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97B1 -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97B1
KR100491097B1 KR10-2004-0063862A KR20040063862A KR100491097B1 KR 100491097 B1 KR100491097 B1 KR 100491097B1 KR 20040063862 A KR20040063862 A KR 20040063862A KR 100491097 B1 KR100491097 B1 KR 100491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fine powder
housing
fine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270A (ko
Inventor
황의철
Original Assignee
교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하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교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0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모래와 불필요한 미분을 별도로 분리하므로서 고품질의 모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제조된 모래로부터 미분을 분리 제거하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미분이 혼합된 모래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와, 모래에서 분리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배출구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를 와류시켜 모래를 수직낙하하고 미분만을 외측으로 와류시키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미분이 분리된 모래가 자유 낙하함과 동시에 유입 배출되는 모래배출하우징; 상기 모래배출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와류된 공기와 함께 미분이 미분배출하우징으로 유입하도록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 임펠러의 상단에 근접 설치되고 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원판; 상기 원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조절볼트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기 원판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A CLASSIFY APARATUS FOR A SAND AND AN ATOM}
본 발명은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는 과정에서 모래와 함께 얻어진 미분을 분리 제거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양질의 모래 만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공사 현장에서 사용하는 모래는 염분이 없고 깨끗한 천연모래가 가장 적합하므로 주로 강바닥이나 민물 하천에 적충되는 모래를 채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모래는 채취량에 한계가 있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산업발전에 따른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점차 고갈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자연 원석이나 또는 그동안 매립 폐기됨에 따라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던 건축폐기물 등으로 부터 나무나 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건축골재를 파쇄기(CRUSHER)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로 파쇄 선별하는 공정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 건축폐기물에서 얻어진 건축골재의 경우에는 수분 외에도 미분(흙)이 많고 이를 분쇄하여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립자의 석분 분진이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상기 건축골재가 각 장치에서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낙하하거나 교차 이송됨에 따라 이러한 미분이 공중으로 비산되어 작업장이나 주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잘게 분쇄되는 미분이 섞인 모래를 시멘트에 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경화력이 떨어짐은 물론이고 강도가 약해져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모래와 모래로서 사용하기 어려운 미분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리고 또 다른 모래 및 미분 분류 방법으로는 혼합된 모래와 미분을 수조내에 투입하고 수조에 유입되는 물에 의한 흐름에 의해 모래와 섞인 미분을 모래에서 분리하여 미분이 분리된 모래는 별도의 장소로 이동을 시키고 미분이 함유된 물은 침전촉매제를 넣어 미분을 침전하여 정수하므로써 다시 수조에 투입하여 모래와 미분의 분리에 사용하는 모래와 미분을 분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수조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슬러지를 별도로 처리하여야 하고 이러한 폐수와 슬러지에 의해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모래와 불필요한 미분을 별도로 분리하므로서 고품질의 모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와류에 의한 건식처리 방식으로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는 건축폐기물을 파쇄 및 선별하여 제조된 모래로부터 미분을 분리 제거하는 분류장치에 있어서, 미분이 혼합된 모래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와, 모래에서 분리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배출구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를 와류시켜 모래를 수직낙하하고 미분만을 외측으로 와류시키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미분이 분리된 모래가 자유 낙하함과 동시에 유입 배출되는 모래배출하우징; 상기 모래배출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와류된 공기와 함께 미분이 미분배출하우징으로 유입하도록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 임펠러의 상단에 근접 설치되고 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원판; 상기 원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조절볼트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기 원판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1)는 건축물을 분쇄 및 선별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얻어진 모래로 부터 미분을 분리하는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에 있어서; 미분이 혼합된 모래(100)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3) 및 모래에서 분리된 미분이 배출되도록 미분배출구(4)가 형성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 내부 상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미분만을 비산시키도록 모터(7)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임펠러(5) 및 상기 임펠러(5)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미분이 분리된 모래를 자유낙하하여 유입시키고 이를 배출하는 모래 배출구(11)가 구성된 모래배출 하우징(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건축폐기물의 분쇄 및 선별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함에 따라 얻어진 건축골재 즉 미분이 혼합된 모래(100)가 투입되도록 상부에 원료투입구(3)가 형성됨과 동시에 모래에서 분리된 미분이 배출되도록 하부에 미분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의 중앙에는 축(6)이 설치됨과 동시에 내부 상단에는 상기 원료투입구(3)를 통해 모래와 함께 투입된 미분(102)만을 비산시키도록 상기 축(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임펠러(5)가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5)는 하우징(2) 상단에 설치된 모터(7)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래배출 하우징(8)은 상기 임펠러(5)의 저부에 오도록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미분이 분리되어 자유낙하하는 모래(101)가 배출되도록 모래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래배출 하우징(8)의 외주연에는 상기 임펠러(5)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상광하협한 형태의 커버(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9)의 상단에는 상기 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미분이 배출되도록 다수이 관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8)의 모래배출구(11)의 하단에는 본 발명의 미분 분류장치에 의해 분리된 모래를 별도로 집진하는 집진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한 축(6)에는 상기 임펠러(5)의 상단에 접하여 축(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원판(12)이 마련되며 상기 원판(12)의 싱부에는 상기 원판(12)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조절환(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환(13)은 조절볼트(14)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어 건축골재(미분이 혼합된 모래)에 함유된 수분의 함유량에 따른 덩어리의 크기에 맞도록 상기 원판(12)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2)과 모래배출 하우징(8)의 외주면 일정위치에는 통상의 진동부재(15)가 마련되어 있어 하우징을 진동시키므로서 미분 및 모래의 원활한 자유낙하를 수행토록 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모래배출 하우징(8)의 하부에는 수위감지센서(16)가 마련되어 있어 모래배출 하우징(8)의 하부에 유입되는 모래의 양을 감지하여 유입된 모래가 일정한 양만큼 유입되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1)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모래와 미분입자를 분리하는 것이다.
우선 토목, 건축현장에서 발생된 건축폐기물을 콘크러셔 등으로 분쇄 및 선별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얻어진 미분이 혼합된 모래(100)를 원료투입구(3)를 통해 하우징(2)의 내부로 투입하면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투입된 미분이 혼합된 모래(100)는 상기 원판(12)의 상부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분이 혼합된 모래를 투입하기 전에 하우징(2)의 상단에 구비된 모터(7)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7)의 구동에 의해 원판(12)과 임펠러(5)가 회전 작동 되면서 원판(12)에 유입된 미분이 혼합된 모래는 원판(12)의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분산 이동을 하여 자유낙하하고 임펠러(5)에 의해 공기는 와류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공기는 하우징 내부 상단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면서 상기 와류된 공기에 의해 미분이 비산된다.
이에 따라 가벼운 입자인 미분은 와류된 공기와 함게 커버의 외주면을 타고 관통공(10)을 통해 하우징(2)의 내부 내주연측으로 유입된 후 미분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비해 무거운 입자인 모래는 모래배출 하우징(8)의 내벽을 타고 모래배출구(11)로 수직으로 낙하하면서 하부에 쌓이고 수위감지 센서(16)에 의해 일정량으로 쌓이면 하부의 모래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하부의 모래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된 깨끗한 모래(101)는 별도의 집진장치(미도시)에 의해 집진되어 토목, 건축공사 현장에서 재활용되며, 상기 하우징(2) 하부의 미분배출구(4)를 통해 배출된 미분(102)은 미분 적하장으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다른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에 따르면, 건축폐기물의 분쇄 및 선별과정에 의해 모래와 함께 발생된 미분을 공기의 흐름에 의해 모래와는 별도로 분리함으로서 깨끗하고 품질이 좋은 모래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땅속에 매립 폐기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중의 하나였던 건축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분에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대지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는 동 일부 절개 정면 예시도,
도 3은 동 일부 발췌 단면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2 : 하우징,
3 : 원료투입구, 4 : 미분배출구,
5 : 임펠러, 6 : 축,
7 : 모터, 8 : 모래배출 하우징,
9 : 커버, 10 : 관통공,
11 : 모래배출구, 12 : 원판,
13 : 조절환, 14 : 조절볼트,
15 : 진동부재, 16 : 수위감지센서,
100 : 미분이 혼합된 모래, 101 : 모래,
102 : 미분

