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812B1 -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812B1
KR100492812B1 KR10-1998-0044228A KR19980044228A KR100492812B1 KR 100492812 B1 KR100492812 B1 KR 100492812B1 KR 19980044228 A KR19980044228 A KR 19980044228A KR 100492812 B1 KR100492812 B1 KR 10049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iner
cover
cosmetic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793A (ko
Inventor
유키토모 유하라
키요카즈 미요카와
미치아키 쿠마가이
타카시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6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리필 케이스의 장착과 탈착이 빠르며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짐과 아울러 리필 케이스 커버와 외부 케이스 커버의 장착이 상기 내부 케이스내에 담겨진 화장 물질로 편리하게 접근하는 데에 있어 아무런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용기 공간을 둘러싼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공간을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외부 커버부, 상기 외부 커버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커버부를 상기 외부 케이스에 연결하거나 상기 외부 커버부를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연결해제시켜주는 주 래치 메카니즘, 상기 용기 공간에 장착되거나 상기 용기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는 착탈가능한 용기, 및 상기 외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주 래치 메카니즘과 부 래치 메카니즘에 의해 유지되는 결합들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는 단동 해제 메카니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화장품 케이스
본 발명은, 부(副) 케이스가 주(主) 케이스에 용이하게 설치되거나 상기 부 케이스가 상기 주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들 각각에는 내부에 들어있는 화장품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이나 내부에 들어있는 화장물을 바람직하며 또한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는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타입의 화장품 케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케이스들은 일반적으로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화장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편리하며 휴대가 가능한 용기로서 사용된다. 상기 화장품 케이스들은, 화장물질이 담겨지는 용기체, 및 내부에 들어있는 화장 물질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 내부 케이스 영역을 밀봉하는 수단으로서 뿐만아니라 화장 물질에 접근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에 장착되는 개방가능한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래치기구가 상기 커버를 닫혀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되며, 상기 래치기구는 필요시에 상기 커버를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최근에는, 결쾌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적정하게 장식된 외부 케이스가 화장 물질을 담기 위해 채용된 분할형의 리필 케이스(refill case)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장품 케이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는 종종 값비싼 물질들로 제조되고, 아름다우며 우아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경쾌한 형태로 장식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에 들어있는 상기 리필 케이스는, 내부에 화장 물질을 담아두고 이를 유지하며 또한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련하여 기능적으로 설계되며,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동시에 상기 내부 케이스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와 리필 케이스는 종종 별도로 판매되며, 이에 의해 개인의 선호에 따라 지정된 다양한 타입의 화장물을 운반함과 아울러 소모된 화장품을 편리하게 교체함에 있어서 새로운 외부 화장품 케이스를 살 필요가 없이 상기 리필 케이스의 형태로서 구매자가 동일한 화장품 케이스를 사용하도록 해준다.
특히 비교적 값비싼 외부 케이스와 함께 사용될 때, 상기 리필 케이스는 힌지된 커버가 상기 리필 케이스에 장착되는 점에서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힌지핀 커버의 리필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많은 경우에 서투르며 불편한 복수의 연속 작동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케이스 커버와 리필 케이스 커버를 개방하는 것이 요구된다.
더욱이, 분할된 리필 케이스들을 장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리필 케이스들을 설치하며 제거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며 더욱 편리하게 해주는 구조를 통해서 상당히 개량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타입의 화장품 케이스를 위한 바람직한 구조에는, 분리된 연속동작에 의해 외부 케이스와 리필 케이스 커버를 개방할 필요를 없애주는 메카니즘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화장품 케이스의 디자인을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최근에 개발된 많은 화장 물질들이 증발하기 쉬운 물이나 오일 성분을 용제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타입의 화장품들이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제에 기초한 화장품들은 비교적 신속하게 증발되기 때문에 그러한 화장 물질들을 담기위해 사용되는 화장품 케이스들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영역을 효율적으로 밀봉함으로써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된다.
화장품 케이스가 내부에 담겨진 물질에 대해 효율적인 밀봉효과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밀봉된 화장 물질내에 포함된 용제의 응결은 응결된 액적(液滴)들이 화장 물질의 표면상에서 모이게 함으로써 상기 화장 물질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하기 발명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들이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37839호는 개폐가능한 커버를 가진 화장품 케이스 사이에서 밀봉 효율을 증대시키는 다양한 수단을 제안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347호 및 제9-37838호는 상기 화장품 케이스와 외부 커버 사이에 내부 커버를 설치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화장품 케이스를 밀봉하기 위해서 활용된다. 제거가능한 리필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타입의 화장품 케이스와 관련해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65920호와 제9-98829호는 제거가능한 리필 케이스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리필 케이스는 특히 증발이 가능한 용제를 포함한 화장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자유롭게 개폐가능한 내부 커버가 내부 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리필 케이스들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 내부 트레이와 내부 커버 사이의 영역이 밀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부 트레이와 커버가 외부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한편 외부 케이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리필 케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증발가능한 용제에 기초한 화장 물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와 관련하여,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47319호는, 커버없이 내부 트레이 단독으로 외부 케이스내에 배치되거나 외부 케이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348호 및 제9-98828호는, 이중 커버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때 따르면 상기 내부 커버는 화장품 케이스와 외부 커버 사이에 적용된다. 더욱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7-184717호는, 응결방지효과를 제공하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한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37839호는, 외부 케이스내에 있는 화장품 용기의 하부 주위에 장착된 탄성 패킹링과 상기 커버의 네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사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상기 커버가 닫힐 때에,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형성된 결합부 아래의 지점에서 상기 패킹링과 접촉된다.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374호는, 상기 내부 트레이의 상부 주위에 장착된 U형 단면의 탄성 패킹링과 상기 커버에 장착된 탄성 패킹편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상기 커버가 닫힐 때에 상기 패킹링과 상기 패킹편이 상호접촉하게 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37839호와 유사한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37838호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하부 외측주변에 설치된 탄성 패킹링과 내부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돌출부를 제공하며, 상기 링형상의 돌출부는 상기 내부 커버와 화장품 용기 사이의 결합부 아래의 지점에서 상기 탄성 패킹링과 접촉하게 된다.
리필 타입의 화장품 케이스와 관련해서,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65620호는 벽구조에 의해서 분할된 두개의 격실로 분리된 외부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전술한 격실중 하나는 리필 케이스를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한편 나머지 하나는 화장품 용구의 수납 영역으로 사용된다. 상기 리필 케이스의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분리벽의 중앙에 제공된 절개부에 끼워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화장품 용구들을 위해 제공된 공간에까지 연장된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65920호와 유사하게.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98829호는 상기 화장품 케이스내에 두개의 내부 격실을 형성하는 분리벽을 개시하고 있다. 첫번째 결합부가 상기 화장품 케이스의 분리벽과 외면 사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첫번째 결합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두번째 결합부가 상기 리필 케이스상에 형성된다. 상기 첫번째 결합부와 두번째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는 상기 리필 케이스를 정위치에 고정해준다.
전술한 일본국 특히공개공보 제9-47319호에 의해서 제안된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내에 분리벽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벽은 두개의 분리된 내부 격실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격실중 하나는 상기 내부 트레이에 의해 점유된다. 결합홈은 내부 트레이의 측방 주변부상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첫번째 결합 돌출부는 상기 분리벽의 내부 트레이측상에 형성된다. 더욱이, 다수쌍의 핑거들이 분리벽의 반대편에 있는 벽면의 하측면에 수직 슬릿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두번째 돌출부가 역시 제공된다. 상기 핑거들 사이의 벽면은 자유면으로 동작하는 저면을 가진 지지벽으로 형성된다. 지지벽상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는 첫번째 결합부를 마주보는 방향에서 내부 트레이를 가압하고 있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348호에 의해서 제안된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화장품 케이스상이나 내부 커버상에 장착된 내부 커버 개방편은 내부 커버를 강제적으로 여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더욱이,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98828호에 언급된 화장품 케이스는, 외부 커버를 화장품 케이스에 연결한 첫번째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 첫번째 래치 메카니즘을 채택하는 동시에 내부 커버를 화장품 케이스에 연결한 두번째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 두번째 래치 메카니즘을 채택하며, 또한 상기 해제 메카니즘은 모두 단일의 가압편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가압편의 단일 구동은 상기 첫번째 래치와 두번째 래치에 의해 유지되는 결합을 해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7-184717호는, 화장 물질내에서 증발 용제에 의해 만들어지는 응결물들을 흡수하는 수단으로서 화장품 케이스 커버의 내측상에 흡수재를 설치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37839호와 제9-37838호에 의해서 제안된 화장품 케이스 구조들은 화장 물질 용기의 하부 주변부에 설치된 탄성 패킹링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상기 결합 영역의 외주에 홈이 진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한다. 이러한 채널들에 대해서는 매우 큰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특별한 외부 크기로 만들어진 화장품 케이스는 그렇지 않았으면 가능했을 크기보다 더 작은 개방공간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내에 담겨질 수 있는 화장 물질의 양을 줄여주게 된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347호는 분리된 탄성 패킹편이 장착되어야 하는 분리된 내부 트레이와 커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구조가 더 복잡해지며, 또한 화장품 케이스의 조립작업이 더욱 비싸지며 시간소모적이 된다. 더욱이,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는 개방과 폐쇄를 위해 분리된 동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비교적 불편하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98829호는 분리부와 케이스벽상에 있는 첫번째 결합부와 내부 트레이상에 있는 두번째 결합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제작공구들의 구성을 더욱 더 복잡하며 값비싸게 만드는 동시에 케이스를 더욱 더 복잡하게 하며 값비싸게 제조되도록 하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가 필요해진다.
더욱이,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8-348호는 내부 커버를 위해 더욱 편리한 개방 동작을 제공해주는 푸쉬 타입 메카니즘을 제안하는 반면에, 상기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는 여전히 분리된 동작들에 의해서 개방되어야 된다. 최근에는, 커버들이 쉽게 개방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커다란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7-184717호는 슬라이딩 가압편을 채택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어야 만 하며, 이것은 특정한 외부 크기와 관련하여 케이스가 담을 수 있는 화장 물질의 양을 줄이는 설계요건이 된다.
첫째로, 본 발명은, 리필 케이스의 장착과 탈착이 빠르며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짐과 아울러, 리필 케이스 커버(이후에는 내부 커버로 지칭됨)와 외부 케이스 커버의 장착이 상기 내부 케이스내에 담겨진 화장 물질로 편리하게 접근하는 데에 있어 아무런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한다.
둘째로, 본 발명은, 리필 케이스가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장착될 때 단일 동작에 의해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가 개방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한다.
세째로, 본 발명은, 특별히 밀봉된 구조를 채택함을 통해서 내부에 담겨진 화장 물질내에서 용제가 증발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한다.
네째로, 본 발명은, 화장 물질내의 증발된 용제로부터 형성된 응결물이 상기 물질의 표면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구성된 화장품 케이스를 제안한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화장품 케이스 발명은,
내부 격실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을 폐쇄하거나 개방상태에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 장착된 개폐가능한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케이스와 외부 커버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외부 커버 사이에 장착된 주 래치,
화장품 용기와 내부 커버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화장품 용기를 밀봉하거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물질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으로 개폐가능하고, 상기 화장품 용기와 커버를 결합시키거나 결합해제시킬 수 있는 래치 메카니즘이 추가로 제공되며,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에 장착하거나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리필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나 외부 커버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주 래치와 리필 래치 메카니즘에 의해 유지되는 체결 결합부를 동시에 해제할 수 있는 하나의 운동동작을 제공해주는 작동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작동 메카니즘을 동작시키면 주 래치와 부 래치가 단일 동작으로 해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작동 메카니즘은 외부 케이스나 외부 커버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가압편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가압편은 상기 작동 메카니즘의 동력입력요소로서 사용된다. 상기 가압편의 한 부분은 상기 주 래치 해제수단을 해제하기 위한 첫번째 해제 메카니즘을 동작시키며. 또한 상기 가압편의 다른 부분은 상기 부 래치를 해제하기 위한 두번째 해제 메카니즘을 동작시킨다.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압편에 가해지는 압력은 첫번째 해제 메카니즘의 주 래치와 두번째 해제 메카니즘의 리필 래치를 기계적으로 해제해주는 스윙 동작을 일으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압편의 단일 피봇동작에 의해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를 둘다 개방해주게 된다.
더욱이, 가압편이 피봇동작으로 움직여지기 때문에, 활주동작편에 비해 최소한의 공간이 설치를 위해 필요해지며, 이로 인해 화장품 케이스가 더 컴팩트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게 해준다.
첫번째 해체 메카니즘이 외부 케이스와 외부 커버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 케이스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반대의 힘을 가함에 의해서 상기 가압편이 주 래치 결합을 해제해주며, 또한 두번째 해체 메카니즘이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커버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같은 타입의 힘을 가함에 의해서 상기 가압편이 상기 리필 케이스를 해제해줄 수 있다.
상기 작동 메카니즘은, 주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작동 운동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외부 케이스나 외부 커버에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는 단일의 가압편 및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위치된 개재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재편은 리필 케이스상의 부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가압편의 운동에 의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개재편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개재편은 주 래치의 해제와 동시에 부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가압편의 운동이 부 래치에 전달되도록 해준다. 가압편의 단일 운동을 통해서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를 동시에 해제하게 되면 단순하고 쉬우며 또한 편리한 리필 타입 화장품 케이스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개재편은 외부 케이스나 내부 케이스와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상기 가압편은 독립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상기한 것들은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한 색체로 표면처리될 수 있으며 또한 화장품 케이스의 외관을 별도로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편은 색체나 형태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의 일체적 설계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면에 개재 링크는 화장품 케이스의 내부 외관에 어울리도록 비슷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가압편은 외부 케이스와 외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가해지는 반대의 힘에 의해 주 래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개재 링크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리필 커버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케이스와 리필 래치 사이에 가해지는 반대의 힘에 의해 상기 리필 래치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개재 링크는 외부 케이스의 일체적 요소로서 제작되며 또한 상기 개재 링크가 외부 케이스와 함께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케이스를 구성하는 요소의 수는 감소될 수 있고, 제조단가가 낮춰질 수 있으며, 또한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 더욱이, 개재편의 구조적 일체성은 개재편이 상기 케이스에서 느슨해져서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애준다.
