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72B1 -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972B1
KR100491972B1 KR10-2002-0069415A KR20020069415A KR100491972B1 KR 100491972 B1 KR100491972 B1 KR 100491972B1 KR 20020069415 A KR20020069415 A KR 20020069415A KR 100491972 B1 KR100491972 B1 KR 10049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nanorods
laser
present
nano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245A (ko
Inventor
이규철
정석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2-006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61Methods for manipulating nanostructures
    • B82B3/0066Orienting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006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0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 non-absorbing, e.g. transparent, reflective or refractive, layer on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크게 흡수하지 않고 투과할 수 있는 기재위에서 반도체 나노막대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크기가 균일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산화아연 나노막대 및 기타 나노막대에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조사시켜 나노막대와 기재의 선택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열팽창 차이로 인한 응력을 이용하여 기재와 나노막대를 분리시킴으로써 고밀도 고효율의 나노소자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저를 크게 흡수하지 않고 투과할 수 있는 기재위에 반도체 나노막대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크기가 균일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레이저가 크게 흡수되지 않고 투과할 수 있는 기재위에 성장된 반도체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리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균일하고 길이가 일정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Semiconductor nanorods separated by laser irradiation and their s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크게 흡수하지 않고 투과할 수 있는 기재위에서 반도체 나노막대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크기가 균일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산화아연 나노막대 및 기타 나노막대에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조사시켜 나노막대와 기재의 선택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열팽창 차이로 인한 응력을 이용하여 기재와 나노막대를 분리시킴으로써 고밀도 고효율의 나노소자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반도체 나노막대를 기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크게 흡수하지 않고 투과할 수 있는 기재 위에 반도체 나노막대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분리시킴으로서, 크기가 균일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나노막대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재와 성장층을 분리시키는 기술은 GaN을 이용한 초박형 수직구조 LED를 개발하기 위해서 레이저 기술을 이용하여 3~4 미크론 두께의 GaN 박막을 사파이어 기재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박막의 상하부면에 금속 전극층을 만들기 위해서 발전된 기술이다. 그 동안 제록스사를 비롯한 여러 관련회사들은 레이저로 조각시편의 GaN 박막을 사파이어 기재로부터 분리하려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한편, 오리올사에서는 조각시편이 아닌 2인치 웨이퍼 전체를 분리하는 양산형 기술을 개발한 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한 기재와 성장층의 분리 방법은 주로 사파이어 기재위에 성장된 GaN 박막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나노막대에 대한 시도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레이저 방법 이외에 기재 분리에 대한 다른 방법은 입자크기가 100, 30 그리고 10mm의 SiC 분말을 사용하여 래핑(lapping)을 한 후 입자 크기가 30, 10, 3mm인 다이아몬드로 연마하여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었는데,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 연마에 의한 GaN 후박에 크랙(crack)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빔을 크게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킬 수 있는 기재상에 반도체 나노막대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크기가 균일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화아연 나노막대 및 기타 나노막대에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조사시켜 나노막대와 기재의 선택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열팽창 차이로 인한 응력을 이용하여 기재와 나노막대를 분리시킴으로써 고밀도 고효율의 나노소자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나노막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재위에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리시킴으로써 나노막대의 손상없이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일 나노소자 및 복합 나노소자의 집적화를 통해 고효율, 고집적, 복합기능의 나노소자의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레이저를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기재위에서 나노막대를 성장시키는 성장단계와; 상기 성장단계에서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위에서 성장되는 나노막대의 재질은 레이저를 흡수하는 재질인 ZnO, GaN, Si, InP, InAs, GaAs, Ge 및 카본나노튜브 중의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재질은 레이저를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재질인 유리, 석영(quartz), 실리콘, GaAs, InP 및 산화물 중의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파장 에너지는 상기 나노막대의 밴드갭과 상기 기재의 밴드갭 사이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1)를 이용하여 기재(3)와 나노막대(10)의 밴드갭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단파장(UV) 영역에 대한 선택적 흡수로 인하여 기재(3)와 나노막대(10) 계면에서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한 응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응력에 의해서 기재(3)와 나노막대(10)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밴드갭이 9.9eV인 사파이어 기재(3)는 248nm 영역에 대한 레이저 파장을 투과시키지만 산화아연 나노막대(10)는 밴드갭이 3.4eV 이므로 레이저 파장을 흡수한다. 