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571B1 -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571B1
KR100487571B1 KR10-2002-0067773A KR20020067773A KR100487571B1 KR 100487571 B1 KR100487571 B1 KR 100487571B1 KR 20020067773 A KR20020067773 A KR 20020067773A KR 100487571 B1 KR100487571 B1 KR 10048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file
vocoder type
receiv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638A (ko
Inventor
임영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5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Abstract

본 발명은 VoIP 게이트웨이가 음성 안내 장치를 내장하고 있어서, 외부 음성 안내 서버와의 연동없이 사용자로부터 음성 파일을 수신하여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 파일의 재생과 병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저비용의 VoIP 게이트웨이만으로 콜링 카드 사업을 가능하게 하며, 소호급의 회사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그동안 게이트웨이 사용시 자세한 부가 기능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지출이나 연결 불능시 안내 멘트가 부족하여 사용에 불편하였던 부분이 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Apparatus for voice notice of VoIP gateway and thereof application method}
본 발명은 VoIP 게이트웨이내의 음성 안내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 서비스등을 외부 장치의 도움없이 가능하게 하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이오아이피 프로토콜은 입력된 음성을 패킷망으로 전달하여주거나 반대의역할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이다. 현재는 H.323 프로토콜이 주류를 이루며,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H.450 시리즈 프로토콜이 많이 사용된다.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는 음성 변환을 담당하여야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구성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VoIP 게이트웨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VoIP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oIP 게이트웨이(100)는 PSTN 인터페이스부(101), 메인 프로세서(102), I/O 인터페이스부(103), DSP부(104), 저장부(105), VoIP 인터페이스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PSTN 인터페이스부(101)는 전화망과 연동을 위한 부분으로 FXS/FXO/EMS 등의 아날로그 호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교환기와 연결 또는 전화기와의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102)는 VoIP 게이트웨이(100)가 운용되게 하는 키로서, VoIP 게이트웨이(100)의 제어 및 자원관리, 외부 인터페이스 제어, 패킷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I/O 인터페이스부(103)는 운용 터미널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 VoIP 게이트웨이(100)의 운용을 위한 입출력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DSP부(104)는 음성을 정해진 코텍에 따라 압축 또는 재생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105)는 실행 프로그램의 저장 및 각종 게이트웨이 환경값등을 저장하고, 음성 안내 장치(110)에서 사용될 음성 파일을 저장한다.
VoIP 인터페이스부(106)는 PSTN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패킷망에 맞게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VoIP 게이트웨이(100)는 호처리시 음성 안내 멘트 관련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서, 게이트키퍼나 음성 안내 서버등의 음성 안내 장치(110)에 연동하여 가입자에게 필요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VoIP 게이트웨이(100)는 호처리 이외의 복수의 기능에 대하여 외부 입력 장치에 의존하게 된다. 대부분의 서비스 업체에서는 호중계 및 제어, 가입자 관리, 라우팅등을 담당하는 게이트키퍼에 외부 음성 안내 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음성 안내는 외부 서버와 연동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음 서비스나 통화중 음악 전송 서비스를 위해서는 MOD서버가 있어야하며,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위해서는 VMS 장비등을 구축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VoIP 게이트웨이는 호처리가 주목적이어서 음성 안내 장치등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장치에 의존하는데, 연결 요청이 많을 경우나, 네트워크의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장비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는 기존 IP 인프라에서 저렴하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데, 음성 안내 장치를 추가로 구입해야하므로 통신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VoIP 게이트웨이내의 음성 안내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 서비스등을 외부 장치의 도움없이 가능하게 하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음성 파일을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파일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파일을 미리 지정된 보코더 타입으로 압축하는 DSP부, 상기 DSP부에서 압축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재생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과 상대방의 보코더 타입을 일치시키는 음성 패킷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헤더 정보는 토큰 이름, 토큰 타입, 토큰 사이즈, 토큰 오프셋,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을 미리 지정된 보코더 타입으로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한 후,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파일 재생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을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으로 변경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에서 음성 안내 장치 운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면, 상기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이 수신되는 것은 상기 단말기에 음성 파일 이름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 이름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이름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이름이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보코더 타입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보코더 타입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에 최대 녹음 시간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최대 녹음 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최대 녹음 시간이 미리 지정된 최대 녹음 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최대 녹음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을 수신한다.
