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087B1 -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087B1
KR100489087B1 KR10-2002-0066972A KR20020066972A KR100489087B1 KR 100489087 B1 KR100489087 B1 KR 100489087B1 KR 20020066972 A KR20020066972 A KR 20020066972A KR 100489087 B1 KR100489087 B1 KR 10048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steering
cross bar
bolt
cow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101A (ko
Inventor
신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0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 조작력을 앞바퀴에 연결된 조향링크에 전달하여 조향이 이루어지게 하는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를 가로지르는 카울 크로스 바에 고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카울 크로스 바(1)에 장착되는 상, 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 이를 관통하는 볼트(12)를 매개로 스티어링 칼럼(2)의 고정구(3)가 장착되는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트(12)용 볼트공의 사이에 원형의 안내관(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결합강도가 크게 증강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가 카울 크로스 바의 진동이 스티어링 칼럼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차체 진동으로 인한 조향 휠의 떨림을 억지하게 되고 이에 조향 휠의 조향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 볼트(12)를 삽입,관통시켜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의 조향력을 앞바퀴에 연결된 조향링크에 전달하여 조향이 이루어지게 하는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를 가로지르는 카울 크로스 바에 고정하기 위한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으로부터 차체에 전달된 진동이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게 구성된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은 스티어링 휠에 가해진 조작력을 앞바퀴가 연결된 조향 액슬에 전달하여 조향이 이루어지게 하는 조작력 전달기구로서, 차체의 운전석측에 종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차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카울 크로스 바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스티어링 칼럼은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의해 카울 크로스 바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데, 종래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의 경우 엔진으로부터 카울 크로스 바에 전달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여 엔진의 진동이 스티어링 칼럼에까지 미치게 하여 스티어링 휠의 떨림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좌,우 비드부로 공간을 형성하면서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카울 크로스 바(1)를 개재하면서 서로 접합되어 그 카울 크로스 바(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플레이트(20,21)와, 스티어링 칼럼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구(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21)에 용접된 상태로 고정구(3)의 체결공(3a)을 관통하는 볼트(210)에 너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21)에 용접된 너트(211)에 고정구(3)의 체결공(3a)을 통해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2)이 하부 고정플레이트(21) 밑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도 1에는 스티어링 칼럼(2)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고정구(3)가 상,하부 고정플레이트(20,21)에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카울 크로스 바(1)에 전달된 엔진의 진동의 대부분을 하부 고정플레이트(21)를 거쳐 스티어링 칼럼(2)에 전달하여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 떨림을 유발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의 조향감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조향감 저하의 문제는 특히 진동이 심한 디젤엔진을 장착한 차량에서 더욱 심각하였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20a와 21a는 굽힘 강성 강화를 위해 상,하부 고정플레이트(20)에 성형되는 비드부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울 크로스 바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의 결합강도가 크게 증강되어 카울 크로스 바에서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상,하 고정플레이트에서 분산시킴으로써 카울 크로스 바로부터 스티어링 칼럼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카울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 하부 고정플레이트에 이를 관통하는 볼트를 매개로 스티어링 칼럼의 고정구가 장착되되,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트용 볼트공의 사이에 원형의 안내관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가 상호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진동 차단 성능이 향상되고, 상, 하부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볼트를 체결할때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와 6은 도 4의 Ⅴ-Ⅴ선과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카울 크로스 바(1)에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와 스티어링 칼럼(2)에 설치되는 고정구(3),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플레이트(10)를 위에서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3)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볼트(12) 및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관 형상의 안내관(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는 좌,우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굽힘강성 강화를 위한 좌,우 비드부(10a)(11a)가 성형된 강판 구조물로, 좌,우 비드부(10a)(11a)로써 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중간에 횡으로 가로지르는 카울 크로스 바(1)를 개재하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접합되어 카울 크로스 바(1)에 고정된다. 이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중간에는 카울 크로스 바(1)가 안치되어 유동되지 않게 하는 반원형 단면의 만곡부가 성형되고, 좌,우 비드부(10a)(11a) 상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공들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공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볼트공 사이에 상기 안내관(13)이 설치되어, 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12)의 삽입경로를 안내하여 볼트(12)가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를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가 상호 지지하여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3)는 스티어링 칼럼(2)을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 고정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칼럼(2)의 상부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상면 양측에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체결공(3a)들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조립과정을 통해 결합되어 스티어링 칼럼(2)을 카울 크로스 바(1)에 대하여 고정하게 된다.
먼저,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를 그 중간 만곡된 부분에 카울 크로스 바(1)가 안치되게 하면서 용접으로 접합하여 카울 크로스 바(1)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어, 스티어링 칼럼(2)의 고정구(3)를 하부 플레이트의 밑면에 대고, 상부 고정플레이트 위에서 상부 플레이트의 각 볼트공 마다 볼트(12)를 끼워 안내관(13)을 통해 고정구(3)에 체결하면, 볼트(12)들의 체결력에 의해 고정구(3)들이 하부 플레이트의 밑면에 결합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2)이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를 매개로 카울 크로스 바(1)에 고정된다. 이 때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 사이의 안내관(13)들은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 비드가 상호 지지하게 하여 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굽힙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볼트(12)와 안내관(13)은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를 일체화함으로써 카울 크로스 바(1)로부터 전해져 오는 진동이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서 분산되도록 작용하여 스티어링 칼럼(2)에 전달되는 것을 억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는 상부 고정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카울 크로스 바(1)에 고정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비드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3)에 체결되는 볼트(12)의 체결력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2)를 카울 크로스 바(1)에 고정하는 바, 카울 크로스 바(1)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상기 볼트(12)와 그 볼트(12)를 안내하는 안내관(13)에 의해 결합력이 증진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카울 크로스 바(1)의 진동이 스티어링 칼럼(2)에 전이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또한, 볼트(12)를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볼트공에 삽입 관통시킬때 상부 고정플레이트(10)를 관통한 후의 볼트(12) 진행경로가 하부 고정플레이트(11)의 볼트공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므로 볼트(12)를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의 볼트공에 삽입 관통시켜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따르면 결합강도가 크게 증강된 상,하부 고정플레이트가 카울 크로스 바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분산하여 소진시킬 수 있으므로 카울 크로스 바의 진동이 스티어링 칼럼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 진동으로 인한 조향 휠의 떨림을 억지하여 조향 휠의 조향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또한, 볼트 체결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울 크로스 바 2 : 스티어링 칼럼
3, 4 : 고정구 10 : 상부 고정플레이트
10a : 비드부 11 : 하부 고정플레이트
11a : 비드부 12 : 볼트
13 : 안내관

