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266B1 -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266B1
KR100496266B1 KR10-2003-0011016A KR20030011016A KR100496266B1 KR 100496266 B1 KR100496266 B1 KR 100496266B1 KR 20030011016 A KR20030011016 A KR 20030011016A KR 100496266 B1 KR100496266 B1 KR 10049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ubstrate
chamber
silic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031A (ko
Inventor
박종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0/740,32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40129223A1/en
Priority to DE60334279T priority patent/DE60334279D1/de
Priority to AT03029649T priority patent/ATE482474T1/de
Priority to EP03029649A priority patent/EP1434278B1/en
Publication of KR2004005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266B1/ko
Priority to US11/601,197 priority patent/US7531068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using electric discharges
    • C23C16/50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using electric discharges using radio frequency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hysical Deposition Of Substances That Are Compon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방식으로 실리콘(Si)을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Matrix) 박막을 증착하는 동시에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어븀(Er)과 같이 발광특성을 갖는 물질을 도핑함으로써 손상을 입지않으며 도핑 농도가 균일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실리콘 나노점 박막은 가시광 영역 뿐 아니라 장거리 통신 주파수 영역에서도 향상된 발광 특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은 현재의 반도체 공정 기술과 상호 연동이 가능하므로 현재의 반도체 공정으로 실리콘을 전광재료로 이용하는 나노 전광 소자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nanodot film capable of emitting light}
본 발명은 실리콘 나노점 박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 전광 소자의 전광재료로 이용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리콘은 나노 크기의 클러스터로 만들면 양자 구속 효과에 의한 에너지 준위 간의 전이에 의해 발광 효율이 상당히 증대되고, 실리콘 나노점의 크기를 조절하면 발광 영역을 가시광 영역에서 근적외선 영역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특히, 실리콘 나노점과 어븀(Erbium; Er) 원소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호작용이 커지면 어븀(Er)을 여기하는 효율이 크게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장거리 통신 주파수(1.54㎛) 영역에서 발광 특성을 갖고 있어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 등에 활용되는 어븀(Er)을 실리콘 나노점이 형성된 박막에 도핑하면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서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박막의 제조가 가능해질 것이며, 이는 커다란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광 펌핑(optical pumping) 만으로 신호를 증폭하는 현재 장거리 통신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반도체 집적 기술을 이용하여 단순화된 공정으로 크기가 작은 발광 소자나 증폭기가 내장된 시스템 온 칩(SOC) 형태의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표적인 반도체 물질인 실리콘은 간접 밴드 천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광으로 인해 전광소재로서의 활용에 커다란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간접 천이 에너지 밴드갭(Indirect bandgap)을 갖는 실리콘을 전광소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실리콘에 발광물질을 효율적으로 도핑할 수 있는 방법과, 나노미터 수준의 실리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실리콘을 전광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법으로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형성한 후 익스-시투(ex-situ) 이온 주입 공정으로 어븀(Er)을 도핑하거나, 어븀(Er)이 도핑된 실리콘 타겟을 사용한 펄스형 레이저 증착법으로 어븀(Er)이 도핑된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고에너지 가속에 의한 손상(damage)이 발생되고 도핑 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하기 힘든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타겟 제조 과정에서 불순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과, 도핑 농도에 따라 각기 다른 타겟을 제조해야만 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현재 반도체 공정 기술과의 상호 연동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방식으로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박막을 증착하는 동시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된 박막에 발광물질을 도핑함으로써 상기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는 가스 공급관 및 가스 배기구가 형성된 챔버, 상기 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된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며 기판이 장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기판을 향해 설치된 스퍼터 건을 포함하며,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기판 사이에서 생성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기판 상에 매트릭스 박막이 증착되는 동시에 상기 스퍼터 건으로부터 발광물질이 스퍼터링되어 상기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도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은 기판을 챔버 내의 스테이지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챔버 내부로 반응가스를 주입하며 플라즈마를 생성시켜 상기 기판 상에 매트릭스 박막이 증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챔버 내부로 발광 특성을 갖는 물질을 스퍼터링하여 상기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발광 물질이 도핑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릭스 박막은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발광 물질은 한 종류 또는 한 종류 이상의 희토류 금속, 절연물 및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에 사용되는 증착 장비의 구성도이다.
