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409B1 -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409B1
KR100488409B1 KR10-2002-0064920A KR20020064920A KR100488409B1 KR 100488409 B1 KR100488409 B1 KR 100488409B1 KR 20020064920 A KR20020064920 A KR 20020064920A KR 100488409 B1 KR100488409 B1 KR 10048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ioflavonoid
lipid metabolism
based material
coffe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112A (ko
Inventor
복성해
김은애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뉴트리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뉴트리젠 filed Critical (주)바이오뉴트리젠
Priority to KR10-2002-006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409B1/ko
Priority to US10/640,650 priority patent/US7867525B2/en
Priority to AU2003256104A priority patent/AU2003256104A1/en
Priority to PCT/KR2003/001638 priority patent/WO2004016092A1/en
Priority to EP03788155A priority patent/EP1534082A4/en
Publication of KR2004003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8Caffeine, coffee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한 후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에서 제조한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커피 조성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함으로써 지질대사 개선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뛰어난 커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A coffee composition comprising polyphenols, bioflavonoids or extracts of plants comprising polyphenols or bioflavonoids for improving the metabolism of the lipid and suppressing the fatness}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섭취시 지질대사 개선 및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는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늘상 시간에 쫓기고, 스트레스가 많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으며, 운동을 많이 못하고 자동차만 타고 다니며, 과음, 과로, 과식할 수 있는 환경에 살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고지혈증, 비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약간의 여유시간에 친구들과 또 손님들과 흔히 마시는 것이 차나 커피다.
현대인의 생활이 분주하기 때문에 우리 몸 속의 지질대사 개선이나 항 비만성 성분이 포함된 차나 커피를 만들어 마실 수 있다면 아주 편리할 것이다.
차의 잎에는 카테킨, 탄닌, 카페인 등 폴리페놀물질 및 바이오플라보노이드물질, 비타민 C 등 비타민 류 등이 풍부하다. 따라서 충분히 많은 양의 녹차를 마신다면 우리들의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녹차 속에서 흘러나올 수 있는 물질들의 총량은 지질대사개선 효능을 보이기에는 너무 소량이다.
커피콩에는 2, 4 디히드록시 신남산, 카페인, 탄닌 등 폴리페놀,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들이 들어있어 콜레스테롤 강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커피액 속에 흘러나오는 양이 적어서 실제 효과를 보기에는 미약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한 후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에서 제조한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커피 조성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한 후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에서 제조한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커피 조성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에서 제조한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커피 조성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 커피 조성물은 커피 분말에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 또는 지방대사를 촉진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되며 상기와 같이 제조된 커피 조성물은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체내 축적을 줄여준다.
사람의 몸 속에서 지방합성을 주로 많이 하는 간의 지방합성속도, 음식물을 통해 흡수되는 지방의 양, 그리고 몸 밖으로 배설되는 지방의 양 조절에 의해 우리 몸속의 지질대사가 평형을 이루면서 조절될 수 있다.
고혈압, 동맥경화, 중풍 등의 주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 합성은 주로 간 속의 특수한 효소활성을 억제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콜레스테롤 합성의 중간단계에서 중요 역할을 하는 효소가 HMG-CoA 환원효소이다.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면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음식으로 섭취한 지방이 몸 속으로 흡수되는 것을 억제하는 리파제 억제제나, ACAT 효소 억제제 등이 몸속으로의 지방흡수를 줄여준다.
본 발명자는 오랫동안 천연식품물질중 항비만성, 콜레스테롤 생산 억제성 물질을 연구하던 중, 식물체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예, 탄닌, 카테킨, 안토시아니노이드),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물질(예, 헤스페리딘, 나린진, 루틴, 케스르틴, 신남산유도체) 등이 상기의 HMG-CoA 환원효소 및/또는 ACAT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작용,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생산 억제, HDL 생산촉진, 항 비만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복성해 외, Int. J. Vitam. Nutr. Res., 69(5):341-347, 1999; 복성해 외, J. Nutr. 129:1182-1185, 1999; 복성해 외, Nutrition Research, Vol. 19, No.8, pp.1245-1258, 1999; 복성해 외, Nutrition Research, Vol. 20, No. 7, pp.1007-1015, 2000; 복성해 외, Clinica Chimica Acta 314, 221-229, 2001; 복성해 외, Nutrition Research, Vol. 22, pp.283-295, 2002).
본 발명에서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로는 감잎, 감, 메밀잎과 꽃, 구기자잎, 솔잎, 녹차잎, 마늘, 양파, 당근, 포도껍질, 감귤류(유자, 감귤, 오렌지, 레몬 및 자몽 등을 포함)의 과피, 야채, 과일, 허브, 산나물, 쑥, 감초 등의 약초 등이 포함된다. 또한, L-카르니틴(L-carnitin),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P 등 항산화제가 지방대사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참깨 속의 폴리페놀 세사몰도 지방대사를 돕는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P는 메틸 헤스페리딘으로서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기도 하다.
