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060B1 -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060B1
KR100489060B1 KR10-2002-0034053A KR20020034053A KR100489060B1 KR 100489060 B1 KR100489060 B1 KR 100489060B1 KR 20020034053 A KR20020034053 A KR 20020034053A KR 100489060 B1 KR100489060 B1 KR 10048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od
pressure nitrogen
acceleration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951A (ko
Inventor
박수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0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후드와 밧데리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 후드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고압질소를 공급하는 고압질소탱크와, 상기 에어백으로 고압질소탱크의 고압질소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와,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충돌시 차량 후드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후드가속도감지부와, 상기 차량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갭(GAP)을 감지하는 갭(GAP)감지부와,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 및 갭(GAP)감지부에서 각각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을 밧데리 주위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행자 충돌시 후드 안쪽의 밧데리 주위를 에어백으로 커버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person on crashing pers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속센서, 후드센서, 범퍼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사용하며, 특정 조건의 영역에서 에어백을 작동시켜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백 작동 조건은 차량의 속도라든지, 보행자와의 거리에 따라서 정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게 되는 것은 후드 전체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후드 안쪽 엔진룸에서 단단한 부품이 있는 부위, 즉 밧데리 또는 와이퍼 작동 모터 등에 부딪쳤을 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막연한 조건만 설정했을 뿐, 실질적으로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행자 충돌시 후드 안쪽의 밧데리 주위를 에어백으로 커버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줄이기 위한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의 특징은, 차량 후드와 밧데리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 후드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고압질소를 공급하는 고압질소탱크와, 상기 에어백으로 고압질소탱크의 고압질소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와,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충돌시 차량 후드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후드가속도감지부와, 상기 차량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갭(GAP)을 감지하는 갭(GAP)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된 후드가속도감지부 및 갭(GAP)감지부에서 각각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을 밧데리 주위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에서 감지된 가속도값과 제1 기설정된 값을, 상기 갭(GAP)감지부에서 감지된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거리값과 제2 기설정된 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가속도값이 제1 기설정된 값보다 크고, 상기 감지된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거리값이 제2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고압질소탱크의 고압질소를 배출하여 상기 에어백을 작동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제1 기설정된 값은 0.5G이고, 제2 기설정된 값은 20㎜임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차량 후드(101)와 밧데리(102)와, 에어백(103)과, 고압질소탱크(104)와, 컨트롤밸브(105)와, 후드가속도감지부(106)와, 갭(GAP)감지부(107)와, 제어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된 후드가속도감지부(106)는 보행자 충돌시 차량 후드(101)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106)에는 충돌시 차량 후드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가해지는 충격크기에 따라 가속도를 감지하는 압전형 가속도 센서가 있으며, 가속도를 측정하는 조건은 압전형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08)가 충돌상태로 판단하여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갭(GAP)감지부(107)는 상기 차량 후드(101)와 밧데리단자(102a)와의 갭(GAP)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갭(GAP)감지부(107)는 차량후드와 배터리 단자 사이의 갭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공지된 간격 감지기 이외에도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107) 및 갭(GAP)감지부(108)에서 각각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105)를 제어하여 상기 고압질소탱크(104)의 고압질소로 상기 에어백(103)을 밧데리(102) 주위로 작동시키게 된다.
도3은 도1의 에어백 작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된 후드가속도감지부(106)는 보행자 충돌시 차량 후드(101)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갭(GAP)감지부(107)는 상기 차량 후드(101)와 밧데리단자(102a)와의 갭(GAP)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8)는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107) 및 갭(GAP)감지부(108)에서 각각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105)를 제어하여 상기 고압질소탱크(104)의 고압질소로 상기 에어백(103)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108)는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107)에서 감지된 가속도값과 제1 기설정된 값을, 상기 갭(GAP)감지부에서 감지된 후드와 밧데리단자(102a)와의 거리값과 제2 기설정된 값을 각각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결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107)에서 감지된 값이 제1 기설정된 값인 0.5G보다 크고, 상기 갭(GAP)감지부에서 감지된 후드와 밧데리단자(102a)와의 거리값이 제2 기설정된 값인 20㎜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108)는 상기 컨트롤밸브(105)를 제어하여 상기 고압질소탱크(104)의 고압질소를 배출하여 상기 에어백(103)을 상기 밧데리(102) 주위로 작동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행자 충돌시 후드 안쪽의 밧데리 주위를 에어백으로 커버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불필요하게 후드 전체를 커버하지 않고, 꼭 필요한 부분만을 커버하므로 부품을 축소할 수 있다.
셋째, 후드의 변형을 줄이므로 차량 훼손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차량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도1의 에어백 작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차량 후드 102 : 밧데리
102a : 밧데리 단자 103 : 에어백
104 : 고압질소탱크 105 : 컨트롤밸브
106 : 후드가속도감지부 107 : 갭(GAP)감지부
108 : 제어부