챔버(10)의 상부에는 가스 공급관(1)과 연결된 샤워헤드(2)가 위치되고, 하부에는 기판(3)이 놓일 스테이지(Stage; 4)가 위치된다. 챔버(10)의 하부에는 배기펌프(5)와 연결된 가스 배기구(6)가 설치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스테이지(4)를 향하도록 스퍼터 건(7)이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증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지(4) 상에 기판(3)을 위치시킨 후 가스 공급관(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로 반응가스를 주입하며 상부전극 역할을 하는 샤워헤드(2)와 하부전극 역할을 하는 스테이지(4)에 고주파 전력(RF Power; 8)을 인가하여 플라즈마(9)가 생성되도록 하면 생성된 플라즈마(9)가 하부로 이동하여 기판(3) 상에는 실리콘(Si)을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Matrix) 박막이 증착된다. 이때, 반응 가스와 기판의 온도, 압력, 플라즈마 상태 등을 조절하여 매트릭스 박막 내에 여분의 실리콘이 존재하도록 하면 이들 실리콘(Si)들이 나노점을 형성한다. 반응 가스의 상대적인 유량과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고주파 전력의 크기에 따라 박막의 조성과 성장 속도가 상당히 큰 폭으로 변화하는데, 이를 세밀하게 조절하면 원하는 크기와 농도의 실리콘 나노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이 0.1Torr이고, 온도가 150℃인 공정 조건에서 SiH4 및 O2 가스를 1:1의 유량비로 플로우시키며 20와트(Watt)의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여 실리콘(Si)을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박막을 증착하고 열처리하면 실리콘 나노점이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을 얻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실리콘 나노점의 크기는 3㎚ 정도이고, 밀도는 1017cm-3 정도가 된다.
이와 동시에 어븀(Er)과 같은 발광물질이 부착된 타겟과 타겟에 부착된 발광물질을 스퍼터링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스퍼터 건(7)으로부터 발광물질이 스퍼터링되도록 하여 기판(3) 상에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발광물질을 도핑시킨다. 이 때 스퍼터 건(7)의 스퍼터링 속도를 조절하면 발광물질의 도핑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인-시투(in-situ) 방식의 단일 공정으로 발광물질의 도핑 농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물질로는 한 종류 또는 한 종류 이상의 희토류 금속, 절연물,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희토류 금속인 어븀(Er)의 경우 이르곤(Ar) 플라즈마 상태에서 0.5 내지 -5㎸의 직류(DC)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스퍼터링시킨다.
증착 및 도핑 과정에서 기판(3)이 놓인 스테이지(4)를 가열시켜 고온 증착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회전시켜 균일한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매트릭스 박막을 에너지 갭이 큰 산화물이나 질화물로 증착할 경우 전도입자의 전도성이 낮아 전자와 정공의 주입 확률이 낮아지므로 도핑된 실리콘층과 절연성의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교대로 성장하는 초격자 구조로 제작하면 이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챔버(10)에 다수의 스퍼터 건(7)을 설치하면 어븀(Er)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희토류 금속, 절연 물질 또는 화합물과 같은 발광물질을 동시에 도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등과 같이 에너지 갭이 큰 물질에 Er, Eu, Pr. Nd, Tm 등의 가시광이나 적외선 발광을 보이는 희토류 금속을 도핑함으로써 다양한 발광 특성을 갖는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방식으로 실리콘(Si)을 기반으로 하는 매트릭스 박막을 증착하는 동시에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어븀(Er)과 같이 발광특성을 갖는 물질을 도핑함으로써 손상을 입지않고 도핑 농도가 균일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실리콘 나노점 박막은 가시광 영역 뿐 아니라 1.54㎛의 장거리 통신 주파수 영역에서도 향상된 발광 특성을 갖고 있어 실리콘을 전광재료로 이용하는 나노 전광 소자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며, 본 발명의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은 현재의 반도체 공정 기술과 상호 연동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공정으로 소자의 집적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에 사용되는 증착 장비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스 공급관 2: 샤워헤드
3: 기판 4: 스테이지
5: 배기펌프 6: 가스 배기구
7: 스퍼터 건 8: 고주파 전력
9: 플라즈마 10: 챔버

Claims (6)

  1.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에 있어서,
    가스 공급관 및 가스 배기구가 형성된 챔버,
    상기 가스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된 샤워헤드,
    상기 샤워헤드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며 기판이 장착되는 스테이지,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된 스퍼터 건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공급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반응가스를 주입하며,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스테이지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기판 사이에서 생성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기판 상에 매트릭스 박막이 증착되는 동시에 상기 스퍼터 건으로부터 발광물질이 스퍼터링되어 상기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도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상기 스퍼터 건이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3. a) 기판을 챔버 내의 스테이지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b) 가스공급관에 연결된 샤워헤드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반응가스를 주입하며,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스테이지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와,
    c)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기판 사이에서 생성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기판 상에 매트릭스 박막이 증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샤워헤드와 상기 기판 사이에 설치된 스퍼터 건으로부터 발광물질이 스퍼터링되어 상기 증착된 매트릭스 박막에 도핑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박막은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물질은 한 종류 또는 한 종류 이상의 희토류 금속, 절연물 및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금속은 어븀(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방법.
