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612B1 -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 Google Patents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612B1
KR100494612B1 KR10-2003-0047143A KR20030047143A KR100494612B1 KR 100494612 B1 KR100494612 B1 KR 100494612B1 KR 20030047143 A KR20030047143 A KR 20030047143A KR 100494612 B1 KR100494612 B1 KR 10049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isposed
pressing
transfer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073A (ko
Inventor
송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강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강판
Priority to KR10-2003-004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6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방화문의 제작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어 작업인력의 감소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벤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상부면 상에 배치되면 앞판의 일측을 가공할 수 있는 상부면 상에 하부금형이 장착되는 제 1 프레싱다이, 하부면 상에 하부금형에 대응하는 상부금형이 장착되면서 상부에 배치된 제 1 프레싱실린더에 의해서 제 1 프레싱다이 측으로 이송되는 프레싱압착다이를 구비하는 프레스를 갖는 프레싱절곡부; 베이스프레임의 타단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프레싱다이와, 상부에 배치된 제 2 프레싱실린더에 의해서 제 2 프레싱다이 측으로 이송되는 이송다이와, 이송다이에 장착되어 엠보가 형성된 앞판의 타측으로 절곡하는 제 1 절곡구와, 제 1 절곡구에 의해서 절곡된 타측을 압착하여 절곡부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는 제 2 절곡구를 갖는 회전절곡부; 및 제 2 절곡구에 안치되는 배출프레임과, 배출프레임에 배치되어 프레싱절곡부 및 회전절곡부에 의해서 일측 및 타측이 가공된 앞판을 배출하는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제 2 배출컨베이어와,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제 2 배출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실린더 및 제 2 이송실린더를 갖는 배출부를 이루어지다.

Description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Curved vending device of fire-door having embo and method for curved ven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화문의 앞판의 일측 및 타측을 동시 절곡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제작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어 작업인력의 감소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아연도금 강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앞판과 뒷판을 만들고 서로 마주보는 앞판의 뒷면과 뒤판의 전면에 서로 대응하는 보강재를 각각 용접시킨 후 보강재의 체결을 통하여 앞판과 뒷판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전술한 방화문의 중 앞판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프레임에 밀착되어 앞판의 일측을 절곡한 다음 다시 이것을 수작업을 통하여 이동시켜 상부 및 하부에 힌지가 장착되는 앞판의 타측을 절곡하거나, 앞판의 일측으로 일괄적으로 절곡한 다음 이것을 마찬가지로 수작업을 통하여 쌓아놓은 다음 다시 앞판의 타측으로 일괄처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방화문들은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앞판에 다양한 장식판을 부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식판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앞판에 장식판이 부착될 수 있는 앞판을 엠보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술한 절곡방법으로는 엠보가 형성된 앞판을 절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절곡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엠보가 형성된 부분을 절곡하기 위해서는 엠보형성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앞판의 일측 및 앞판의 타측을 별도로 절곡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여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의 제작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어 작업인력의 감소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상부면 상에 배치되면 앞판의 일측을 가공할 수 있는 상부면 상에 하부금형이 장착되는 제 1 프레싱다이, 하부면 상에 하부금형에 대응하는 상부금형이 장착되면서 상부에 배치된 제 1 프레싱실린더에 의해서 제 1 프레싱다이 측으로 이송되는 프레싱압착다이를 구비하는 프레스를 갖는 프레싱절곡부;
베이스프레임의 타단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프레싱다이와, 상부에 배치된 제 2 프레싱실린더에 의해서 제 2 프레싱다이 측으로 이송되는 이송다이와, 이송다이에 장착되어 엠보가 형성된 앞판의 타측으로 절곡하는 제 1 절곡구와, 제 1 절곡구에 의해서 절곡된 타측을 압착하여 절곡부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는 제 2 절곡구를 갖는 회전절곡부; 및
제 2 절곡구에 안치되는 배출프레임과, 배출프레임에 배치되어 프레싱절곡부 및 회전절곡부에 의해서 일측 및 타측이 가공된 앞판을 배출하는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제 2 배출컨베이어와,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제 2 배출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실린더 및 제 2 이송실린더를 갖는 배출부를 이루어지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의 제작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어 작업인력의 감소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절곡부 및 배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절곡구 및 제 2 절곡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100)는 방화문 앞판의 일측 즉, 도어플레임(도시되지 않음)에 밀착되는 부분을 프레싱 절곡하는 프레싱절곡부(110)와, 방화문 앞판의 타측 즉, 장식판이 부착될 수 있도록 엠보가 형성된 부분을 절곡벤딩하는 회전절곡부(140) 및 가공이 완료된 앞판을 배출하는 배출부(184)를 구비한다.
