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187B1 -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인장 작성 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인장 작성 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187B1
KR100487187B1 KR1020030075910A KR20030075910A KR100487187B1 KR 100487187 B1 KR100487187 B1 KR 100487187B1 KR 1020030075910 A KR1020030075910 A KR 1020030075910A KR 20030075910 A KR20030075910 A KR 20030075910A KR 100487187 B1 KR100487187 B1 KR 10048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outer edge
image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마히토시
와타나베겐지
가메다다카노부
심무라토모유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1/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three-dimensionally for making single sculptures or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89Automatic jus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및 인장 작성 방법과 그것들의 장치가 제공된다.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1행 또는 복수 행인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할당한다. 상기 윤곽의 끝과 최단부 문자와의 단부 여백 치수를 D로 하고, 인접하는 문자간의 문자간 여백 치수를 B로 하였을 때, B>D>0 이 되도록 상기 각 문자를 할당한다. 상기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가 일정값 이하로 되는 경우에, 상기 각 문자를 가로 길이로 신장한 후 할당한다. 상기 윤곽의 폭을 A로 하고, 상기 문자의 1개의 문자폭을 C로 하고, 문자수를 F로 하였을 때, 상기 복수 행들 중 (A-C×F)/F의 몫 G가 최소의 행을 최고 긴 행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최고 긴 행에 대하여, 인접하는 문자 사이의 문자간 여백 치수의 기준이 되는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를 결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서 상기 최고 긴 행 및 그것 이외의 다른 행에 대하여 문자를 할당한다.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에,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여,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고,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를 확대한다.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기억한다.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 후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Description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인장 작성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assignment, picture drawing and signet drawing}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장의 인장면이나 라벨의 인쇄면 등의 규정된 윤곽 내에 원하는 화상을 제판 또는 인쇄하기 위해 규정된 영역 화상의 작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하며, 특히,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문자열의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 복수의 항목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여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방법 및 그것들을 적용하여 인장 작성 대상물인 인장 본체의 인장부에 인장 화상을 제판하는 인장 작성 방법 및 그것들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 첫번째로, 1행 또는 복수행의 각 행에 대한 종래의 문자 할당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워드 프로세서 등에서는 균등 할당이 다용되고 있다. 상기의 경우 균등 할당은 예를 들면,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수(number of dots) A=70의 폭 할당 영역에 대하여, 「균등 할당」의 5 문자를 할당하는 경우, 최초와 최후의 문자 「균」과 「당」을 양단으로 할당하여, 도트수 C=10의 문자폭의 1 문자 몫을 할당 영역의 폭에서 뺀 값 A-C-60을, 나머지의 문자수 5-1=4로 나눈 값 60/4=15가, 1 문자몫의 폭+1 문자간 여백의 값 B+C로 되는 것으로부터, 문자간 여백 B=5가 결정되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할당된다.
둘째로, 복수 항목의 항목마다 구성 요소를 입력하여 화상을 작성하는 종래의 화상 작성 방법으로는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 그 항목의 영역을 공백으로 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입력할 때는 키를 조작하여 데이터를 하나하나 입력한다.
세째로, 원하는 화상의 제판 방법 또는 인쇄 방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 장치인 경우 장치 내의 메모리(ROM)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도형 데이터를 판독하여, 1 문자 또는 1 라인 단위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길이 방향으로 감긴 플라스틱 테이프 등에 순차로 인쇄를 행한다.
우선, 첫째로, 인장의 인장 문자나 라벨의 인쇄 문자에 대하여, 상술한 문자 할당 방법을 채택하면 인장면이나 인쇄면에 대하여 문자수가 적은 경우, 문자간 여백이 너무 넓게 되어 중후함이 결여되는 공백 부분이 눈에 띄는 빈약한 인장이나 라벨로 되어버린다(도 25a 참조).
둘째로, 예를 들면 인장 화상이나 라벨 화상인 경우 상술한 화상 작성 방법으로는 주소, 성명, 도형 등의 항목 중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으면, 그 영역은 공백 부분이 되므로 화상의 구성 요소 배치의 균형이 악화하는 동시에, 인장 화상이나 라벨 화상 면적의 인장면이나 인쇄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비율, 즉, 흑색 비율(黑率; black ratio)이 적은 불균형 상태의 화상이 되어 버린다. 또한, 화상의 입력시에 데이터를 하나하나 입력하는 것은 시간이 걸려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없다.
