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25B1 -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25B1
KR100494425B1 KR10-2003-0028267A KR20030028267A KR100494425B1 KR 100494425 B1 KR100494425 B1 KR 100494425B1 KR 20030028267 A KR20030028267 A KR 20030028267A KR 100494425 B1 KR100494425 B1 KR 10049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ckup truck
box
predetermined length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479A (ko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2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픽업트럭(1)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사이드판(3)과, 이 사이드판(3)의 개방된 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판(4)으로 구성된 픽업 트럭의 적재함(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사이드판(3)의 내측면 양쪽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동하여 적재함(2)의 후방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개방된 후면판(4)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부재(1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재(1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하여 개방된 후면판(4)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재(20)와, 상기 측면부재(10)에 구비되어 이 측면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상기 후면부재(20)에 구비되어 이 후면부재(20)를 고정, 해제하도록 하는 잠금수단(4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함(2)의 후면판(4)을 회동하여 연상태에서 상기 측면부재(10)를 회동시켜 고정수단(30)으로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 측면부재(10)에 결합된 후면부재(20)를 회동시켜 잠금수단(40)으로 고정하면 적재함(2)이 측면부재(10)가 돌출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적재공간이 넓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재(20)와 측면부재(1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적재함(2)의 사이드판(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위치되므로 적재함(2)의 상부를 가리지 않아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적재공간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재함(2)의 적재공간의 활용성이 높아져 픽업트럭의 상품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Carrier for loading case of pickup truck}
본 발명은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적재공간을 넓혀주는 캐리어를 적재함의 내부 양측에 장착하여 미사용시 적재함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트럭은 후방에 크기가 작은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트럭으로, 승용차와 트럭의 장점을 조합한 차량으로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SUT(Sports utillity truck)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한 픽업트럭의 적재함은 통상의 트럭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적재함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특성상 적재함의 크기가 적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픽업 트럭(1)의 적재함(2)에는 적재공간을 넓혀주는 캐리어(1a)를 장착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1a)는 양단이 소정의 길이로 절곡된 형태로 후면판(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적재함(1)의 후면판(4)을 회동시켜 개방시킬 경우 이 후면판(4)의 후면과 양측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후면판(4)을 회동시켜 개방하면, 상기 캐리어(1a)가 같이 회동하면서 개방된 후면판(4)의 후면과 양측을 커버하여 적재함(1)이 후면판(4)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적재공간을 넓혀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캐리어는 후면판이 개방될 경우 이 후면판의 후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를 가져야 하므로, 후면판이 닫힐 경우 캐리어가 적재함의 상부를 일정부분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기 후면판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할 경우 상기 캐리어가 적재함의 상부를 일정부분 가려 불편함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적재함의 높이보다 높은 화물을 적재할 경우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재공간을 모두 활용할 수 없는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를 적재함의 사이드판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적재함의 적재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업트럭(1)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사이드판(3)과, 이 사이드판(3)의 개방된 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판(4)으로 구성된 픽업 트럭의 적재함(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사이드판(3)의 내측면 양쪽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동하여 적재함(2)의 후방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개방된 후면판(4)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부재(1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재(1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하여 개방된 후면판(4)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재(20)와;
상기 측면부재(10)에 구비되어 이 측면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상기 후면부재(20)에 구비되어 이 후면부재(20)를 고정, 해제하도록 하는 잠금수단(40)으로 구성되므로서 달성된다.
즉, 상기 적재함(2)의 후면판(4)을 회동하여 연상태에서 상기 측면부재(10)를 회동시켜 고정수단(30)으로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 측면부재(10)에 결합된 후면부재(20)를 회동시켜 잠금수단(40)으로 고정하면 적재함(2)이 측면부재(10)가 돌출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적재공간이 넓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재(20)와 측면부재(1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적재함(2)의 사이드판(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위치되므로 적재함(2)의 상부를 가리지 않아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적재공간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픽업트럭의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적재함의 사이드판 내측면에 후면부재와 측면부재가 밀착되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a ∼ 도 3 b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 a는 측면부재가 회동하여 개방된 후면판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 b 는 돌출된 측면부재에 결합된 후면부재가 회동하여 개방된 후면판의 후면을 커버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잠금수단을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측면부재(10)는 일단이 적재함(2)의 양측 사이드판(3) 내측면 후방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적재함(2)의 후면판(4)을 회동시켜, 적재함(2)의 후방을 개방시킨 후 상기 측면부재(10)를 회동시키면, 이 측면부재(10)가 개방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10)는 돌출되는 길이를 후면판(4)이 개방되어 연장된 길이에 일치하도록 하여, 화물을 적재할 경우 적재함(2)의 후면판(4)이 개방되어 연장된 길이만큼 적재함(2)의 적재공간을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a ∼ 도 3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0)의 타측단에는 소정길이를 가지고, 이 측면부재(1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개방된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재(20)는 제 1, 2 후면부재(21)(22)로 분리되어 각각 상기 측면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된 제 1, 2 후면부재(21)(22)를 각각 회동시켜 개방된 후방을 커버하도록 한다.
