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215B1 -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215B1
KR102283215B1 KR1020190063400A KR20190063400A KR102283215B1 KR 102283215 B1 KR102283215 B1 KR 102283215B1 KR 1020190063400 A KR1020190063400 A KR 1020190063400A KR 20190063400 A KR20190063400 A KR 20190063400A KR 102283215 B1 KR102283215 B1 KR 10228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uger pipe
pipe
ground
lower au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484A (ko
Inventor
조삼덕
이광우
김장흥
김대학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주)유니콘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주)유니콘기연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02D7/30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by driving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구동부(240); 상기 구동부(24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부오거관(261); 외면에 스크류(263)가 일체로 구비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하부오거관(262); 상기 하부오거관(2)의 하부에 구비되는 선단비트(27); 상기 스크류(263)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263)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28);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아래로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벨조인트(1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Earth drilling device capable of casting concrete an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말뚝 또는 사면 억지말뚝 시공,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시공, 가시설 차수공사 등에 이용되는 지반천공장치로서, 하나의 장비로 지반천공과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의 기초말뚝을 지반에 설치하거나 사면 억지말뚝을 설치하거나, 가시설 차수벽을 형성할 때 지반을 천공하고 천공한 홀을 사용하여 말뚝이나 차수벽을 형성하게 된다.
차수벽을 설치하거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을 설치할 때, 일반적으로 지반천공 장비에 의해 지반을 천공한 후, 별도의 트리미관과 콘크리트관을 설치하여 차수벽이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을 시공하게 된다.
종래에는 지반을 천공한 후 별도의 장비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지반 천공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지하수와 불순물 등이 유입하게 되어 천공벽이 유실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형상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둘째, 천공홀 속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유입된 지하수와 물순물이 콘크리트에 혼입되게 되어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품질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말뚝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트리미관)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증개축 현장이나, 사면공사, 교차로 공사 등에서의 작업이 곤란하였고,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과 작업 시간이 필요하였다.
특허문헌 0001은,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스크류파일에 결합되어 시공되는 파일에 있어서, 케이싱(100), 링 형태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턱(210)이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100)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턱(210)이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구멍에 설치되는 걸림부재(200), 일단이 걸림부재(20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에서 움직이도록 설치되는 관 형상의 몸체(300), 몸체(3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300)가 케이싱(10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움직이되 걸림부재(200)에 걸려 몸체(300)가 케이싱(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링(400)으로 구성되는 케이싱 일체형 파일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 역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장비(트리미관, 펌프카) 없이 지반천공과 콘크리트 타설을 모두 할 수 있는 지반천공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92350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반천공과 콘크리트 타설을 모두 할 수 있는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차수벽 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공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작업공간을 최소화하고, 시공비와 시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반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구동부(240); 상기 구동부(24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부오거관(261); 외면에 스크류(263)가 일체로 구비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하부오거관(262); 상기 하부오거관(2)의 하부에 구비되는 선단비트(27); 상기 스크류(263)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263)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28);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아래로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벨조인트(10)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벨조인트(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챔버(11); 상기 챔버(11)의 상부와 상부오거관(261)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접속부(12); 상기 챔버(11)의 하부와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접속부(13); 상기 상부오거관(26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스토퍼(141);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스토퍼(142); 상기 상부스토퍼(141)와 하부스토퍼(142)의 사이에 구비되고, 콘크리트통과공(151)이 구비되는 다공케이싱(15)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1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상부스토퍼(141), 하부스토퍼(142) 및 다공케이싱(15)이 수용되되, 상기 챔버(11)의 내측과 상기 다공케이싱(15)의 외측 사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다공케이싱(15)의 내부는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11)에는 제3이송관(233)이 연결되어, 콘크리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챔버(11)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콘크리트통과공(151)을 