세째로, 인장 화상인 경우 복수의 각 항목의 화상의 위치 맞춤이 어렵기 때문에, 상술한 테이프 인쇄 장치와 같이, 1 문자 혹은 1 라인 단위로 제판하는 것으로는 각 화상을 균형있게 배치하기도 하고, 흑색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 조정할 수도 있는 복잡한 인장 화상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장(stamp)이나 라벨(label)의 화상의 특수성의 관점에서 발명된 것이며, 그 제 1의 목적은 인장 문자나 라벨의 각 문자를 인장면(stamp surface)이나 인쇄면(print surface)에 대하여 적절히 배당할 수 있는 문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인장 문자나 라벨의 각 문자를 인장면이나 인쇄면에 대하여 적절히 배당할 수 있는 문자 할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한정된 영역에 문자 등을 균형있게 배치하고, 또한 화상 작성 조작이 용이한 화상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한정된 영역에 문자 등을 균형있게 배치하고, 또한 화상 작성 조작이 용이한 화상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복잡한 인장 화상에 대하여도 외관이 양호한 좋은 인장을 작성할 수 있는 인장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목적은, 복잡한 인장 화상에 대해서도, 외관이 양호한 인장을 작성할 수 있는 인장 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상태에 의하면,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 방향의 윤곽 내에, 1행 또는 복수행의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윤곽의 끝과 최단부의 문자와의 단부 여백 치수를 D로 하고, 인접하는 문자 사이의 문자간 여백 치수를 B로 하였을 때, B>D>0 이 되도록 상기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상태에 의하면,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1행 또는 복수행의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장치에서, 상기 윤곽의 끝과 최단부 문자와의 단부 여백 치수를 D로 하고, 인접하는 문자 사이의 문자간 여백 치수를 B로 하였을 때, B>D>0이 되도록 상기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수단을 구비한 문자 할당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상태와 관계되는 문자 할당 방법 및 제 2 상태에 관계되는 문자 할당 장치에 의하면 단부 여백을 적절한 치수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인장의 인장면이나 라벨의 인쇄면에 대하여 문자수가 적은 경우에도, 중앙의 문자간 여백만이 지나치게 넓게 되지 않는, 균형있는 문자의 배치가 된다.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에 따라서 상기 단부 여백 치수 및 상기 문자간 여백 치수를 조정한다.
상기 제 2의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할당 장치는 상기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에 따라서, 상기 단부 여백 치수 및 상기 문자간 여백 치수를 조정하는 여백 조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가 작은 경우에, 문자간 여백을 크게 하면 또한 그 공백 부분이 눈에 띄고, 윤곽의 중앙부에 한산해wu 버린다. 상기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에 따라서, 단부 여백을 적절한 치수로 조정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중앙의 문자간 여백만이 지나치게 넓어지지 않고, 또한, 한산한 느낌을 주지 않는 균형있는 문자의 배치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각 문자, 상기 단부 여백 치수 및 상기 문자간 여백 치수는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상의 도트 수를 기준으로서 할당되어 있고, 상기 윤곽의 폭을 A로 하고, 상기 각 문자의 1개의 문자폭을 C로 하고, 문자수를 F로 하였을 때, (A - C ×F)/F의 몫을 상기 문자간 여백 치수 B로 하는 동시에, 나머지에 상당하는 도트 수는 문자의 읽기 방향에 따라서 최고 앞부분의 상기 문자간 여백으로부터 1 도트씩 할당한다.