즉, 측면부재(10)에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후면부재(20)를 결합할 경우 결합된 길이가 사이드판(3)의 길이보다 길어 이 사이드판(3)의 내측에 장착하여 밀착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아 같이 후면부재(20)를 제 1, 2 후면부재(21)(22)로 분리하여 각각의 측면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부재(10)를 회동시켜 개방된 후방으로 돌출시킨 후 후면부재(20)를 회동하면, 후면판(4)이 회동되어 개방된 이 후면판(4)의 측면은 상기 측면부재(10)가 커버하고, 개방된 후방은 상기 후면부재(20)가 커버하여 적재함(2)의 공간을 돌출된 측면부재(10)의 길이만큼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부재(10)에는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이 구비되어 이 측면부재(10)가 회동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고정수단(3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걸림편(31)이 돌출되어 있으며, 적재함(2)의 사이드판(3)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32)와;
상기 측면부재(10)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판(3)을 향한 일면이 소정의 크기로 개방부(3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는 차단판(34)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35)를 가지는 고정브라켓트(36)와;
몸체는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에 후크(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구획된 공간부(35)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후크(37)는 개방부(33)를 통해서 돌출되어 걸림편(31)에 걸리고, 절곡된 타단은 고정브라켓트(36)의 전, 후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후크부재(38)와;
상기 고정브라켓트(36)의 구획된 공간부(35)내에 이 공간부(35)의 내측면과 후크부재(38)사이로 장착되어 후크부재(3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39)로 구성된다.
즉, 상기 측면부재(10)가 회동하여 후크부재(38)가 상기 걸림부(32)에 결합할 경우에는 후크(37)가 슬라이딩하면서 스프링부재(39)에 의해 상기 걸림부(32)의 걸림편(31)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그 위치가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36)의 전, 후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후크부재(38)의 타단을 가압하면, 이 후크부재(38)가 회동하면서 후크(37)가 걸림편(31)에서 이탈되어 측면부재(10)가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수단(30)은 측면부재(10)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적재함(2)의 사이드판(3)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동하여 적재함(2)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2개소에 동일한 구성으로 장착한다.
한편, 상기 후면부재(20)에는 잠금수단(40)이 구비되어, 이 후면부재(20)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여 개방된 후방부를 커버할 경우에는 견고히 고정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4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부재(20)에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안내홀(41a)이 형성되고, 이 안내홀(41a)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계된 걸림홀(41b)이 형성된 걸림홀부(41)와;
상부가 절곡되어 절곡부(42b)를 이뤄 상기 걸림홀부(41)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후면부재(20) 내부에 삽입되고, 삽입된 몸체 하단는 후면부재(20)의 하부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핀부재(42)와;
상기 후면부재(2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핀부재(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핀부재지지스프링(43)과;
상기 적재함(2)에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재(20) 하부로 돌출되는 핀부재(42)의 하단이 결합되는 삽입홀(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44)은 적재함(2)의 바닥면과 후면판(4)의 내측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후면부재(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핀부재(42)를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홀(44)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후면부재(20)를 회동하여 개방된 후면을 커버할 경우에는 후면판(4)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44)에 삽입하여 그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후면부재(20)를 회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핀부재(42)를 승강시킨 후 회전하여 절곡부(42b)를 걸림홀(41b)에 위치하면, 이 절곡부(42b)가 걸림홀(41b)에 걸려 후면부재(20)의 하부로 돌출된 하단이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후면부재(20)의 회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재(20)를 회동시켜 사이드판(3)의 내측이나, 개방된 후면판(4)의 내측면 상부에 고정할 경우에는 삽입홀(44)에 상기 핀부재(42)의 하부를 일치시킨 후 상기 핀부재(42)를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안내홀(41a)에 위치하면 핀부재지지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핀부재(42)의 하단이 후면부재(20)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삽입홀(44)에 삽입되어 후면부재(2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적재함의 사이드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측면부재와 후면부재에 의해 후면판이 회동되어 개방된 측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하여 측면부재가 적재함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만큼 적재공간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적재공간을 넓히는 측면부재와 후면부재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이드판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적재함에 화물을 방해받지 않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공간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재함의 적재공간의 활용성이 높아져 픽업트럭의 상품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픽업트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픽업트럭의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a ∼ 도 3 b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잠금수단을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픽업트럭 2 - 적재함