통해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 및 스위벨조인트(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고압공기관(25)이 구비되며, 상기 콘크리트통과공(15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지름이 45 ~ 80 mm 이고, 타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단축의 지름(d3)이 45 ~ 80 mm 이고,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경(d1)은 140 ~ 160 mm 이고, 상기 고압공기관(25)의 외경(d2)은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경(d1)의 1/3 ~ 1/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상부접속부(12)는, 한 쌍의 상부베어링(121) 및 상기 한 쌍의 상부베어링(121)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실링재(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접속부(13)는, 한 쌍의 하부베어링(131) 및 상기 한 쌍의 하부베어링(131)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실링재(132)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체(100), 리더(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콘크리트투입부(21), 콘크리트펌프(22), 제1이송관(231), 제2이송관(232)이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스위벨조인트(10)를 통해 콘크리트를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하부오거관(262)과 케이싱(28)을 인발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와 c)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반 천공 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장비(트리미관, 펌프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천공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작업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비와 시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천공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벽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천공홀 속으로 지하수와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과 차수벽 등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천공장치를 통해 천공과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싱 일체형 파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반천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오거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공케이싱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는 본체(100), 리더(200), 레일각도조절부(300), 정착부(400), 콘크리트투입부(21), 콘크리트펌프(22), 제1이송관(231), 제2이송관(232), 제3이송관(233), 구동부(240), 스위벨조인트(10), 상부오거관(261), 하부오거관(262), 선단비트(27), 케이싱(28)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본체(100)에는, 콘크리트투입부(21), 콘크리트펌프(22), 제1이송관(231), 제2이송관(232)이 구비되고, 케이싱(28)과 상하부오거관을 리드하는 리더(200)가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리더(200)는 상기 정착부(400)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지반을 천공하는데 사용되는 상부오거관(261)과 케이싱(28)의 상부는 와이어(500)와 연결되어 승하강을 하게 된다.
콘크리트의 공급은, 통상 레미콘 트럭에 의해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콘크리트투입부(21)에 투입되고, 상기 콘크리트펌프(22)에 의해 교반, 이송되며, 제1이송관(231), 제2이송관(232), 제3이송관(233)을 통해 스위벨조인트(1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스위벨조인트(10) 내부로 공급된 콘크리트가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천공홀 속에 타설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콘크리트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개념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결합재), 물, 잔골재, 굵은골재를 포함하는 배합을 말하고, 필요에 따라 혼화재, 혼화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굵은골재를 사용하지 않는 모르타르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벨조인트(10)의 상부에는 구동부(240)가 구비되고, 스위벨조인트(10)의 하부로는 외면에 스크류(26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하부오거관(262)이 연결되며, 하부오거관(262)은 케이싱(28)의 내부에서 천공하게 된다.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하부에는 선단비트(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240)는 유압모터(241)와 감속기어(242)를 포함한다.
도 3에는 도 2의 A에 대한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위벨조인트(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위벨조인트(10)는 지반을 천공하기 위한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스위벨조인트(10)는, 챔버(11), 상부접속부(12), 하부접속부(13), 상부스토퍼(141), 하부스토퍼(142), 다공케이싱(15)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11)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챔버(11)의 내부에 상기 상부스토퍼(141), 하부스토퍼(142) 및 다공케이싱(15)이 수용되고, 제3이송관(233)이 연결되어, 콘크리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챔버(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접속부(12)를 통해 상기 챔버(11)의 상부와 상부오거관(26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접속부(13)를 통해 상기 챔버(11)의 하부와 하부오거관(26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접속부(12)는, 위, 아래로 구비되는 한 쌍의 상부베어링(121)과 상기 한 쌍의 상부베어링(121)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실링재(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접속부(13)는, 위, 아래로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베어링(131)과 상기 한 쌍의 하부베어링(131)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실링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벨조인트(10)는 상부오거관과 하부오거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콘크리트를 하부오거관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가 스위벨조인트의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실링재(122)와 하부실링재(132)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실링재(122)와 하부실링재(132)는 테프론계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벨조인트(10)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을 연결하면서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공급하기 위해 다공케이싱(15)을 구비한다.
