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327B1 -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327B1
KR100495327B1 KR10-2003-0008299A KR20030008299A KR100495327B1 KR 100495327 B1 KR100495327 B1 KR 100495327B1 KR 20030008299 A KR20030008299 A KR 20030008299A KR 100495327 B1 KR100495327 B1 KR 10049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component
manufacturing
molding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296A (ko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10-2003-000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3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2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producing a copy from an original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지·귀걸이·목걸이·비녀·브로치등 장신구를 제조할 때 꽃잎모양 등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장식부재나 또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기형적인 보석 등과 같은 장식부재를 정교하게 부착할 수 있는 받침부재 등과 같은 장신구용 부품을 용이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보다 섬세하고 미려한 장신구를 제공하게 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해 액상의 왁스로 장식부재나 받침부재 등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의 형상을 만들어 응고시켜 왁스모형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모형에 연소가능재료로 탕구에 상응하는 돌기를 만들고 겔상의 석고로 피복하여 건조시켜 석고성형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석고성형물을 소성하여 매몰되어 있던 상기 왁스모형을 연소 탈납시켜 내부에 왁스모형 형태의 공동이 형성되게 하여 석고형틀을 얻는 단계와, 상기 석고형틀의 내부 공동에 탕구를 통해 용융상태의 원하는 금속을 주입하고 냉각시켜서 장신구용 부품을 주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parts for ornaments}
본 발명은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지·귀걸이·목걸이·비녀·브로치등 장신구를 제조할 때 꽃잎모양 등과 같이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장식부재나 또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비정형인 보석등을 정교하게 부착할 수 있는 난집이나 덧씌움 부재와 같은 장신구용 부품을 간단 용이하게 제작하여 보다 섬세하고 미려한 장신구를 제공하게 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의 자연석을 포함한 비정형 보석의 난집을 제조할 때에는 금·은의 판재나 선재를 판금법이나 하드왁스로 조각하는 일품공작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형상의 비정형 보석의 난집을 완벽하게 만들기 어렵고 생산성도 낮았다.
즉,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장신구를 제조할 경우에는, 근래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투어멀린이나 바로크진주 등과 같이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기형적인 형상의 보석은 그 형상에 맞는 난집을 제조하기 어려워 완벽한 장신구를 제조할 수 없었다.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素材)가 꽃잎형상 등인 장식부재가 부착된 장신구를 제조할 때에는 금속을 가공하여 만든 장식부재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꽃잎형상의 이면의 잔주름이 생생하게 표현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조시 다양하고 복잡한 형상의 장신구용 부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형태의 장신구용 부품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비정형이거나 복잡한 형상의 소재의 장신구용 부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제조방법은 원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의 형상을 액상의 왁스로 만들어 건조시켜 왁스모형을 만드는 단계와, 연소가능 재료로 왁스모형 위에 탕구에 상응하는 돌기를 만들고 겔상의 석고를 피복하여 위 돌출부가 노출된 상태로 건조시켜 석고성형물을 만드는 단계와, 위의 석고성형물을 소성, 탈납하여 중공상태의 석고형틀을 얻는 단계와, 위의 석고형틀의 내부 공동에 용융상태의 원하는 금속을 주입하여 장신구용 부품원형을 주조하는 단계와, 장신구용 부품원형을 탈형한 후 필요에 따라 마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장신구용 부품을 장신구 본체에 부착하여 완제품을 얻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게 되는 장신구용 부품으로 장신구를 제조하면, 보석 등을 부착하기 위한 난집의 부착면을 보석 등의 접촉면과 동일하게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꽃잎형상 등과 같이 잔잔한 주름이 많은 소재의 장신구용 부품의 필요한 면의 복잡한 형태도 그대로 재현되기 때문에 섬세하고 미려한 장신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난집이나 장식부재와 같은 부품의 가공외에 보석등의 표면에 원하는 형태를 덧씌워 장식하고자 하는 경우에 액상의 왁스를 덧씌워 그러한 형태를 형성한 후 응고시킨 왁스모형으로 덧씌움 장식부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실물을 소재로 이용한 것에 비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의 장식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공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단계
장식용 부품의 소재(10)가 뒷면에 잔잔한 주름이 많은 나뭇잎이나 꽃잎인 경우 꽃잎의 위에 액상의 왁스(21)를 적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상온에서 응고시키고 그 윗면을 꽃잎형상으로 정형(整形)하여 왁스모형(20)을 만들었다.