더욱이,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부 래치에서 상기 화장품 용기의 반대편에 장착된 힌지에 의해서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외부 커버내에서 개방될 때 내부 커버가 외측으로 신장되어 상기 외부커버로부터 빠져나오게 해준다.
바닥면과 주변벽이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주변벽은 상기 리필 케이스 보다 더 큰 치수로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서 한정한다. 절개영역이, 상기 리필 케이스 힌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커버의 외부로 연신되어 있는 내부 커버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변벽 내에 제공된다. 돌출리브는, 리필 케이스가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장착될 때 상기 리필 케이스의 위치를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내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리필 케이스의 위치를 형성해서 내부에 상기 리필 케이스를 견고하며 안정되게 결합시킨다. 더욱이, 부드러운 분첩이나 다른 비슷한 보조용구와 같은 화장 용구들이 리필 케이스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놓여질 수 있다.
절개부가 내부 케이스 힌지 영역에서 외부 케이스 주변벽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리필 케이스는 상기 벽과의 간섭없이 리필 케이스내의 화장 물질에 자유로우며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넓게 개방될 수 있다.
오리피스는, 외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리필 케이스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수단으로서 상기 바닥면내에 제공된다. 오리피스를 통해 손가락을 사용해서 상기 리필 케이스의 하부면에 상방 압력을 가하면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리필 케이스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는 장착된 리필 케이스에 의해 덮혀진 외부 케이스 바닥의 영역내에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밀봉 메카니즘은 내부에 둘러싸인 공간을 밀봉하는 수단으로서 화장품 용기 개구의 주변부에 제공된다. 상기 밀봉 메카니즘은 화장품 용기의 개구에서 화장품 용기나 내부 커버에 주변적으로 장착된 탄성 밀봉링 및 반대편의 요소에 형성된 링형 밀봉융기부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밀봉융기부는 내부 커버가 폐쇄될 때 상기 밀봉링과 가압 접촉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밀봉링과 돌출 밀봉융기부의 내경과 외경은, 내부 커버의 폐쇄운동중에 상호 마찰적인 문지름 운동이 발생되는 밀봉면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결정된다. 이에 따라, 내부 커버의 폐쇄운동은 내부 커버와 내부 케이스 사이에서 고도로 효과적인 밀봉을 실현하게 된다. 특히, 상호 마찰적인 문지름 효과가 상기 밀봉링과 밀봉융기부 사이에서 창출되기 때문에, 밀봉링이나 밀봉융기부에 부착된 여하한 화장물질도 밀봉면으로부터 문질러져 제거되며, 이로 인해 청결하며 타이트한 밀봉이 실현된다.
이러한 밀봉효과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 마찰면이 상기 밀봉링이나 밀봉융기부중 어느 하나위에 형성된다. 이 경사 마찰면은 내부 커버가 폐쇄됨에 따라서 밀봉링과 밀봉융기부 사이에서 마찰 압력을 점차 증대시키도록 동작하며, 이것은 마찰적인 청소작용을 강화해줄 뿐만아니라 내부 커버가 완전이 폐쇄될 때 밀봉링과 밀봉융기부 사이에 최대 밀봉압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더욱이, 상기 밀봉링과 밀봉융기부 사이에 형성된 밀봉면은 상기 케이스내에 담겨있는 화장 물질의 레벨위의 레벨에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밀봉링은 반경방향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탄성변형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단이 밀봉링을 반경방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나 내부 케이스 커버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해준다.
더욱이, 결합홈은 상기 밀봉링의 주변부를 따라서 내부 케이스나 내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또한 링부는 상기 밀봉링을 상기 결합홈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케이스나 내부 커버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더욱이, 밀봉돌출부는 상기 밀봉링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밀봉링의 상부측이나 하부측중 어느 하나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탄성적으로 팽창된 부분은 상기 밀봉링의 외부 주변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링형 융기부의 내부 주변부가 상기 밀봉링의 탄성적으로 팽창된 부분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또한 이로 인해 링형 융기부가 내부 커버가 폐쇄되는 동안에 상기 탄성적으로 팽창된 부분에 대해 마찰적인 압력을 발생시킨다. 밀봉융기부의 내부 주변부는 마찰적인 작용과 밀봉링의 팽창된 부분에서 가압에 의한 결합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도로 효과적인 밀봉이 화장품 용기의 내부 영역에 대해서 유지된다.
더욱이, 링헝 밀봉융기부가 내부 커버의 폐쇄운동의 결과로서 밀봉링의 팽창된 부분에 마찰적 압력을 가할 때, 밀봉융기부의 내부 주변부에 부착될 수 있는 여하한 화장 물질도 마찰적인 청소효과의 결과로서 청소되며, 이로 인해서 청결하고 긴밀하며 또한 효과적인 밀봉이 촉진된다.
압축 융기부가 상기 밀봉링의 상부측이나 하부측에 압축 압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링형 밀봉융기부가 형성된 요소(즉, 내부 케이스나 내부 커버중 어느 하나)상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외측 방향에서 상기 팽창된 부분을 방사상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내부 커버가 폐쇄될 때 상기 압축 융기부는 밀봉링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반면에 상기 밀봉링의 팽창된 부분은 상기 밀봉융기부의 내부 주변부에 의해 가압되며, 이로 인해 더 강하며 더 타이트한 밀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응결 액적 수집수단이 제공되며, 그에 의해 특별한 내부 커버 구조가 화장 물질내에 포함된 증발 용제의 응결로부터 기인하는 응결 액적을 수집하며 유지하도록 제공된디. 상기 내부 커버의 하측은 상기 액적을 수집하여 상기 액적의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액적들이 상기 화장 물질의 표면상에 모이는 것을 막아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장 물질을 바람직한 사용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다수의 홈이 형성된 면이 상기 내부 커버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커버의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주변부까지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면은 상기 내부 커버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주변 영역까지 응결 액적들을 수집하며 안내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홈이 형성된 면상의 홈내에서 주변 내부 케이스 영역으로 유동되는 결과, 상기 액적들이 화장 물질의 표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케이스의 주변 영역으로 응결 액적의 유동을 부드럽게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해준다. 상기한 홈이 형성된 면은 평면에 비해 큰 표면영역을 제공해주며, 이로 인해 증발된 화장품 용제의 응결을 방지해준다. 상기한 홈이 형성된 면의 확대된 면영역은 액적들이 모이는 더 큰 부착영역을 제공해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액적들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액적들이 화장 물질의 표면에 낙하할 가능성을 줄여준다.
상기한 홈이 형성된 면은, 내부 커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흠이 형성된 면을 가진 분리된 내부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결 액적 수집수단은, 응결 공간이 상기 내부판과 내부 커버의 하측 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오리피스가 상기 내부판의 하부와 상부에 있는 공간들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조로서 존재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내부 커버의 하측에 장착된 내부판을 사용하면 화장 물질의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는 응결 액적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내부 커버의 하측에 흡수제를 사용할 필요를 없애주며, 이로 인해 내부 커버의 외관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응결 액적 수집수단은 다수의 선형 홈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선형 홈들은 응결 액적들이 화장 물질의 표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상기 선형 홈들은 상기 내부 커버의 하측을 청소하기 쉽게 해주며, 이로 인해 큰 노력이 없이도 상기 내부 커버의 깨끗한 외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한 다수의 선형 홈들은, 내부 커버가 개방될 때 응결 액적들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수단으로서 상기 내부 커버 힌지와 같은 방향에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결 액적 수집수단은, 상기 내부 커버의 하측이나 상기 내부 커버내에서 면들을 형성하는 갭들에 위치된 다수의 반구형 오목부들 및/또는 돌출부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구형 오목부들과 돌출부들은 응결 액적들을 지지하기에 특히 효과적이다. 더욱이, 특별한 크기와 패턴을 가진 이러한 반구형 오목부들과 돌출부들을 사용하면 상기 내부 커버의 하측과 화장품 케이스에 경쾌한 장식적 효과를 더해 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화장품 케이스는 외부 커버(16)가 외부 힌지(14)에 의해 장착된 외부 케이스(16)를 포함하고 있다. 격실 영역은 주변벽(12a)과 바닥부(12b)에 의해 외부 케이스(12)내에 형성되며, 사각형 격실(18)은 상기 격실 영역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된다. 첫번째 격실(18a)은 공간(18)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20)를 위한 설치 공간으로 기능한다. 외부 힌지(14)는 외부 케이스(12)의 중앙 외부 가장자리내에 형성된 홈이 형성된 공간(14a)에서 외부 케이스(12)에 장착되고, 돌출부(14b)는 외부 커버(16)의 일부로서 형성되며, 또한 힌지핀(14c)은 홈이 진 부분(14a)과 돌출부(14b)에 의해 점유된 영역내에서 외부 힌지(14)내로 삽입된다. 두번째 래치(48b)는 외부 커버(16)의 하측에서 외부 가장자리에 장착되며, 또한 첫번째 래치(48a)는 외부 케이스(12)의 주변 가장자리의 중앙에 위치된 홈이 진 부분내에 장착된다. 두번째 래치(48b)는 외부 커버(16)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외부 커버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첫번째 래치(48a)와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된다. 화장거울(16b)은 외부 커버(16)의 하측에서 홈이 진 영역에 장착된다.
리필 케이스(20)는 화장 물질을 담는 용기로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화장품 파우더 콤팩트로서 기능한다. 리필 케이스(20)는, 화장 물질이 위치된 화장품 용기(22a), 내부 케이스(22), 및 내부 케이스(22)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부 커버(24)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 커버(24)는 힌지 메카니즘(26)에 의해서 내부 케이스(22)의 좌측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힌지 메카니즘(26)은 힌지 지지포스트(26a) 사이에서 내부 케이스(22)의 좌측으로부터 돌출되며, 또한 상기 힌지 지지포스트와 내부 커버(24)의 돌출부내에 삽입된 힌지핀(26c)에 의해 내부 커버(22)에 연결된다. 힌지 메카니즘(26)은 이러한 타입의 돌출상태에서 리필 케이스(20)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20)가 상기 화장품 케이스에 장착될 때 힌지부(26)를 위한 여유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방으로 향한 절개부(12d)가 첫번째 격실(18a)의 주변벽(12a)상에 형성된다.
두번째 래치(50b)는 내부 커버(24)의 개방측 주변에 장착되는 한편 첫번째 래치(50a)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며, 또한 래치(50a)는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 커버(24)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부 케이스(22)에 장착된다. 첫번째 래치(50a)는 내부 케이스(22)의 중앙부에서 홈(22b)내에 장착된다. 내부 커버(24)는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홈(22b)내에 존재한다. 상대적으로 큰 각이 진 절개부(22c)는 내부 케이스(22)의 전면 우측코너에 빈공간을 형성하며, 또한 내부 커버(24)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내부 커버(24)의 전면 우측코너(24a)는 절개부(22c) 위로 연장된다.
상기 내측 화장품 용기(22a)를 밀봉된 상태로 유지할 목적으로 밀봉 메카니즘이 내부 커버(24)와 내부 케이스(22) 사이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링(28)은 주변개구 둘레에서 화장품 용기(22a)에 장착되며, 또한 밀봉융기부(30)는 밀봉링(28)과 같은 윤곽으로 내부 커버(24)상에 형성된다. 밀봉링(28)은 밴드 형태로 되어있으며 또한 고무나 다른 공지된 적정한 밀봉재료로 되어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링(28)은 화장품 용기(22a)의 상부 주변에서 밀봉홈(22d)내에 장착된다. 밀봉링(28)의 상부는 밀봉 헤드(28a)를 형성하기 위해서 화장품 용기(22a)의 상부 주변 가장자리의 위로 연장된다. 밀봉 챔퍼(28b, chamfer)가 밀봉 헤드(28a)의 바로 아래에서 밀봉링(28a)의 내부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또한 밀봉링(28)이 압축될 때 탄성압축 영역을 형성한다. 밀봉 챔퍼(28b)는 밀봉홈(22d)의 내부 주변에 공간"δ"를 형성하며, 공간"δ"의 목적은 밀봉링(28)의 내향 반경 방향 변형을 위한 팽창부를 제공한다. 내부 밀봉 플랜지(28c)는 밀봉링(28)의 내측 주변부상에 형성되며 또한 수평면(22e)위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화장품 용기(22a)의 수평면(22e)위로 밀봉 헤드(28a)로부터 내향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은 내부 케이스(22)의 외부 주변에 있는 밀봉헤드(28a)의 외주상에 형성되며 또한 아래쪽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어 있다.