콘크리트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상기 다공케이싱(15)에는 콘크리트통과공(151)이 형성되는데, 상기 콘크리트통과공(151)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의 굵은골재의 치수를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원활한 통과를 위해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지름을 45 ~ 80 mm 로 형성할 수 있고, 타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단축의 지름(d3)을 45 ~ 80 mm 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케이싱(15)의 내부는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어 상기 콘크리트통과공(151)을 통과한 콘크리트가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아래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케이싱(15)과 상기 상부오거관(261)의 사이에는 상부스토퍼(141)가 구비되고, 상기 다공케이싱(15)과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는 하부스토퍼(14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선단비트(27)와 스크류(263)에 의해 지반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천공홀 내부로 고압공기를 분사해야 하는데, 고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 및 스위벨조인트(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고압공기관(25)이 구비된다.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공급되는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에 설치된 고압공기관(25)에 의해 콘크리트의 이송이 방해받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경(d1)을 140 ~ 160 mm 로 할 수 있고, 상기 고압공기관(25)의 외경(d2)은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경(d1)의 1/3 ~ 1/4 로 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240)에 의해 하부오거관(262)에 회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고압공기관(25)에 의해 선단비트 아랫방향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면서 천공홀을 형성한다(고압공기는 도 3의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공급된다).
천공홀이 형성된 직후, 콘크리트투입부(21)에 콘크리트를 투입하고, 상기 콘크리트펌프(22)에 의해 제3이송관(233)을 통해 스위벨조인트(10) 내부로 공급하게 되며(도 3의 ① 화살표 방향), 상기 스위벨조인트(10) 내부로 공급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통과공(151)을 통해 다공케이싱(15) 내부로 이송하게 되고(도 3의 ② 화살표 방향), 이후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천공홀 속에 타설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와이어에 의해 상기 하부오거관(262)과 케이싱(28)을 인발한다. 이후 콘크리트 타설과 인발을 반복하면서 지하차수벽,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등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위벨조인트
11. 챔버
12. 상부접속부
121. 상부베어링 122. 상부실링재
13. 하부접속부
131. 하부베어링 132. 하부실링재
141. 상부스토퍼 142. 하부스토퍼
15. 다공케이싱 151. 콘크리트통과공
21. 콘크리트투입부 22. 콘크리트펌프
231. 제1이송관 232. 제2이송관
233. 제3이송관
240. 구동부
241. 유압모터 242. 감속기어
25. 고압공기관
261. 상부오거관 262. 하부오거관
263. 스크류
27. 선단비트 28. 케이싱
d1. 하부오거관의 내경
d2. 고압공기관의 외경
d3. 콘크리트통과공의 단축지름
100. 본체 200. 리더
300. 레일각도조절부 400. 정착부
500. 와이어

Claims (10)

  1. 지반을 천공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구동부(240);
    상기 구동부(24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부오거관(261);
    외면에 스크류(263)가 일체로 구비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하부오거관(262);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하부에 구비되는 선단비트(27);
    상기 스크류(263)가 통과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263)에 의해 생기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천공홀 내벽을 지지하는 케이싱(28);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를 통해 아래로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벨조인트(10)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벨조인트(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챔버(11);
    상기 챔버(11)의 상부와 상부오거관(261)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접속부(12);
    상기 챔버(11)의 하부와 하부오거관(262)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접속부(13);
    상기 상부오거관(26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스토퍼(141);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스토퍼(142);
    상기 상부스토퍼(141)와 하부스토퍼(142)의 사이에 구비되고, 콘크리트통과공(151)이 구비되는 다공케이싱(15)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1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상부스토퍼(141), 하부스토퍼(142) 및 다공케이싱(15)이 수용되되, 상기 챔버(11)의 내측과 상기 다공케이싱(15)의 외측 사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다공케이싱(15)의 내부는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11)에는 제3이송관(233)이 연결되어, 콘크리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챔버(11)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콘크리트통과공(151)을 통해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상부오거관(261)과 하부오거관(262) 및 스위벨조인트(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고압공기관(25)이 구비되며,