KR10-2003-0011016A 2002-12-24 2003-02-21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49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0,320 US20040129223A1 (en) 2002-12-24 2003-12-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nanodot film for light emission
DE60334279T DE60334279D1 (de) 2002-12-24 2003-12-2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anopunkt-strukturierten Siliziumfilms zur Lichtemission
AT03029649T ATE482474T1 (de) 2002-12-24 2003-12-2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anopunkt- strukturierten siliziumfilms zur lichtemission
EP03029649A EP1434278B1 (en) 2002-12-24 2003-12-22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nanodot film for light emission
US11/601,197 US7531068B2 (en) 2002-12-24 2006-11-16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nanodot film for light emission in nano-size photonic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3758 2002-12-24
KR1020020083758 2002-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031A KR20040057031A (ko) 2004-07-01
KR100496266B1 true KR100496266B1 (ko) 2005-06-17

Family

ID=3734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016A KR100496266B1 (ko) 2002-12-24 2003-02-21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6266B1 (ko)
AT (1) ATE482474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43B1 (ko) * 2006-04-27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막 제조방법 및 질화물 구조
KR100857819B1 (ko) * 2006-10-09 2008-09-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1642271B1 (ko) * 2015-03-31 2016-07-25 주식회사 디씨티 도판트가 도핑된 실리콘 나노소재 제조방법 및 이의 국부적 도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031A (ko) 2004-07-01
ATE482474T1 (de)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106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nanodot film for light emission in nano-size photonic devices
US8735290B2 (en) Amorphous group III-V semiconductor material and preparation thereof
EP1132976A2 (en) Optoelectronic material and device applic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oelectronic material
US20040136681A1 (en) Erbium-doped oxide glass
KR100384892B1 (ko) 에르븀이 도핑된 실리콘나노점의 형성 방법
KR100496266B1 (ko) 발광 가능한 실리콘 나노점 박막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018668B1 (ko) 산소 또는 질소로 종단된 실리콘 나노 결정 구조체의형성방법과 이것에 의해 형성된 산소 또는 질소로 종단된실리콘 나노 결정 구조체
KR100532864B1 (ko) 기상 합성에 의한 다이아몬드 필름 제조방법
KR920000591B1 (ko) 마이크로파 강화 cvd시스템
JP2008045180A (ja) Dlc膜の形成方法及びdlc膜の製造装置
JP3341387B2 (ja) 微細構造材料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および微細構造を有する発光素子
KR20110023620A (ko) 나노와이어가 구비된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4344B1 (ko) 비정질 실리콘 양자점 미세구조를 포함하는 실리콘 질화물 박막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KR100730990B1 (ko) 실리콘 절연막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실리콘 나노점 비휘발성 메모리 제조방법
KR100277691B1 (ko) 단파장 광전소자 제조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파장 광전소자제조방법
KR101091609B1 (ko) 은 및 ⅲ족 원소에 의해 코-도핑된 나노선, 그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69986B1 (ko) 유도결합 플라즈마법 및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박막 제조방법
KR101119670B1 (ko) 광학 특성을 개선한 지르코니아 박막의 증착방법
JPH0992883A (ja) 半導体ウェハ、半導体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素子の製造に用いる成長装置
JP2000077710A (ja) 発光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発光素子
JPH06187902A (ja) 半導体電子放出素子
KR101050215B1 (ko) 실리콘 나노점 클러스터 형성방법
CN109755369A (zh) 硅基ⅲ-ⅴ族半导体异质纳米柱电致发光器件及制备方法
KR100857819B1 (ko) 발광소자 제조방법
US8349745B2 (en)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nanoparticle embedded insulating film luminesce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