홈(24c)은 화장품 용기(22a)를 마주보는 내부 커버(24)의 내부면상에 형성되며, 또한 밀봉융기부(30)는 홈(24c)의 주변에 결과적으로 단이 진 형상에 의해 형성된다. 두번째 경사 밀봉면(34)은, 밀봉헤드(28a)상의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을 지나 밀봉융기부(3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부 커버(24)의 내부 주변상에 형성되어 있다. 두번째 경사 밀봉면(34)의 각(θ1)이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의 각(θ2)보다 크기 때문에 다음 메카니즘이 일어날 수 있다. 내부 커버(24)가 닫혀짐에 따라서 밀봉융기부(30)가 밀봉헤드(28a)와 접촉하게 되며, 그후에 내부 커버(24)가 완전히 닫혀질 때까지 밀봉융기부(30)의 내부 주변(두번째 경사 밀봉면(32))은 밀봉링(28)의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위에 올라타서 상기 밀봉링(28)의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을 문지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두번째 경사 밀봉면(34; 각 θ2)은 90도 직각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2)내에 형성된 공간(18)의 전후 길이의 크기(L1)는 내부 케이스(22)의 전후 (W1) 폭 크기와 거의 같으며, 또한 외부 케이스(12)의 폭 크기(L2)는 내부 케이스(22)의 폭 크기의 거의 두배에 달한다. 리브(18e; rib)가 벽면(18c와 18d)상에 형성되어 공간(18)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탭(18f; tab)은 첫번째 격실(18a)의 벽(18c와 18d)상에 형성되며, 또한 인덱싱 슬롯(28j; indexing slot)은 첫번째 격실(18a)내에 내부 케이스(22)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 케이스(22)의 벽(22g와 22f)상에 개방되어 있다. 밀어내기 오리피스(12f)가, 아래에서 상방으로 손가락의 압력을 가함에 의해 외부 케이스(12)의 밖으로 리필 케이스(20)를 밀어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첫번째 격실(18a)에 의해 형성된 영역내에 있는 외부 케이스(12)의 바닥부(12b)내에 개방되어 있다.
가압편(36)이, 주 래치 메카니즘(48)과 부 래치 메카니즘(50)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부 케이스(12)에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36)은 외부 커버(12)상의 홈(12c)에 장착되며, 가압편(36)의 폭(L3)은 홈(12c)의 폭(W3)과 거의 동일하다. 스플릿 피봇 오리피스(36a)가 가압편(36)의 상부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또한 가압편(36)을 피봇 동작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홈(12c)내에 장착된 한쌍의 피봇핀(38)상에 끼워진다. 접촉부(36b)는, 가압편(36)의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수평으로 돌출된 가장자리가 된다. 첫번째 해제탭(36c)은 상부 우측에 형성되며, 또한 두번째 해제탭(36d)는 가압편(36)의 상부 좌측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해제탭(36c)은 홈(12c)내에 형성된 첫번째 래치(48a)까지 연장되며, 또한 두번째 릴리스 탭(36d)은 홈(12c)의 상부면에 형성된 슬롯(12e)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커버(24)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외부 커버(16)의 하부면은 첫번째 해제탭(36b)의 단부와 접촉하게 되며, 또한 내부 커버(24)의 전면우측에 형성된 부분(24a)의 하부면은 두번째 해제탭(36d)과 접촉하게 된다.
화장품 케이스(10)의 첫번째 실시예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주 래치 메카니즘(48)과 부 래치 메카니즘(50)은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된 상태로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가압편(36)을 가압하게 되면 주 래치 메카니즘(48)과 부 래치 메카니즘(50)이 해제되게 되며 또한 그에 의해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가 동시에 개방되게 되며, 이 결과 화장품 용기(22a)에 담겨진 화장 물질(P)에 빠르며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가압편(36)의 접촉부(36b)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첫번째와 두번째 해제탭(36c와 36d)의 상방 운동을 일으키는 가압핀(36)의 피봇핀(38)상의 운동이 유발되며, 그 운동은 외부 커버(16)과 내부 커버(24)를 강제로 개방되도록 밀어준다. 상기 가압핀을 통해 적용되는 상방의 힘은 첫번째 래치(50a)와 두번째 래치(50b)상의 결합을 해제해주며, 또한 역시 첫번째 래치(50a)와 두번째 래치(50b)상의 연결도 해제해준다. 도 7은 해제되어 약간 개방된 상태에 있는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를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그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커버들을 용이하게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열어줄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는, 가압편에 작용되는 단일의 가압작용이 리필타입의 화장품 케이스의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를 둘 다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구조는 이중 격실을 가진 리필타입 화장품 케이스의 편리한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해 줄 뿐만아니라, 상기 가압핀의 피봇 동작을 위해 최소양의 공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절개부(12d)가 힌지 메카니즘(26)을 위한 여유부로서 외부벽(12b)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내부 커버(24)의 개방시에 외부벽(12b)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이에 의해 화장 물질을 향해 자유롭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내부 커버(24)가 외부 커버(12)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완전하게 개방되도록 해준다.
도 7에 더욱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편(36)이 가압될 때 내부 커버(24)가 외부 커버(16)을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메카니즘이 설계되어서 외부 커버(16)을 위해 보다 큰 최초 개방각을 만들어준다.
내부 커버(24)와 외부 커버(16)를 순차적으로 닫으면 상기 양커버를 완전히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부 래치 메카니즘(50)과 주 래치 메카니즘(48)이 체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커버(24)를 완전히 폐쇄되도록 유지하면 밀봉링(28)의 작용을 통해서 화장품 용기(22a)의 내부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밀봉이 가능해진다. 내부 커버(24)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된 상기 밀봉 메카니즘은 밀봉융기부(30)의 전길이에 걸쳐 밀봉링(28)에 가해지는 증대된 가압작용과 마찰적인 문지름 작용을 제공해주며, 상기 문지름 작용은 밀봉링(28)이나 밀봉홈(30)에 부착된 화장 물질이 완전하며 효과적인 밀봉 상태의 유지를 위해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기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커버(24)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오게 될때, 밀봉융기부(30)는 잔여 화장 물질이 씻겨진 밀봉면을 통해서 밀봉링(28)에 압력을 가하여, 그 결과 완전하고 효과적인 밀봉을 실현한다.
더욱이,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이 밀봉링(28)과 밀봉융기부(30) 사이에서 밀봉접촉영역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 커버(24)의 폐쇄작용은 밀봉면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증대되는 압력에 의한 문지름 작용을 제공하여, 밀봉영역으로부터 잔여 화장 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내부 커버(24)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첫번째 경사 밀봉면(32)의 작용은 마찰 청소와 밀봉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밀봉링(28)과 밀봉융기부(30) 사이에서 효과적인 밀봉압력을 제공해준다. 상기 결과는, 화장품 케이스의 밀봉 영역 주위에서 화장 물질이 빠져나가거나 부착됨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용기(22a)내에 저장된 화장 물질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상태에서 더 오랜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화장품 용기(22a)상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 케이스(22)의 상부면중 화장품 용기(22a)의 개구 둘레에 밀봉헤드(28a)를 형성함에 의해서 밀봉링(28)은 더욱 완전한 밀봉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구조는 화장품 용기(22)에 대해 개구의 하부주위에 홈을 적용한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와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로 인해 화장품 용기(22a)의 개구주위에 밀봉링(28)을 부착시키는 수단으로서 밀봉홈(22d)을 형성하는 것만이 필요해진다. 결과적으로, 화장품 용기(22a)에 대한 접근 영역이 확대되어, 상기 화장품 케이스(10)내에 담겨지는 화장 물질의 양이 외부 치수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갭 "δ"는 반경내측 방향에서 밀봉링(28)의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해주며 이것은 내부 밀봉플랜지(28c)가 수평면(22e)을 따라 활주하도록 해주는 메카니즘이기 때문에, 밀봉변형이 반경 방향에서 내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융기부(30)에 의해 밀봉링(28)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수평면(22c)에 의해 수용하게 된다. 상기 메카니즘의 결과로서, 융기부(30)는 밀봉면에 부착된 화장 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에 상기 마찰적인 문지름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밀봉링(28)의 탄성을 이용하게 된다.
리필 케이스(20)는 리브(18e)에 의해서 내부 공간(18)의 첫번째 격실(18a)내에 고정되며 또한 리필 케이스(20)는 내부 케이스(22)상의 슬롯(22j)에 삽입되는 내부벽(18c와 18d)의 탭(18f)에 의해서도 내부 공간(18)의 첫번째 격실(18a)내에 고정된다. 화장용 분첩(40)이나 다른 유사한 도구가 두번째 격실(18b)내에 담겨질 수 있다.
리필 케이스(20)는 내부벽(18c와 18d)상에 형성된 리브(18e)의 약한 돌출에 의해서 내부 공간(18)내에 위치가 표시된다. 상기 구조의 결과로서, 첫번째 격실(18a, 리필 케이스(20))과 두번째 격실(18b, 상기 화장용 분접(40))을 형성하기 위한 분리벽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리브(18e)는 내부 공간(18)내로 단지 적은 양 돌출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18)은 외부 케이스(12)의 길이에 걸쳐서 하나의 연속적인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은 외부 케이스(12)를 제조하기 위해 덜 복잡한 다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형성을 쉽게 해주는 특징을 나타낸다. 도면들은 두벽(18c와 18d)위에 형성된 리브들(18e)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단일의 리브(18e)가 벽(18c와 18d)중 어느 하나위에 형성되어 리필 케이스(20)에 대해 동일한 위치표시 효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
더욱이, 외부 케이스(12)의 바닥영역에 오리피스(12f)를 형성하는 것은 오리피스(12f)를 통해 내부 케이스(22)의 바닥부(22i)를 위로 가압함에 의해서 화장품 케이스의 사용자가 내부 공간(18)에서 리필 케이스(20)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리필 케이스(20)는 위에서 상기 케이스를 잡고서 밖으로 당겨줌에 의해서 내부 공간(1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두개의 편리한 제거방법을 제공해준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두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화장품 케이스(10)는 상기한 첫번째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비슷하나 외부 케이스(22)의 바닥 영역(12b)내에 형성된 큰 오리피스(12f)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12f)는 거의 비슷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한편 내부 케이스(22)의 하부(22i) 보다 약간 크기가 작다. 또한, 돌출면(28k)은, 리필 케이스(20)가 장착될 때 돌출면(28k)이 오리피스(12f)내에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오리피스(12f)와 거의 같은 크기로 내부 케이스(22)의 하부에 형성된다.
크기가 확장된 오리피스(12f)는 내부 케이스(22)중 하부(22i)의 더 많은 영역을 노출시키며 이로 인해 리필 케이스(20)를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손가락이 하부(22i)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구조는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한편 탭(18f)과 슬롯(22j) 사이의 결합을 쉽게 해제해주게 한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화장품 케이스(10)는;
외부 케이스(12),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외부 케이스(12)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외부 커버(16),
내부 공간(18)내의 첫번째 격실(52b)에 대해 착탈가능한 리필 케이스(20)의 내부 케이스(22),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내부 케이스(22)상에서 개폐될 수 있는 내부 커버(24),
외부 커버(16)에 형성되는 한편 외부 케이스(12)에 대해 착탈가능한 두번째 래치(48d),
외부 케이스(12)에 장착가능한 한편 상기 두번째 래치(48d)에 형성된 결합을 해제하는 방식에 따라서 작동가능한 가압편(54),
내부 커버(24)상에 형성되는 한편 내부 커버(22)와 결합될 수 있는 두번째 래치(50d), 및
주 케이스(22)와 가압편(54)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편(54)의 운동에 의해서 두번째 래치(50d)와 내부 케이스(22)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적용되는 개재편(56)으로 구성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52)가 외부 케이스(12) 내에 장착되며, 상기 내부 트레이(52)는 두개의 분리된 격실(52b와 52c)을 형성한다. 분리벽(52a)은 내부 트레이(52)의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이것은 분리벽(52a)의 좌측에 첫번째 격실(52b)을 형성해주는 동시에 우측에 두번째 격실(52c)을 형성해준다. 탭(52d)은 외부 케이스 주위(12a)의 내벽에 형성된 슬롯(12g)을 통해서 내부 트레이(52)를 외부 케이스(12)에 연결하는 수단으로 내부 트레이(52)의 외주상에 형성된다. 내부 트레이(52)가 외부 케이스(12)에 장착될 때 플랜지(52e)는 외부 케이스(12) 주위부(12a)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리필 케이스(20)는 화장 물질(P)을 담고 있으며 또한 첫번째 격실(52b)에 대해 쉽게 착탈가능하도록 되어있다. 탭(52)은 첫번째 격실(52b)의 내측 주변상에 형성되며 또한 첫번째 격실(52b)내에 리필 케이스(20)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케이스(52)의 외측 경계상에 형성된 슬롯(22j)에 삽입될 수 있다.
오리피스(12f)는 첫번째 격실(52b)의 아래에 존재하는 외부 케이스(12)의 바닥부(12b)내에 형성된다. 외부 케이스(12)의 바닥으로부터 오리피스(12b)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은 첫번째 격실(52b)로부터 내부 케이스(20)를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가압편(54)은 전후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외부 케이스(12)상에 형성된 절개부(12e)내에 장착된다. 가압편(54)의 부분은 접촉부(54a)를 포함하며, 그 본체는 속이 빈 사각단면을 가지고 있다. 판 스프링(54b)은 접촉부(54a)의 후방부중 양측부에 장착된다. 접촉부(54a)가 절개부(12e)내에 존재하므로, 판 스프링(54b)의 외측 단부는 내부 트레이(52)의 전면과 접촉하며 또한 이 결과 접촉부(54a)를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절개부(12e)내에서의 전후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두번째 래치(48d)는 외부 커버(16)의 내측 개구측상에 장착되며, 또한 첫번째 래치(48c)는 접촉부(54a)의 속이 빈 내부 영역내에서 배면에 장착된다. 두번째 래치(48d)와 첫번째 래치(48c)는 함께 주 래치 메카니즘(48)을 구성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6)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두번째 래치(48d)가 내부 트레이(52)의 플랜지(52e)내에 형성된 오리피스(52g)내에 존재하여 첫번째 래치(48c)와 래치 결합을 해서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 커버(16)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외부 커버(16)과 거의 같은 구조를 합체시키기 때문에, 두번째 래치(50d)가 내부 커버(24)의 개구측 중앙부에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한편 첫번째 래치(50c)가 내부 커버(24)의 우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두번째 래치(50d)와 첫번째 래치(50c)는 부 래치 메카니즘을 구성하게 된다. 내부 커버(24)가 폐쇄될 때 두번째 래치(50d)는 첫번째 래치(50c)와 결합하게 되며 내부 커버(24)를 폐쇄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판(56)은 내부 커버(24)와 가압편(54) 사이의 영역에 장착되어 그것을 통해 가압편(54)의 전진운동을 내부 커버(24)를 밀어 개방시킬 수 있는 수직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개재편(56)은, 내부 커버(24)의 개방 가장자리 하측을 밀어 올리는 해체판(56a), 및 상기 판(56a)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되고 가압편(54)과 접촉하며 또한 상기 가압편(5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부(56b)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판(56a)은 내부 트레이(52)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부(52h)에 위치하게 되며, 또한 구동부(56a)는 절개부(52h)의 하부에 형성된 오리피스(52i)에 위치하게 된다. 접속편(54c)은 접촉부(54a)의 배면에 형성되며 또한 구동부(56d)가 삽입되는 전방부에 연결슬롯(54d)을 구비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립(56c)은 해제판(56a)의 전방하부에 형성되며 또한 매개판(56)이 절개부(52h)내에 머무르게 될때 채널(52j; 절개부(52h)의 전면 가장자리상에 형성됨)과 맞물리게 된다.
