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206A -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 Google Patents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206A
KR20040009206A KR1020020043055A KR20020043055A KR20040009206A KR 20040009206 A KR20040009206 A KR 20040009206A KR 1020020043055 A KR1020020043055 A KR 1020020043055A KR 20020043055 A KR20020043055 A KR 20020043055A KR 20040009206 A KR20040009206 A KR 20040009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roducts
stackable
electronics
electronic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이브구드윈
메트가우드
크리스우드워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206A/ko
Publication of KR2004000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콘센트의 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다수개의 전자제품을 서로 결합시켜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각 전자제품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 결합되며, 상기 각 전자제품에는 상기 전자제품 상호 간 또는 외부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접속부가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중 어느 하나가 외부전원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모든 전자제품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VARIOUS ERECTABLE ELECTRONIC APPLIANCES}
본 발명은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전자제품을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 결합시키고, 적층 결합된 각각의 전자제품을 전원연결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자제품에 외부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각 전자제품으로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공간에서 전자제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의 수가 줄어들도록 한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저장식품을 냉장 보관시키기 위한 냉장고와 고주파를 이용해 음식물이 단시간 내에 조리되도록 하는 전자렌지를 비롯하여 세탁기, TV, 식기세척기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각 전자제품은 통상 주방이나 거실과 같은 실내공간의 바닥면 일부를 차지하며 다른 전자제품들로부터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렇게 각각 독립적으로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전자제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즉,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바닥면 일부를 차지하게 되는 상기 각 전자제품들은 사용자의 활동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전자제품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이 마련되며, 이러한 전원공급케이블이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각 콘센트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각 전자제품에는 외부전원이 공급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각전자제품의 수에 맞는 콘센트가 실내공간에 필요하게 되어 실내공간 요소요소에 많은 량의 콘센트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실내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이러한 전원케이블이 서로 엉켜 실내공간이 지저분해 보이도록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가전제품을 적층 결합시켜 실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하나의 가전제품에 외부전원을 공급시키더라도 다수개의 각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콘센트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로,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장고20: 전자렌지
30: 냉동고11,21,31: 도어
51: 받침부재52: 커버부재
60: 접속부70: 콘센트
80: 전원공급케이블90: 전원연결케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자제품을 서로 결합시켜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각 전자제품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 결합되며, 상기 각 전자제품에는 상기 전자제품 상호 간 또는 외부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접속부가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중 어느 하나가 외부전원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모든 전자제품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전자제품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각 전자제품이 적층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홈과 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상기 각 전자제품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적층된 최하단 전자제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상기 각 전자제품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적층된 최상단 전자제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상기 전자제품 상호 간의 전기 접속을 위한 상기 각 접속구 사이를 연결시키는 전원연결케이블과, 상기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구와 외부의 콘센트 사이를 연결시키는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은 상기 적층된 다수의 전자제품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전자제품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접속부는 동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을 구비하여 내부 저장실에 수납되는 저장품들이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10) 및 냉동고(30)와,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 변환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분자들 간의 마찰열로 음식물이 단시간 내에 조리되도록 하는 전자렌지(20)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전자제품(10,20,30)들은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일렬로 적층 결합되는데, 이중 상기 냉장고(10)는 실내 공간 일측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상기 냉장고(10)의 상단에는 상기 전자렌지(20)가 적층 결합되며, 상기 전자렌지(20)의 상단에는 상기 냉동고(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적층된 각 전자제품(10,20,30)들은 적층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간에 고정 결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자제품(10,20,3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기(41)가 형성되고, 각 전자제품(10,20,3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된 홈(42)이 형성된다. 따라서 냉장고(10)의 상단에 마련된 홈(42)에 전자렌지(20)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4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자렌지(20)는 냉장고(10)의 상단에 적층 고정되고, 같은 방식으로 상기 냉동고(30)가 전자렌지(20)의 상단에 적층 고정된다. 또한, 서로 적층 결합된 각 전자제품(10,20,30)은 상기 홈(42)과 돌기(41)의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상호 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홈(42)과 돌기(41)는 각 전자제품(10,20,30)의 상단과 하단의 각 모서리 측에 4개로 형성되어 각 전자제품(10,20,3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든 전자제품(10,20,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홈(42)과 돌기(4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전자제품(10,20,30)은 사용자의 취향 및 의도에 따라 전자렌지(20)를 최상단에 배치할 수도 있고, 냉동고(30)를 최하단에 배치할 수도 있게 되며, 각 전자제품(10,20,30)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등 그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하단에 결합된 상기 냉장고(10)의 하단에는 냉장고(1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51)가 결합되며, 최상단에 결합된 상기 냉동고(30)의 상단에는 냉동고(30)의 상단을 덮어 냉동고(30) 상단에 형성된 홈(4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5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51)의 상단에는 각 전자제품(10,20,30)의 상단에 형성된 홈(42)과 동일한 홈(42)이 형성되어, 적층 결합된 전자제품(10,20,30)들 중 어느 하나의 전자제품(10,20,30)이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받침부재(51)가 상기 분리된 하나의 전자제품(10,20,30)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52) 역시 각 전자제품(10,20,3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각 전자제품(10,20,30)의 상단에 형성된 홈(42)을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자제품(10,20,30)에는 전자제품(10,20,30) 상호 간 또는 외부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한 쌍의 접속부(60)가 마련된다. 이렇게 각 전자제품(10,20,30)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기 접속부(60)를 통해 하나의 전자제품(10,20,30)에 공급된 외부전원은 서로 적층 결합된 각 전자제품(10,20,3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각 전자제품(10,20,3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부(60)는 각각 전자제품(10,20,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냉장고(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속부(60)와 실내공간에 설치된 콘센트(70) 사이에는 외부전원을 상기 냉장고(10)로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80이 연결되며, 상기냉장고(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속부(60)와 전자렌지(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속부(60) 사이와, 전자렌지(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속부(60)와 냉동고(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속부(60) 사이에는 각각 냉장고(10)에 공급된 외부전원이 상기 전자렌지(20)와 냉동고(30)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원연결케이블(90)이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하나의 전자제품(10,20,30)으로 공급된 외부전원이 나머지 다른 각 전자제품(10,20,30)들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하나의 콘센트(70)를 통해 다수의 전자제품(10,20,30)에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콘센트(70)의 설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콘센트(70)의 위치가 실내공간의 상부 측에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냉동고(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속부(60)에 전원공급케이블(80)을 연결하고, 나머지 다른 접속부(60)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전원연결케이블(90)을 연결하더라도 상기 냉동고(30)로 공급된 외부전원은 상기 전자렌지(20) 및 냉장고(10)로 전달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위치한 전자제품(10,20,30)의 일측 접속부(60)에 전원공급케이블(80)을 연결시키만 하면 상기 전원연결케이블(90)을 통해 상기 적층 결합된 각 전자제품(10,20,3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전원연결케이블(9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하는 동시에 전원연결케이블(9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각 접속부(60)는 동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각 전자제품(10,20,30)의 전면에는 각 전자제품(10,20,30)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11,21,31)가 체결되는데, 이러한 도어(11,21,31)는 다양한 설치공간에서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방향 개폐도어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적층구조로 마련되는 만큼 각 전자제품(10,20,30)의 무게를 줄여 하부의 전자제품(10,20,30)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냉장고(10) 및 냉동고(30)에는 압축기 등을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구성요소 대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펠티어소자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실시예에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상기 냉동고(30)의 상부에 음료수병 전용냉장고(100)를 추가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변 전용냉장고(100)는 내부에 냉장고(10)와 동일한 구성의 냉각장치를 구비하며, 전면 측에 음료수병이 삽입방식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삽입구(10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커버부재(52)는 음료수변 전용냉장고(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음료수병 전용냉장고(100)에는 음료수변 전용냉장고(100)가 다른 전자제품(10,20,30)들과 적층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냉장고(10)로부터 외부전원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다른 전자제품(10,20,30)과 같은 구조의 접속부(60)와 홈(42) 및 돌기(41)의 구성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홈(42) 및 돌기(41)와 상기 접속부(60)의 구성을 갖춘 전자제품이라면 상기 음료수병 전용냉장고(100)가 아닌 다른 어떤 전자제품 이라도다른 전자제품(10,20,30)들과 함께 적층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다수개의 전자제품을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 결합시키고, 적층 결합된 각각의 전자제품을 전원연결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자제품에 외부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각 전자제품으로 외부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실내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콘센트의 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7)