상기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들은 순수한 물질을 직접 커피분말에 적당히 배합하여 커피 분말 조성물로 만들거나 상기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식물을 열수추출하거나 에탄올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분말을 커피 분말에 배합하여 커피 분말 조성물로 만든다. 이 때, 커피 맛을 좋게 하기 위해서 식품첨가제로서 구연산 또는 하이드록시 구연산과 타우린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커피 분말을 뜨거운 물에 타서 하루 수회 섭취한다면 고지혈증, 중풍, 고혈압 등이 예방되고 체지방이 감소하여 비만증이 줄어든다.
본 발명 커피 조성물의 바람직한 조성비는 커피분말 20~70중량%,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1~10중량%,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 10∼30중량% 및 식품첨가제 10∼40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커피 조성물의 바람직한 조성비는 커피분말 20~70중량%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 30~80중량%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 각각의 구성성분이 상기의 배합비를 가질 때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의 범위를 하한으로 벗어날 경우에는 구성성분 각각이 본원발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어 바람직스럽지 못하고, 상한으로 벗어날 경우에는 쓰거나 텁텁한 등, 관능 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것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비를 가지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의 조성
성분 중량(g)
커피가루 40g
L-카르니틴 2g
참깨가루 3g
비타민 P(메틸 헤스페리딘) 2g
비타민 C 3g
히드록시 구연산 5g
타우린 10g
감귤 과피 추출물 분말 10g
감 및 감잎 추출물 분말 20g
탄닌 및 카테킨 5g
합계 100g
실시예 2 :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제조
감잎, 메밀잎, 구기자 잎을 100℃에서 4시간 동안 물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각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녹차잎 추출물, 진피(감귤피) 추출물을 국내 행림약품(주) 업체에서 구입하여 분말화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조성비를 가지는 커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의 조성(g)
성분 구성비율(g)
커피 분말 210g
감잎 추출물 분말 30g
메밀잎 추출물 분말 20g
구기자잎 추출물 분말 10g
녹차잎 추출물 분말 20g
진피(감귤피) 추출물 분말 10g
합계 300g
실시예 3 : 본 발명 커피 조성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 조사
지원자 중 키 171cm, 체중 85kg, 총 콜레스테롤 240mg/㎗, 중성지방 260mg/㎗, HDL-콜레스테롤 45mg/㎗로 비만 및 고지혈 증세를 보이는 40대 성인남자 1명을 선발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커피 조성물 15g을 뜨거운 물 한컵(약 150cc)에 현탁한 후 섭취하였다. 아침, 점심, 저녁식사 후 각 1회 하루 3회 총 45g의 양을 섭취하였다.
매일 체중변화를 기록하였다. 한달 후 혈액검사를 한 후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 저밀도지방 등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한달 후, 체중이 85kg 에서 82.5kg 으로 3%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은 240mg/㎗ 에서 204mg/㎗ 로, 중성지방은 260mg/㎗ 에서 208mg/㎗ 로 각각 15% 및 20%씩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45mg/㎗ 에서 49.5mg/㎗ 로 10% 증가하였다.
지원자 중 키 175cm, 체중 90kg, 총 콜레스테롤 260mg/㎗, 중성지방 275mg/㎗, HDL-콜레스테롤 40mg/㎗로 비만 및 고지혈 증세를 보이는 30대 성인남자 1명을 선발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커피 조성물 15g을 뜨거운 물 한컵(약 150cc)에 현탁한 후 섭취하였다. 아침, 점심, 저녁식사 후 각 1회 하루 3회 총 45g의 양을 섭취하였다.