멈춤편(56d)은 구동부(56b)의 하부선단에 형성되어 연결 슬롯(54d)내에 형성된 노치(54e)와 연결된다. 벤딩부(54f)가, 접속편(54c)에 약간의 유연성을 허용하는 수단으로서 접속편(54c)이 접촉부(54a)와 결합되는 지점에서 접속편(54c)내에 형성된다.
화장 거울(16b)은 외부 커버(16)의 내면에 장착된다. 돌출부(24f)가 내부 커버(24)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 커버(16)이 폐쇄될 때 화장 거울(16b)과 접촉하게 되며, 이 결과 외부 커버(16)와 동시에 내부 커버(24)를 견고하게 닫아주는 수단이 제공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29)은 내부 케이스(22)의 안쪽 영역을 밀봉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커버(24)의 하부측상에 장착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6)과 내부 커버(24)가 폐쇄될 때, 주 래치 메카니즘(48)과 부 래치 메카니즘(50)은 래치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때 가압편(54)은 판스프링(54b)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결과로서 외측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가압편(54)과 개재편(56)은 접속편(54c)을 통해 수평 위치에서 내부 커버(24)의 하부에 해제편(56a)이 존재하도록 해준다.
도 15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45b)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해서 내측 방향으로 가압편(54)을 누르게 되면 주 래치 메카니즘(48)이 해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동작의 결과로서, 접속편(54c)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재편(56)의 구동부(56b)를 후방으로 가압하며, 이에 따라 해제편(56a)이 피봇립(56c)으로부터 상방회전 각 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해제편(56a)이 점점 더 기울어짐에 의해서 내부 커버(24)가 들어올려지게 되는 한편 부 래치 메카니즘(50)이 해제되게 된다. 구동부(56b)의 멈춤편(56d)이 접속편(54c)의 노치(54e)와 연결되기 때문에 개재편(56) 자체는 상방으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 메카니즘은 리필 케이스(20)의 내부에 담겨진 화장 물질(P)에 접근할 수 있도록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를 모두 개방하기 위해서 주 래치 메카니즘(48)과 부 래치 메카니즘(50)을 모두 해제해준다. 상기 구조의 결과로서, 가압편(54)의 단순한 일회적 가압동작에 의해 쉽고 편리하며 동시적으로 두개의 래치 결합 메카니즘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개재편(56)이 내부 커버(24) 및 가압편(54)과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재편(56)과 가압편(54)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서로 다른 색채처리가 가능해진다. 상기한 점은, 가압편(54)의 외관을 화장품 케이스(10)의 외관요건에 적합하도록 용이하게 맞추어줄 수 있으며 또한 개재편(56)이 화장품 케이스(10)의 내부 모습을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한 점은, 양호한 내구성을 갖도록 고내마모재를 사용해서 개재편(56)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이 발휘될 수 있는 동시에 화장품 케이스(10)에 대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색채와 표면다듬질로 가압편(54)과 개재편(56)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이 발휘되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개재편(56)을 적용하게 되면, 바람직한 타입의 해제동작, 바람직한 정도의 해제판(56a)의 기울어짐 및 바람직한 정도의 내부 커버(24)의 개방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가압편(54)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발휘되는 것과 같은 다른 장점을 제공해준다.
도 18과 도 19는, 피봇립(56c)이 해제판(56a)의 전면하부 가장자리상에 형성되어 있는 이전의 세번째 실시예에서 제시되었던 개재편(56)의 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피봇립(56c) 대신, 상기 변형예는 해제판(56a)의 전면하부 가장자리상에 구나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는 둥근 피봇(56e)을 제공해준다. 더욱이, 피봇 오리피스(52k)는 내부 트레이(52)상의 절개부(56h)내에 둥근 피봇(56e)을 위한 지지부로서 형성된다. 피봇 오리피스(52k)가 그 상측에서 둥근 피봇(56e) 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편 그 하측에서 상기 둥근 피봇(56e) 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피봇 오리피스(52k)는 해제판(56a)의 경사각이 변함에 따라 둥근 피봇이 회전하게 되는 고정점에 둥근 피봇(56e)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한 변형예는 세번째 실시예에 적용된 멈춤편(56d)이 사용될 필요를 없애주며 또한 개재편(56)의 하부가 접속편(54c)의 슬롯(54d)내에 존재하는 단순한 샤프트 구성이 되도록 해준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54)이 외부 커버(16)과 내부 커버(24)를 개방하도록 가압될 때, 구동부(56b)는 연결편(54c)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봇 오리피스(52k)내의 둥근 피봇(56e)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결과로서 해제판(56a)이 위로 기울어지게 한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화장품 케이스(10)는;
외부 케이스(12),
외부 케이스(12)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외부 커버(16),
내부 트레이(52)내의 첫번째 격실(52b)에 대해 착탈가능한 리필 케이스(20)의 내부 케이스(22),
내부 케이스(2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내부 커버(24),
외부 커버(16)와 외부 케이스(12) 사이에 장착되어 외부 커버(16)와 내부 케이스(12) 사이에 개폐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는 주 래치 메카니즘(48),
내부 케이스(22)와 내부 커버(24) 사이에 장착되어 내부 케이스(22)와 내부 커버(24) 사이에 개폐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는 부 래치 메카니즘(50),
외부 케이스(12)에 장착되어 주 래치 메카니즘(48)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가압편(58), 및
외부 케이스(1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12)와 내부 커버(24) 사이에 위치되며, 또한 가압편(58)의 이동에 의해 주 래치(50)를 해제할 수 있는 가요편(60)으로 구성된다.
가압편(58)은 속이 빈 사각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외부 케이스(12)의 절개부(12e)내에 장착된다. 가압편(58)은, 외부 작동부로서 접촉편(58a)을 포함하고, 외부 커버(12)내의 절개부(12e)의 폭(L4)과 거의 같은 폭 크기를 가지며, 또한 절개부(12e)내에서 꽉 끼워져 느슨해짐이 없이 활주할 수 있다. 판 스프링(58b)은 접촉부(58a)의 각 측부에 부착되어 절개부(12e)내에 접촉부(58a)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부 트레이(52)의 전면과 접촉하게 된다. 판 스프링(58b)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은 외부 케이스(12)에 대해서 늘어난 상태로 접촉부(58a)를 유지해준다.
두번째 래치(48f)는 전방 가장자리의 중앙부에 외부 커버(16)의 연장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첫번째 래치(48e)는 접촉부(58e)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로 형성되어 있다. 두번째 래치(48f)와 첫번째 래치(48e)는 주 래치 메카니즘(48)을 구성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6)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두번째 래치(48f)는 내부 트레이(52)의 플랜지(52e)내에 형성된 첫번째 오리피스(52m)를 통해서 연장되어 첫번째 래치(48e)와 체결된 결합부를 형성한다.
두번째 래치(50f)는 내부 커버(24)의 개구측의 가장자리위에 형성되며, 또한 첫번째 래치(50e)는 내부 케이스(22)의 우측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두번째 래치(50f)와 첫번째 래치(50e)는 부 래치 메카니즘(50)을 구성한다. 내부 커버(2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두번째 래치(50f)는 내부 커버(24)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첫번째 래치(50e)와 체결되는 결합부를 형성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편(60)은, 가압편(58)의 내측방향 운동이 가요편(60)을 상방으로 구부려서 내부 커버(24)가 개방되도록 가압하는 방식으로 내부 커버(24)와 가압편(58) 사이에 위치된다. 가요편(60)은 내부 트레이(52)의 첫번째 오리피스(52m) 후방에 형성된 두번째 오리피스(52n)내에 위치되며, 또한 외부 커버(16)가 폐쇄될 때 첫번째 오리피스(52m)는 두번째 래치(48f)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요부(60a)는, 연결부(60a)를 통해 내부 트레이(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두번째 오리피스(52n)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블록(58c)은 접촉부(58a)의 후방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후방 단부상에 경사면(58d)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경사면(58d)은 가요편(60)의 하부와 접촉하도록 정향되어 있다. 가요편(60)의 상면은 내부 커버(24)의 하측과 접촉하고 있으며, 또한 하면은 외부 케이스(12)의 바닥부(12b)와 접촉하고 있다. 스토퍼(12h)는 가요편(6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외부 케이스(12)의 바닥부(12b)상에 형성된다.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대응하는 주 래치 메카니즘(48)과 부 래치 메카니즘(50)이 폐쇄되어 체결되며, 또한 가압편(58a)은 판스프링(58b)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신장된 위치에 유지된다(도 23). 이러한 상태에서, 접촉부(58a)의 외면은 외부 케이스(12)의 전면과 거의 같은 면상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가요편(60)은 하강된 상태에 있어서 작동 블록(58k)의 경사면과 접촉하고 있다.
도 2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58b)에 의해 발생되는 역압력에 대항해서 가압편(58)에 압력을 가하면 주 래치 메카니즘(48)이 해제되며, 이때 블록(58c)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가요편(60)으로 경사면(58d)을 밀어주어 가요편(60)이 위로 상승하게 한다. 스토퍼(12h)가 가요편(6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요편(60)은 연결편(60a)의 탄성적인 구부러짐에 따른 결과로서 위로 상승하게 되어 부 래치 메카니즘(50)을 해제하도록 내부 커버(24)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메카니즘을 통해 부 래치 메카니즘(50)과 주 패치 메카니즘(48)을 해제하게 되면 외부 커버(16)와 내부 커버(24)가 개방되게 된다. 주 래치 메키니즘(48)과 부 래치 메키니즘(50)은 가압편(58)의 동작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해제되게 된다.
단일의 가압편(58) 변위운동에 의해 외부 커버(16)과 내부 커버(24)가 개방되기 때문에,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를 가진 화장품 케이스를 개방하기 위해서 매우 쉬우며 편리한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특히, 가요편(60)은 주 케이스 측부에 장착된 내부 트레이(52)의 구성부품으로서 작동되기 때문에, 내부 트레이(52)와 가요편(60)은 단일편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점은 필요한 제조공수를 줄여주고 화장품 케이스의 부품수를 줄여주는 한편 화장품 케이스를 만드는 데 필요한 조립공수를 줄여주는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가요편(60)이 내부 트레이(52)의 일체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가요편(60)이 화장품 케이스 구조내에서 덜커덕 거리거나 진동하거나 또는 느슨하게 풀리지 않게 된다.
도 25와 도 26은 가요편 타입의 래치 해제 메카니즘에 대한 다른 가능한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주 래치 메카니즘(48)의 첫번째 래치(48e)는 가압편(48)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지 않고 외부 케이스(12)의 일체적인 부품으로 형성되며 그 결과 가압편(58)의 일체적인 부품인 경사편(58h)의 전진운동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 특히, 래치(12i)는 외부 케이스(12)의 절개부(12e)내에 형성된다. 첫번째 래치(48e)는 래치(12i)의 상단부상에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가압편(58)은, 동작부(58e)와 수평활주바(58f)로 이루어진 L형 구조로 형성된다. 경사편(58h)은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첩촉부(58e)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에서 위로 기울어져 있다. 두개의 래치가 체결결합을 형성하고 있을 때, 경사편(58h)의 상부 가장자리가 첫번째 래치(48e)의 표면과 두번째 래치(48f)의 하부 가장자리에 기대어져 위치된다.
활주바(58f)가 래치(12i)의 하단에 형성된 통로(12j)를 통해 삽입된다. 경사 단부면(58d)이 활주바(58f)의 단부에 형성되어 가요편(60)의 하단과 접촉되어 있다. 가압편(58)의 외측방향 운동량을 제한하기 위해서 멈춤독(58g; stop dog)이 활주바(58f)의 바닥면상에 형성되어 외부 케이스(12)의 바닥(12b)내에서 안내 채널(12k)을 타고 이동한다.
외부 커버(2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가압편(58)을 밀어주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편(58h)이 래치(12i)를 타고 위로 올라가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래치(48f)를 위로 밀어 해제시켜 주며, 또한 그에 의해 주 래치 메카니즘(48)을 해제시켜 준다. 동시에, 활주바(58f)의 경사면(58d)이 가요편(60)을 위로 밀어주어(네번째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래치 메카니즘(50)을 해제시켜 준다.
