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815B1 -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815B1
KR100494815B1 KR10-2002-0087434A KR20020087434A KR100494815B1 KR 100494815 B1 KR100494815 B1 KR 100494815B1 KR 20020087434 A KR20020087434 A KR 20020087434A KR 100494815 B1 KR100494815 B1 KR 10049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ssage
incoming
telephone number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618A (ko
Inventor
원상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8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2Means for playing back the recorded messages by remote control over a 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을 관리하는 통신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재중 호 착신시 통화로를 연결하고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시지 송출후, 인커밍 녹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중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그룹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그룹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재생하는 경우, 전화번호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그룹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커밍 녹음 메시지들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METHOD OF MANAGEMENT ABSENT SUBSCRIBER MESSAGE}
본 발명은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녹음 메시지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신자 번호 확인기능은 근래에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기본 서비스로 제공되는 나라도 있다. 이와 같이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신자 식별정보(CID : Caller Identification)"라 불리는 "발신자 번호"를 발신자 전화기 또는 교환기에서 착신측 전화기로 보내주게 된다. 그러면 발신자 번호 확인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에서는 수신되는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발신자 번호 확인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부재중에 착신이 있을 때 외부로부터 착신되는 호에 대해 부재중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고, 상대방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메시지인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 : ICM)를 녹음한다. 녹음된 인커밍 메시지는 발신자 번호가 표시되며, 인커밍 메시지가 수신된 순서대로 전화기에 저장되며, 전화기에서 간단한 버튼입력을 통해서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여럿이 사용하는 전화기의 경우, 다수의 인커밍 메시지가 녹음된 경우에 착신순서대로 녹음이 되어 있으므로 중간에 녹음된 인커밍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먼저 녹음된 메시지를 모두 청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누구든지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녹음된 메시지를 들을 수 있으므로 사생활 보호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기에 녹음되는 인커밍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을 관리하는 통신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호 착신시 통화로를 연결하고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시지 송출후, 인커밍 녹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중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그룹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그룹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재생하는 경우, 전화번호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그룹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커밍 녹음 메시지들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제어부(100), 메모리부(102), 음성 처리부(112)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키입력부(104)로부터의 키입력이나 전화 착신에 따라 각 부분을 제어하며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자동응답 관련 기능을 처리한다.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 Random Only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등을 구비한다.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정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한다. 플래쉬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데, 전화번호부를 저장하는데에도 사용된다.
키입력부(104)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표시부(106)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한다. 전화라인과 통화회로(110)사이에 접속되며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라인 인터페이스(108)는 전화라인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링신호 수신이나 발신자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알린다. 통화회로(110)는 핸드셋과 라인 인터페이스(108) 사이에 접속되며 제어부(100)와 접속되고 핸드셋 또는 음성처리부(112)와 전화라인 사이에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 처리부(112)와 음성 메모리(114)는 자동응답기능을 위해 사용되며, 음성 처리부(112)는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어 음성 메모리(114)에 저장되어 있는 아웃고잉 메시지의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110)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하며, 전화라인으로부터 통화회로(110)를 통해 수신되는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 : ICM)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메모리(114)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화기에서 전화번호의 그룹과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의 그룹과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메뉴조작을 하여 210단계의 전화번호 등록 메뉴 모드인 경우에 이후 21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전화번호 정보는 이름, 집전화번호와 직장전화번호 및 휴대전화번호 등 다수의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214단계에서는 입력한 전화번호의 그룹을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후 216단계에서 그룹 설정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 후 그룹 설정 메뉴가 선택되었으면 218단계로 진행하고, 그룹 설정 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220단계로 진행한다. 218단계에서는 그룹 설정에 대한 입력을 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그룹으로 설정을 하거나 기존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친구그룹, 직장동료그룹, 가족그룹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새로운 그룹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220단계에서는 비밀번호를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 안내메시지를 송출한 후 222단계로 진행한다. 222단계에서는 비밀번호 설정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하여 비밀번호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224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비밀번호가 설정된 그룹의 인커밍 메시지를 재생할 경우에 비밀번호를 설정한 사용자만이 인커밍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번호의 그룹과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전화기에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으로 인커밍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으로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를 저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310단계의 대기모드에서 호착신이 있으면 312단계에서 이를 확인하여 이후 314단계로 진행한다. 314단계에서는 발신자 번호가 검출되었는지 확인하여 발신자 번호가 검출되면 이후 316단계로 진행하고, 발신자 번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3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6단계에서는 314단계에서 검출된 발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318단계에서 시간 내에 후크오프가 검출되면 32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며, 시간 내에 후크오프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후 322단계로 진행한다. 322단계에서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후 324단계로 진행한다. 324단계에서 통화로를 연결한 후 32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으므로 음성메시지를 남기라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후 328단계에서 음성메시지를 녹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메시지가 녹음되면 330단계로 진행한다. 330단계에서 발신자 번호가 등록된 그룹에 있는 번호인지 판단하여 등록된 그룹에 저장된 번호이면 334단계로 진행하고, 등록된 그룹에 저장된 번호가 아니면 3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4단계에서는 발신자 번호가 등록된 그룹으로 설정하여 인커밍 메시지를 저장한다. 상기 332단계에서는 발신자 번호가 등록된 그룹이 없으므로 공동그룹으로 설정하여 인커밍 메시지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호착신이 되고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되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으로 인커밍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전화기에 저장된 인커밍 메시지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는 녹음된 인커밍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로 저장된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커밍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한 메뉴조작을 하여 410단계의 인커밍 재생 메뉴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100)는 이후 412단계에서 사용자의 키입력 등에 의해 특정한 재생 목록의 입력을 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414단계에서 선택된 그룹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여 비밀번호가 설정되었으면 416단계로 진행하고, 비밀번호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4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6단계에서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이후 418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키입력 등에 의해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42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빌번호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424단계로 진행하여 그룹별 녹음된 새 메시지를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하고 이후 426단계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422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가 틀렸다는 메시지를 송출하고 418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한다. 상기 426단계에서는 해당 그룹의 녹음된 모든 새 메시지를 재생하는 메뉴를 선택했는지 판단하여 해당 그룹의 녹음된 모든 새 메시지 재생을 선택했으면 432단계로 진행하여 녹음된 모든 새로운 메시지를 재생하고, 해당 그룹의 녹음된 모든 새 메시지 재생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428단계로 진행하여 재생할 메시지를 선택한다. 이후 430단계로 진행하여 428단계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재생하고 426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에서 인커밍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은 인커밍 메시지를 수신된 발신자 번호에 따른 그룹으로 분류하여 녹음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그룹에 녹음된 인커밍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들을 수 있고, 각 그룹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을 통해서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의 그룹과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의 해당 그룹으로 인커밍 메시지(Incoming Message)를 저장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로 저장된 인커밍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Claims (4)