상기 제 2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상기 단부 여백 치수 및 상기 문자간 여백 치수는 도트 매트릭스상의 도트 수를 기준으로서 할당되어 있고, 상기 문자 할당 수단은 상기 윤곽의 폭을 A로 하고, 상기 문자의 1개의 문자폭을 C로 하고, 문자수를 F로 하였을 때, (A - C ×F)/F를 계산하여, 그 몫을 상기 문자간 여백 치수 B로 하는 몫 도트 수 계산 수단과, 상기 계산의 나머지에 상당하는 도트 수를 문자의 읽기 방향에 따라서 최고 앞부분의 상기 문자간 여백으로부터 1 도트씩 할당하는 나머지 도트 수 할당 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문자의 할당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문자간 여백 치수의 차이를 눈에 띄게 하지 않고 각 문자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상태에 의하면,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1행 또는 복수행의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가 일정값 이하로 되는 경우에, 상기 각 문자를 가로 길이로 신장한 후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4 상태에 의하면,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1행 또는 복수행의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에서, 상기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를 계산하는 면적비 계산 수단과, 상기 면적비 계산 수단의 계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면적비가 일정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각 문자를 가로 길이로 신장한 후 할당하는 문자 신장 할당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문자 할당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상태에 관계되는 문자 할당 방법 및 제 4 상태에 관계되는 문자 할당 장치에 의하면, 각 문자의 글씨체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고, 윤곽 내의 공백 부분을 적게할 수 있어 문자를 중후감이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부분 및 상기 공백 부분은 도트 매트릭스 상의 도트 수를 기준으로서 할당되어 있고, 상기 면적비는 상기 문자 부분을 구성하는 도트수와 상기 공백 부분의 도트 수로 계산된다.
상기 제 4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자 부분 및 상기 공백 부분은 도트 매트릭스 상의 도트 수를 기준으로서 할당되어 있고, 상기 면적비 계산 수단은 상기 문자 부분을 구성하는 도트 수와 상기 공백 부분의 도트 수와의 비에서 상기 면적비를 계산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윤곽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를 간단히 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비율에 근거하여 각 문자를 가로 길이로 적절히 신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5 상태에 의하면 복수행의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상기 각 행마다의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각각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윤곽의 폭을 A로 하고, 상기 문자의 1개의 문자폭을 C로 하고, 문자수를 F로 하였을 때, 상기 복수행 중 (A - C ×F)/F의 몫 G가 최소의 행을 최고 긴 행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최고 긴 행에 대하여 인접하는 문자 사이의 문자간 여백 치수의 기준이 되는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를 결정하여, 이것을 기준으로서 상기 최고 긴 행 및 그것 이외의 다른 행에 대하여 문자를 할당하는 문자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6 상태에 의하면, 복수행의 각 행의 문자열의 각 문자를 상기 각 행마다의 읽기 방향으로 규정폭을 갖는 장방형의 윤곽 내에 각각 할당하는 문자 할당 장치에서, 상기 윤곽의 폭을 A로 하고, 상기 문자의 1개의 문자폭을 C로 하고, 문자수를 F로 하였을 때, 상기 복수행 중 (A - C ×F)/F의 몫 G가 최소의 행을 최고 긴 행과 판별하는 최고 긴 행 판별 수단과, 상기 최고 긴 행에 대하여 인접하는 문자 사이의 문자간 여백 치수의 기준이 되는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를 결정하는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결정 수단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를 기준으로서, 상기 최고 긴 행에 대하여 문자를 할당하는 최고 긴 행 문자 할당 수단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를 기준으로서, 상기 최고 긴 행 이외의 다른 행에 대하여 문자를 할당하는 타행 문자 할당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문자 할당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상태에 관계되는 문자 할당 방법 및 제 6 상태에 관계되는 문자 할당 장치에 의하면, 문자를 할당하는 장방형의 윤곽 폭에 근거하여 최고 긴 행을 판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문자수는 적지만 그 문자열의 전후 등으로 장식이 있어, 실질적인 문자의 할당 영역이 적은 행이 있는 경우나, 각 문자에 음영, 강조, 이탤릭체, 윤곽, 반전 등의 문자 장식이 행해지고 있고, 실질적인 여백이 적은 행이 있는 경우 등에서도, 가장 여백이 적은 행을 간단히 산정하여, 그 행을 최고 긴 행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즉, 단지 문자수로부터 최고 긴 행을 판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적절한 최고 긴 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그 행을 여백의 할당 등의 기준으로 함으로써, 복수행을 갖는 인장의 인장면이나 라벨의 인쇄면에 대하여 균형있는 문자의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5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고 긴 행은 상기 윤곽의 끝과 최단부 문자와의 단부 여백 치수를 D로 하였을 때,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의 관계가, B>D>0 이 되도록 상기 각 문자를 할당한다.
