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135B1 -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135B1
KR100491135B1 KR10-2001-0079978A KR20010079978A KR100491135B1 KR 100491135 B1 KR100491135 B1 KR 100491135B1 KR 20010079978 A KR20010079978 A KR 20010079978A KR 100491135 B1 KR100491135 B1 KR 10049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esin
polymer resin
polyuretha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684A (ko
Inventor
김환철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주)대일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화성 filed Critical (주)대일화성
Priority to KR10-2001-007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1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08G67/02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liphatic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ureide or urethane link, otherwise, than from isocyanate radical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1/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리놀(Greenol) 30.0-67.5중량%,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0.1-5.0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혼합물 5.0-30.0중량%, 디부틸틴 디라울레이트(DBTDL) 0.1-5.0중량%, N,N-디메틸에틸아민(DMEA) 5.0-30.0중량%, 정포제 0.1-5.0중량%, H2O 1.0-10.0중량%, CaCO3 8.0-28.0중량%, 1,4-부탄디올(butandiol) 1.4-8.5중량%,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 oxide) 1.8-30.0중량%, 글리세롤(glycerol) 10.0-40.0중량%로 구성되는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과, 상기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4:1로 혼합된 혼합물)를 1 : 1로 고속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생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분에 안정하고, 인발력과 팽창력 및 강도가 우수한 수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생성방법{Composition of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polyurethane therefor}
본 발명은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용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의 존재 하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활성 수소-함유 물질과 반응시켜 발포우레탄 폼을 제조함으로써, NATM-RESIN의 한계(온도, 습도)를 극복하여 전천후 시공이 가능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도로공사나, 철도공사를 할 경우 터널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NATM(New Austria Tunnelling Method)공법은 암반이 스스로 지니고 있는 자체 원지반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락볼트로 고정한 후 숏크리트와 지보재로 보강하여 지반을 안정시킨 후 터널 굴착을 계속하는 방식으로, 이 NATM공법에서 암반의 공극과 락볼트의 전면 접착에 사용되는 레진은 폴리우레탄 수지와 에폭시수지 계통의 경질 레진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NATM공법용 레진 중 폴리우레탄 폼 형성에 사용되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chlorofluorocarbon: CFC)으로 대표되는 할로카본은 그중 일부가 환경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최근에는 할로카본 대신에 물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그 실시예를 하기에서 살펴본다.
종래의 충진용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은 PEG400 48.5kg, polyesterpolyol 60kg,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2.9kg, CaCO3 58kg, PC-8(촉매) 1kg, 물(발포제) 3kg의 혼합조성물을 폴리메틸 폴리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thyl polyphenyl diisocyanate :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는 것으로, 물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이 이산화탄소가 반응 혼합물을 팽창시켜서 폐쇄된 셀 구조를 갖게 하여 경질 우레탄 폼을 만드며,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우레탄 폼은 충진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하철, 철도, 도로, 지중선 공사의 터널 굴착시 암반보강 및 천공시 크랙, 공극보강, 접착력 강화 등에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우레탄 폼 제조방법에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물과 반응을 아주 잘 하기 때문에 발포가 보통 기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총합 부피의 13배 정도이나, 작업현장에 지하수가 방출될 경우 필요한 량 이상의 많은 물이 반응하게 되므로, 발포부피가 너무 커지게 되어 분자간의 거리가 길어지고 결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레진은 인발강도가 15ton으로 인발력이 토목공사용으로 크게 뒤떨어지고 있으므로 비용, 인원 및 시간의 손실을 가져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수분에 안정한 수지의 조성물을 발명하여 발포제를 사용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은 그리놀(Greenol) 30.0-67.5중량%,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0.1-5.0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DPG:dipropylene glycol) 5.0-30.0중량%, 디부틸틴 디라울레이트(DBTDL) 0.1-5.0중량%, N,N-디메틸에틸아민(DMEA) 5.0-30.0중량%, 정포제 0.1-5.0중량%, 물(H2O) 1.0-10.0중량%, 탄산칼슘(CaCO3) 8.0-28.0중량%, 1,4-부탄디올(butandiol) 1.4-8.5중량%,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 oxide) 1.8-30.0중량% 및 글리세롤(glycerol) 10.0-40.