먼저, 프레싱절곡부(110)는 베이스프레임(112) 및 프레스(116)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2)의 지면에 고정 배치되면서 상부면 일단 양측에는 제 1 가이드레일(114a) 및 제 2 가이드레일(114b)이 장착된다, 프레스(116)는 베이스프레임(112)의 일단 상부면 상에서 제 1 가이드레일(114a) 및 제 2 가이드레일(114b)에 간섭되지 않게 고정 배치되는 제 1 프레싱다이(118), 제 1 프레싱다이(118)의 상부에 배치되는 프레싱압착다이(120)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프레싱다이(118)의 상부면 상에는 앞판의 일측 하부를 가공할 수 있는 하부금형(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상부면 양측에는 수직하게 제 1 가이드서포터(122a) 및 제 2 가이드서포터(122b)가 배치된다. 프레싱압착다이(120)는 하부에 마찬가지로 앞판의 일측 상부를 가공할 수 있는 상부금형(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면서 양측은 제 1 가이드서포터(122a) 및 제 2 가이드서포터(12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프레싱압착다이(120)를 이송시키는 제 1 프레싱실린더(124)가 배치된다. 한편, 제 1 프레싱다이(118)의 타단 및 일단에는 엠보가 형성된 앞판이 안내될 수 있도록 통상의 제 1 컨베이어(126) 및 제 2 컨베이어(128)가 베이스프레임(112)에 고정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프레싱다이(118)의 일단 양측에는 안내되는 앞판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해서 위치조절실린더(130) 및 위치조절판(132)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레싱절곡부(110)의 일단에는 회전절곡부(140)가 배치된다.
회전절곡부(140)는 제 2 프레싱다이(142), 이송다이(146), 제 1 절곡구(152) 및 제 2 절곡구(166)를 구비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제 2 프레싱다이(142)는 제 1 가이드레일(114a) 및 제 2 가이드레일(114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부면 양측에는 수직하게 제 3 가이드서포터(144a) 및 제 4 가이드서포터(144b)가 배치된다. 이송다이(146)는 양측이 제 3 가이드서포터(144a) 및 제 4 가이드서포터(144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이송다이(146)를 이송시키는 제 2 프레싱실린더(148)가 배치된다. 이때, 제 2 프레싱다이(142)의 타단면 상에는 절곡이 완료된 앞판을 들어올리는 에어실린더(150)가 배치된다.