VoIP게이트웨이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나 통화중 음악 전송 서비스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음성 안내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210)는 음성 입출력부(211), 제어부(212), DSP부(213), 저장부(214), 음성 패킷 변환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입출력부(211)는 VoIP 게이트웨이에서 음성 안내를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전화기(200)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한 음성 파일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전화기(200)에 음성 파일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211)로부터 전송된 음성 파일을 DSP부(213)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2)는 음성 파일을 들어보거나 녹음, 병합등의 전체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DSP부(213)는 상기 제어부(212)를 통해서 전송된 음성 파일을 지정된 보코더 타입에 따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부(214)는 상기 DSP부(213)에서 압축된 음성 파일을 각 파일마다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한다. 상기 헤더 정보는 음성 파일의 검색 및 재생, 편집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음성 패킷 변환부(215)는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220)를 통하여 재생하기 위해서 해당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네트워크(220)에 연결된 상대방의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음성 파일을 상기 상대방의 보코더 타입으로 변경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전화기(200)를 이용하여 음성 파일을 VoIP 게이트웨이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전송된 음성 파일은 음성 입출력부(211)를 통하여 제어부(212)에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전송된 음성 파일을 DSP부(213)에 전송하고, 상기 DSP부(213)는 상기 전송된 음성 파일을 미리 지정된 보코더 타입으로 압축하여 저장부(214)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저장부(214)는 상기 압축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재생하고자 할때에는 음성 패킷 변환부(215)에서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이 현재 저장된 보코더 타입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이 현재 저장된 보코더 타입과 다르면, 상기 음성 패킷 변환부(215)는 해당 음성 파일을 상기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으로 변경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하여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일 헤더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성 파일 헤더 정보는 토큰 이름(300), 토큰 타입(310), 토큰 사이즈(320), 토큰 오프셋(330), 인덱스(340), 예비 여부 정보(350)를 포함한다.
상기 토큰 이름(3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파일의 이름을 말하고, 상기 토큰 타입(31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을 말한다.
상기 토큰 사이즈(320)는 음성 파일의 크기를 말한다.
상기 토큰 오프셋(330)은 실제 녹음된 음성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음성 파일이 저장될때 자동으로 계산된다. 상기 토큰 오프셋(330)은 음성 파일의 저장, 검색, 편집, 복원등이 용이하도록 하나의 파일로 통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성 안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이 수신되면(S400),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을 미리 지정된 보코더 타입에 따라 압축한다(S402). 그런다음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압축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한다(S404). 상기 음성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파일이름, 보코더 타입으로 저장된다.
그런다음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파일 재생 요구 명령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6). 단계 406의 판단결과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파일 재생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이 해당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8). 즉,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음성 파일의 헤더 정보내의 보코더 타입이 상기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408의 판단결과 상기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이 해당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면,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해당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한다(S410).
만약, 단계 408의 판단결과 상기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이 해당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과 다르면,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해당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을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으로 변환한다(S412).
그럼다음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변환된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한다(S414).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에 사용자가 음성 파일을 녹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음성 안내 장치에 음성 파일을 녹음하기 위해서 전화기의 오프 훅을 수행한다(S500). 사용자가 전화기의 오프훅을 수행하여 다이얼 톤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는 가상 음성 안내 장치 착신용 번호를 입력한다(S502). 그러면, 상기 가상 음성 안내 장치는 메뉴 선택 안내 멘트를 음성으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는 메뉴 선택 안내 멘트를 수신하게 된다(S504). 상기 메뉴 선택 안내 멘트는 시스템 운용자에 의해 미리 녹음되어지고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음성 파일의 녹음, 재생, 병합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뉴 선택 안내 멘트를 수신한 사용자가 음성 파일의 녹음을 원하면(S506), 상기 사용자는 음성 파일의 이름을 입력한다(S510). 사용자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최대 8자리 숫자를 입력하여 음성파일 이름을 입력한다. 이때, 음성 안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응답이 없으면, 다시 입력하라는 음성 멘트를 전송한다.