  1. 다수개의 전자제품을 서로 결합시켜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각 전자제품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적층 결합되며, 상기 각 전자제품에는 상기 전자제품 상호 간 또는 외부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접속부가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 중 어느 하나가 외부전원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모든 전자제품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자제품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각 전자제품이 적층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홈과 돌기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상기 각 전자제품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적층된 최하단 전자제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상기 각 전자제품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적층된 최상단 전자제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은 상기 전자제품 상호 간의 전기 접속을 위한 상기 각 접속구 사이를 연결시키는 전원연결케이블과, 상기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구와 외부의 콘센트 사이를 연결시키는 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은 상기 적층된 다수의 전자제품 중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전자제품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속부는 동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KR1020020043055A 2002-07-22 2002-07-22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KR20040009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55A KR20040009206A (ko) 2002-07-22 2002-07-22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55A KR20040009206A (ko) 2002-07-22 2002-07-22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06A true KR20040009206A (ko) 2004-01-31

Family

ID=3731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055A KR20040009206A (ko) 2002-07-22 2002-07-22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18B1 (ko) * 2014-06-18 2014-12-04 권명준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18B1 (ko) * 2014-06-18 2014-12-04 권명준 전원공유형 블록식 가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392B2 (en) Refrigerator with contactlessly powered movable member
US7665326B2 (en) Drawer appliance
US9605888B2 (en) Refrigerator
US7895858B2 (en) Modular refrigerating appliance
US8020401B2 (en) Configurable refrigerator
RU255893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ытовой прибор
JP5114915B2 (ja) 冷蔵庫
KR20040009206A (ko) 적층 가능한 다수의 전자제품
CA2444863A1 (en) Food service cart assembly
US20230221055A1 (en) Refrigerator
KR200473250Y1 (ko) 냉장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양념 수납장
CN219141254U (zh) 冰箱
KR20050026599A (ko) 냉온장 보관 장치
CN201184725Y (zh) 保温冷藏一体柜
EP4116652A1 (en) Space-customized refrigerator system
CN214223505U (zh) 储物设备
KR200197385Y1 (ko) 냉장고의와인선반고정구조
NZ548130A (en) Refrigerated drawer appliance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for independent cooling
KR20210112182A (ko) 냉장고
CN115363403A (zh) 伸缩机身的烹饪机
JPH08200924A (ja) 冷却貯蔵庫
KR20030086738A (ko) 플러그 소켓을 구비한 냉장고
CN112438575A (zh) 家用紧凑型长时间预约烹饪机及其安装方法
CN112438573A (zh) 家用长时间预约烹饪机及其安装方法
KR2020006746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