Claims (2)

  1. 삭제
  2. 미분이 혼합된 모래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구와, 모래에서 분리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배출구가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를 와류시켜 모래를 수직낙하하고 미분만을 외측으로 와류시키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되는 미분이 분리된 모래가 자유 낙하함과 동시에 유입 배출되는 모래배출하우징; 상기 모래배출하우징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와류된 공기와 함께 미분이 미분배출하우징으로 유입하도록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 임펠러의 상단에 근접 설치되고 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원판; 상기 원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조절볼트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기 원판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KR10-2004-0063862A 2004-08-13 2004-08-13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KR100491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862A KR100491097B1 (ko) 2004-08-13 2004-08-13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862A KR100491097B1 (ko) 2004-08-13 2004-08-13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70A KR20040087270A (ko) 2004-10-13
KR100491097B1 true KR100491097B1 (ko) 2005-05-24

Family

ID=3736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862A KR100491097B1 (ko) 2004-08-13 2004-08-13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11A (ko) 2014-07-18 2016-01-27 하용간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59B1 (ko) * 2008-01-22 2010-08-19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진동식 역류필터형 여과조 및 이를 구비한 역류필터형 폐수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11A (ko) 2014-07-18 2016-01-27 하용간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70A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120B1 (ko)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US64020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treatment of granular substances with pollutants adhered
CN104114289B (zh) 用于街道清扫废物和污土的转筒清洗器
JP2008080329A (ja) 材料回収システム及び材料回収方法
JP4970756B2 (ja) 破砕研磨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汚染土壌処理方法
JP4364889B2 (ja) 浚渫土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190669B2 (ja) 汚染物質が付着した粒状体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91097B1 (ko)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KR102099048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KR102068941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JP2008200952A (ja) 廃プラスチックを燃料化するため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システム
JP4236758B2 (ja) 細粒化装置
JP4338825B2 (ja) 細粒化処理方法
JP2006088087A (ja) 製砂装置
JP4132413B2 (ja) 汚染物質が付着した粒状体の処理方法
KR102081083B1 (ko) 골재 내 미분 자동 선별용 공기 세퍼레이터
KR100656732B1 (ko) 그라인딩 및 와류조절에 의한 순환 잔골재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KR20070109737A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JP2004174305A (ja) 無機性汚泥処理方法及び無機性汚泥処理装置
JP4335369B2 (ja) 汚染物質が付着した粒状体の処理方法
JP2008126222A (ja) 汚染土壌の解砕洗浄装置
KR200322989Y1 (ko)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JP4137291B2 (ja) 汚染物質が付着した粒状体の処理方法
JP4956910B2 (ja) 焼却灰の湿式粉砕方法および粉砕装置
KR200260601Y1 (ko) 폐 퍼라이트 원료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