Claims (3)

  1. 차량 후드와 밧데리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 후드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고압질소를 공급하는 고압질소탱크와;
    상기 에어백으로 고압질소탱크의 고압질소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밸브와;
    차량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충돌시 차량 후드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후드가속도감지부와;
    상기 차량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갭(GAP)을 감지하는 갭(GAP)감지부와;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 및 갭(GAP)감지부에서 각각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을 밧데리 주위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드가속도감지부에서 감지된 가속도값과 제1 기설정된 값을, 상기 갭(GAP)감지부에서 감지된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거리값과 제2 기설정된 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가속도값이 제1 기설정된 값보다 크고, 상기 감지된 후드와 밧데리단자와의 거리값이 제2 기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컨트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고압질소탱크의 고압질소를 배출하여 상기 에어백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설정된 값은 0.5G이고, 제2 기설정된 값은 20㎜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KR10-2002-0034053A 2002-06-18 2002-06-18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KR10048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053A KR100489060B1 (ko) 2002-06-18 2002-06-18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053A KR100489060B1 (ko) 2002-06-18 2002-06-18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951A KR20030096951A (ko) 2003-12-31
KR100489060B1 true KR100489060B1 (ko) 2005-05-12

Family

ID=3238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053A KR100489060B1 (ko) 2002-06-18 2002-06-18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5326A (en) * 2009-11-16 2011-05-18 Autoliv Dev Inflatable battery prot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902A (ja) * 1993-10-15 1995-04-25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H07125610A (ja) * 1993-10-29 1995-05-16 Toyota Motor Corp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49587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충돌감지 본네트 에어백 작동시스템
KR0154032B1 (ko) * 1993-12-24 1998-10-15 전성원 자동차 변형속도에 따른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5215A (ko) * 1997-03-29 1998-11-16 김영귀 차량의 전방충돌대비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902A (ja) * 1993-10-15 1995-04-25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H07125610A (ja) * 1993-10-29 1995-05-16 Toyota Motor Corp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KR0154032B1 (ko) * 1993-12-24 1998-10-15 전성원 자동차 변형속도에 따른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9587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충돌감지 본네트 에어백 작동시스템
KR19980075215A (ko) * 1997-03-29 1998-11-16 김영귀 차량의 전방충돌대비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951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7696B2 (en) System for triggering restraining means
US11338751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and occupant protection method for vehicle
US7493983B2 (en)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colliding with vehicle
JP2008514496A (ja) 乗員保護手段の駆動制御方法および乗員保護手段の駆動制御装置
KR100489060B1 (ko) 차량의 보행자 충돌시 보행자 보호장치
US6842679B2 (en) Activation device for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US7690679B2 (en) Passenger-protect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08080979A (ja) 乗員保護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20120071995A (ko) 측면승객보호장치의 제어방법
KR100195489B1 (ko) 자동차 사고시 유리파괴장치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19455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작동방법
KR19980075215A (ko) 차량의 전방충돌대비 에어백 장치
KR200240568Y1 (ko) 자동차의측면충격보호장치
KR100220773B1 (ko) 차량의 측면 에어백 장치 및 방법
KR20030083991A (ko) 차량의 충돌 상해 감소를 위한 팔위치 조정장치
KR100187646B1 (ko) 에어백 작동장치
KR0128075Y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695445B1 (ko) 차량 후방 추돌에 의한 부상 방지 헤드레스트 및 그 제어방법
KR100452440B1 (ko) 에어백의 팽창량 제어장치
KR100383959B1 (ko)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KR100551823B1 (ko) 자동차의 충돌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224245B1 (ko) 측면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JPH03208748A (ja) 乗員保護装置
KR20100089659A (ko) 측면 승객 구속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