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418B1 -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 Google Patents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418B1
KR101469418B1 KR1020140074194A KR20140074194A KR101469418B1 KR 101469418 B1 KR101469418 B1 KR 101469418B1 KR 1020140074194 A KR1020140074194 A KR 1020140074194A KR 20140074194 A KR20140074194 A KR 20140074194A KR 101469418 B1 KR101469418 B1 KR 10146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ome
line insertion
insertion socket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명준
Original Assignee
권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명준 filed Critical 권명준
Priority to KR102014007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전기구들을 서로 간에 블록식으로 적층시키거나 측면밀착시켜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히도록 하면서, 각각의 가전기구들 모두 전원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암단자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암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가전기구; 및, 제2전원선 삽입소켓과 수단자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수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가전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는 서로 간에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서로간에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블록식 배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들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Block type home appliances with electric power sharing}
본 발명은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기구들을 블록식으로 결합하여 가전기구의 배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가전기구들간에 전원이 서로 간에 공유되도록 하여 각각의 가전기구마다 전기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전기구들은 콘센트의 소켓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원선이 케이스의 외측으로 드러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원선들은 각각의 가전기구마다 구비되기 때문에, 미관적으로 보기 좋지 않아 실내 디자인의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물론, 배터리를 내장시켜 전원선이 없도록 하는 소형 진공 청소기와 같은 가전기구들이 있으나, 이는 냉장고나 세탁기와 같은 대형 가전기구들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전기구들의 형태를 살펴보면, 냉장고, 세탁기, 전자렌지등의 가전기구들은 대부분의 형상이 사각통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주방이 협소한 경우, 냉장고에 전자렌지를 올려놓고 쓰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냉장고와 전자렌지 각각에는 전원선을 구비하기 때문에, 냉장고와 전자렌지 각각이 연결될 수 있는 연장 콘센트를 설치해야만 사용 가능하므로, 전원선과 연장 콘센트가 얽힌 상태로 나열되어 있어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않으며, 여러 개의 전기선이 얽힌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전기선의 과열시에 합선등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0146호(2010.05. 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전기구들을 서로 간에 블록식으로 적층시키거나 측면밀착시켜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히도록 하면서, 각각의 가전기구들 모두 전원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암단자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암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가전기구; 및, 제2전원선 삽입소켓과 수단자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수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가전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는 서로 간에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서로간에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블록식 배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들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전기구 및 상기 제2가전기구들 각각은 냉장고, 세탁기, 전자렌지, 식기세척기, 에어컨, 전자오븐 가운데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전기구는 몸체에 돌출부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가전기구는 몸체에 삽입부가 홈형태로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가 끼워맞춤하여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가 특정위치에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암단자부가 내삽되는 암단자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수단자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가전기구의 몸체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수단자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가 끼워맞춤하는 경우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전기구에는 상기 돌출부를 특정위치까지만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측에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가전기구의 몸체속으로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전기구들이 서로 간에 블록식으로 배치되어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히도록 하면서, 가전기구들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모든 가전기구들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각각의 가전기구들 모두에 전원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2에 도시된 전원공유형 블록시 가전기구의 응용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의 전원 연결관계에 관한 블록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연결에 관한 구성들의 결합전 상태를 부분 단면 형태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연결에 관한 구성들이 서로 간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1가전기구의 돌출부가 제1가전기구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가전기구들의 측면에 단자부를 연결하는 변형예에 관한 분해 사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2에 도시된 전원공유형 블록시 가전기구의 응용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의 전원 연결관계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원연결에 관한 구성들의 결합전 상태를 부분 단면 형태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연결에 관한 구성들이 서로 간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가전기구의 돌출부가 제1가전기구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가전기구들의 측면에 단자부를 연결하는 변형예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제1가전기구(10) 및 제2가전기구(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전기구(30) 및 제4가전기구(40)가 