도 28 내지 도 37은 화장품 용기(22a)를 밀봉하기 위해 적용되는 밀봉 메카니즘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리필 케이스(20)는 화장품 케이스(10)에 대해 장착과 탈착이 가능한 동시에 소위 "컴팩트"라고 일컬어 지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탈착가능한 타입의 것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이미 언급된 실시예로서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내부 커버(10)의 하면에 형성된 링상의 밀봉융기부(30)가 밀봉링(28)의 밀봉헤드(28a)의 외주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도 31 내지 도 34는 일정한 타입의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커버(24)의 하면에 형성된 밀봉융기부(30)가 밀봉헤드(28a)의 내부 주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도 35 내지 도 37은, 밀봉링(28)이 내부 커버(24)에 장착되며 또한 밀봉융기부(30)가 내부 케이스(22)위에 형성되는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내부 커버(24)의 밀봉융기부(30)상에 형성되는 두번째 경사면(34)의 각 "θ2"가 첫번째 경사면(32; 밀봉링(28)의 밀봉헤드(28a)상에 형성된)의 각 "θ1"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상기 밀봉 메카니즘의 실시예와 같은 동작 메카니즘과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은 두번째 경사면(34)의 각 "θ2"을 90도 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각은 90도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29는, 갭이 위로 향한 링형상의 돌출부(28m)에 의해 밀봉링(28)의 주변에서 내부 케이스(2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구조를 보여준다. 돌출부(28m)는 화장품 용기(22a)의 내부와 외부 영역을 형성하며 또한 내면(22e) 보다 더 높은 레벨에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공간 "δ"는, 화장 물질이 화장품 용기(22a)의 외부 주변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밀봉링(28)과 링형상의 융기부(28m) 사이에 형성된다.
도 30에 있어서, 융기부(28m)는, 밀봉링(28)의 외부 주변에서 내부 케이스(22)의 상부 경계상에 장착된 분할링편(42)에 의해 형성된다. 원형홈(22n)은, 분할링편(42)을 위한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밀봉링(28)의 외부 주변에 형성된다. 립(42s)은 링편(42)의 내부 경계상에 형성되며 또한 밀봉링(28)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밀봉링 외부립(28d)위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링편(42)은, 밀봉링의 외부경계상에서 홈(22d)내에 상기 링을 유지함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22)에 밀봉링(28)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이 구조는 홈내에 탄성링을 가압해서 삽입하는 더 곤란한 방법과 비교해볼 때 더욱 편리한 밀봉링의 장착수단을 제공해준다.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링(28)은 화장품 용기(22a)의 외부 경계 개구에 형성된 링홈(22d)내에 장착되며, 또한 첫번째 경사면(34)은 밀봉링(28)의 상부 내측경계상에 형성된다. 링형상의 밀봉융기부(30)는 밀봉링(28)의 내부 주변에서 내부 커버(24)의 하측에 형성되며, 또한 융기부(30)의 외부 주변은 두번째 경사면(34)에 대해 가압접촉되어 있다. 첫번째 경사면(32)의 각 "θ1"은 두번째 경사면의 각 "θ2" 보다 큰 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22p)의 상부는 밀봉헤드(28a)의 외측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밀봉헤드(28a)의 상부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압축 융기부(44)는, 내부 커버(24)의 반경방향 돌출부로서 형성되고, 밀봉헤드(28a)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또한 내부 커버(24)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밀봉혜드(28a)의 상부와 압력접촉하게 된다.
내부 커버(24)가 폐쇄과정에 있을 때, 내부 커버(24)의 두번째 경사면(34)과 밀봉링(28)의 첫번째 경사면(32)에 부착될 수 있는 화장물질은 면(32와 34)상에서 발생되는 상호 마찰적 문지름 작용의 결과로서 제거되며, 이로 인해 밀봉 메카니즘을 위한 효과적인 자체 청소효과를 제공해준다. 더욱이, 내부 커버(24)가 완전히 폐쇄될때, 압축융기부(44)는 밀봉링(28)과 압력접촉되며, 이로 인해 밀봉 메카니즘의 효과를 증대시켜주기 위한 추가적인 밀봉점을 만들어준다.
도 32는, 융기부(30)상에 형성된 두번째 경사면(34)의 각 "θ2"는 밀봉헤드(28a)상에 형성된 첫번쩨 경사면(32)의 각 보다 훨씬 더 큰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각 "θ2"는 거의 직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져 있는, 밀봉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더욱이, 각 "θ2"는 90도를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3은, 밀봉링 홈(28e)이 첫번째 경사면(32)의 반대편에 있는 밀봉링(28)의 상부 외측주변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 메카니즘을 제시한다. 홈(28e)은 보다 작은 인접 밀봉링 단면을 제공하며, 그것에 의해 당해 영역내의 탄성변형을 지원하게 된다. 더욱이, 홈(28e)은, 밀봉링(28)이 외측방향에서 탄성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홈(22d)내에 공간 "δ"를 제공해준다. 본 실시예는 화장품 용기(22a)를 위한 고도로 효율적인 밀봉효과를 제공해주며 그것에 의해 밀봉링(28)이 경사면(32와 34)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호 마찰적 문지름 작용중에 외측방향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해준다.
도 34는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돌출부(22p)는 밀봉링(28)의 외부 주변과 접촉하는 분리링부(46)에 의해서 내부 케이스(22)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다. 홈(22n)이 링부(46)의 장착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밀봉링(28)의 상부 외측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립(46a)은 링부(46)의 상부 내측주변에 형성되는 한편 가장자리(28f)는 밀봉링(28)의 상부 외측주변에 형성되며, 립(46a)은 가장자리(28f)에서의 접촉을 통해 밀봉링(28)을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링(28)은 링부(46)과 홈(22d)에 의해 내부 케이스(22)에 효과적으로 고정되며, 링부(46)는 밀봉링(26)을 상기 링의 외부주변에 유지해준다. 상기 구조는, 탄성링을 홈에 가압삽입하는 좀더 난해한 공정과 비교해볼 때 내부 케이스(22)에 밀봉링(28)을 장착하는 더 손쉬운 수단을 제공해준다.
도 35는, 융기부(30)가 상부 주변에 화장품 용기(22a)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형성되는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링 채널(24c)은 융기부(30)의 반대편에 있는 내부 커버(24)의 하면상에 형성되며, 또한 밀봉링(28)은 링채널(22c)내에 장착된다. 밀봉헤드(28a)는 밀봉링(28)의 하단부상에 형성되고, 첫번째 경사면(32)은 밀봉링(28)의 외부 주변상에 형성되며, 또한 두번째 경사면(34)은 첫번째 경사면(32)의 반대편에 있는 융기부(30)의 내부 주변상에 형성된다. 첫번째 경사면(32)의 각 "θ1"은 두번째 경사면(34)의 각 "θ2" 보다 작게 되어있다. 융기부(30)에 의해 형성된 내부 케이스(22)의 상면은 융기부(30)의 하부 내측주변에 위치된 면(22e) 보다 높은 점에 존재한다. 가장자리(24d)는 밀봉헤드(28a)의 하단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링채널(24c)의 하부 내측주변에 형성되어 밀봉링(28)의 내측방향 팽창을 방지해준다.
상기 구조에 의해, 밀봉헤드(28a)상의 첫번째 경사면(32)은 내부 커버(24)가 폐쇄될 때 융기부(30)상의 두번째 경사면(34)과 접촉하게 되며, 또한 부착된 화장품 재료를 융기부(30)외 밀봉링(28)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면(32와 34) 사이에서 상호 마찰적 문지름 작용이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커버(24)가 폐쇄되는 동안에 상기 메카니즘은 밀봉면을 청소하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도 36은, 내부 케이스(22)의 융기부(30)상에 형성된 두번째 경사면(34)의 각 "θ2"가 거의 직각을 이룸과 아울러 밀봉헤드(28a)상에 형성된 첫번째 경사면(32)의 각 "θ1" 보다 큰 각을 이루고 있는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본 케이스에 있어서 각 "θ2"는 90도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37은, 밀봉링 홈(28g)이 첫번째 경사면(32)의 반대편에 있는 밀봉링(28)의 외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링 채널(28g)은 밀봉링(28)내에서 보다 작은 인접단면적을 형성해서 밀봉링의 탄성변형에 도움을 준다. 링채널(28g)은, 밀봉링(28)이 내측 반경방향에서 변형될 수 있게 해주는 공간 "δ"를 만들어준다. 상기 구조는 경사면(32와 34) 사이에서 발생되는 상호 마찰적 문지름 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밀봉링(28)의 내측방향 변형을 활용함에 의해서 증대된 밀봉 효율을 제공해준다. 더욱이, 밀봉링(28)이 융기부(30)에 의해 밀봉헤드(28a)에 가해지는 압력의 결과로서 내측 방향에서 변형되기 때문에, 가장자리부(24d)내에 형성된 절개부(24e)는 밀봉헤드(28a)의 활주길이를 제한해준다. 본 메카니즘은, 밀봉면 사이에서 상호 마모적인 문지름 작용으로부터 기인하는 화장 물질의 제거효과를 발휘해줄 뿐만아니라 청소효과를 극대화해주기 위한 적정레벨의 탄성변형을 제공해준다.
리필 케이스(20)의 힌지부(26)를 위해 제공되는 절개부(12d), 용기 공간(18)과 리브(18e)의 구조, 용기 공간(18)과 오리피스(12f)의 구성, 밀봉링(28)과 링융기부(30)에 의해 형성된 밀봉 메카니즘, 및 가압편 조립체의 디자인에 관한 상기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른 실시예들과 변형예들을 포괄한다.
도 38과 도 39는 리필 케이스(20)를 도시하고 있다. 리필 케이스(20)의 기초 구조는 화장품 용기(62a)가 형성된 본체(62)와 화장품 용기(62a)의 내부 영역을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본체(6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64)로 이루어져 있다. 밀봉링(66)은 본체(66)내에 형성된 화장품 용기(62a)의 주변 개구주위에 장착되며, 또한 신장된 밀봉부(66a)는 밀봉링(66)의 외부 주변상에 형성된다. 커버(64)는 신장된 밀봉부(66a)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원통형 리브(68)에 의해서 밀봉링(66)의 외부 주변과 결합된다. 커버(64)가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리브(68)의 내면(68a)은 밀봉링(66)의 신장된 밀봉부(66a)의 가장 큰 외경 영역을 문지르는 동시에 가압하게 된다.
커버(64)는, 화장품 용기(62a)의 내부 영역을 덮거나 노출시키기 위해서 힌지(26)에 의해 본체(62)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50)는 폐쇄된 상태로 커버(64)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본체(62)와 커버(64) 사이의 전면 가장자리에 적용된다. 커버(64) 후방 중앙부의 연장된 부분으로 형성된 외부 힌지부(26b)는, 본체(62)의 후방 중앙부의 연장된 부분으로 형성된 내부 힌지부(26a)위에 장착된다. 힌지핀(26)은 외부 힌지부(26b)와 내부 힌지부(26a)를 통해서 삽입된다. 힌지(26)는, 커버(64)가 밀봉링(26)을 부드럽우며 균등하게 가압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래치 메카니즘(50)은, 본체(62)의 전방 중앙부 가장자리에서 홈(62b)내에 형성된 첫번째 래치(50a)와 전면 중앙부 가장자리에 커버(64)의 연장부로서 형성된 두번째 래치(50b)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63)이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첫번째 래치(60a)와 두번째 래치(50b)는 체결된 래치 메카니즘을 형성하도록 상호체결된다.
밀봉링(66)은 고무나 다른 탄성 재료로 제조되어 개구의 외부 주변 둘레에 위치된 채널(62f)내에서 화장품 용기(62a)에 장착된다. 하부 밀봉부(62g)는, 밀봉부의 내측 반경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봉링(66)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하부 채널(62f)내에 삽입되며, 또한 내부벽(62h)에 의해 가압된다. 밀봉홈(66c)은, 팽창된 밀봉부(66a)의 내측 반경방향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팽창된 밀봉부(66a)의 반대편에 있는 밀봉링(66)의 내부 주변에 제공된다.
팽창된 밀봉부(66a)의 상부 영역은 링 채널(62f)내에 형성된 영역(62i)내에 위치된다. 외부 밀봉부(66a)의 가장 큰 외경과 채널(62f)의 내벽 사이의 영역은, 원통형 립(68)이 외부 밀봉부(66a)를 가압함에 따라 원통형 립(68)이 진입하는 공간 "δ2"을 형성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면(66e)은, 밀봉링(66)의 상면(66d)에서 시작해서 직경의 크기가 증대되도록 하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테이퍼면(66e)에 의해 형성된 가장 큰 직경이 끝난 직후에 외부 밀봉부(66a)의 단면은 급하게 내측으로 변하게 된다. 밀봉링(66)의 상면(66d)이 화장품 용기(62a)의 외부벽(62c)과 같은 높이로 되어있지만, 외부벽(62c)의 높이 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것은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원통형 리브(68)은, 밀봉링(66)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밀봉링(66)의 윤곽에 의해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형성되며, 또한 커버(64)의 바닥부(64a)와 일체로 형성된 낮은 원통으로 되어있다. 상기한 구조들로 인해서, 리브(68)는 밀봉링을 위로 활주시킴과 아울러 밀봉부(66a)를 가압함에 의해서 밀봉링(66)의 외부 주변에 결합부를 형성한다. 모따기부(68b)는 밀봉링(66)위로 리브(68)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리브(68)의 내부 주변의 단부에 제공된다.
커버(6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원통형 리브(68)의 내벽(68a)은 외부 밀봉부(66a)의 외경과 압력접촉하게 되어 화장품 용기(62a)의 효과적인 밀봉을 실현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밀봉 메카니즘은 내부에 담겨진 용제의 증발을 막아줌에 의해서 화장 물질(P)를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더욱이, 밀봉링(66)이 화장품 용기(62a)에 인접해있기 때문에, 화장 물질(P)을 용기(62)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해 분첩이나 유사한 용구를 사용하게 되면 보통 화장 물질의 일부가 밀봉링에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64)의 폐쇄 작용은 리브(68)와 팽창된 밀봉부(66a) 사이에서 마찰적인 문지름 작용을 발생시키며, 상기 문지름 작용은 밀봉링(66)에 부착될 수 있는 화장 물질(P)을 제거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폐쇄된 커버(64)를 이용해서, 화장 물질의 잔여분이 청소된 밀봉면상에 원통형 립(68)에 의해 팽창된 밀봉부(66a)를 가압한 결과 타이트하며 효과적인 밀봉이 제공된다.
