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06B1 -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 Google Patents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906B1
KR102489906B1 KR1020220039378A KR20220039378A KR102489906B1 KR 102489906 B1 KR102489906 B1 KR 102489906B1 KR 1020220039378 A KR1020220039378 A KR 1020220039378A KR 20220039378 A KR20220039378 A KR 20220039378A KR 102489906 B1 KR102489906 B1 KR 10248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rotation
body portion
building foundation
center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신
Original Assignee
이광신
정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신, 정상배 filed Critical 이광신
Priority to KR102022003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은,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의 중심회전본체부;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지면 내부로 굴착하여 진입하는 헬릭스 구조의 하부진입블레이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중심회전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방 연장되는 헬릭스(helix) 구조의 수평 블레이드, 수평 블레이드의 상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의 수직교반 블레이드, 및 수평 블레이드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판상형 하부진입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의 중앙회전부;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중앙회전부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길이만큼 측방으로 연장된 수평교반봉;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흙과 시멘트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구근을 형성할 수 있고, 시멘트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주변 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을 극대화하여 압축과 인장력에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교반봉에 의해 반경이 증가되어 구경이 증가하여 주변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수평지지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선단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공사 현장에 필요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전체 수량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결과를 수반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Helical Pile For Building Foundation Work}
본 발명은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그라우팅 타설에 의해 대구경 구조의 헬리컬파일과 동일한 수평지지력, 연직지지력, 하부선단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어 전체 시공 수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을 지반 상에 건조할 때, 지반이 연약하거나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위해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헬리컬파일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헬리컬파일(10)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헬리컬파일(10)을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의 건조 예정 지반(BG)에 형성한 굴착공(20)에 삽입한 후, 굴착공(20)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부어 충진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헬리컬파일(10)은 굴착공(20)을 형성하는 굴착 작업시에 생성되어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에 의해 그 하단부의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되기 어렵고,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시공 중에 헬리컬파일(10)이 부력에 의해 떠오르거나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헬리컬파일(10)의 위치를 측량,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하는 작업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헬리컬파일(10)을 굴착공(20)에 삽입한 후, 타격 공법을 이용해 굴착공(20)의 바닥면에 박아 넣어 하단부의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굴착공(20)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부어 충진 양생시키는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시공된 종래의 헬리컬파일(10)도 구조물의 하중이 인가되면 헬리컬파일(10)과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충진 양생되어 이루어진 시멘트계 충진부의 경계면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구조물의 하중이 좁은 면적의 헬리컬파일(10) 하단부에 집중 인가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그 허용하중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외주면에 돌기 형태의 날개(11)를 다수 형성하여 지반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킨 헬리컬파일(10')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으나, 해당 날개(11)로 인해 헬리컬파일(10') 하단부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헬리컬파일(10')이 설치되는 굴착공(20')의 직경을 늘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더 큰 직경의 굴착공(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굴착량이 많아져 굴착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고, 굴착토의 양도 증가하여 그 처리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우 길고 큰 부피의 헬리컬파일(10') 운반 중에 다수의 날개(11)가 장애물과 접촉하면서 빈번하게 손상되는 등, 그 운반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헬리컬파일(10, 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타격 공법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소음과 진동 발생으로 인접 구조물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많은 민원을 불러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타격 시에 헬리컬파일(10, 1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굴착공(20, 2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이나 헬리컬파일(10, 10') 타격으로 인한 굴착공(20, 20')의 바닥면 지반의 교란으로 인해 헬리컬파일(10)을 견고하게 설치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2065호 (등록일자: 2019년07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컬파일의 크기가 소구경이어서 수평력이 작으므로 헬리컬파일 상부에 교반봉과 헬릭스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주변에 시멘트그라우팅을 실시하므로 주변 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을 극대화하여 압축과 수평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은,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의 