더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1가전기구(10) 및 제2가전기구(20)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가전기구(10)는 냉장고, 세탁기, 전자렌지, 식기세척기, 에어컨, 전자오븐 가운데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가전기구(10)는 냉장고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가전기구(10)는 냉장고의 냉장기능이외에 몸체의 외측, 즉, 케이스에 외측에 제1전원선 삽입소켓(11)과 암단자부(1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전원선 삽입소켓(11)과 암단자부(12)는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전원선 삽입소켓(11)과 암단자부(12)는 제1가전기구(10)의 전력공급을 하기 위한 전기단자가 구성되는 소켓형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제1전원선 삽입소켓(11)과 암단자부(1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는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전기구(10)의 상부면, 측면 및, 하부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전기구(20)는 냉장고, 세탁기, 전자렌지, 식기세척기, 에어컨, 전자오븐 가운데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가전기구(20)는 전자렌지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가전기구(20)는 전자렌지의 가열기능이외에 몸체의 외측, 즉, 케이스에 외측에 제2전원선 삽입소켓(21)과 수단자부(2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2전원선 삽입소켓(21)과 수단자부(22)는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전원선 삽입소켓(21)과 수단자부(22)는 제2가전기구(20)의 전력공급을 하기 위한 전기단자가 구성되는 소켓형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제2전원선 삽입소켓(21)과 수단자부(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는 물론, 제2가전기구(20)의 상부면, 측면 및, 하부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암단자부(11)와 수단자부(22)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 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암단자부(11)와 수단자부(22)의 단자 개수를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암단자부(11)와 수단자부(22)의 단자 수는 설계사양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제1가전기구(10)와 제2가전기구(20)는 서로 간에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서로간에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블록식 배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볼록시 배치 구조는 제1가전기구(10)의 상부에 제2가전기구(20)가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1가전기구(10)와 제2가전기구(20)의 블록시 배치 구조를 적층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가전기구(10)의 측면과 제2가전기구(20)의 측면이 밀착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서로 간에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간에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블록식 배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가전기구(10)의 암단자부(12)와 제2가전기구(20)의 수단자부(22)는 서로 간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때, 제1가전기구(10)의 제1전원선 삽입소켓(11)과 제2가전기구(20)의 제2전원선 삽입소켓(21)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면,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3)이 제1전원선 삽입소켓(11)과 제2전원선 삽입소켓(21)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댁내의 전원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입력받으며, 제1가전기구(10)와 제2가전기구(20)들 모두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가전기구들이 서로 간에 블록식으로 배치되어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히도록 하면서, 가전기구들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모든 가전기구들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각각의 가전기구들 모두에 전원선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가전기구들간에 블록식 배치시에 특정 위치에서 구속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가전기구들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가전기구들의 배치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제1가전기구(10)는 몸체에 돌출부(13)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제2가전기구(20)는 몸체에 삽입부(23)가 홈형태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와 삽입부(23)는 서로 간에 끼워맞춤하여 제1가전기구(10)와 제2가전기구(20)가 특정위치에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3)에는 암단자부(12)가 내삽되는 암단자삽입홀(13a)이 더 형성되고, 삽입부(23)에는 수단자부(22)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2가전기구(20)의 몸체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암단자부(12)와 수단자부(22)는 돌출부(13)와 삽입부(23)가 끼워맞춤하는 경우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부(13)와 삽입부(23)의 끼워맞춤결합하여 가전기구들이 블록식으로 배치된 경우에만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하여 단자의 누전이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이, 암단자부(12)와 수단자부(22)가 전기적인 접촉을 하는 경우이외에 전기적인 접촉없이 돌출부(13)가 형성된 부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구나 벽체의 평면(1b)에 면접촉을 하는 경우에 배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가전기구(10)에는 돌출부(13)를 특정위치까지만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경우, 돌출부(13)는 외측에서 가압되는 경우에 제1가전기구(10)의 몸체속으로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는 제1가전기구(10)와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제1가전기구(10)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되, 제1가전기구(10)의 홀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도록 결착되는 스톱퍼(13b)가 더 구성된다. 이 경우, 스톱퍼(13b)에 홈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4)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톱퍼(13b)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탄성부재(14)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13c)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전기구(10)는 블록시 결합을 하지 않고 돌출부(13)가 형성된 면이 다른 물체들의 면에 밀착되는 경우, 돌출부(13)가 제1가전기구(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돌출부(13)에 의해 제1가전기구(10)가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전기구들의 블록식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을 시행해야 할 경우, 탄성부재(14)에 의해 제1가전기구(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제1스위치(15)와 제2스위치(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15)는 암단자부(12)와 제1전원선 삽입소켓(1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턴 온되는 경우, 암단자부(12)와 제1전원선 삽입소켓(1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1가전기구(10)에 전원을 공급하고, 턴 오프 되는 경우, 제1가전기구(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제1가전기구(10)에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스위치(16)는 수단자부(22)와 제2전원선 삽입소켓(2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턴 온되는 경우, 수단자부(22)와 제2전원선 삽입소켓(2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2가전기구(20)에 전원을 공급하고, 턴 오프 되는 경우, 제2가전기구(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제2가전기구(20)에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전기구들의 전원 공유기능 중에 스위치를 단속하여 가전기구 각각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가전기구 20 ; 제2가전기구