이러한 흡수된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바뀌어 사파이어 기재(3)와 산화아연 나노막대(10) 계면에서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응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응력으로 인하여 사파이어 기재(3)와 산화아연 나노막대(10)가 분리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의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파이어 기재(3)위에 산화아연 나노막대(10)를 유기금속화학증착법으로 증착시키고, 증착시킨 산화아연 나노막대(10)를 에폭시(7)를 이용하여 실리콘 기재(5)위에 접착시킨다. 이를 248nm의 파장을 가지는 엑시머 레이저(1)로 단일 샷의 에너지 밀도를 200mJ/cm2에서부터 1J/cm2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기재(3)와 나노막대(10)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기재(3)와 나노막대(10)의 분리시, 200mJ/cm2 ~ 1J/cm2의 범위내에서 나노막대(10)가 손상없이 기재로부터 분리되었고, 엑시머 레이저(1)의 에너지 밀도가 200mJ/cm2미만에서는 기재(3)과 나노막대(1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나노막대는 기재의 밴드갭보다 작은 밴드갭을 지닌 모든 나노막대가 가능하고, 기재와 나노막대의 밴드갭 에너지의 중간에 해당하는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조사시켜 해당 기재와 나노막대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노막대를 구성하는 재질로는 ZnO, GaN, Si, InP InAs, GaAs, Ge 및 카본나노튜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증착법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위에 수직 내지는 일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나노막대와 기재의 선택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너지 차이로 인한 응력을 이용하여 기재와 나노막대를 분리시킬 수 있는데, 그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금속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사파이어 기재(3)위에 산화아연 나노막대(10) 및/또는 자성체/산화아연 나노막대를 성장시킨다(S10).
S10 단계에서 성장시킨 산화아연 나노막대(10) 및 자성체/산화아연 나노막대에 대하여 KrF(248 nm) 엑시머 레이저(1)를 이용하여 (100mJ/cm2, 5Hz)에 해당하는 레이저(빔)(1)을 사파이어 기재(3)에 다양한 각도로 조사한다(S20). 이때 레이저 에너지 밀도는 200mJ/cm2로 한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빔)(1)을 사파이어 기재(3)에 조사하였을 때, 특히 레이저(빔)(1)을 사파이어 기재(3)에 수직으로 조사하였을 때, 사파이어 기재(3)와 산화아연 나노막대(10)가 분리되기 시작하는 것을 광학현미경(×100)으로 관찰할 수 있다(S30). 그리고, 산화아연 나노막대(10)가 사파이어 기재(3)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였을 때의 산화아연 나노막대(10)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기재(3)와 산화아연 나노막대(10)의 계면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또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과 조사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SEM을 이용해 분석하고 레이저 빔의 에너지 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단지 레이저 빔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나노막대의 손상없이 기재로부터 분리되는 최적의 조건을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사파이어 기재(3)를 분리시키기 전의 산화아연 나노막대(10)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2a에 나타내 보였고, 사파이어 기재(3)와 분리된 산화아연 나노막대(10)의 SEM 사진을 도 2b에 나타내 보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기재 예를 들면 유리, 석영(quartz), 실리콘, GaAs, InP, 산화물 등 위에 수직 내지는 일방향으로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나노막대의 손상없이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나노막대를 기재로부터 분리하여 획득할 수 있다(S40).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나노소재는 수직 내지는 일방향으로 성장되어 있는 것이면 모든 종류의 나노소재가 사용가능하며, 그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ZnO, GaN, Si, Inp 및 자성체 나노막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은, 레이저 빔을 크게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킬 수 있는 기재위에서 반도체 나노막대를 성장시키고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크기가 균일한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산화아연 나노막대 및 기타 나노막대에 특정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조사시켜 나노막대와 기재의 선택흡수에 의해 발생하는 열팽창 차이로 인한 응력을 이용하여 기재와 나노막대를 분리시킴으로써 고밀도 고효율의 나노소자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재위에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리시킴으로써 나노막대의 손상없이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나노막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나노소자 및 복합 나노소자의 집적화를 통해 고효율, 고집적, 복합기능의 나노소자의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막대/기재의 분리에 대한 제조 개념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나노막대가 기재로부터 분리되기 전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산화아연 나노막대가 기재로부터 분리된 후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레이저(빔)