매일 체중변화를 기록하였다. 한달 후 혈액검사를 한 후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 저밀도지방 등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한달 후 체중이 90kg 에서 88.65kg 으로 1.5%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은 260mg/㎗ 에서 234mg/㎗ 로, 중성지방은 275mg/㎗ 에서 247.5mg/㎗ 로 각각 10%씩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40mg/㎗ 에서 42mg/㎗ 로 5% 증가하였다.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커피 조성물이 뛰어난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은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있는 식물의 추출물 분말을 커피 분말에 첨가함으로써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가 매우 뛰어난 커피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커피 분말 20∼70 중량%,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1∼10중량%,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열수추출물 분말 또는 에탄올추출물 분말 10∼30중량% 및 식품첨가제 10∼40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계 물질은 탄닌, 카테킨 및 안토시아니노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은 헤스페리딘, 나린진, 루틴, 케스르틴 및 신남산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첨가제가 L-카르니틴,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P, 참깨 분말, 타우린, 구연산 및 히드록시 구연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5. 커피 분말 20∼70 중량%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열수추출물 분말 또는 에탄올추출물 분말 30∼80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은 감잎, 감, 메밀잎, 메밀꽃, 구기자잎, 구기자 열매, 솔잎, 녹차잎, 마늘, 양파, 당근, 포도껍질, 유자과피, 감귤과피, 오렌지과피, 레몬과피, 자몽과피, 쑥 및 감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KR10-2002-0064920A 2002-08-14 2002-10-23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KR10048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920A KR100488409B1 (ko) 2002-10-23 2002-10-23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US10/640,650 US7867525B2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AU2003256104A AU2003256104A1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PCT/KR2003/001638 WO2004016092A1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EP03788155A EP1534082A4 (en) 2002-08-14 2003-08-14 POWDER OR EXTRACTS FROM PLANT BLOOMS WITH EFFECTS OF GRAVITY AND COMPREHENSIVE GRAVITY OF ELASTIC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920A KR100488409B1 (ko) 2002-10-23 2002-10-23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112A KR20040036112A (ko) 2004-04-30
KR100488409B1 true KR100488409B1 (ko) 2005-05-10

Family

ID=3733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920A KR100488409B1 (ko) 2002-08-14 2002-10-23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4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767A1 (ko) * 2009-06-11 2010-12-16 (주)바이오뉴트리젠 귤피, 감, 구기자 및 메밀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691725A (zh) * 2017-11-15 2018-02-16 王桂秀 一种养肝明目凉茶及其制备方法
KR20180062789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커피 로부스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10115352A (ko) * 2020-03-12 2021-09-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돌하르방 다이어트용 기능성 커피믹스 조성물
US11246325B2 (en) * 2017-03-14 2022-02-15 Suntory Holdings Limited Packed coffee beverage containing furfuryl methyl sulf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291B1 (ko) * 2004-06-09 2006-07-13 경상남도 유자과피 분말을 함유하는 식육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4568B1 (ko) * 2008-11-11 2011-02-16 고부언 귤외과피를 이용한 귤커피 및 귤차의 제조방법
KR101111390B1 (ko) * 2009-02-25 2012-02-16 주식회사 한국발보린 토코페롤, 비타민c와 레시틴이 첨가된 기능성 커피믹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640258B1 (ko) * 2010-07-05 2016-07-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95299B1 (ko) * 2010-10-11 2017-01-11 (주)아모레퍼시픽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98568B1 (ko) * 2013-03-13 2013-08-22 주식회사 로제트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조성물
KR102239066B1 (ko) * 2021-01-15 2021-04-13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767A1 (ko) * 2009-06-11 2010-12-16 (주)바이오뉴트리젠 귤피, 감, 구기자 및 메밀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2789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커피 로부스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US11246325B2 (en) * 2017-03-14 2022-02-15 Suntory Holdings Limited Packed coffee beverage containing furfuryl methyl sulfide
CN107691725A (zh) * 2017-11-15 2018-02-16 王桂秀 一种养肝明目凉茶及其制备方法
KR20210115352A (ko) * 2020-03-12 2021-09-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돌하르방 다이어트용 기능성 커피믹스 조성물
KR102353356B1 (ko) * 2020-03-12 2022-01-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돌하르방 커피믹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112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3988B1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0488409B1 (ko)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CN102805295A (zh) 一种荷花养颜面条
JP5261808B2 (ja) 脂肪蓄積抑制剤、医薬品及び脂肪蓄積抑制作用を新たに付与する方法
Daniloski et al. Recent developments on Opuntia spp., their bioactive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s, and health effects
TW201542213A (zh) 肥胖抑制組成物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52058A (zh) 一种山黄皮果减肥茶及其制备方法
Niazi et al. An overview: Date palm seed coffee, a functional beverage
CN101365443A (zh) 抗过敏药以及含有其的食品及饮料、外用药、化妆品
KR100549193B1 (ko)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WO2013106371A1 (e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caffeine and niacin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101690369B1 (ko)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8524293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ed grape tea-like composition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20150012720A (ko) 장미 꽃잎을 활용한 장미조청, 장미고추장, 장미효소시럽, 장미스낵 및 각종 꽃잎을 활용한 영양식품 조성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S61112024A (ja) 抗酸化食品
KR100568939B1 (ko) 캡사이신 성분이 함유된 주류 및 그 제조방법
JP2005272456A (ja) 血糖値降下剤又は便通改善剤
CN109321392A (zh) 一种改善啤酒品质功能的方法
CN107980990A (zh) 一种降血脂花果茶及其制备方法
KR20130039470A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