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리놀(Greenol)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각각 50중량% 씩 함유되어 망상구조인 폴리우레탄을 형성하는 것이고, 트리에틸렌디아민(TEDA:triethylenediamine)은 지용성 폴리올을 수용성 수지로 전환 및 반응 촉진의 촉매이다.또한 디프로필렌 글리콜은 최적 OH기의 분자량(200 - 25,000)을 맞추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프로필렌 글리콜 혼합물이 첨가되면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망상구조가 잘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물이나 기타 이물질의 침투에도 결합구조가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디부틸틴 디라울레이트(DBTDL:dibutyltin dilaulate)는 반응 촉진제이고, N,N-디메틸에틸아민(DMEA:dimethylenthanolamine)은 폴리올과 요소 결합을 형성하여 뷰렛의 망상구조 형성에 공여하며, 정포제(silicone oil)는 발포 셀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인장력을 신장시키는 재료이며, H2O는 발포제로 사용되며, CaCO3는 인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충진제이며, 1,4-부탄디올(1,4-butandiol)과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 oxide)는 가교제로 사용되며, 글리세롤(glycerol)은 알콜기 3개로 사슬 연장제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생성방법은 상기한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4: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와 1:1 중량비로 고속으로 교반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폴리우레탄은 원래 부피의 20배정도 팽창하며, 정포제와 가교제 및 여러 가지 OH값의 폴리올수지를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써 정포제가 라이징(Rising)단계에서 서서히 일어나도록 하여 발포공기 셀(cell)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발포가 과다하게 발생하지 않아서 결합력과 인장력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레진 콘크리트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구성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결합재로 하여 골재(규사, 모래)를 결합시키는 콘크리트이며 한냉지에서 동결현상이 없이 사용되며, 현장에서 혼합, 도포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경화하여 NATM용 터널공사뿐만 아니라 고무탄성이 풍부한 방수층을 만들 수 있으며 시공성도 양호하여, Sealing재료, 바닥재, Sports Track, 터널공사, Rock-Volt 접착, 암반보강, 천공시 크랙 및 공극 보강, 옥상 방수, 병원 및 전시장 바닥, 육상경기장, Tennis Court, 크랙보수, 지반강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사용목적중 락-볼트 접착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길이 1미터, 직경5센티미터의 유리재 외부파이프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 수지조성물을 투입하고, 이 외부 파이프 내에는 길이 80센티미터, 직경 2센티의 유리재 내부 파이프를 삽입하여 그 내부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여, 상호 보존을 위해 밀폐된 상태로 상품화하고, 작업시에는 암반에 천공된 구멍내로 상기 유리관을 삽입한 후 오거를 사용하여 락볼트를 상기 구멍내로 회전시키면서 삽입하여, 유리관을 파손시킴으로써, 수지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락볼트접착에 사용되는 수지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그리놀(Greenol) 60kg,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2.9kg,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45kg, 디부틸틴 디라울레이트(DBTDL) 1.1kg, N,N-디메틸에틸아민(DMEA) 48kg, 정포제 2kg, H2O 4.5kg, CaCO3 25kg, 1,4-부탄디올(1,4-butandiol) 4kg,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 oxide) 16kg, 글리세롤(glycerol) 33kg으로 구성된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4: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를 1:1 중량비로 고속으로 교반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폴리우레탄폼과 종래의 폴리우레탄폼(상기한 종래의 수지조성물의 성분에 따라 실험)의 인발력, 팽창력, 수용성 및 시멘트고착제로 사용할 경우의 강도를 표 1에 나타낸다.
항 목 실험방법 기존레진 발명레진 비중(%)
인 발 력 시공후 24시간후 인발 12ton/ea 20ton/ea 30
팽 창 력 반응후 팽창력 측정 10배팽창 13-16배팽창 30
수 용 성 수분함량에 따라 실험 미세기포 수용성 폴리머 20
시멘트 고착제 고착 강도 보통(10톤이하) 양호(20톤이상) 20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의 조성물에 의하면 인발력과 팽창력 등이 종래의 수지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수지의 조성물은 내약품성, 탄성 및 강도가 우수하여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시간과 인력 절감의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시공이 간편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0ton이상의 인발력과 수분에 안정한 특성을 가지므로, 발포율 저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우레탄 폼의 경도 안정성 저하의 문제점을 갖지 않는 충진 특성이 우수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 선단 접착 충진에 자유선택 시공 가능하고, 단 시간에 조기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발포배율과 경화시간이 시공에 따라 조절 가능하고, 캡슐 타입(이중 유리관)으로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며, 수분에 안정하여 지하작업 여건인 지하수 방출 시에도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그리놀 30.0-67.5중량%, 트리에틸렌디아민 0.1-5.0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5.0-30.0중량%, 디부틸틴 디라울레이트 0.1-5.0중량%, N,N-디메틸에틸아민 5.0-30.0중량%, 정포제 0.1-5.0중량%, 물 1.0-10.0중량%, 탄산칼슘 8.0-28.0중량%, 1,4-부탄디올 1.4-8.5중량%, 에틸렌 옥사이드 1.8-30.0중량% 및 글리세롤 10.0-40.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2. 제 1항에 기재된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4: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를 1 : 1 중량비로 고속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생성방법.