한편, 제 1 절곡구(152)는 이송다이(146)의 하부에서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절곡바아(154) 및 제 1 절곡바아(154)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절곡실린더(166)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절곡바아(154)의 하부면 상에는 앞판에 형성된 엠보에 대응하는 형상 및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는 제 1 압착편(156)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제 1 절곡바아(154)의 상부에는 제 1 링크블록(158)이 장착된다. 제 1 절곡실린더(160)는 이송다이(146)의 상부면 상에서 배치된다. 제 1 절곡실린더(160)의 제 1 절곡실린더로드(162)는 이송다이(146)를 관통하여 이송다이(146)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 1 절곡실린더로드(162)의 끝단에는 제 1 링크블록(158)에 대응하는 제 2 링크블록(164)이 장착된다. 이때, 제 1 링크블록(158) 및 제 2 링크블록(164)은 제 1 힌지(h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절곡구(166)는 제 2 프레싱다이(142)의 일단에 배치되면서 제 1 가이드레일(114a) 및 제 2 가이드레일(114b)에 술라이딩 가능하게 안치되고 상부면 양측에는 안치대(168)가 형성된 이송플레이트(170), 제 2 프레싱다이(142)의 일단면 상에서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절곡바아(172) 및 제 2 절곡바아(172)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제 2 절곡실린더(178)를 구비한다. 이때, 제 2 절곡바아(172)의 상부에는 제 1 압착편(156)에 대응하는 제 2 압착편(174)이 선택적으로 배치되고, 제 2 절곡바아(172)의 일단면 상에는 제 3 링크블록(176)이 배치된다. 한편, 제 2 절곡실린더(178)는 안치대(168)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 2 절곡실린더(178)의 제 2 절곡실린더로드(180)는 제 2 절곡바아(172) 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에는 제 3 링크블록(176)에 대응하는 제 4 링크블록(182)이 장착된다. 이때, 제 3 링크블록(176) 및 제 4 링크블록(182)은 제 2 힌지(h2)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 1 절곡구(152)의 제 1 압착편(156)은 작동하는 제 1 절곡실린더(160)에 의해서 각각의 엠보면 상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 1 절곡바아(154)의 하부는 엠보를 제외한 앞판의 상부면 상에 밀착되면서 앞판의 타측을 하측으로 절곡한다. 또한 제 2 절곡구(166)의 제 2 압착편(174)은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제 2 절곡실린더(178)에 의해서 하측으로 절곡된 각각의 엠보면 상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 2 절곡바아(172)의 하부는 엠보를 제외한 앞판의 상부면 상에 밀착되어 절곡부위를 다시 한번 압착하여 절곡부위가 직각을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전절곡부(140)에는 배출부(184)가 배치된다.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부(184)는 배출프레임(186),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제 2 배출컨베이어(192b) 및 제 1 이송실린더(197a) 및 제 2 이송실린더(197b)를 구비한다. 배출프레임(186)은 이송플레이트(170)에 형성된 각각의 안치대(168) 상부를 연결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빔(188a) 및 제 2 빔(188b)을 구비하고, 제 1 빔(188a) 및 제 2 빔(188b)의 상부면 일측에는 제 1 빔(188a) 및 제 2 빔(188b)의 중앙부분으로 연장되는 제 1 이송가이드(190a)가 각각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제 1 빔(188a) 및 제 2 빔(188b)의 상부면 타측에는 제 1 빔(188a) 및 제 2 빔(188b)의 중앙부분으로 연장되는 제 2 이송가이드(190b)가 장착된다.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는 제 1 이송가이드(190a) 및 제 2 이송가이드(190b)의 상부면 상에서 배치됨과 아울러 일단은 제 3 가이드서포터(144a) 및 제 4 가이드서포터(144b)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이송플레이트(170)를 지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의 타단 일측에는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모터(193a) 및 제 2 구동모터(193b)가 배치되고,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의 외측면 상에는 하부가 제 1 이송가이드(190a) 및 제 2 이송가이드(190b)를 따라서 이송되는 제 1 브라켓(194a) 및 제 2 브라켓(194b)이 배치된다. 이때, 제 1 브라켓(194a) 및 제 2 브라켓(194b)에는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를 제 2 프레싱다이(142)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 1 보조실린더(196a) 및 제 2 보조실린더(196b)가 배치된다. 