상기 제 6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결정 수단은 상기 윤곽의 끝과 최고 긴 행의 최단부 문자의 단부 여백 치수를 기준 단부 여백 치수 D로 하였을 때,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의 관계가, B>D>0 이 되도록, 상기 기준 여백 치수 B와 상기 기준 단부 여백 치수 D를 결정하여, 상기 최고 긴 행 문자 할당 수단은,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를 기준으로 하여, 또한, 상기 단부 여백 치수가 상기 기준 여백 치수 D가 되도록 상기 최고 긴 행의 상기 각 문자를 할당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최고 긴 행의 문자열의 단부 여백을 적절한 치수로 할 수 있고, 문자수가 적은 경우에도 중앙의 문자간 여백만이 지나치게 넓게 되지 않는, 균형있는 문자의 배치가 된다. 또한, 그 행을 여백의 할당 등의 기준으로 함으로써, 복수 행을 갖는 인장의 인장면이나 라벨 인쇄면의 전체에 있어서도 정연하게 하여 균형있는 문자의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5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고 긴 행 이외의 행은 문자폭을 J로 하고, 문자간 여백 치수를 K로 하고, 문자수를 H개로 하였을 때, 상기 최고 긴 행의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 치수 E=J×H+K×(H-1)=C×F+B×(F-1)의 문자열을 전후 어느 것인가 한쪽 단부의 문자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상기 한쪽 단부의 문자와 그 한쪽의 끝이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상기 제 6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행 문자 할당 수단은, 상기 다른 행의 문자폭을 J로 하고, 문자간 여백 치수를 K로 하고, 문자수를 H개로 하였을 때, 상기 최고 긴 행의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 치수 E=J ×H+K ×(H-1)=C ×F+B ×(F-1)의 문자열을 생성하는 할당 문자열 생성 수단과, 전후 어느 것인가 한쪽 단부의 문자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상기 한쪽 단부의 문자와, 그 한쪽의 끝이 일치하도록 할당하는 균등 문자열 할당 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복수 행을 갖는 인쇄면 등에 대해 문자열 치수가 갖추어졌다. 즉 각 행의 양단의 위치가 일치한 안정성 있는 보기 좋은 할당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5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고 긴 행 이외의 행은 문자수를 H(H ≤F)개로 하였을 때, 인접하는 문자간 여백 치수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 동일한 문자 열 치수 E=C ×H+B ×(H-1)의 문자열을 그 최고 앞부분의 문자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최고 앞부분의 문자와 앞단이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상기 제 6의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행 문자 할당 수단은, 상기 다른 행의 문자수를 H(H ≤F)개로 하였을 때, 인접하는 문자간 여백 치수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 동일한 문자열 치수 E=C ×H+B ×(H-1)의 문자열을 할당 문자열 생성 수단과, 상기 문자열의 최고 앞부분의 문자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최고 앞부분의 문자와 전단이 일치하도록 할당하는 전방 정렬 문자열 할당 수단(front alignment character string layout means)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복수 행을 갖는 인장면이나 인쇄면에 대하여, 각 행의 최고 앞쪽 끝과 문자간 여백이 일치하여 정연하게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5의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고 긴 행 이외의 행은 문자수를 H(H ≤F)개로 하였을 때 인접하는 문자간 여백 치수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 동일하게 한 문자 열 치수 E=C ×H+B ×(H-1)의 문자열을 그 중앙 위치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중앙 위치에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상기 제 6의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행 문자 할당 수단은 상기 다른 행의 문자수를 H(H ≤F)개로 하였을 때 인접하는 문자간 여백 치수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 동일한 문자열 치수 E=C ×H+B ×(H-1)의 문자열을 생성하는 할당 문자열 생성 수단과, 상기 문자열의 중앙 위치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중앙 위치에 일치하도록 할당하는 전방 정렬 문자열 할당 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복수 행을 갖는 인쇄면 등에 대하여 각 행의 중앙 위치가 일치한 안정성 있는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5의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고 긴 행 이외의 행은 문자수를 H(H ≤F)개로 하였을 때 인접하는 문자간 여백 치수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 동일한 문자 열 치수 E=C ×H+B ×(H-1)의 문자열을, 그 최고 뒷부분의 문자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최고 뒷부분의 문자와 끝단이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상기 제 6의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행 문자 할당 수단은, 상기 다른 행의 문자수를 H(H ≤F)개로 하였을 때, 인접하는 문자간 여백 치수를 상기 기준 문자간 여백 치수 B와 동일한 문자열 치수 E=C ×H+B ×(H-1)의 문자열을 생성하는 할당 문자열 생성 수단과, 상기 문자열의 최고 뒷부분의 문자가 상기 최고 긴 행의 최고 뒷부분의 문자와 끝단이 일치하도록 할당하여 후방 정렬 문자열 할당 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복수 행을 갖는 인쇄면 등에 대하여, 각 행의 최고 끝단과 문자간 여백이 일치하여 정연하게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7 상태에 의하면,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에,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여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고,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를 확대하는 화상 작성 방법에 제공된다.