중심회전본체부;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지면 내부로 굴착하여 진입하는 헬릭스 구조의 하부진입블레이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중심회전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방 연장되는 헬릭스(helix) 구조의 수평 블레이드, 수평 블레이드의 상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의 수직교반 블레이드, 및 수평 블레이드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판상형 하부진입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의 중앙회전부;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중앙회전부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길이만큼 측방으로 연장된 수평교반봉;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또 다른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길이가변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중심회전본체부의 내부로 진입하여 중앙회전부가 장착되는 깊이까지 연장된 구조의 내부진입구조;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내부진입구조와 외부를 연통하는 그라우팅토출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심회전본체부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내부진입구조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내부진입구조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며, 내부진입구조에 주입된 시멘트 그라우팅을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하방유도 나선돌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부 외주면에 상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수평교반봉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의 높이변경레일;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부 외주면에 상하 높이 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위치변경에 따라 그라우팅토출구의 개방 수량을 변경하는 토출구 수량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하단 내부에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의 하단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1위치검출부재;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2위치검출부재; 상기 중앙회전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중앙회전부의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3위치검출부재;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운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며, 제1위치검출부재, 제2위치검출부재 및 제3위치검출부재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위치, 시공기울기, 시간당 변형량을 산출하여 운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중심회전본체부, 하부진입블레이드, 중앙회전부 및 수평교반봉을 구비함으로써, 주변의 흙과 시멘트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구근을 형성할 수 있고, 시멘트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주변 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을 극대화하여 압축과 인장력에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교반봉에 의해 반경이 증가되어 구경이 증가하여 주변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수평지지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하부선단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공사 현장에 필요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전체 수량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결과를 수반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길이가변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지형 및 지반의 상태 및 시공 계획에 따라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길이를 손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시공 깊이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부진입구조, 그라우팅토출구, 하방유도 나선돌기부, 높이변경레일 및 토출구 수량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적용하고자 하는 시멘트 그라우팅의 사양과 시공하고자 하는 지반 및 지면의 상태를 반영하여 시멘트 그라우팅의 주입량과 그라우팅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하방으로 전달되는 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수평교반봉의 또한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사양의 시멘트 그라우팅에 적용할 수 있어, 더 나아가 다양한 시공 깊이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위치검출부재, 제2위치검출부재, 제3위치검출부재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마다 확인할 수 있으며,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 상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건축공사를 중지하고 해당 헬리컬파일에 대한 조치를 우선적으로 취할 수 있어, 대규모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지반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중앙회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이용하여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연장길이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지반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100)은, 특정 구조의 중심회전본체부(110), 하부진입블레이드(120), 중앙회전부(130) 및 수평교반봉(140)을 구비함으로써, 주변의 흙과 시멘트를 효과적으로 혼합하여 구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시멘트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주변 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을 극대화하여 압축과 인장력에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교반봉에 의해 반경이 증가되어 구경이 증가하여 주변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수평지지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선단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공사 현장에 필요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전체 수량을 절감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결과를 수반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중앙회전부의 교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100)의 중심회전본체부(110)는,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진입블레이드(120)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회전동작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지면 내부로 굴착하여 진입하는 헬릭스 구조(131)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회전부(130)는 특정 구조의 수평 블레이드(131), 수직교반 블레이드(133) 및 하부진입 블레이드(131)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중앙회전부(130)의 수평 