한편, 제 1 이송실린더(197a) 및 제 2 이송실린더(197b)는 제 1 빔(188a) 및 제 2 빔(188b)의 중앙부분에서 양단이 고정 배치된다. 이때, 제 1 이송실린더(197a) 및 제 2 이송실린더(197b)의 제 1 이송실린더로드(198a) 및 제 2 이송실린더로드(198b)는 제 1 브라켓(194a) 및 제 2 브라켓(194b)의 하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빔(188a)의 상부면 상에는 안내되는 앞판의 타측면을 제어하는 스토퍼(199)가 배치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벤딩장치(100)를 이용한 엠보형성 방화문의 절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화문의 앞판을 절곡하기 위해서는, 우선 앞판을 준비한 상태에서 앞판에 장식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엠보를 형성한다(단계 S1). 이때 엠보는 500톤의 압력을 가지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앞판에 엠보가 형성되면, 앞판을 정 위치에 안착시킨다(단계 S2). 이때, 앞판은 프레싱절곡부(110)의 제 1 컨베이어(126), 제 1 프레싱다이(118), 제 2 컨베이어(128)를 지나 회전절곡부(140)의 제 2 프레싱다이(142)까지 안내되고, 배출부(184)의 배출프레임(186)에 장착된 스토퍼(199) 및 프레싱절곡부(110)에 형성된 위치조절실린더(130) 및 위치조절판(132)에 위해서 정 위치에 안착되어 앞판의 타측은 제 2 프레싱다이(142)에 배치되고 앞판의 일측은 제 1 프레싱다이(118)의 하부금형과 프레싱압착대(120)의 상부금형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앞판이 정 위치에 안착되면(S2), 앞판의 일측 즉, 도어프레임에 밀착되는 날개부분을 프레싱절곡한다(단계 S3). 이때, 앞판의 일측은 제 1 프레싱실린더(124)에 의해서 제 1 프레싱다이(118) 측으로 하강하는 프레싱압착대(120)에 의해서 프레싱절곡된다. 프레싱압착대(120)는 앞판을 절곡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프레싱절곡(S3)이 완료되면, 앞판의 엠보가 형성된 타측을 회전절곡한 후(단계 S4) 다시 절곡된 부분을 회전프레싱한다(단계 S5). 이때, 앞판의 타측을 회전절곡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2 프레싱실린더(148)에 의해서 이송다이(146)가 하강하고 그 결과 제 1 절곡구(152)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절곡구(152)가 하강되면, 제 1 절곡구(152)의 제 1 절곡바아(154) 하부에 장착된 제 1 압착편(156)은 각각의 엠보에 밀착되고 제 1 절곡바아(154)의 하부는 엠보를 제외한 앞판의 타측면 상부에 밀착된다. 이렇게 제 1 압착편(156) 및 제 1 절곡바아(154)가 절곡부위에 밀착되면 제 1 절곡바아(154)는 작동하여 제 1 절곡바아(154)를 하측으로 선회시켜 앞판의 타측을 절곡시키 후 제 2 프레싱실린더(148)는 이송다이(146)를 상측으로 이성시켜 제 1 절곡구(152)를 상승시킨다. 또한 제 1 절곡구(152)에 의해서 절곡된 절곡부위를 다시 회전프레싱하는 제 2 절곡구(166)는 제 2 절곡실린더(178)에 의해서 제 2 압착편(174)은 절곡된 엠보에 압착되고 제 2 절곡바아(172)의 하부는 엠보를 제외한 앞판의 절곡된 면을 압착하면서 절곡부분이 직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앞판의 일측 및 타측의 가공이 완료되면, 가공된 앞판을 배출한다(단계 S6). 이때, 제 1 프레싱실린더(124)는 프레싱압착대(120)를 상승시키고 제 2 프레싱다이(142)에 배치된 에어실린더(150)는 상승하여 가공된 앞판을 들어올린다. 이때, 제 1 이송실린더(198a) 및 제 2 이송실린더(198b)는 작동하여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를 가공된 앞판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에어실린더(150)는 하강하여 가공된 앞판을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에 안치시키고, 안치된 앞판은 제 1 배출컨베이어(192a) 및 제 2 배출컨베이어(192b)를 따라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100)는 엠보가 형성된 앞판의 일측 및 앞판의 타측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인력을 절감하여 방화문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키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절곡부 및 배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절곡구 및 제 2 절곡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엠보형성 방화문 벤딩장치 110 : 프레실절곡부
112 : 베이스프레임 116 : 프레스
118 : 제 1 프레싱다이 120 : 프레싱압착대
126 : 제 1 컨베이어 128 : 제 2 컨베이어
140 : 회전절곡부 142 : 제 2 프레싱다이
146 : 이송대 152 : 제 1 절곡구
154 : 제 1 절곡바아 156 : 제 1 압착편
160 : 제 1 절곡실린더 166 : 제 2 절곡구
170 : 이송플레이트 172 : 제 2 절곡바아
174 : 제 2 압착편 184 : 배출부
186 : 배출프레임 192a : 제 1 배출컨베이어