제2단계
꽃잎으로부터 분리된 왁스모형(20)에 하드왁스로 된 탕구용 돌기(20a)를 부착하였다.
제3단계
탕구용 돌기(20a)가 부착된 왁스모형(20)을 겔상의 석고에 매몰시켜 석고로 피복시킨 후 꺼내어 상온에서 대략 45분 내지 2시간 정도 자연건조시켜 석고 성형물(30)을 만들었다.
이때, 돌기(20a)는 석고가 왁스모형(20)에 피복되는 두께에 비례하는 정도가 석고에 침지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시켰으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돌기(20a)는 다음의 공정에서 석고를 소성할 때 왁스와 함께 연소되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4단계
건조된 석고성형물을 가열로에 넣어 소성하여 매몰되어 있는 왁스모형(20)을 연소시켜 탈납하며, 이에 따라 내부에는 왁스모형(20) 형태의 공동(41)이 형성됨과 동시에 돌기(20a)가 있던 부위에는 상기 공동과 외부를 연결하는 탕구(42)가 형성된 석고형틀(40)을 얻었다.
제5단계
왁스모형이 제거된 석고형틀(40)의 내부 공동(41)에 탕구(42)를 통해 용융상태의 금을 주입한 다음, 상온에서 대략 30분정도 냉각시켜 꽃잎형상의 장신구용 부품(51) 원형을 주조하였다. 여기서 용융금속으로서는 은, 알루미늄, 백금등도 사용가능하다.
제6단계
주조가 완료된 석고형틀(40)을 파쇄하여 장신구용 부품(51) 원형을 탈형하고, 필요에 따라 마감세공하여 장신구용 부품(51)을 제조하였다. 이 때, 장신구용부품(51) 원형의 돌기(20a)에 상응하는 부분은 제거하거나 그대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장신구용 부품(51)은 돌기(20a)부분 또는 다른 부분을 장신구본체(50)에 부착하여 장신구를 만들었다.
한편, 상기 석고형틀(40)은 탈형할 때에는 냉각수에 담근 상태에서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5단계에서 상기 석고형틀을 30분 정도만 냉각하였기 때문에 그 열이 완전히 식지 않은 점외에 석고에 물이 침수되면 용이하게 파쇄되어 파쇄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비정형 보석의 난집제조에 적용한 도 2의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가 비정형 보석(10)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와 거의 동일한 공정으로 장신구용 부품(51)인 보석용 난집을 제조하였다.
다만, 장신구용 부품(51)인 난집은 점선을 기준으로 상향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s)에 보석의 하부가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접착된 상태로 장신구본체(50)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장식부재나 난집과 같은 부품은 제조하여 장신구를 제작하면, 특히 그 형태가 기형적인 보석등을 부착하기 위한 난집의 접합부위를 보석의 매몰부분과 동일하게 성형할 수 있고, 나뭇잎이나 꽃잎등을 실물과 가깝게 재현할 수 있다.
위에서 돌기(20a)를 만들어 왁스모형(20)을 만들었으나 탕구(42)를 달리 형성하고 돌기(20a)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제 4도는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를 덧씌움 장식부재로 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조공정도이다.
제1단계
보석등의 장식품본체의 표면에 덧씌울 장신구용 부품(51)의 형상에 걸맞게 밑그림(100)을 그린 다음, 그 밑그림 위에 원하는 형태에 따라 액상의 왁스(21)를 도포하여 덧씌움 장신구용 부품의 형상을 성형하고 상온에서 응고시키고 정형하여 왁스모형(20)을 만들었다.