상기 제 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8 상태에 의하면,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고,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는 항목 영역 변경 수단과,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위치를 확대·변경하는 구성 요소 확대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화상 작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 상태에 관계되는 화상 작성 방법 및 제 8 상태에 관계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입력하여 불필요한 항목의 입력을 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그 항목은 삭제되어 다른 항목의 영역이 확대된다. 그리고, 다른 항목의 영역 내에 입력한 구성 요소, 즉 주소, 성명, 전화번호 등의 문자나 삽화 등의 도형이 예를 들면 확대되어, 흑색 비율이 많은 화상이 되어 규정된 영역의 화상으로서 균형을 갖게 된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9 상태에 의하면,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항목 내용을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 출력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항목마다 소정의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이들을 판독하여 이것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입력·수정하여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0 상태에 의하면,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서, 항목 내용을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 출력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항목마다 소정의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 상기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상기 항목마다의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내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읽기 시작한 상기 정보, 상기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상기 항목마다의 텍스트 데이터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입력·수정하는 입력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화상 작성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입력하는 항목 내용을 판독하여 알 수 있으면, 장치의 조작 순서 서(書) 등을 참조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판독할 수 있으면, 다음 번의 사용시에 그 텍스트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일부 수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항목마다 소정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를 예를 들면 잘 사용되는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해 놓고 판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이와 같이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일부 수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9 상태에 관계되는 화상 작성 방법 및 제 10 상태에 관계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의하면, 입력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0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 영역 변경 수단은 상기 다른 항목 영역의 확대한 치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확대한 치수를 읽어내는 판독 수단을 갖는다. 상기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의 영역이 삭제된 경우에, 미리 기억한 치수를 읽어내기만 해도 다른 항목의 영역의 치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어, 입력한 문자나 도형 등은 상기 치수에 따라서 꼭 맞는 크기의 것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 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1 상태에 의하면,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에,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고,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여,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를 확대하는 처리를 행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화상 작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1 상태에 관계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의하면, 일부의 항목을 굳이 공백으로 하고, 그 중에서 뒤에서부터 무엇인가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5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2 상태에 의하면, 인장 본체의 인장부에 대하여, 인장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장 화상를 제판하는 인장 작성 방법으로서, 상기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기억 공정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 후,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인장 화상 데이터 출력 공정을 갖는 인장 작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6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3 상태에 의하면, 인장 본체의 인장부에 대하여, 인장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장 화상을 제판하는 인장 작성 장치로서, 상기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 후,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인장 화상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장 작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2 상태에 관계되는 인장 작성 방법 및 제 13 상태에 관계되는 인장 작성 장치에 의하면,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나서 제판함으로써, 인장 화상 내의 각 화상을 균형있게 배치하기도 하고, 흑색 비율을 높이도록 조정하기도 하여, 복잡한 인장 화상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꺼내어 인장을 작성할 때, 일괄 인자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고속 처리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시키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온 부분을 삭제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공정을 갖는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가산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의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온 부분을 삭제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수단을 갖는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인장 외측 테두리를 포함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 내에 각 화상을 균형있게 배치하기도 하고, 각 화상의 크기를 인장 외측 테두리 한계점까지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큰 화상의 일부를 삭제하여 외측 테두리 내로 받아들이는 등의 세공(細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흑색 비율이 높고, 화상이 보기 쉽고, 미관 좋은 인장을 작성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sum image date generating means)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입력한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의 도트(positive dot)로 표현하고, 상기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의 도트(negative dot)로 표현한 양각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여,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외측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하는 논리 합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다.