192b : 제 2 배출컨베이어

Claims (11)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상부면 상에 배치되면 앞판의 일측을 가공할 수 있는 상부면 상에 하부금형이 장착되는 제 1 프레싱다이, 하부면 상에 상기 하부금형에 대응하는 상부금형이 장착되면서 상부에 배치된 제 1 프레싱실린더에 의해서 상기 제 1 프레싱다이 측으로 이송되는 프레싱압착다이를 구비하는 프레스를 갖는 프레싱절곡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프레싱다이와, 상부에 배치된 제 2 프레싱실린더에 의해서 상기 제 2 프레싱다이 측으로 이송되는 이송다이와, 상기 이송다이에 장착되어 엠보가 형성된 상기 앞판의 타측을 절곡하는 제 1 절곡구와, 상기 제 1 절곡구에 의해서 절곡된 타측을 압착하여 절곡부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는 제 2 절곡구를 갖는 회전절곡부; 및
    상기 제 2 절곡구에 안치되는 배출프레임과, 상기 배출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상기 프레싱절곡부 및 상기 회전절곡부에 의해서 일측 및 타측이 가공된 앞판을 배출하는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제 2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배출컨베이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실린더 및 제 2 이송실린더를 갖는 배출부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싱다이의 상부면 양측에는 수직하게 제 1 가이드서포터 및 제 2 가이드서포터가 배치되어 상기 프레싱압착다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프레싱다이의 타단 및 일단에는 통상이 제 1 컨베이어 및 제 2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프레싱다이의 일단 양측에는 안내되는 상기 앞판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해서 위치조절실린더 및 위치조절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싱다이의 상부면 양측에는 수직하게 제 3 가이드서포터 및 제 4 가이드서포터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다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프레싱다이의 타단면 상에는 절곡이 완료된 상기 앞판을 들어올리는 에어실린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구는 상기 이송다이의 하부에서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면 상에는 상기 엠보에 밀착되는 제 1 압착편이 배치되고 상부에는 제 1 링크블록이 배치되는 제 1 절곡바아와, 상기 이송다이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면서 제 1 절곡실린더로드는 상기 이송다이를 관통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에는 상기 제 1 링크블록과 제 1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링크블록에 대응하는 제 2 링크블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곡구는 상기 제 2 프레싱다이의 일단에 배치되면서 양측에는 안치대가 형성된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프레싱다이의 일단면 상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엠보에 밀착되는 제 2 압착편이 배치되고 일단에는 제 3 링크블록이 장착되는 제 2 절곡바아와, 상기 안치대의 내측으로 배치되면서 제 2 절곡실린더로드는 상기 제 2 절곡바아 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에는 상기 제 3 링크블록과 제 2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 링크블록에 대응하는 제 4 링크블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 상부면 양측에는 제 1 가이드레일 및 제 2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싱다이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프레임은 상기 안치대의 상부 연결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빔 및 제 2 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빔 및 상기 제 2 빔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제 1 빔 및 상기 제 2 빔의 중앙부분으로 연장되는 제 1 이송가이드가 각각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빔 및 상기 제 2 빔의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제 1 빔 및 상기 제 2 빔의 중앙부분으로 연장되는 제 2 이송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의 상부면 상에는 안내되는 앞판의 타측면을 제어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제 1 이송가이드 및 상기 제 2 이송가이드의 상부면 상에서 배치됨과 아울러 일단은 상기 제 3 가이드서포터 및 상기 제 4 가이드서포터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지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배출컨베이어의 