단계 510의 수행후, 상기 사용자는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을 입력한다(S510). 상기 보코더는 G.723.1, G.729, G.711의 압축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G.723.1을 원하면, 1을 누르고, G.729를 원하면 2를 누르고, G.711을 원하면, 3을 누른다.
단계 510의 수행후, 상기 사용자는 음성 파일의 최대 녹음 시간을 입력한다(S512). 상기 사용자가 최대 녹음 시간을 입력하지 않으면, 게이트웨이에서 미리 지정된 값이 지정된다.
단계 512의 수행후, 상기 사용자는 음성 파일의 녹음을 수행한다(S514).
단계 506에서 상기 사용자가 음성 파일의 녹음을 원하지 않고, 음성 파일의 재생을 원하면(S516), 상기 사용자는 재생을 원하는 음성 파일 번호를 입력한다(S518). 그러면,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입력된 음성 파일 번호에 해당하는 음성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해당 음성 파일을 수신하게 된다(S520).
만약 단계 516에서 상기 사용자가 음성 파일의 재생을 원하지 않고, 음성 파일의 병합을 원하면(S522), 상기 사용자는 병합하기를 원하는 음성 파일 번호를 입력한다(S524). 그러면, 상기 가상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입력된 음성 파일 번호를 병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병합된 음성 파일을 수신하게 된다(S526). 상기 음성 파일을 병합하는 것은 각 음성 파일의 헤더 정보를 가지고 음성 파일의 데이터 부분만 가상 음성 파일에 계속 덧붙이고, 헤더 파일만 갱신해 주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일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성 안내 장치는 사용자에게 음성 파일 이름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파일 이름이 수신되면(S600),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이름이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2).
단계 602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이름이 중복되었으면, 상기 가상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음성 파일 이름을 덮어쓸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질의한다(S604).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파일 이름을 덮어쓰기를 원하면,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보코더 타입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보코더 타입을 수신한다(S606).
그런다음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최대 녹음 시간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파일의 최대 녹음 시간을 수신한다(S608).
단계 608의 수행후,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최대 녹음 시간이 미리 지정된 최대 녹음 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10).
단계 610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최대 녹음 시간이 미리 지정된 최대 녹음 시간보다 크지않으면,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최대 녹음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음성 파일을 수신한다(S612).
상기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한다(S614).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가상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음성 안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원하는 음성 파일 번호가 수신되면(S700),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2).
단계 702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가상 음성 안내 장치는 해당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S704).
만약, 단계 702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가상 음성 안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S706). 그런다음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파일 번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8). 단계 708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파일 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상음성 안내 장치는 단계 702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게이트웨이내의 음성 안내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 서비스등을 외부 장치의 도움없이 가능하게 하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의 VoIP 게이트웨이만으로 콜링 카드 사업을 가능하게 하며, 소호급의 회사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그동안 게이트웨이 사용시 자세한 부가 기능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지출이나 연결 불능시 안내 멘트가 부족하여 사용에 불편하였던 부분이 해결될 수 있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게이트웨이만으로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업내의 통신 관련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VoIP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일 헤더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 장치에 사용자가 음성 파일을 녹음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일을 녹음하기 위한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가상 음성 안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VoIP 게이트웨이 110, 210 : 음성 안내 장치
101 : PSTN 인터페이스부 102 : 메인 프로세서
103 : I/O 인터페이스부 104 : DSP부
105 : 저장부 106 : VoIP 인터페이스부
211 : 음성 입출력부 212 : 제어부
213 : DSP부 214 : 저장부
215 : 음성 패킷 변환부

Claims (5)

  1. 사용자 단말기에 음성 파일을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상기 음성 입출력부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파일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전송된 음성 파일을 미리 지정된 보코더 타입으로 압축하는 DSP부;
    상기 DSP부에서 압축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재생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과 상대방의 보코더 타입을 일치시키는 음성 패킷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는 토큰 이름, 토큰 타입, 토큰 사이즈, 토큰 오프셋,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3.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을 미리 지정된 보코더 타입으로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음성 파일에 헤더 정보를 붙여서 저장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파일 재생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지 않으면,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을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및
    상기 변경된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에서 음성 안내 장치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음성 파일의 보코더 타입이 상대방이 지원하는 보코더 타입과 상응하면, 상기 음성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에서 음성 안내 장치 운용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이 수신되는 것은
    상기 단말기에 음성 파일 이름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 이름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이름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음성 파일 이름이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보코더 타입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보코더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최대 녹음 시간 요구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최대 녹음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수신된 최대 녹음 시간이 미리 지정된 최대 녹음 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최대 녹음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성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에서 음성 안내 장치 운용 방법.