도 41은, 외부 밀봉부(66a)가 밀봉링(66)의 주변부 주위에 부분적으로 둥근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밀봉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둥근 채널(66c)이, 외부 밀봉부(66a)의 반대쪽에서 비슷한 단면을 가지도록 밀봉링(66)의 내부 주변부에 형성된다. 상기 구조는, 원통형 립(68)의 내부 주변과 외부 밀봉부(66a)의 외부 주변 사이에서 마찰적 문지름 작용 타입의 밀봉작용을 형성하게 해준다. 외부 밀봉부(66a)가 화장 물질의 잔여분이 청소된 밀봉면상에서 원통형 립(68)의 내부 주변에 의해 가압되는 결과로서, 효과적인 밀봉이 화장품 용기(62a)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외부 밀봉부(66a)가 부분적으로 둥근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 있어서, 계단부(62d)가 화장품 용기(62a)의 벽(62c)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며, 또한 계단(62d)의 외부 주변은 그 내부 주변 보다 낮게 형성된다. 링 채널(62e)은 벽(62c)의 주변 둘레에서 계단부(62d)의 바닥에 형성된다. 밀봉링(66)의 단부는 전체 주변부를 따라서 계단부(62d)로 연장된다. 공간 "δ2"는 밀봉 연장부(66f)와 계단부(62e) 사이의 영역내에 형성된다. 연장부(66f)의 선단은 링 채널(62e)내에 고정된다. 연장된 밀봉부(66a)로부터 밀봉 연장부(66f)까지 연장된 내부 영역은, 개방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밀봉홈(66f)과 공간 "δ2"에 의해서 벽(62c)으로부터 분리된다.
압축 융기부(64b)는 커버(64)의 하면(64a)상에 형성되어 밀봉 연장부(66f)의 상면(66d)과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커버(6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융기부(64b)가 밀봉 연장부(66f)를 가압하게 된다. 커버(64)가 폐쇄될 때 가압융기부(64b)가 밀봉 연장부(66b)의 상면(66d)에 압력을 가해줌에 따라, 이 압력은 외부 밀봉부(66a)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그것에 의해 리브(68)의 주변벽(68a)에 대해 여전히 압력을 가해주게 된다. 상기 메카니즘은 밀봉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밀봉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팽창된 밀봉부(66a)는 부분적으로 둥근 단면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면(66d)은 화장품 용기(62a)의 주변에서 벽(62c)의 계단부(62d)를 따라 연장된다. 공간 "δ3"은 밀봉 연장부(66f)와 계단부(62d) 사이에 형성되며, 또한 밀봉 연장부(66f)의 선단은 채널(62e)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융기부(66b)는 커버(64)의 하부측(64a)에 인접한 밀봉 연장부(66f)의 상면상에 형성된다. 커버(6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융기부(66b)는 밀봉 연장부(66f)를 가압하게 된다. 커버(64b)가 폐쇄될 때 융기부(66b)가 밀봉 연장부(66f)의 상면에 증대된 압축 압력을 가해주기 때문에, 이 압력은 외부 밀봉부(66a)를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주변(68a)에 여전히 압력을 가해주게 된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서는 밀봉링(66)이 본체(62)에 장착된 한편 원통형 리브(68)는 커버(64)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밀봉링(66)을 커버(64)에 장착하는 동시에 원통형 리브(68)를 화장품 용기(62a)의 주변 개구둘레에 있는 본체(62)에 장착하는 것은 가능할 뿐만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바람직하기까지 하다.
도 44는, 리필 케이스(20)가 화장 물질이 담겨진 공간인 주 케이스(70)와 상기 물질이 담겨진 공간을 밀봉할 수 있는 커버(72)로 구성되어 있는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미 거론된 바와 같이, 리필 케이스(20)는 주 화장품 케이스에 삽입되는 동시에 주 화장품 케이스에서 제거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타입의 것이며 또한 소위 컴팩트로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주 케이스(70)와 커버(72)는 폴리프로필렌이나 다른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홈이 형성된 부분(26a)과 연장부(26b)는 주 케이스(70)와 커버(72)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또한 힌지핀(26c)은 커버(72)를 주 케이스(70)에 피봇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외부 힌지부(26b)와 내부 힌지부(26a)를 통해서 삽입된다. 첫번째 래치(50a)와 두번째 래치(50b)는 케이스(70)와 커버(72)중 힌지의 반대편에 제공되며, 두 래치편은 커버(72)를 폐쇄된 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서로 연결된다.
화장품 용기(70a)는 주 케이스(70)내의 평평하게 바닥이 형성된 둥근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다량의 증발가능한 용제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는 화장 물질(P)이 채워져 있다.
밀봉링(28)은, 커버(72)의 내면(72a)에 장착되고, 고무나 다른 유사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또한 화장품 용기(70a)의 개구 보다 더 큰 개구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커버(72)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밀봉링(28)이 용기(70a)의 개구 둘레에서 주 케이스(70)의 상부 주변에 대한 가압밀봉을 제공해준다.
오목면(74)이 커버(72)의 내면(72a)상에서 밀봉링(28)의 주변내에 형성되며, 그것은 부분적인 반구형을 이룬다. 굴곡진 경사면(74c)은, 천정부(74a)와 하부 주변(74b)으로 규정되어 있는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돔형상으로 되어 있다. 오목면(74)의 주변에 있는 평평한 영역은 화장품 용기(70a)의 윤곽과 거의 같은 윤곽으로 형성된다. 커버(72)가 폐쇄된 위치에 있게 될때, 오목면(74)의 주변부(74b)는 화장품 용기(70a)의 주변부(70b)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도 45와 도 46은, 응결된 액적이 화장 물질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메카니즘의 첫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온 환경에 리필 케이스(20)를 위치시키면 화장 물질(P)내에 있는 오일에 기반을 둔 성분이나 다른 용제 성분의 증발이 촉진된다. 주위 온도가 떨어질 때까지 밀봉링(28)에 의해 제공된 밀봉 효과에 기인하여 증발된 용제가 리필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내에 모아지며, 이로 인해 리필 케이스(20)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용제들이 커버(72)의 내부 표면(72a)에 모여진 액적으로 응결된다.
증발된 용제의 연속적인 응결은 커버홈(74)상에 모이는 액적(D)의 증가를 초래한다. 그러나, 화장 물질로 낙하하기 전에, 액적(D)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부(74a)로부터 외부 주변(74b)에 이르기까지 굴곡진 경사면(74c)을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하게 될 것이다. 커버(72)의 내측에서 가장 낮은 지점인 외부 주변(74b)에 도달하자마자, 액적(D)은 화장 물질(P)의 외부 주변 영역으로 낙하된다.
본 방식에 있어서, 액적(D)의 유동은 구부러진 경사면(74c)을 따라서 외부 주변(74b)까지 안내되며, 이에 따라 액적(D)이 화장 물질(P)의 중심 영역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메카니즘은, 물질(P)의 표면 상태가 시각적으로 경쾌하고, 유용하며 또한 순수한 상태로 유지되게 해준다.
용제 증발에서 발생되는 화장 물질(P)의 수축에 따라서 화장 물질(P)과 화장품 용기(70a)의 내부 주변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오목면(74)의 외부 주변(74b)과 화장품 용기(70a)의 외부 주변(70b)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오목면(74)상에 형성된 액적(D)이 주변 영역으로 유동하여 공간(S)에 떨어져서 결국 화장 물질(P)에 재흡수되게 된다.
도 47과 도 48은, 리필 케이스내에서 응결된 액적이 낙하되지 않도록 해주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경방향으로 정향된 홈들이 응결 액적을 주변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해주는 수단으로 오목면(74)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면(74)이 커버(72)의 내면(72a)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둥글게 홈이 진 영역이 천정부(74a)에 형성되어 있다. 방사상 채널(74b)이 오목면(74)의 주변에 링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홈(74d)은 경사진 오목면(74c)상에 형성되어 상기 링형상의 홈과 연결된다.
리필 케이스(20)가 상기한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오목면(74c)상에 형성된 응결 액적은 홈(74d)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하여 방사상 채널(74b)에 도달하게 된다. 방사상 채널(74b)내에 모아진 액적들은 그때 화장 물질(P)의 주변 영역으로 낙하되어 복귀되며, 이에 따라 중심 영역에 액적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오목면(74)상의 홈(74b)은 평평한 돔면에 비해 더 큰 표면 영역을 제공해주며, 이에 따라 홈(74d)내에서의 용제 액적의 응결이 촉진된다. 더욱이, 홈(74d)이 응결 액적의 수집을 위한 확대된 면 영역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더 많은 액적들이 조기 낙하의 위험없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방사상 홈(74d)은, 오목면(74)을 따라 상기 액적들이 배치되는 주변(74b)에 이르도록 부드럽우며 조절된 액적의 유동이 일어나게 해준다.
본 실시예는 리필 케이스(20)를 방사상 홈(74d)이 형성된 것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상기 홈들은 경사면의 방사상 윤곽에 따른 단이 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구조는 다른 타입의 홈 형태와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응결 액적의 처리기능을 제공해준다.
도 49와 도 50은, 주변 격실들이 도 47의 실시예에 도시된 방사상 홈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리필 케이스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9의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면(74)이 커버(72)의 내면(72a)상에 형성되며, 또한 다수의 방사상 홈(74d)에 더하여 다수의 동심 원형 융기부들이 중심을 이루는 천정부(74a)와 함께 경사면(74c)상에 격실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리필 케이스(20)는, 응결된 액적이 주변(74b)에 모이도록 방사상 홈(74d)을 따라서 유동하게 될 뿐만아니라 동심적인 주변 격실(74e)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수집된다. 이러한 구조의 홈(74d)과 격실(74e)은 유효 표면영역을 확대시키며, 이에 따라 증발된 용제의 응결을 촉진시키고, 화장 물질의 표면에 액적이 미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또한 오목면(74)을 따라서 주변(74d)에 이르게 되는 액적의 부드러운 유동을 도와주게 된다.
도 51은, 리필 케이스(20)이 커버(72)의 내면에 장착된 분리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홈(72b)은 커버(72)의 내면(72a)상에 형성되며, 또한 밀봉링(76)과 오목판(77)이 홈(72b)에 장착된다. 오목판(77)은 천정부(77a)의 중앙에 위치되어 들어올려진 중심부를 구비한 오목한 디스크 형태의 것이며, 또한 그에 의해 상기 천정부로부터 판주변(77b)에 이르기까지 경사면(77c)을 형성한다. 링형상의 리브(77e)는 오목판(77)의 판 주변상에 형성된다.
오목판(77)은 밀봉링(76)의 내부 주변에 삽입되는 한편 커버(72)의 하면상에서 홈(72b)에 부착된다. 내부 플랜지(76a)는 밀봉링(76)의 베이스상에 형성된다. 오목판(77)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77e)는 커버(72)내에 형성된 홈(72b) 내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내부 플랜지(76a)를 내부 커버의 내부 주변에 대해 가압 밀봉한다.
리필 케이스(20)에 대한 상기 실시예는, 오목면(74)이 커버(72)의 일체적 부분으로서 내면(72a)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결과로서, 커버(72)의 재료 두께는 천정부(74a)로부터 주변(74b)까지 연장되는 반경방향에서 점차적으로 증대된다. 결과적으로, 특히 오목면(74)이 깊게 오목한 단면을 가지는 경우들에 있어서 매우 큰 양의 재료가 주변(74b)의 영역에서 커버(72)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제조공정과 커버(72)의 제조에 필요한 수지성형다이와 관련해서 문제가 야기된다. 상기한 일체형 구조를 사용해서 오목면(74)을 깊은 오목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은 비교적 어렵게 된다. 그러나, 만일 커버(72)의 하면이 분리된 요소로서 형성된다면 커버(72)의 두께는 그 하부면의 경사각과 관계가 없게 된다. 따라서, 하부면이 커버내의 효과적인 응결 액적 처리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72)의 하부면과 오목판(77) 사이의 접촉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공간(F)은 두 구조들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 주위온도의 변화와 관련해서 리필 케이스(20)의 내부영역을 위해 단열효과를 제공해준다. 이 효과의 결과는 리필 케이스(20)내의 응결이 어느 정도 억제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단열재가 증발된 용제에 기인하는 응결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공간(F)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오목판(77)과 커버(72)를 분리해서 구성하게 되면 이 요소들을 다른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판(77)의 재료를 상기 커버의 외관이나 장식적 요구에 따라 선정하지 않고 케이스내의 응결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단열효과에 따라서 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커버(72)의 오목한 하부면을 둥근 형태로 설명하고 있지만, 타원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들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구조와 메카니즘이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오목면의 가장 높은 지점이 커버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전술한 가장 높은 지점은 커버내의 다른 영역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경사커버의 하부면을 구부러진 오목판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우산 형태·원추 형태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와 같은 직선으로 기울어진 하부면이 채택될 수 있다.
도 52와 도 53은, 주 케이스(70)가 리필 케이스(20)의 중앙에 거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화장품 용기(70a)를 구비하고 있는 리필 케이스(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커버(72)는 리필 케이스(20)의 상부 외면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다른 힌지부(26b)와 두번째 래치편(50b)에 의해 리필 케이스(20)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래치편은 외측 커버(7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72)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커버(20)는 리필 케이스(20)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 커버판(80)은 화장 물질(P)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외측 커버(78)의 상부면(78a)은 환경에 노출된 리필 케이스의 일부분이다. 응결 공간(Q)은 외측 커버(78)의 하부면(78b)과 내부 커버판(80)의 상부면(80a)에 제공된다.
복수 환기 오리피스(80d)의 메트릭스 패턴이 응결공간(Q)과 내부 공간(R)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커버판(80)내에 형성된다. 원형립(80d)이 내부 커버판(80)의 주변부(80c)에 형성된다.