상기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논리합 연산(logical OR operation)을 행함으로써,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수단은,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의 상기 입력한 화상과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가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여,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적을 연산하는 논리적 데이터 연산 수단(logical AND date operating means)을 갖는다.
상기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논리적 연산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로부터 초과하지 않는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여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가산 공정을 갖는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외측초과 판별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가산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2 상태에 관계되는 인장 작성 방법 및 제 13 상태에 관계되는 인장 작성 장치에 있어서는, 가산 화상 데이터를 작성 후,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온 화상 부분을 삭제하지만,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미리 기초 화상 데이터의 초과 화상분을 삭제하고 나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중첩하도록 하여도, 인장 외측 테두리 부착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고, 초과 때 그 부분을 삭제한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초 화상 데이터 대신에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중첩하고, 초과하지 않을 때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 즉,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흑색 비율이 높고, 화상이 보기 쉽고, 미관 좋은 인장을 작성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데이터 가산 수단은,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논리합 연산에 의해 작성하는 논리합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가지며, 상기 논리합 데이터 연산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의 상기 초과된 부분을 삭제한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그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외측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하여,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을 때,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그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기초 화상 데이터와, 상기 양각 외측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한다.
상기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와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의 논리합을 연산하고, 초과하지 않을 때, 기초 화상 데이터와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의 논리합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제 13 상태에 2번째로 기술한 바람직한 상태의 인장 작성 장치와 같이,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기초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을 연산하는 논리곱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다.
상기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 날 때, 기초 화상 데이터와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의 논리곱 연산을 행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미리 기초 화상 데이터의 초과 화상 부분을 삭제할 수 있고, 이것을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중첩하여 인장 외측 테두리 부착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line element part)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공정을 또한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은, 지정된 상기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지정된 상기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것들의 또한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인장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괘선을 외측 테두리 전체로서가 아니라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의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것들의 괘선을 자유롭게 접속하면서 다양한 외측 테두리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의 인장부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의 인장부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것들의 또한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제판 대상의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의 인장부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서, 각각 인장 본체의 타입 예를 들면, 각형인, 확인, 세로 길이인, 가로 길이인 등의 특징에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여러가지의 인장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공정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여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부가 공정을 갖는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부가 수단을 갖는다.
상기 제 12 및 제 13 상태 및 그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있어서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고 나서 기초 화상 데이터나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와 중첩되었지만 기초 화상 데이터나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상에, 인장 외측 테두리의 괘선 데이터를 거듭 배치해 감에 따라, 결과로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한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기초 화상 테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기초 화상 데이터에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것에 의해 상술한 인장 작성 방법이나 그 장치와 같이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공정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부가 공정을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공정에서는,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고,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읽어내고,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며,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고,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읽어내고,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여, 초과 때 그 부분을 삭제한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동시에, 괘선 데이터를 기초 화상 데이터나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상에 배치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따라서, 같은 효과 즉,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지 않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흑색 비율이 높고, 화상이 보기 쉽고, 미관 좋은 인장을 작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기초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을 연산하는 논리곱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기초 화상 데이터와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의 논리곱 연산을 행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미리 기초 화상 데이터의 초과 화상 부분을 삭제할 수 있고, 이것을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중첩하여 인장 외측 테두리 부착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부터 밀려나오지 않는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공정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한다.
상기 제 13 상태에 있어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부가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한다.
