능 가전제품의 전원공급장치
JPH11289419A (ja) * 1998-04-01 1999-10-19 Ricoh Co Ltd 複合装置
KR200253665Y1 (ko) * 2001-04-19 2001-11-17 이만우 다기능 가전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18B1 (ko) * 2014-06-18 2014-12-04 권명준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46454A1 (en) 2004-03-11
JP2004101165A (ja) 2004-04-02
US7173226B2 (en) 2007-02-06
US20070102423A1 (en) 2007-05-10
US7358468B2 (en) 2008-04-15
KR20040021814A (ko) 2004-03-11
CN1224802C (zh) 2005-10-26
CN1480690A (zh) 2004-03-10
JP3854939B2 (ja)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917B1 (ko) 복합 가전기기
JP5456325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046345A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6564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그 출력제어방법
JP2011055622A (ja) Ihクッキングヒータ、ihクッキングヒータ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549866B1 (en) Digital electronic control unit
US11121534B2 (en) Kitchen appliance assembly and method of converting a kitchen having one of a slide-in and drop-in appliance to a kitchen having built-in appliances
CN106123054A (zh) 一种电加热炉具
US20020053565A1 (en) Microwave oven having overheat prevent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its fan motor
CN109915870B (zh) 一种隔烟控制系统、方法及使用该系统的灶具
CN102467095B (zh) 家用电器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EP2587163A1 (en) Combined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consumed in an oven and a glass ceramic hob
KR101615305B1 (ko) 융합형 주방가전기기의 이중구조 격벽을 갖는 캐비넷
CN210291992U (zh) 一种隔烟控制系统及使用该系统的灶具
JP2003187957A (ja) 電子レンジ
AU5064099A (en) Digital electronic control unit
KR20040027147A (ko) 복합 조리기기
JP2001069578A (ja)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364786B1 (ko) 배기 장치를 갖는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
KR200473042Y1 (ko) 일체형 복합 주방가전기기
US6396038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585539B2 (en) Kitchen appliance assembly and method of converting a kitchen having one of a slide-in and drop-in appliance to a kitchen having built-in appliances
JP2008021433A (ja) 加熱調理器
KR100606745B1 (ko) 조리기기의 릴레이 구동 안전회로
JP2009077933A (ja) 蒸気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