밀봉링(76)이 주변부(80c)에서 내부 커버판(80)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밀봉링(76)은 가요성 고무나 다른 단성재로 구성되는 한편 링상부 주변부(76b)와 링플랜지(76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밀봉링(76)은 화장품 용기(70a)의 반경 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커버(72)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리필 케이스(20)와 가압접촉상태에 있게 된다. 링 플랜지(76a)는 내부 커버판(80)의 주변부(80c)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내부 커버판(80)의 립(80d)을 외부 커버(78)의 하부면(78b)과 결합시키기 위해서 초고주파 용접이나 다른 공정을 채택하여 밀봉링(76)을 외부 커버(72)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는 증발된 용제가 존재하는 결과 증발을 통해 내부 커버면상에 형성된 액적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리필 케이스(20)의 능력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공간(R)내에서 용제가 증발된 결과 발생된 김은 공간(R)에 존재할 뿐만아니라 내부 커버내에 제공된 환기공(82)을 통해서 공간(Q)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용제의 김은 내부 커버판(80)의 상부와 하부면(80a와 80b) 뿐만아니라 외부 커버(78)의 하부면(78b)에 응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단일면 커버의 영역에 비교하여 세배의 응결면 영역을 제공해준다.
화장 물질내에 존재하는 증발가능한 용제의 비체적의 관점에서 고려해보면, 내부 커버판(80)의 하면(80c)에 의해 제공되는 응결촉진 능력은 같은 공간내에 존재하는 하부면(78b; 외부 커버(78)상의)과 상부면(80a; 내부 커버판(80))의 결과로서 삼분의 이 정도 감소된다. 더욱이, 공간(Q)내에 형성된 응결 액적들이 내부 커버판(80)의 상부에 있는 면(80a)에 모이게 되는 결과 상기 응결 액적들이 화장 물질(P)상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결과로서, 응결된 액적들이 화장 물질(P)상에 낙하되는 것이 매우 감소될 뿐만아니라 제한된 폐쇄공간내에 상기 액적들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외부 커버(78)의 상부면(78a)은 주위에 노출되는 한편, 상기 면의 온도는 내부 커버판(80) 보다 더 큰 정도로 외부 온도와 관련해서 변하며, 이에 따라 하부면(78b)상에서의 용제의 응결이 증진된다. 따라서, 증발된 용제의 주요한 부분은 응결공간(Q)내에 모이게 되며, 또한 액적이 화장 물질에 떨어질 기회가 결과적으로 줄어들어서 공간(R)내에서 발생되는 응결이 줄어들게 된다.
도 54와 도 55는 환기 오리피스의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54는 오리피스(82a)의 상부 주변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들어올려진 단 구조로서 형성된 립(84)을 도시하고 있다. 립(84)은 상부면(80a; 내부 커버판(80))상에 형성된 응결 액적이 쉽게 오리피스를 통해서 낙하하여 화장 물질(P)상에 모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55는, 상부면(80a)으로부터 바닥면(80b)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오리피스 벽(86)의 직경으로 인해 오리피스(82b)가 단면상 경사진 원추로서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오리피스의 단면이 상부면(80a)상에서 작기 때문에, 상부면에 모이는 응결 액적이 오리피스를 통해서 쉽게 낙하하지 않는다. 본 메카니즘에 추가적인 구조로서, 응결 액적을 소정지점의 화장 물질로 복귀되도록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배출 채널이 커버(72)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6과 도 57은, 본 발명에 의해 규정되는 환기 오리피스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6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환기 오리피스(82c)가 내부 커버(80)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슬릿으로 형성된다. 도 57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슬릿(82d)이 내부 커버(80)내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2)내에 적용된 환기 오리피스는 많은 형태로 형성되어 많은 패턴으로 배치되며, 여전히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장점을 제공해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응결 액적 제어 메카니즘의 두번째 실시예가 도 58에 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일정한 구조가 외부 커버(78)와 마주보는 내부 커버판(8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융기부(80c)가 내부 커버판(80)의 상부면(80a)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또한 외부 커버(78)의 하부면(78b)상에 형성된 돌출부(78c)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 융기부(80c)와 돌출부(78c)는 내부 커버판(80)을 외부 커버(78)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응결 공간(Q)의 높이는 원통형 융기부(80c)나 돌출부(78c)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하여, 환기 오리피스(82c)는 내부 커버판(80)과 외부 커버(78)의 주변 가장자리 사이에 공간으로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응결 공간(Q)과 공간(R)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밀봉링(28)은 내부 커버판(80)의 주변 가장자리를 넘어 외부 커버(78)의 내부 주변에 고정되는 한편 화장품 용기(70a)의 직경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에 의해 커버(78)이 폐쇄될 때 화장품 용기(70a)와 커버(78) 사이에 가압밀봉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공간(R)과 응결 공간(Q)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구조는 내부 커버판(80)의 주변에 환기 오리피스(82e)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개방된 커버(72)는 하부면(80b)을 연속된 평평한 면으로 하부면(80b)을 노출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개방된 상태에서 리필 케이스(20)의 외관을 좋아지게 해준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비교헤서, 본 실시예는 내부 커버판(80)과 외부 커버(78) 사이에 작은 결합 면적을 형성해주며, 이것은 외부 커버(78)의 온도변화의 정도에 관한 내부 커버판(80)의 온도변화의 정도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지는 특징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하부면(80b; 내부 커버판(80)상)에 응결 액적의 형성이 제한되며, 또한 화장 물질(P)에 떨어지는 응결 액적에 거의 변화가 없다.
도 59는 본 발명에 의해 규정된 액적 방지 메카니즘의 세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것에 의해 상기 내부 커버판이 리필 케이스(20)의 일체적 요소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리필 케이스 커버와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커버(78)가 리필 케이스의 분리된 외부면을 형성하며, 또한 두번째 래치편(50b)과 외부 힌지부(26b)는 내부 커버판(80)의 일체적 요소로서 형성된다. 내부 커버판(80)의 하부면(80a)에는 외부 커버(78)의 하부면(78b) 아래에 응결 공간(Q)을 형성하기 위해 홈이 형성된다. 공간(R)이 내부 커버판(80)의 하부면(80b)과 화장 물질(P)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다수의 오리피스(82)가 공간(R과 P)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커버판(80)에 형성된다.
밀봉링(88)이 화장품 용기(70a)의 외부 주변내에 형성된다. 폐쇄된 커버(72)가 밀봉링(88)의 상부 가장자리와 내부 커버판(80)의 하부면 사이에 가압 밀봉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외부 환경을 공간(R) 및 응결 공간(Q)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래치편(50b)과 외부 힌지부(26b)를 합체시키면, 내부 커버판(80)의 일체적 요소로서 그 대응하는 기능들은 외부 커버(78)가 리필 케이스의 분리된 비구조적 요소로서 내부커버(80)에 장착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외부 커버(78)는 내부 커버판(80)에 결합되기 전에 바람직한 외관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분리된 장식적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커버(78)는 여러 재료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는 한편 여러가지 방식으로 장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근본적인 구조의 변화없이 리필 케이스의 외관을 바꿀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여기에서 제시된 리필 케이스 실시예는 거의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리필 케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나 메카니즘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둥글거나, 타원형이거나 또는 다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여기에서 제시된 리필 케이스 실시예들은 화장 물질로 직접 채워진 화장품 용기를 도시하고 있으나, 트레이 타입의 화장 물질 리필 엘리먼트가 화장 물질을 화장품 용기에 위치시키는 수단으로서 채택될 수 있다.
도 60과 도 61은, 다수의 홈 선(90)이 밀봉링(28)의 주변내에서 커버(72)의 내부면(72a)상에 형성되어 있는 리필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1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선(90)은, 내부면(72a)상에 사각형의 선형 채널을 형성하고, 힌지핀(26c)과 평행하며, 또한 화장 물질의 바로 위에 있는 구역을 덮는다.
본 구조는, 커버의 내부면상의 응결 액적이 아래의 화장 물질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홈 선(90)은 같은 크기의 평면에 비해 큰 표면적의 내부면(72a)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각 단위의 표면적에 대해 작은 체적의 잠재적 응결액이 존재하며, 이것은 내부면(72a)상에 액적의 응결을 제한하는 팩터가 된다.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제가 증발되어 형성된 김은 표면(72a)상에서 액적(D)으로 응결되며 또한 액체의 표면장력효과의 결과로 홈 선의 구석에 모이게 된다. 홈 선(90)내의 액적은 인접한 홈내의 액적들과 결합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더 크며 더 무거운 응결 액적의 형성이 제한되며, 또한 액적들이 화장 물질의 표면에 떨어질 기회가 감소된다. 더욱이, 리필 케이스가 개방될 때 커버(72)는 수직으로 서게 되는 한편 홈(90)의 수평 정향은 응결 액적(D)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액적들이 화장품 케이스를 사용하는 사람의 손과 접촉할 기회를 줄여준다.
커버(72)의 폐쇄동작은 홈(90)내의 액적(D)이 더 크며 더 무거운 액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인접한 액적들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위험을 제기하며, 이로 인해 내부면(72a)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화장 물질로 낙하할 기회를 줄여주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부면(72a)은 화장품 용기(70a) 보다 더 큰 표면적으로 형성된다. 낙하하는 여하한 액적들도 주 케이스(70)의 상부면에 내려앉지 않을 것이며 또한 액체의 표면장력효과의 결과로서 밀봉링(28)의 접촉부에 부착하지 않는다. 본 메카니즘은 액적들이 화장 물질(P)의 표면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주며, 이로 인해 응결 액적들이 화장 물질(P)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내부면(72a)에 부착된 어느 화장 물질도 천이나 티슈로 닦음에 의해서 쉽게 홈(90)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장 물질(P)과 내부면(72a) 모두의 경쾌하며 바람직한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도 2의 실시예는 내부면(72a)에 형성된 홈 선(90)이 사각단면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 사각 융기부(90a)는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더욱이,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둥근 홈(90b)이나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둥근 돌출융기부(90c)는 동일한 효과를 제공해줄 것이다. 상기한 것들과 같은 둥근 홈이나 둥근 융기부를 사용하면 각진 홈 코너가 없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천이나 티슈가 융기부상에 걸림이 없이 쉽게 표면을 닦을 수 있다.
도 66은 리필 케이스(20)의 내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내부면(72a)상에 평행선 패턴으로 정향되어 있는 다수의 홈(90)을 제공해주었지만, 도 66의 실시예는 내부면(72a)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코너(72)의 형상에 합치하는 다수의 반복되는 동심의 사각형으로 형성된 홈 선(90d)을 제공해준다. 다른 말로 하면, 각 홈의 길이가 커버(72)의 중앙부에 가까이 위치된 인접한 내부홈의 길이 보다 더 길다.
홈 선(90d)은 응결 액적들이 한 홈에서 다음의 홈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큰 액적의 형성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응결 액적이 화장 물질(P)에 낙하하는 것을 억제해준다. 더욱이, 각 홈의 사각 형상은 홈의 단부가 개방되는 것을 없애주며, 그 결과 심지어 리필 케이스(20)가 경사진 상태에 있을 때에도 액적들이 낙하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도 67은, 화장품 용기(70a)가 주 케이스(70)내의 둥근 공간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화장 물질(P)로 채워져 있는 리필 케이스(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준다. 밀봉링(28)은 화장품 용기(70a)의 주변 개구의 크기에 거의 대응하는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커버(72)의 내부면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72)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밀봉링(28)은 화장품 용기(70a) 주변의 둘레에서 주 케이스(70)의 상부면과 가압접촉하게 된다.
다수의 동심 원형홈(90e)이 밀봉링(28)에 의해 형성된 영역내에서 내부면(72a)상에 형성되어 내부면(72a)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에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내부면(72a)상에 형성될 수 있는 응결 액적의 위치를 유지해주어 상기 액적들이 인접한 액적들과 결합해서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로 인해, 화장 물질(P)에 응결 액적들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원형홈(90e)은 응결 액적들이 빠져나갈 수 있는 단부가 없기때문에, 심지어 리필 케이스(20)가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라도 액적들의 낙하가 방지된다. 더욱이, 홈(90e)이 부드러우며 연속적이기 때문에, 내부면(72a)에 부착된 어느 화장 물질(P)도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68과 도 69는, 다수의 오목부(92)가 커버(72)의 내부면(72a)상의 밀봉링(28)의 주변내에 형성되어 있는 리필 케이스(2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92)는 내부면(72a)상에 매트릭스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함몰부이다. 오목부(92)에 의해 덮혀진 영역은 커버(72)가 폐쇄될 때 화장품 용기(70a)를 정면으로 마주보게 된다.
본 구조는 리필 케이스(20)내에서 응결 액적들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오목부(92)는 같은 외부 치수를 갖는 동등한 펑면에 비해서 내부면(72a)의 표면적을 증대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표면적의 증대로 인해서, 각 단위의 표면적에 대해서 작은 체적의 응결물이 존재하게 된다. 이 효과로 인해서 내부면(72a)상에서 액적들의 응결이 제한된다.
도 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72a)상에 형성된 응결 액적(D)이 액체의 표면장력효과의 결과로서 오목부(92)내에 유지될 수 있다. 오목부(92)가 반구형 공동을 형성하기 때문에, 각 액적상의 비교적 큰 표면적이 오목부의 오목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이것은 오목부로부터 액적들이 낙하되는 것을 제한하는 특징을 나타나게 한다. 심지어 액적들이 비교적 커지게 되는 경우들에 있어서도, 표면적의 증대와 액체의 표면장력효과는 오목부내에 액적들을 부착시키는 한편 액적들이 화장물질(P)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오목부(92)는 그들 사이에 특정한 갭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그 크기는 화장 물질(P)내에 존재하는 용제의 증발예상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많은 양의 용제 증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갭들이 좁아지게 하는 한편 오목부의 수도 증대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적은 양의 용제 증발이 있는 경우에는, 갭이 넓어지게 하는 한편 오목부의 수도 증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은 매트릭스 패턴내에 배열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오목부들은 동심원들상에 배열되거나 방사상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많은 수의 가능한 패턴상에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오목부(92)는 내부 커버(72a)상에 경쾌한 장식적 패턴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크기가 변화될 수도 있다.