    상기 콘크리트통과공(15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지름이 45 ~ 80 mm 이고, 타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단축의 지름(d3)이 45 ~ 80 mm 이고,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경(d1)은 140 ~ 160 mm 이고, 상기 고압공기관(25)의 외경(d2)은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경(d1)의 1/3 ~ 1/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속부(12)는,
    한 쌍의 상부베어링(121) 및 상기 한 쌍의 상부베어링(121)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실링재(12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접속부(13)는,
    한 쌍의 하부베어링(131) 및 상기 한 쌍의 하부베어링(131)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실링재(13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본체(100), 리더(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콘크리트투입부(21), 콘크리트펌프(22), 제1이송관(231), 제2이송관(232)이 구비되는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10. 제1항 또는 제6항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스위벨조인트(10)를 통해 콘크리트를 상기 하부오거관(262)의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하부오거관(262)과 케이싱(28)을 인발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와 c)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90063400A 2019-05-29 2019-05-29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8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00A KR102283215B1 (ko) 2019-05-29 2019-05-29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00A KR102283215B1 (ko) 2019-05-29 2019-05-29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484A KR20200138484A (ko) 2020-12-10
KR102283215B1 true KR102283215B1 (ko) 2021-07-30

Family

ID=7379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00A KR102283215B1 (ko) 2019-05-29 2019-05-29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356B1 (ko) 2021-06-04 2022-08-23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22B1 (ko) 2016-02-03 2018-04-19 이엑스티 주식회사 지반에 따라 다단으로 결합되는 케이싱 일체형 파일
KR101883328B1 (ko) * 2016-04-11 2018-08-30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지반굴착장치의 투웨이 로타리 싱글 스위벨
KR20180045950A (ko) * 2016-10-26 2018-05-08 재호건설(주) 시멘트 주입식 지반 보강시스템 및 지반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484A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2130B (zh) 一种建筑物或桥梁基础用的随钻跟管桩的施工方法
GB20420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bterranean concrete piles
EA007849B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вайного фундамента
US6698976B1 (en) Grouting pipe equipment and method of grouting using the same for an underground water well
KR102283215B1 (ko)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N207260138U (zh) 高压旋喷搅拌承载桩的钻杆及具有其的装置
JP2017106187A (ja) 回転キャップ、既製杭埋設装置、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
US7429148B2 (en) Method for making a foundation pile
JP5075090B2 (ja) 場所打ち杭の施工方法および場所打ち杭
JP5034581B2 (ja) 地中構造の構築工法及びその工法で構築された地中構造物
US4917542A (en) Pneumatic grout removal method for forming foundation structures
RU2614131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буроинъекционной анкерной сваи с контролируемым уширением
JPH02213514A (ja) ソイルセメント柱体の造成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アースオーガー
CN116348655A (zh) 材料和设备的地下部署方法和系统
JP4867731B2 (ja) 地中構造物の構築工法及びその工法で構築された地中構造物、並びに管状部材
JP2018016954A (ja) 地中壁の施工法
JP6633899B2 (ja) 地盤改良システム
JP3247516B2 (ja) 地盤改良用噴射管
KR200426640Y1 (ko) 현장타설 말뚝용 두부 정리장치
KR200292844Y1 (ko) 나선형 중공파이프를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CN114108635B (zh) 一种溶洞封堵支撑装置及灌注桩底溶洞处理方法
CN113322936B (zh) 一种厚砂层岩溶区域土体加固施工方法及施工辅助装置
CN108005079A (zh) 植入式预制桩注浆装置和植入式注浆工艺
KR102072790B1 (ko) 중압식 그라우트 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압 혼합분사 그라우팅 공법
JPS5845529B2 (ja) 鋼管建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