블레이드(131)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방 연장되는 헬릭스(helix) 구조로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회전에 의해 지반 하부로 굴착하여 진입하거나 지면 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중앙회전부(130)의 수직교반 블레이드(133)는, 수평 블레이드(132)의 상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로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회전에 의해 상부에 주입되는 스멘트 그라우팅과 흙을 교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회전부(130)의 하부진입 블레이드(131)는, 수평 블레이드(132)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판상형 구조로서, 중앙회전부(1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수평 블레이드(131)의 하방 진입을 도와 굴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교반봉(140)은,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중앙회전부(130)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길이만큼 측방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수평교반봉(140)은 절단면상 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원기둥 구조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심회전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내부진입구조(112) 및 그라우팅토출구(1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내부진입구조(112)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중앙회전부(130)가 장착되는 깊이까지 연장된 구조이다. 그라우팅토출구(113)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진입구조(112)와 외부를 연통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내부진입구조(112)의 내측면에는 하방유도 나성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방유도 나선돌기부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내부진입구조(112)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진입구조(112)에 주입된 시멘트 그라우팅을 하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이용하여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연장길이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100)의 중심회전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길이가변 연결부(11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가변 연결부(111)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또 다른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과 탈부착 가능한 구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과 하단에 길이가변 연결부(111)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길이가변 연결부(111)를 구비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지형 및 지반의 상태 및 시공 계획에 따라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길이를 손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시공 깊이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심회전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높이변경레일(114) 및 토출구 수량변경부(11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변경레일(114)은,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에 상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수평교반봉(1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토출구 수량변경부(115)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에 상하 높이 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위치변경에 따라 그라우팅토출구(113)의 개방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부진입구조(112), 그라우팅토출구(113), 하방유도 나선돌기부, 높이변경레일(114) 및 토출구 수량변경부(115)를 구비함으로써, 적용하고자 하는 시멘트 그라우팅의 사양과 시공하고자 하는 지반 및 지면의 상태를 반영하여 시멘트 그라우팅의 주입량과 그라우팅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하방으로 전달되는 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수평교반봉(140)의 또한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사양의 시멘트 그라우팅에 적용할 수 있어, 더 나아가 다양한 시공 깊이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100)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위치검출부재(151), 제2위치검출부재(152), 제3위치검출부재(153) 및 제어부(15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위치검출부재(151)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위치검출부재(152)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전달할 수 있다.
제3위치검출부재(153)는, 중앙회전부(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앙회전부(130)의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4)는,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운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며, 제1위치검출부재(151), 제2위치검출부재(152) 및 제3위치검출부재(15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위치, 시공기울기, 시간당 변형량을 산출하여 운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S)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제1위치검출부재(151), 제2위치검출부재(152), 제3위치검출부재(153) 및 제어부(154)를 구비함으로써,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마다 확인할 수 있으며,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 상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건축공사를 중지하고 해당 헬리컬파일에 대한 조치를 우선적으로 취할 수 있어, 대규모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지반
20: 시멘트 그라우팅
100: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110: 중심회전본체부
111: 길이가변 연결부
112: 내부진입구조
113: 그라우팅토출구
114: 높이변경레일
115: 토출구 수량변경부
120: 하부진입블레이드
130: 중앙회전부
131: 하부진입 블레이드
132: 수평 블레이드
133: 수직교반 블레이드
140: 수평교반봉
151: 제1위치검출부재
152: 제2위치검출부재
153: 제3위치검출부재
154: 제어부

Claims (6)

  1.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의 중심회전본체부(110);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회전동작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지면 내부로 굴착하여 진입하는 헬릭스 구조(131)의 하부진입블레이드(120);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방 연장되는 헬릭스(helix) 구조의 수평 블레이드(132), 수평 블레이드(132)의 상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의 수직교반 블레이드(133), 및 수평 블레이드(132)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판상형 하부진입 블레이드(131)를 포함하는 구조의 중앙회전부(130);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중앙회전부(130)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길이만큼 측방으로 연장된 수평교반봉(140);