3...사파이어 기재
5...실리콘 기재
7...에폭시
10...산화아연 나노막대

Claims (4)

  1.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저를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기재위에서 나노막대를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성장된 나노막대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위에서 성장되는 나노막대의 재질은 레이저를 흡수하는 재질인 ZnO, GaN, Si, InP, InAs, GaAs, Ge 및 카본나노튜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재질은 레이저를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재질인 유리, 석영(quartz), 실리콘, GaAs, InP 및 산화물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파장 에너지는 상기 나노막대의 밴드갭과 상기 기재의 밴드갭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KR10-2002-0069415A 2002-11-09 2002-11-09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KR10049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415A KR100491972B1 (ko) 2002-11-09 2002-11-09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415A KR100491972B1 (ko) 2002-11-09 2002-11-09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245A KR20040041245A (ko) 2004-05-17
KR100491972B1 true KR100491972B1 (ko) 2005-05-27

Family

ID=3733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415A KR100491972B1 (ko) 2002-11-09 2002-11-09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63B1 (ko) 2009-04-09 2011-11-22 광주과학기술원 산화아연 나노선 물성제어 방법 및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4212B (zh) * 2021-10-19 2023-12-05 东南大学 一种基于n-ZnO/PEDOT/HfO2/p-GaN的紫外激光二极管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9272A1 (en) * 1995-09-08 1997-03-13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Ropes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KR20010049397A (ko) * 1999-10-11 2001-06-15 이철진 탄소나노튜브의 팁 오픈 방법 및 정제 방법
US6283812B1 (en) * 1999-01-25 2001-09-04 Agere Systems Guardian Corp. Process for fabricating article comprising aligned truncated carbon nanotub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9272A1 (en) * 1995-09-08 1997-03-13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Ropes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6283812B1 (en) * 1999-01-25 2001-09-04 Agere Systems Guardian Corp. Process for fabricating article comprising aligned truncated carbon nanotubes
KR20010049397A (ko) * 1999-10-11 2001-06-15 이철진 탄소나노튜브의 팁 오픈 방법 및 정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63B1 (ko) 2009-04-09 2011-11-22 광주과학기술원 산화아연 나노선 물성제어 방법 및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245A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4999B2 (en) Method of making an extreme ultraviolet pellicle
TWI477666B (zh) 具有微構造的外延結構體的製備方法
CN100420569C (zh) 自支撑(Al,Ga,In)N以及形成自支撑(Al,Ga,In)N的分离方法
CN1993802A (zh) 钻石底半导体装置及形成方法
KR20180094798A (ko) SiC 웨이퍼의 생성 방법
JP2000252224A (ja) ホスト基板上に半導体構造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半導体構造
JP2019511122A (ja) 分離されるべき固体物の複合レーザ処理
Debnath et al. Top-down fabrication of large-area GaN micro-and nanopillars
US11417522B2 (en) Two-dimensional AIN material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JP2005047792A (ja) 微細構造、特にヘテロエピタキシャル微細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CN101283456A (zh) Ⅲ-ⅴ族氮化物半导体的制造方法和发光器件的制造方法
CN111916348A (zh) 制造碳化硅器件的方法和在处置衬底中包括激光修改区带的晶片复合体
Latu-Romain et al. Silicon carbide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Qu et al. Long-range orbital hybridization in remote epitaxy: The nucleation mechanism of GaN on different substrates via single-layer graphene
CN106544643A (zh) 一种氮化物薄膜的制备方法
CN102719888B (zh) 具有纳米微结构基板的制备方法
TW201343536A (zh) 具有微構造的外延結構體
CN1383185A (zh) 激光剥离制备自支撑氮化镓衬底的方法
Detz et al. Lithography-free positioned GaAs nanowire growth with focused ion beam implantation of Ga
KR100491972B1 (ko)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막대를 분리시키는 방법
Ngiam et al. Synthesis of Ge nanocrystals embedded in a Si host matrix
WO2017190507A1 (zh) 一种半导体抛光晶片表面划痕的检测方法
JP2006066442A (ja) 半導体素子用単結晶サファイア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素子
JP2008207968A (ja) 酸化ガリウム−窒化ガリウム複合基板の製造方法、及び酸化ガリウム−窒化ガリウム複合基板
CN102723264B (zh) 具有纳米微结构基板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