11 ; 제1전원선 삽입소켓 12 ; 암단자부
13 ; 돌출부 14 ; 탄성부재
21 ; 제2전원선 삽입소켓 22 ; 수단자부

Claims (6)

  1.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암단자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암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가전기구;
    제2전원선 삽입소켓과 수단자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수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가전기구;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는 서로 간에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서로간에 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블록식 배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수단자부는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과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 가운데 어느 하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들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
    상기 제1가전기구는 몸체에 돌출부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가전기구는 몸체에 삽입부가 홈형태로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가 끼워맞춤하여 상기 제1가전기구와 상기 제2가전기구가 특정위치에만 결합되도록 하는 것;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암단자부가 내삽되는 암단자삽입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수단자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가전기구의 몸체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수단자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가 끼워맞춤하는 경우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 및,
    상기 제1가전기구에는 상기 돌출부를 특정위치까지만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측에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가전기구의 몸체속으로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턴 온되는 경우, 상기 암단자부와 상기 제1전원선 삽입소켓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1가전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고,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제1가전기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수단자부와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턴 온되는 경우, 상기 수단자부와 상기 제2전원선 삽입소켓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제2가전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고, 턴 오프 되는 경우, 상기 제2가전기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KR1020140074194A 2014-06-18 2014-06-18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KR10146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194A KR101469418B1 (ko) 2014-06-18 2014-06-18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194A KR101469418B1 (ko) 2014-06-18 2014-06-18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418B1 true KR101469418B1 (ko) 2014-12-04

Family

ID=5267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194A KR101469418B1 (ko) 2014-06-18 2014-06-18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9905A4 (en) * 2018-02-05 2021-11-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IR HANDLING DEVICE
CN114258197A (zh) * 2021-12-03 2022-03-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硬件安装结构及家用电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06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KR100496917B1 (ko) * 2002-09-05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가전기기
KR20050069321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396640B2 (ja) 2011-08-25 2014-01-22 沈政憲 形態可変型電子機器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06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KR100496917B1 (ko) * 2002-09-05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가전기기
KR20050069321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396640B2 (ja) 2011-08-25 2014-01-22 沈政憲 形態可変型電子機器ホルダ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9905A4 (en) * 2018-02-05 2021-11-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IR HANDLING DEVICE
CN114258197A (zh) * 2021-12-03 2022-03-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硬件安装结构及家用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0944B2 (ja) スマートハウスの電源接続システム
KR101469418B1 (ko)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US8221166B2 (en) Phantom power saver power tap
KR20000036907A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US20160178213A1 (en) Cook top assembly with dual power source
CN203690625U (zh) 一种无线智能插座
CN208597067U (zh) 触摸按键组件、供热水装置以及电器设备
WO2008125813A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power supply
KR20170006031A (ko) 블럭식 콘센트
CN203406481U (zh) 一种智能插头
CN203466386U (zh) 一种家电拼接器及其应用的电煎盘
CA2875865A1 (en) Cook top assembly with dual power source
KR200454899Y1 (ko) 스위치 콘센트의 램프 어셈블리 접속구조
KR20120116721A (ko) 콘센트
CN209330088U (zh) 小家电遥控器
KR101392280B1 (ko) 이동식 콘센트
KR20170054655A (ko) 트위스트 멀티탭
CN203871605U (zh) 插头及插头插座组件
CN201918596U (zh) 旋转式插座
CN209863274U (zh) 家用电器用线路板组件及烹饪器具
CN210403529U (zh) 一种兼容多种线径的开关端子
CN202759076U (zh) 一种插座结构
CN111180943B (zh) 一种具有五孔插入检测功能的插座
CN204516616U (zh) 一种组合开关
CN210467652U (zh) 一种防短路薄膜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