KR10-2002-0067773A 2002-11-04 2002-11-04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48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773A KR100487571B1 (ko) 2002-11-04 2002-11-04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773A KR100487571B1 (ko) 2002-11-04 2002-11-04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38A KR20040039638A (ko) 2004-05-12
KR100487571B1 true KR100487571B1 (ko) 2005-05-03

Family

ID=3733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773A KR100487571B1 (ko) 2002-11-04 2002-11-04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5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158A (ko) * 1997-09-11 1999-04-06 구자홍 인터넷 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20000046339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인터넷 폰 기능을 이용한 고객 서비스 방법
KR20000054413A (ko) * 2000-02-25 2000-09-05 신광섭 인터넷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인터넷 교환 서비스 시스템
KR20010054798A (ko) * 1999-12-08 2001-07-02 구자홍 인터넷폰 시스템의 상호 음성 응답에 의한 선택적 통화 방법
KR20010060001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철 고성능 인터넷 통합 메시지 시스템
KR20020084847A (ko) * 2001-05-02 2002-11-13 최관승 인터넷 전화 중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158A (ko) * 1997-09-11 1999-04-06 구자홍 인터넷 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20000046339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인터넷 폰 기능을 이용한 고객 서비스 방법
KR20010054798A (ko) * 1999-12-08 2001-07-02 구자홍 인터넷폰 시스템의 상호 음성 응답에 의한 선택적 통화 방법
KR20010060001A (ko) * 1999-12-31 2001-07-06 이계철 고성능 인터넷 통합 메시지 시스템
KR20000054413A (ko) * 2000-02-25 2000-09-05 신광섭 인터넷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인터넷 교환 서비스 시스템
KR20020084847A (ko) * 2001-05-02 2002-11-13 최관승 인터넷 전화 중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38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4151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use a conventional telephone set to make telephone calls on a packet network
MX2007004713A (es) Un modulo de acceso a servicio de voz sobre ip (voip) portatil.
WO2007133856A2 (en) Network-independent ringback feature
JPH11313177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通信システム
JP4925906B2 (ja) 制御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02077416A (ja) 留守番メッセージの転送サービス
KR100487571B1 (ko) VoIP 게이트웨이의 음성 안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729580B1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JP2001309040A (ja) 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92273A (ko) 통신 장치, 인터넷 프로토콜 음성 응답 시스템 및인터페이싱 방법
JP2004320573A (ja) コンピュータテレホニーシステム
JP4419779B2 (ja) 伝言プログラムおよび伝言方法
JP2002237891A (ja) 通話内容記録システム及び音声記録装置
JP4402344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ボタン電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73181A (ja) Ip電話機
JP4683578B1 (ja) 電話番号処理装置
JP2001111624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用ディレクトリサーバーシステム
JP5339469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
JP5014728B2 (ja) 通話録音システム
JP5582038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
KR20030063063A (ko) Ip-pbx를 이용한 전화 통화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6325040A (ja) Ip電話装置
JP2003250011A (ja) コンピュータ及び内線通話接続サービス提供方法
JP4721201B2 (ja) 電話番号処理装置
JP2002016708A (ja) 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