KR10-2001-0079978A 2001-12-17 2001-12-17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KR10049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78A KR100491135B1 (ko) 2001-12-17 2001-12-17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78A KR100491135B1 (ko) 2001-12-17 2001-12-17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84A KR20030049684A (ko) 2003-06-25
KR100491135B1 true KR100491135B1 (ko) 2005-06-29

Family

ID=2957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978A KR100491135B1 (ko) 2001-12-17 2001-12-17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981B1 (ko) * 2005-02-16 2005-08-05 (주)아이엔 옹벽 배면에 위치하는 토사지반에 형성된 공동부 보강공법
US9950996B2 (en) 2014-12-23 2018-04-24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Bio-based aromatic diisocyanates for preparation of polyurethan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944A (en) * 1986-09-05 1989-05-02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Polyurethane casting resins
JPH07268056A (ja) * 1994-03-17 1995-10-17 Bayer Ag 任意に気泡質であるポリウレタンおよび/またはポリウレタンウレアの製造方法
JPH08245825A (ja) * 1994-12-22 1996-09-24 Basf Schwarzheide Gmbh リサイクル性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
KR970001398A (ko) * 1995-06-09 1997-01-24 김정돈 구조재용 경질 우레탄 포옴
KR970074837A (ko) * 1996-05-02 1997-12-10 정병남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 방법
KR20000032833A (ko) * 1998-11-18 2000-06-15 정몽규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944A (en) * 1986-09-05 1989-05-02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Polyurethane casting resins
JPH07268056A (ja) * 1994-03-17 1995-10-17 Bayer Ag 任意に気泡質であるポリウレタンおよび/またはポリウレタンウレアの製造方法
JPH08245825A (ja) * 1994-12-22 1996-09-24 Basf Schwarzheide Gmbh リサイクル性ポリオールの製造方法
KR970001398A (ko) * 1995-06-09 1997-01-24 김정돈 구조재용 경질 우레탄 포옴
KR970074837A (ko) * 1996-05-02 1997-12-10 정병남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 방법
KR20000032833A (ko) * 1998-11-18 2000-06-15 정몽규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8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6503B (zh) 水不敏感型聚氨酯注浆材料及其制备方法
JPS6230238B2 (ko)
US20070093566A1 (en) Infrastructure repair and geo-stabilization processes
WO2007050520A2 (en) Solid polyurethane compositions, infrastructure repair and geo-stabilization processes
JPS63501086A (ja) 地層の強化法
JPS619482A (ja) 石炭層などを固結、密封する方法
KR100491135B1 (ko) 수중 경화성 충진용 고분자 수지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생성방법
CN102417722A (zh) 一种聚氨酯灌浆止漏材料
CN111377689B (zh) 一种具有海岛结构的高强度复合注浆加固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556567B1 (ko) 연약지반 고결용 초강도 우레탄 약액 조성물
JP3997672B2 (ja) 地盤や人工構造物等の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H09132634A (ja) 土壌安定化ポリウレタン発泡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土壌安定化方法
JPH04318096A (ja) トンネル掘削用の岩盤または地盤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工法
JP3226126B2 (ja) 2液型発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組成物
JP4392647B2 (ja) 空隙充填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隙充填工法
KR102595064B1 (ko) Upc 시공용 친환경 2액형 우레탄계 지반보강보수제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upc 시공법
JPH04102615A (ja) 岩盤固結安定化工法
JPH0681333A (ja) 岩盤固結工法
JP4092838B2 (ja) 岩盤、地盤等の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2002047490A (ja) 岩盤、地盤、人工構造物等の安定強化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その安定強化止水工法
KR100444949B1 (ko) 균열방지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조성물
JPH04309616A (ja) 土質などの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2000345158A (ja) 岩盤ないし地盤固結用の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2001019959A (ja) 岩盤ないし地盤固結用の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JP3498656B2 (ja) 地盤や人工構造物等の安定化用注入薬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安定強化止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