타단 일측에는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배출컨베이어의 외측면 상에는 하부가 상기 제 1 이송가이드 및 상기 제 2 이송가이드를 따라서 이송되는 제 1 브라켓 및 제 2 브라켓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2 브라켓에는 상기 제 1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배출컨베이어를 상기 제 2 프레싱다이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 1 보조실린더 및 제 2 보조실린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실린더 및 상기 제 2 이송실린더는 상기 제 1 빔 및 상기 제 2 빔의 중앙부분에서 양단이 고정되면서 제 1 이송실린더로드 및 제 2 이송실린더로드는 상기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2 브라켓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11. 앞판을 준비한 상태에서 앞판에 장식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엠보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앞판을 정 위치에 안착하는 단계(S2); 상기 앞판의 일측을 프레싱 절곡하는 단계(S3); 상기 앞판의 상기 엠보가 형성된 타측을 회전절곡하는 단계(S4); 상기 회전절곡된 상기 타측으로 회전플레싱하는 단계(S5) 및 가공이 완료된 상기 앞판을 배출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방법.
KR10-2003-0047143A 2003-07-11 2003-07-11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KR10049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143A KR100494612B1 (ko) 2003-07-11 2003-07-11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143A KR100494612B1 (ko) 2003-07-11 2003-07-11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73A KR20050007073A (ko) 2005-01-17
KR100494612B1 true KR100494612B1 (ko) 2005-06-13

Family

ID=3722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143A KR100494612B1 (ko) 2003-07-11 2003-07-11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69B1 (ko) 2007-12-07 2008-05-26 임병화 건물 환기용 덕트 제작 장치
KR101373326B1 (ko) 2012-06-29 2014-03-10 주식회사 한새 헤파필터의 종이프레임 절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0266B (zh) * 2022-05-05 2023-11-24 普瓦尼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防盗门成型线柔性侧折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69B1 (ko) 2007-12-07 2008-05-26 임병화 건물 환기용 덕트 제작 장치
KR101373326B1 (ko) 2012-06-29 2014-03-10 주식회사 한새 헤파필터의 종이프레임 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073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356B1 (ko) 찬넬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EP0857525A1 (en) Thin sheet forming dies
CN112846800A (zh) 一种可自动卸料的双边内弯钣金件冲压成型装置
KR100494612B1 (ko) 엠보형성 방화문 절곡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곡방법
CN105964765A (zh) 开关柜底盘车主体薄板冲压工艺及其自动冲压设备
JP4530440B2 (ja) ヘミング成形金型
KR20050109611A (ko)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KR20040054993A (ko) 벤딩 장치
KR100407587B1 (ko) 건축용 금속판넬의 코너 가공방법
CN213764847U (zh) 一种改进型金属簸箕生产线
CN111014477A (zh) 集成式水平折弯压合机构
KR20050051388A (ko) 헤밍 프레스 장치
CN112404191A (zh) 一种板材弯边卷圆设备
CN114309281B (zh) 一种带pin脚绝缘片生产模具及基于其的生产工艺
US6460392B2 (en) Flange bending apparatus
KR200389986Y1 (ko) 프레스 금형
CN217665628U (zh) 一种用于钣金件的加强筋成型工装
EP1074319A3 (en) Apparatus for pressing a metal plate into a desired shape
JPH024383B2 (ko)
CN220805033U (zh) 一种电梯门板折弯机
CN215845371U (zh) 一种短边折弯机
CN110405076B (zh) 拼装式储料罐弧形拼板的成型模具及其成型方法
KR200243823Y1 (ko) 건축용 금속판넬
JP2686727B2 (ja) 引き戸製造用治具装置
KR100536571B1 (ko) 건축용 판재의 자동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