3 - 사이드판 4 - 후면판
10 - 측면부재 20 - 후면부재
21 - 제 1 후면부재 22 - 제 2 후면부재
30 - 고정수단 31 - 걸림편
32 - 걸림부 33 - 개방부
34 - 차단판 35 - 공간부
36 - 고정브라켓트 37 - 후크
38 - 후크부재 39 - 스프링부재
40 - 잠금수단 41 - 걸림홀부
42 - 핀부재 43 - 핀부재지지스프링
44 - 삽입홀

Claims (3)

  1. 픽업트럭(1)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사이드판(3)과, 이 사이드판(3)의 개방된 후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후면을 개폐하는 후면판(4)으로 구성된 픽업 트럭의 적재함(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사이드판(3)의 내측면 양쪽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동하여 적재함(2)의 후방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개방된 후면판(4)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부재(1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측면부재(1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하여 개방된 후면판(4)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재(20)와;
    상기 측면부재(10)에 구비되어 이 측면부재(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상기 후면부재(20)에 구비되어 이 후면부재(20)를 고정, 해제하도록 하는 잠금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양측에 걸림편(31)이 돌출되어 있으며, 적재함(2)의 사이드판(3)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32)와;
    상기 측면부재(10)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판(3)을 향한 일면이 소정의 크기로 개방부(3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는 차단판(34)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35)를 가지는 고정브라켓트(36)와;
    몸체는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에 후크(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구획된 공간부(35)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후크(37)는 개방부(33)를 통해서 돌출되어 걸림편(31)에 걸리고, 절곡된 타단은 고정브라켓트(36)의 전, 후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후크부재(38)와;
    상기 고정브라켓트(36)의 구획된 공간부(35)내에 이 공간부(35)의 내측면과 후크부재(38)사이로 장착되어 후크부재(3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3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후면부재(20)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안내홀(41a)이 형성되고, 이 안내홀(41a)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계된 걸림홀(41b)이 형성된 걸림홀부(41)와;
    상부가 절곡되어 절곡부(42b)를 이뤄 상기 걸림홀부(41)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후면부재(20) 내부에 삽입되고, 삽입된 몸체 하단는 후면부재(20)의 하부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핀부재(42)와;
    상기 후면부재(2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핀부재(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핀부재지지스프링(43)과;
    상기 적재함(2)에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재(20) 하부로 돌출되는 핀부재(42)의 하단이 결합되는 삽입홀(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KR10-2003-0028267A 2003-05-02 2003-05-02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KR10049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267A KR100494425B1 (ko) 2003-05-02 2003-05-02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267A KR100494425B1 (ko) 2003-05-02 2003-05-02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479A KR20040094479A (ko) 2004-11-10
KR100494425B1 true KR100494425B1 (ko) 2005-06-10

Family

ID=3737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267A KR100494425B1 (ko) 2003-05-02 2003-05-02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567A (ja) * 2016-09-29 2018-04-12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トラックの荷台扉開閉機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962B1 (ko) * 2015-09-17 2021-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픽업 차량의 적재함 확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567A (ja) * 2016-09-29 2018-04-12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トラックの荷台扉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479A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6113B2 (en) Home bar for refrigerator
US5918710A (en) Do-it-yourself set for fastening a pull rod and casters with a luggage and the like
KR100249364B1 (ko) 냉장고의 힌지 구조
JPH0756916B2 (ja) 携帯用電子機器
US20050167300A1 (en) Storage box
JP3012642B1 (ja) バッテリ保持構造と該バッテリ保持構造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KR100808521B1 (ko) 댐퍼부착형 도어힌지
KR100494425B1 (ko) 픽업 트럭의 적재함용 캐리어
TWI429366B (zh) 面板
JP4341788B2 (ja) テーブル等における配線処理装置
KR100656394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US4749098A (en) File card container
JP2006088888A (ja) 車室用フック装置
JP2003002120A (ja) 車両のリヤゲート構造
CN215826607U (zh) 中控储物盒及中控面板
KR0133946Y1 (ko) 박스의 덮개 잠금장치
CN218846632U (zh) 抽屉组件及冰箱
CN217560191U (zh) 一种箱体结构
JP2001343693A (ja) 蓋体を具えた機器
JP2002187474A (ja) カップホルダー
KR0136408B1 (ko) 냉장고의 포켓구조
JP4452945B2 (ja) メガネホルダ
JP3551354B2 (ja) カセットドア構造
JPH0755162Y2 (ja) グラブボックス
JP3052878U (ja) ファイル用綴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