더욱이, 오목부(92)는 내부면(72a)내에 일체적 오목부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면(72a)에 장착될 수 있는 분리된 판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1은 오목부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반구형 융기부(92a)는 표면영역을 증대시키는 수단으로서 내부면(72a)상에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단위 표면적상에 응결될 수 있는 용제의 양을 줄여주어 응결 액적의 형성을 제한해준다.
더욱이, 내부면(72a)에 대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평한 모난 코너가 반구형 융기부(92a) 사이의 오목부내에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천·티슈 또는 다른 청소용구는 내부면(72a)에 걸리지 않게 되면서 쉽게 부착된 화장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구조는 내부면(72a)에서 부착된 화장 물질이나 응결 액적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본 발명에 다른 화장품 케이스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필 케이스의 장착과 탈착이 빠르며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짐과 아울러, 리필 케이스 커버와 외부 케이스 커버의 장착이 상기 내부 케이스내에 담겨진 화장 물질로 편리하게 접근하는 데에 있어 아무런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해주고; 본 발명은, 리필 케이스가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장착될 때 단일 동작에 의해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가 개방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해주고; 본 발명은, 특별히 밀봉된 구조를 채택함을 통해서 내부에 담겨진 화장 물질내에서 용제가 증발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해주며; 또한 본 발명은, 화장 물질내의 증발된 용제로부터 형성된 응결물이 상기 물질의 표면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구성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해준다.
도 1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외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제거된 상태에 있는 가압편을 도시하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선 단면도,
도 6은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1의 Vl-VI선 단면도,
도 7은 외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6과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외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 8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 I - X I선 단면도,
도 12는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는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12의 X IV-X IV선 단면도,
도 15는 해제된 상태에 있는 외부 커버를 도시하는 도 1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C부에 대한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D부에 대한 확대도,
도 18은 도 16의 확대단면도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변형예,
도 19는 도 17과 도 18의 확대단면도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변형예,
도 20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X X I - X X I 선 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X X I I - X X I I 선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확대도,
도 24는 가압편 메카니즘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 23의 단면도,
도 25는 도 23 메카니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3 메카니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5의 F부에 대한 확대도로서 도시한 바람직한 화장품 케이스의 밀봉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28 내지 도 37은 도 27에 도시된 밀봉 메카니즘에 대한 가능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에 사용된 밀봉 메카니즘의 가능한 변형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케이스에 대한 정단면도,
도 40은 도 3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밀봉 메카니즘의 확대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밀봉 메카니즘에 대한 변형예,
도 42는 도 40에 도시된 밀봉 메카니즘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도 40에 도시된 밀봉 메카니즘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해 특정된 내부 화장품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45는 부착된 응결 액적이 추가되어 있는 도 44 단면도,
도 46은 부착된 응결 액적의 유동운동이 추가되어 있는 도 44 단면도,
도 47은 내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화장품 케이스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
도 49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
도 50은 도 49에 대한 측단면도,
도 51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52는 화장품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화장품 케이스에 대한 측단면도,
도 54는 화장품 케이스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환기 오리피스의 확대단면도,
도 55는 도 54에 도시된 환기 오리피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도 56은 환기 오리피스의 변형예가 도시된 화장품 케이스 발명에 대한 사시도,
도 57은 환기 오리피스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 화장품 케이스 발명에 대한 사시도,
도 58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변형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59는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60은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
도 61은 도 60 화장품 케이스에 대한 측단면도,
도 62는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돌출선과 홈선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63은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돌출선과 홈선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4는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돌출선과 홈선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5는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돌출선과 홈선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6은 내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7은 내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8은 내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장품 케이스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화장품 케이스에 대한 측단면도,
도 70은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오목부 구조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 71은 본 발명에 의해 선호되는 반구형 돌출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장품 케이스 12 : 외부 케이스
14 : 외부 힌지 16 : 외부 커버
18 : 격실 20 : 리필 케이스
22 : 내부 케이스 24 : 내부 커버
26 : 힌지 매카니즘 28 : 밀봉링
30 : 밀봉융기부 34 : 밀봉면
36 : 가압편 38 : 피봇핀
48 : 주 래치 메카니즘 50 : 부 래치 메카니즘

Claims (27)

  1. 용기 공간을 둘러싼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공간을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외부 커버부;
    상기 외부 커버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커버부를 상기 외부 케이스에 연결하거나 상기 외부 커버부를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연결 해제시켜주는 주 래치 메카니즘;
    상기 용기 공간에 장착되거나 상기 공기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며, 또한 a)용기 본체내에 형성된 화장 물질 유지부, b)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 물질 유지부를 노출시키거나 덮어줄 수 있는 용기 커버부, 및 c)상기 용기 커버부와 상기 용기 본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용기 커버부를 상기 용기 본체부로부터 해제해주는 부 래치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 착탈가능한 용기; 및
    상기 외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주 래치 메카니즘과 부 래치 메카니즘에 의해 유지되는 결합들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는 단동 해제 메카니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동 해제 메카니즘은 상기 외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동작수단으로서 외부 압력이 수동으로 가해지는 가압편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가압편의 한 부분에는 상기 주 래치 결합을 해제시킬 목적으로 첫번째 해제부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가압편의 다른 한 부분에는 상기 부 래치 결합을 해제시킬 목적으로 상기 용기 공간까지 연장되어 있는 두번째 해제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첫번째 해제부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커버부 사이에 가해지는 반대의 작동압력에 의해서 상기 주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커버부 사이에 장작되며; 또한
    상기 가압편의 두번째 해제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가해지는 반대의 작동압력에 의해서 상기 부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장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동 해제 메카니즘이,
    상기 외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가해지는 작동압력에 의해서 주 래치를 해제해주는 가압편; 및
    상기 용기 공간내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편의 신장부로서 동작하는 한편 상기 부 래치를 해제하도록 사용되는 개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커버부 사이에 반대의 동작압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주 래치를 해제할 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개재편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반대의 동작압력을 가함에 의해 상기 부 래치를 해제할 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래치는 상기 가압편의 일체적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상기 주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대향하는 케이스나 커버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나 상기 외부 커버부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며; 또한
    상기 개재편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반대의 작동압력을 가함에 의해서 상기 부 래치를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편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체적인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용기의 상기 용기 커버부가 힌지부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며,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부 래치의 반대편에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용기 공간이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주변벽에 의해 상기 외부 케이스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용기 공간은 상기 착탈가능한 용기의 외부 치수 보다 더 큰 치수로 형성되고;
    절개부가 상기 주변벽내에 상기 힌지부를 위한 장착 공간을 제공해주는 수단으로서 상기 주변벽내에 제공되며, 또한 상기 힌지부는 장착상태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며; 또한
    약간 돌출된 립부가 상기 용기 공간내에 상기 착탈가능한 용기의 위치를 형성하여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용기 공간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가 상기 착탈가능한 용기를 상기 용기 공간의 밖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서 상기 바닥부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내부 주변부는 상기 착탈가능한 용기의 외부 주변부와 동일한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메카니즘이 상기 화장 물질 유지부를 둘러싼 위치에서 상기 화장 물질 유지부를 밀봉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착탈 가능한 용기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밀봉 메카니즘은,
    상기 화장 물질 유지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용기 커버부나 상기 용기 본체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밀봉링,
    상기 밀봉링과 접촉시에 가압밀봉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지점에서 상기 용기 본체나 상기 용기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링형상 융기부, 및
    상기 밀봉링과 상기 링형 용기부가 상호 마찰적인 문지름 운동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커버부의 폐쇄시에 상호 활주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적정한 치수로 되어 있는 밀봉 마찰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융기부나 상기 밀봉링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한 마찰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융기부와 상기 밀봉링 사이에 형성된 밀봉면이 화장 물질 유지부위의 한 지점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이 반경방향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탄성변형수단이, 상기 밀봉링을 반경방향에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밀봉링과 상기 용기 본체 또는 상기 밀봉링과 상기 용기 커버부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6. 제 11 항에 있어서,
    채널이 상기 밀봉링의 외부 주변부에서 상기 용기 본체나 상기 용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위에 제공되며. 또한
    밀봉링 고정부가 상기 밀봉링을 상기 채널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용기 본체나 상기 용기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7. 제 11 항에 있어서, 압축 융기부가 상기 밀봉링의 상부나 하부를 압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나 상기 용기 커버부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8. 제 11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탄성부가 상기 밀봉링의 외부 주변부상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링형 용기부의 내부 주변부가, 상기 돌출 탄성부를 문지름과 아울러 압착함에 의해서 상기 용기 커버부가 폐쇄되는 시간 동안 상기 돌출 탄성부의 외부 주변부에서 가압밀봉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반경방향 돌출 탄성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상기 돌출 탄성부를 반경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밀봉링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어느 요소가 그위에 형성된 링형상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건 간에 상기 밀봉링의 단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용기 커버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응결 액적 수집수단이 상기 용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홈이 헝성된 면이 상기 용기 커버부의 내부면상에 형성되며, 또한
    경사면이, 상기 홈이 형성된 면상에 제곱되는 한편 상기 주변부로 응결된 액적의 운동을 안내할 수단으로서, 상기 내부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내부면의 주변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형성된 면이, 상기 내부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홈이 형성된 면이, 상기 용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장착된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 액적 수집수단이, 장착된 내부 커버판과 상기 내부면 사이에 형성된 상부 응결 공간을 채택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 공간을 상기 상부 응결 공간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내부 커버판에 의해 형성된 환기 오리피스를 채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 액적 수집수단은, 상기 용기 커버부의 내부면 상에 있는 다수의 홈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선들은 힌지부에 평행하도록 경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 액적 수집수단이, 오목부들이나 돌출부들 사이에 적당한 양의 공간이 주어지도록 상기 용기 커버부의 내부면상에 배열된 다수의 반구형 오목부나 돌출부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1998-0044228A 1998-01-27 1998-10-21 화장품 케이스 KR10049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4386 1998-01-27
JP01438698A JP3946335B2 (ja) 1998-01-27 1998-01-27 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793A KR19990066793A (ko) 1999-08-16
KR100492812B1 true KR100492812B1 (ko) 2005-08-30

Family

ID=1185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228A KR100492812B1 (ko) 1998-01-27 1998-10-21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46335B2 (ko)
KR (1) KR1004928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93B1 (ko) 2011-05-27 2013-04-17 (주) 이루팩 화장품 케이스
KR101262912B1 (ko) 2011-05-27 2013-05-13 (주) 이루팩 화장품 케이스
WO2016085197A1 (ko) * 2014-11-24 2016-06-02 (주)아모레퍼시픽 돔 형태의 리필용기뚜껑을 구비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058B2 (ja) * 2003-08-19 2010-07-28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JP4762635B2 (ja) * 2005-08-05 2011-08-31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コンパクト容器
JP4953906B2 (ja) * 2007-04-27 2012-06-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気密コンパク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135Y1 (ko) * 1987-12-14 1993-03-13 요시다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화장품 케이스
JPH07184717A (ja) * 1993-12-25 1995-07-25 Kose Corp 水分含有化粧料用容器
JPH08348A (ja) * 1994-06-20 1996-01-09 Yoshida Kogyo Kk <Ykk> 気密化粧料容器
JPH0937839A (ja) * 1995-08-01 1997-02-10 Shiseido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JPH0998829A (ja) * 1995-10-06 1997-04-15 Shiseido Co Ltd 化粧料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135Y1 (ko) * 1987-12-14 1993-03-13 요시다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화장품 케이스
JPH07184717A (ja) * 1993-12-25 1995-07-25 Kose Corp 水分含有化粧料用容器
JPH08348A (ja) * 1994-06-20 1996-01-09 Yoshida Kogyo Kk <Ykk> 気密化粧料容器
JPH0937839A (ja) * 1995-08-01 1997-02-10 Shiseido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JPH0998829A (ja) * 1995-10-06 1997-04-15 Shiseido Co Ltd 化粧料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93B1 (ko) 2011-05-27 2013-04-17 (주) 이루팩 화장품 케이스
KR101262912B1 (ko) 2011-05-27 2013-05-13 (주) 이루팩 화장품 케이스
WO2016085197A1 (ko) * 2014-11-24 2016-06-02 (주)아모레퍼시픽 돔 형태의 리필용기뚜껑을 구비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US10070711B2 (en) 2014-11-24 2018-09-11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act container provided with dome-shaped refill container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793A (ko) 1999-08-16
JPH11206446A (ja) 1999-08-03
JP3946335B2 (ja)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895B1 (en) Cosmetic case
USD465733S1 (en) Container, primarily for perfume
USD499552S1 (en) Storage container
US7806491B2 (en)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US20100001431A1 (en) Release system for container
KR100492812B1 (ko) 화장품 케이스
US5320116A (en) Cosmetic compact
USD468535S1 (en) Multiple compartment carrying case
USD426918S (en) Razor having finger retainer
JP2003034374A (ja) 二剤混合吐出容器
USD477143S1 (en) Game disk case
US7359287B2 (en) Watch with a container
USD517916S1 (en) Cap for a container
USD436832S1 (en) Opening and closing handle of a cover
CN115915998A (zh) 带有可拆卸镜子的化妆品容器
USD528374S1 (en) Container with closed lid
JP4290941B2 (ja) 内容物の混合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JP4011302B2 (ja) エアゾール缶スパウト
USD437087S1 (en) Combined razor holder and cap
WO1999001051A1 (fr) Boitier etanche aux gaz contenant une substance de maquillage
USD509101S1 (en) Cover for a candy container
CA2030297A1 (en) Dispensing head and method for applying foamy product on a skin surface
JP3868569B2 (ja) 化粧料容器
USD437554S1 (en) Paint container
USD397499S (en) Gas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