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986B1 - 슬러지건조기 - Google Patents

슬러지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986B1
KR100488986B1 KR10-2000-0034134A KR20000034134A KR100488986B1 KR 100488986 B1 KR100488986 B1 KR 100488986B1 KR 20000034134 A KR20000034134 A KR 20000034134A KR 100488986 B1 KR100488986 B1 KR 10048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ipe
supply
drying furnace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065A (ko
Inventor
손연수
황용윤
강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3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9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26B13/183Arrangements for heating, cooling, condensate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건조로의 입구측에 나선형파이프를 내장하고, 나선형파이프의 내측면에 고착된 슬러지를 열변형성질을 이용하여 자동 분리함으로써 슬러지건조기의 입구측 내벽에 슬러지가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너에 의해 예열된 회전건조로에 슬러지공급호퍼로부터 슬러지가 공급되면 이 슬러지를 삽판에서 퍼올리면서 파쇄블레이드에서 파쇄하는 슬러지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건조로의 입구측 내벽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 사이에 그 축방향의 열팽창이 제한되면서 그 반지름방향의 열팽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공급측파이프로 공급되어 그 배출측파이프로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그 반지름방향으로만 열수축이 이루어지는 나선형파이프; 상기 공급측파이프에 연결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나선형파이프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각공기공급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러지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 제조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슬러지건조기에서 건조 및 파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슬러지가 회전건조로의 입구측 내벽에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슬러지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슬러지포트에 담겨서 슬러지처리설비로 이송되고, 이 슬러지처리설비의 건조기에서 건조 파쇄하여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분말가루로 제조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이때, 슬러지처리설비의 슬러지건조기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건조로(1)의 내부가 버너(10)에 의해 약 700℃이상으로 예열된 후 공급호퍼(14)를 통해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가 공급된다. 여기서, 슬러지는 회전되는 회전건조로(1)내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삽판(2)에 의해 위로 퍼올려지면서 낙하되어 파쇄블레이드(3)에서 파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어느정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슬러지가 회전건조로(1)의 입구측 내벽에 고착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비휴지중 작업자가 냉각된 회전건조로에 들어가 작업하는 등 작업생산성의 저하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회전건조로(1)의 내벽으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덩어리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산업폐기물처리를 함으로써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회전건조로의 입구측에 나선형파이프를 내장하고, 나선형파이프의 내측면에 고착된 슬러지를 열변형성질을 이용하여 자동 분리함으로써 슬러지건조기의 입구측 내벽에 슬러지가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너에 의해 예열된 회전건조로에 슬러지공급호퍼로부터 슬러지가 공급되면 이 슬러지를 삽판에서 퍼올리면서 파쇄블레이드에서 파쇄하는 슬러지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건조로의 입구측 내벽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 사이에 그 축방향의 열팽창이 제한되면서 그 반지름방향의 열팽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공급측파이프로 공급되어 그 배출측파이프로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그 반지름방향으로만 열수축이 이루어지는 나선형파이프와; 상기 공급측파이프에 연결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나선형파이프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각공기공급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건조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건조기의 고착슬러지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회전건조로(1)의 입구측에는 삽판(2)이 설치되지 않는 구역으로 슬러지가 건조되기 전에 고착이 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착슬러지(3)가 발생되는 회전건조로(1)의 입구측에 나선형파이프(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나선형파이프의 축방향 열팽창을 막기 위해 지지파이프(21,22)가 나선형파이프의 양측에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건조로의 내벽에 고정 부착된다.
이때, 나선형파이프(20)는 슬러지의 고열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통상의 철 재질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며, 상기 나선형파이프(20)는 반지름방향의 열팽창크기를 고려하여 열팽창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외주면과 회전건조로(1)의 내벽 사이에 반드시 간격이 존재하여야 한다. 그리고, 나선형파이프(20)에는 그 공급측파이프(20-1)에 외부에서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공기공급관(25)이 연결되어 있고, 그 배출측파이프(20-2)는 나선형파이프를 거치면서 가열된 냉각공기를 회전건조로(1)의 출구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공기공급관(25)은 밸브(26)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나선형파이프(20)의 내주면에 고착슬러지(30)가 발생되면 밸브(26)가 개방되면서 냉각공기를 나선형파이프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건조로(1)에 슬러지를 공급하기 전에 버너(10)를 점화하여 회전건조로의 내부를 약 700 ℃ 이상으로 가열시킨 후 슬러지공급호퍼(14)를 통해 회전건조로에 슬러지를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때, 버너(10)의 가열로 인해 나선형파이프(20)는 반지름방향으로 열팽창을 일으키면서 그 외주면이 회전건조로(1)의 내벽에 밀착된다.
그리고, 회전건조로(1)에 공급되는 대부분의 슬러지는 가열된 회전건조로의 내부온도에 의해 건조되면서 파쇄블레이드(3)에 의해 파쇄가 이루어지고, 삽판(2)에 의해 상부로 퍼올려진 후 낙하되는 과정에서 다시 파쇄블레이드에 의해 파쇄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분말상태로 변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슬러지는 충분히 건조되기 전에 회전건조로(1)의 입구측에 설치된 나선형파이프(20)의 내측면에 고착이 되고, 이러한 고착슬러지(30)는 고착상태에서 그대로 건조되어 딱딱한 덩어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나선형파이프(20)의 내벽에 고착슬러지(30)이 발생되면 냉각공기공급관(25)을 통해 냉각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공급측파이프(20-1)를 통해 유입된 냉각공기는 나선형파이프(20)를 지나면서 냉각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나선형파이프(20)은 반지름방향으로 열수축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내측면의 표면적이 축소되면서 고착슬러지(30)를 파쇄하게 되고, 이 파쇄슬러지는 파쇄블레이드(3)에 의해 분말상태로 분쇄된다.
그리고, 나선형파이프(20)를 통과한 냉각공기는 열교환에 의해 더운공기가 되어 배출측파이프(20-2)를 통해 회전건조로(1)의 출구측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회전건조로의 내벽에 슬러지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고착슬러지의 제거작업과 같은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감소시키고, 고착슬러지발생에 의한 설비휴지를 막을 수 있으며, 고착슬러지와 같은 산업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슬러지건조기가 설치된 슬러지처리설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건조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건조기의 고착슬러지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건조로 2 : 삽판
3 : 파쇄블레이드 5 : 사이크론
6 : 저장호퍼 9 : 집진기
10 : 버너 11 : 불로어
12 : 저장탱크 13 : 배출기
14 : 슬러지공급호퍼 15 : 스태커
16 : 블로어 30 : 고착슬러지