    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중심회전본체부(1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중앙회전부(130)가 장착되는 깊이까지 연장된 구조의 내부진입구조(112);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내부진입구조(112)와 외부를 연통하는 그라우팅토출구(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또 다른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과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길이가변 연결부(1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내부진입구조(112)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내부진입구조(112)의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며, 내부진입구조(112)에 주입된 시멘트 그라우팅을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하방유도 나선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는,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에 상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고, 수평교반봉(1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의 높이변경레일(114);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에 상하 높이 방향으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위치변경에 따라 그라우팅토출구(113)의 개방 수량을 변경하는 토출구 수량변경부(1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6.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지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의 중심회전본체부(110);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회전동작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지면 내부로 굴착하여 진입하는 헬릭스 구조(131)의 하부진입블레이드(120);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방 연장되는 헬릭스(helix) 구조의 수평 블레이드(132), 수평 블레이드(132)의 상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판상형 구조의 수직교반 블레이드(133), 및 수평 블레이드(132)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판상형 하부진입 블레이드(131)를 포함하는 구조의 중앙회전부(130);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중앙회전부(130)의 최대 외경과 동일한 길이만큼 측방으로 연장된 수평교반봉(140);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 내부에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110)의 하단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전달하는 제1위치검출부재(151);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전달하는 제2위치검출부재(152);
    상기 중앙회전부(130)의 내부에 장착되고, 중앙회전부(130)의 위치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검출하여 제어부(154)에 전달하는 제3위치검출부재(153); 및
    상기 중심회전본체부(110)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운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며, 제1위치검출부재(151), 제2위치검출부재(152) 및 제3위치검출부재(15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의 시공위치, 시공기울기, 시간당 변형량을 산출하여 운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S)에 전달하는 제어부(1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KR1020220039378A 2022-03-30 2022-03-30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KR10248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378A KR102489906B1 (ko) 2022-03-30 2022-03-30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378A KR102489906B1 (ko) 2022-03-30 2022-03-30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906B1 true KR102489906B1 (ko) 2023-01-17

Family

ID=8511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378A KR102489906B1 (ko) 2022-03-30 2022-03-30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9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65A (ko) 2000-06-21 2002-01-04 이구택 슬러지건조기
JP2011094435A (ja) * 2009-11-02 2011-05-12 P Stage:Kk 合成杭造成用鋼管杭及び合成杭造成方法
JP2015190192A (ja) * 2014-03-28 2015-11-02 千代田工営株式会社 高耐力回転貫入杭
KR102098175B1 (ko) * 2019-05-29 2020-04-07 정경한 지반 개량용 굴착장치
KR102288209B1 (ko) * 2020-05-25 2021-08-10 지피이엔씨(주) 복합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 방법, 이에 의해 시공된 복합 파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65A (ko) 2000-06-21 2002-01-04 이구택 슬러지건조기
JP2011094435A (ja) * 2009-11-02 2011-05-12 P Stage:Kk 合成杭造成用鋼管杭及び合成杭造成方法
JP2015190192A (ja) * 2014-03-28 2015-11-02 千代田工営株式会社 高耐力回転貫入杭
KR102098175B1 (ko) * 2019-05-29 2020-04-07 정경한 지반 개량용 굴착장치
KR102288209B1 (ko) * 2020-05-25 2021-08-10 지피이엔씨(주) 복합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 방법, 이에 의해 시공된 복합 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0695B1 (ko) 경로 교정 장치를 구비하는 오거 타입의 수직 드릴링 시스템
CN103572755A (zh) 预应力混凝土预制桩
KR20130024944A (ko) 스크류파일
ES2312534T3 (es) Herramienta perforadora para desplazamientos y equipo que emplea dicha herramienta.
JP6764691B2 (ja) ケーソン躯体の沈設装置
CN105839633A (zh) 双圆弧锁扣搅拌桩机
KR102489906B1 (ko)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CN104452804B (zh) 全断面搅拌切削造墙机
JP6588797B2 (ja) 杭造築用掘削注入ロ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杭造築方法
CN205242386U (zh) 一种新型三轴搅拌桩装置
KR101561214B1 (ko) 광산 채굴공동 충전 장치
KR20230139677A (ko) 건축기초공사용 헬리컬파일
KR101855413B1 (ko) 심층혼합처리공법의 경화재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108978742A (zh) 一种截桩迫降纠倾结构、方法
KR20110035515A (ko) 교반날개와 노즐이 구비된 오거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강화 시공방법
JP2019173278A (ja) 遮水壁の構築方法
KR102029424B1 (ko) 고결된 연약지반 표층의 천공 및 하부 연약지반의 교반이 동시에 가능한 연약지반용 원위치 지반교반 장치
JP5284168B2 (ja) 土留部材建込用掘削部材および土留部材建込工法
KR102283215B1 (ko)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20685B1 (ko) 나선형 파일
KR101680106B1 (ko) 선단확장 보강판이 결합된 지반보강용 스크류파일
JP6729902B1 (ja) ソイルセメント連続壁の施工法
KR101517169B1 (ko) 지중 압입장치가 구비된 지하구조물
CN112942314B (zh) 一种搅拌桩内植管桩的施工方法
CN220415368U (zh) 一种回风井巷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