이 때, 밑그림없이 덧씌움 장신구용 부품의 형상을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제2단계 내지 제6단계는 도 2의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덧씌움 장신구용 부품(51)은 장식품본체(보석포함)에 용접부착 될 수도 있고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액상의 왁스를 성형제로, 겔상의 석고를 형틀재료로 사용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유동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왁스모형에 탕구용 돌기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석고성형물이 완성된 후 천공작업에 의해 탕구용 통로를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장신구용부품(51)을 제조하면, 다양한 장신구용 부품을 실물을 재현하거나 원하는 형태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집을 비정형의 보석과의 접합면과 동일하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정형의 보석이 난집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꽃잎 등과 같이 잔잔한 주름이 많은 소재의 장신구용 부품의 경우에도 필요한 면의 복잡한 형태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섬세하고 미려한 장신구를 제공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가 보석이나 나뭇잎 등 자연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왁스성형에 의해 필요한 장신구용 부품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용 소재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의 제조공정도,
도 4는 동 제2실시예에 의한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재 20 : 왁스모형
21 : 왁스 20a : 돌기
30 : 석고성형물 40 : 석고형틀
41 : 공동 42 : 탕구
50 : 장신구본체 51 : 장식부재

Claims (11)

  1. 성형제로 된 모형을 유동성의 주형재료로 피복하고 탕구를 만든 후 건조시켜 주형제 성형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주형제 성형물을 소성하여 상기 모형을 연소, 제거시켜 내부에 상기 모형에 상응하는 공동이 형성된 주조형틀을 얻는 단계와;
    상기 주조형틀의 내부 공동에 탕구를 통해 용융상태의 원하는 금속을 주입한 다음, 냉각시켜 상기 모형 형상의 장신구용 부품을 주조하는 단계와;
    주조 후, 상기 형틀을 제거하여 장신구용 부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형은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의 일부분에 성형제를 도포하여 장신구용 부품의 해당부분과 동일형상을 갖도록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가 왁스인,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재료가 석고인,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7.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주형제 성형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그 표면과 모형 사이에 관통공을 뚫어 탕구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8.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주형제 성형물을 만드는 단계에서 돌기가 부착된 모형을 사용함으로써 탕구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하드왁스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가 나뭇잎이나 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용 부품의 소재가 비정형 보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03-0008299A 2003-02-10 2003-02-10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KR10049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99A KR100495327B1 (ko) 2003-02-10 2003-02-10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99A KR100495327B1 (ko) 2003-02-10 2003-02-10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96A KR20040072296A (ko) 2004-08-18
KR100495327B1 true KR100495327B1 (ko) 2005-06-14

Family

ID=3735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299A KR100495327B1 (ko) 2003-02-10 2003-02-10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37B1 (ko) * 2007-06-08 2007-10-05 김진용 자연소재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정밀주조용 금속원형제조방법
KR101413301B1 (ko) * 2013-03-11 2014-06-26 윤혜림 보석 난집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96A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4282A (en) Method of casting metal around a gem to form articles of jewelry
KR100764237B1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정밀주조용 금속원형제조방법
KR100495327B1 (ko) 장신구용 부품의 제조방법
US3731726A (en) Method of casting bimetallic jewellery
US555150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ecorative articles in gold or other precious metals and the articles made by the process
JP3004965B2 (ja) 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
JPH04253545A (ja) 象嵌品の製造方法
US20120118015A1 (en) Hollow jewelry
CN1099926C (zh) 一种石膏型精铸金银表壳的脱蜡熔模工艺
KR100351201B1 (ko) 융점 차이를 이용한 귀금속의 주물방법
JP2004306431A (ja) 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貴金属装飾品
JP3132843U (ja) 置物
KR100377439B1 (ko) 인공 진주가 결합된 장신구와 그 제조 방법
KR100369566B1 (ko) 귀금속 장식품의 제조방법
JP2002336931A (ja) 貴金属製の装飾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710344B (zh) 宗教祭祀用品之灰燼處理方法及其產物
JPH03140102A (ja) 貴金属製装身具の製造方法
WO2022029963A1 (ja) 装身具の製造方法および装身具
KR102240730B1 (ko) 양초의 2색 현출에 따른 문양 형성방법
KR20030039699A (ko) 왁스파베 스톤세팅을 이용한 보석장식 귀금속 장신구의제조방법 및 그 장신구
KR200392456Y1 (ko) 장신구를 이루는 보석고정용 홀더를 갖춘 원본프레임
JP4612101B1 (ja) フープタイプのイヤリング又はピア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7026B1 (ko) 귀금속 제조방법
JPS6313787B2 (ko)
JPH07108344A (ja) 精密鋳造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