Claims (1)

  1. 버너(10)에 의해 예열된 회전건조로(1)에 슬러지공급호퍼(14)로부터 슬러지가 공급되면 이 슬러지를 삽판(2)에서 퍼올리면서 파쇄블레이드(3)에서 파쇄하는 슬러지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건조로(1)의 입구측 내벽에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지지파이프(21,22);
    상기 지지파이프(21,22) 사이에 그 축방향의 열팽창이 제한되면서 그 반지름방향의 열팽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반지름방향의 열팽창크기를 고려하여 열팽창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외주면과 회전건조로(1)의 내벽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장착되며, 공급측파이프(20-1)로 공급되어 배출측파이프(20-2)로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그 반지름방향으로만 열수축이 이루어지는 나선형파이프(20);
    상기 공급측파이프(20-1)에 연결되어 밸브(26)가 개방되면 상기 나선형파이프(20)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각공기공급관(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건조기.
KR10-2000-0034134A 2000-06-21 2000-06-21 슬러지건조기 KR10048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34A KR100488986B1 (ko) 2000-06-21 2000-06-21 슬러지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134A KR100488986B1 (ko) 2000-06-21 2000-06-21 슬러지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65A KR20020000065A (ko) 2002-01-04
KR100488986B1 true KR100488986B1 (ko) 2005-05-11

Family

ID=1967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34A KR100488986B1 (ko) 2000-06-21 2000-06-21 슬러지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424A (ko) * 2002-06-28 2004-01-07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폐합성수지의 건류가스 연소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및 방법
KR20230139677A (ko) 2022-03-28 2023-10-05 이광신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KR102489906B1 (ko) 2022-03-30 2023-01-17 이광신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CN117185610B (zh) * 2023-11-07 2024-01-02 四川中瑞信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涨缩搅拌式污泥干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001A (ko) * 1974-01-01 1983-03-25 히로 게이다로오 예취(刈取)결속기에 있어서의 전동기구
JPH03208524A (ja) * 1990-01-11 1991-09-11 Kawasaki Heavy Ind Ltd 複重管分離方法
KR19990013155U (ko) * 1997-09-23 1999-04-15 이구택 소석회 공급로의 퇴적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001A (ko) * 1974-01-01 1983-03-25 히로 게이다로오 예취(刈取)결속기에 있어서의 전동기구
JPH03208524A (ja) * 1990-01-11 1991-09-11 Kawasaki Heavy Ind Ltd 複重管分離方法
KR19990013155U (ko) * 1997-09-23 1999-04-15 이구택 소석회 공급로의 퇴적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65A (ko) 200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20020012603A (ko) 시멘트 클링커의 제조시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CN114562881A (zh) 一种基于立式节能焙烧炉对铸造废砂再生利用的方法
KR100488986B1 (ko) 슬러지건조기
KR100283682B1 (ko) 열풍건조장치
KR20000052013A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10000285A (ko)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CN217635656U (zh) 一种回转窑热风干燥炉渣系统
JP2003103243A (ja)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む汚染土壌の処理方法、セメント製造方法および加熱処理装置
KR101183540B1 (ko) 펠릿 제조 시스템
JP2007084876A (ja) 廃アルミ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S55146316A (en) Treatment device for sewage sludge and industrial waste water sludge
KR101843316B1 (ko) 슬러지 복합건조장치
KR200188396Y1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장치
KR100525659B1 (ko) 폐주물사 재생 장치
JP2004189848A (ja) 炭化処理方法および炭化処理システム
KR100691504B1 (ko)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사용하여 연소를 위한 연료를생산하는 재생에너지연소장치
SU1672179A1 (ru) Барабанный холодильник дл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JP2002001285A (ja) 可燃成分を含有する被処理物の加熱処理方法と処理装置と処理施設。
JP2747951B2 (ja) 焼却灰の乾燥方法及び溶融処理方法
CN216337229U (zh) 污泥低温带式干化机
JP2001271308A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のリサイクルプラントおよびリサイクルドライヤの操業方法
JP4360030B2 (ja) ごみ乾燥機
WO1995016173A1 (fr) Machine du type a accumulation de chaleur pour le sechage sous vide des dejections d&#39;animaux domestiques
JPH06200502A (ja) アスファルト合材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