  1.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을 관리하는 통신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부재중 호 착신시 통화로를 연결하고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안내메시지 송출후, 인커밍 녹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중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그룹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그룹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재생하는 경우, 전화번호 그룹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그룹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커밍 녹음 메시지들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 그룹들의 각각에 비밀번호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그룹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같은 경우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그룹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커밍 녹음 메시지들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전화번호 그룹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되는 인커밍 녹음 메시지를 공동그룹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87434A 2002-12-30 2002-12-30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49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434A KR100494815B1 (ko) 2002-12-30 2002-12-30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434A KR100494815B1 (ko) 2002-12-30 2002-12-30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618A KR20040060618A (ko) 2004-07-06
KR100494815B1 true KR100494815B1 (ko) 2005-06-14

Family

ID=3735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434A KR100494815B1 (ko) 2002-12-30 2002-12-30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8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618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9889B2 (ja) 入来発呼者ライン識別の使用
US20060258335A1 (en) Mobile handset capable of transmitting preset voice message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6711248B1 (en) Message callback feature
KR100494815B1 (ko)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237643B1 (ko) 키폰시스템의 호출자 데이타 확인방법
KR100404094B1 (ko) 기지국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JPH10164657A (ja) 無線電話装置
JPH11164041A (ja) 音声メールサーバー装置
JPH10257164A (ja) 留守番電話の録音再生方式及び留守番電話機
KR20030044010A (ko) 부재중 전화 메시지 제공 시스템
JP3685638B2 (ja) 通信装置
KR10021366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발신전화번호 등록 및 다이얼링방법
JP3695147B2 (ja) 通信端末装置
JP3039535B2 (ja) 移動体電話装置
JPH04306038A (ja) 留守番電話機
KR970000673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메시지입력 및 송출제어방법
KR100238526B1 (ko) 음성우편장치에서 호출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세지 송신자표시방법
JP2000059491A (ja) 電話装置
JP2002016692A (ja) 移動通信端末
JPH11275211A (ja) 留守番電話機
JP2000196735A (ja) 移動体電話装置
JP2001036635A (ja) 電話機とその留守番応答方法
JP2000032162A (ja) 携帯電話機
JPH11341144A (ja) メッセージ応答機能付電話機
JP2000032123A (ja) 留守番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