Claims (2)

  1. 카울 크로스 바(1)에 장착되는 상, 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 이를 관통하는 볼트(12)를 매개로 스티어링 칼럼(2)의 고정구(3)가 장착되는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고정플레이트(10,11)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트(12)용 볼트공의 사이에 원형의 안내관(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2. 삭제
KR10-2002-0066972A 2002-10-31 2002-10-31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KR10048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72A KR100489087B1 (ko) 2002-10-31 2002-10-31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72A KR100489087B1 (ko) 2002-10-31 2002-10-31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101A KR20040038101A (ko) 2004-05-08
KR100489087B1 true KR100489087B1 (ko) 2005-05-12

Family

ID=3733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972A KR100489087B1 (ko) 2002-10-31 2002-10-31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0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101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59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4766968A (en) Mount for automobile radiator
KR100826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5138652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補強構造
KR100489087B1 (ko) 스티어링 칼럼 고정구조
JP3562343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とセンタメンバとの連結構造
US11760294B2 (en) Work vehicle
JP2008049944A (ja) マウント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2004074939A (ja) 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JPH10324269A (ja) フロントシャシフレーム
JP2002160673A (ja) 車輌用フロア構造
JP4496470B2 (ja) 車両の排気装置
JPH0338443A (ja) 自動車用バンパの取付構造
KR20230104438A (ko)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KR100314523B1 (ko) 엔진 마운트 강성 보강구조
KR100452212B1 (ko) 엔진리어마운팅부의 차체구조
KR200224108Y1 (ko) 프론트크로스멤버와 프론트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436739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써포트 멤버
KR100666542B1 (ko) 카울 크로스바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구조
JP2002059868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取付構造
KR200155455Y1 (ko) 자동차용 파킹케이블의 이퀄라이저 구조
KR20010060925A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장치
KR100362119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멤버의 전후강성 보강용 레그브라켓
KR100412888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KR19980049043A (ko) 서브프레임과 로어암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