이것들의 또한 바람직한 상태에 의하면, 제판 대상의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서, 각각 인장 본체의 타입에 따라, 다양하고 풍부한 여러가지 인장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이하, 첨부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우선,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문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를 적용한 인장 작성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인장 작성 장치는 인쇄면을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한 인장 본체로, 잉크 리본에 인자(인쇄)한 인장 문자(도안을 포함하는 인장 화상)를 마스크로서 자외선을 노광하여, 원하는 인장(스탬프)을 작성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문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는 잉크 리본 상에 마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가 되는 인장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이다. 도 1a는 인장 작성 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인장 작성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인장 작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 작성 장치(1)는 상하 2 분할의 장치 케이스(2)에 의해 그 외각이 형성되고, 앞 부분에 전자 장치부(3)를, 후부에 기계 장치부(4)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 장치부(4)의 중앙부에는 장치 본체(5)에 인장 작성 대상물인 인장 본체(A)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6)이 형성되고, 포켓(6)에는 창문 부착 개폐 덮개(7)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 장치부(4)의 좌측부에는 인장 작성 장치(1)를 제판(인자) 작동이나 노광 작동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개폐 덮개(7)를 개방시키는 기능 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 스위치(8)의 조작 위치에는, 「노광」, 「입력/제판」, 「OFF」 및 「OPEN」의 조작 표시기가 되어 있고, 이 중의 「노광」, 「입력/제판」 및 「OPEN」의 위치에는 제어부(300)의 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된 발광 소자(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 장치부(4)의 우측부에는 인장 작성 장치(1)에 후술하는 인장 문자 라벨 작성용 제판 시트(B)를 위한 삽입구(9a) 및 취출구(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 장치부(4)에는 포켓(6)의 외측에 위치하여, 보전 커버(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전 커버(10)의 내부에는 잉크 리본(C)을 탑재한 리본 카트리지(11)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 장치부(3)에는 상면에 조작부(2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어부(300)가 내장되어 있다. 조작부(21)에는 제어부(300)의 입력 인터페이스(304)에 접속된 푸시 버튼군(22) 및 조작 다이얼(23)과 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된 표시기 구동 회로(24a)(도 11 참조)와 상기 표시기 구동 회로(24a)에 의해서 구동되는 표시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23)은 중심부에 원형으로 설치된 실행키(31)와 그 외측에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 4개 할당 커서/변환키(32)와 또한 그 외측에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 문자 입력키(33)의 3중 구조를 가지고 있고, 문자 입력키(33)의 표면에는 50 음의 히라가나 등이 인쇄되어 있다(도시 생략). 인장 문자의 입력은, 우선 푸시 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눌러 문자 사이즈를 확정한 후, 문자 입력키(33)를 삼각 마크(25)에 맞추어 회전시키고, 실행키(31)를 눌러 히라가나를 입력하고, 상기 히라가나 입력을 적당히, 커서/변환키(32)에 의해 한자 변환한다. 그리고, 원하는 인장 문자를 표시지(24)상에 작성하는 것으로 이것을 확정한다.
여기에서, 인장을 작성하는 경우 일련의 조작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기능 스위치(8)를 대기 위치가 되는 「OFF」 위치에서 「OPEN」위치까지 회전 조작하여 개폐 덮개(7)를 개방하고, 포켓(6)에 인장 본체 A를 세트한다. 상기 인장 본체(A)의 세트에 따라, 제어부(300)의 입력 인터페이스(304)에 접속된 인장 검출부(66)에 의해서 인장 본체(A)의 타입이 검출된다.
다음에, 기능 스위치(8)를 「입력/제판」 위치까지 회전 조작하여 제판 작동으로 기능을 이행시키고, 푸시 버튼군(22) 및 조작 다이얼(23)을 조작하여 인장 문자를 입력한다. 인장 문자의 입력이 완료하면 인장 문자 라벨이 작성된 제판 시트(B)를 삽입구(9a)에 삽입하여 세트한다.
다음에, 푸시 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조작하여 제판 작동, 즉 인자를 행하게 한다. 상기 인자는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인자가 완료하면, 잉크 리본(의 인자 부분) (C)는 노광을 위해 상대편에 이송되고, 동시에 제판 시트(B)는 취출구(9b)에서 외부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이송된 제판 시트(B)에 의해, 인장 문자에 잘못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다음에 기능 스위치(8)를 「노광」 위치까지 회전 조작하여 노광 작동으로 기능을 이행시키고, 후술의 노광부(65)에 노광을 행하게 한다.
노광이 완료하면, 기능 스위치(8)를 「OPEN」 위치까지 회전 조작하여 개폐 덮개(7)를 개방하고, 포켓(6)으로부터 인장 본체(A)를 꺼내어 이것을 세정한다. 상기 세정에 의해 인장이 완성되지만, 인장이 완성되어도, 상기의 제판 시트(B)에서 인장 문자 라벨을 벗겨 이것을 인장의 배면에 부착한다.
다음에, 인장 작성 장치(1)의 구성 부위 중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관련되는 부위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리본 카트리지(11)는 장치 본체(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잉크 리본(C)의 소모에 대해 케이스마다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11)에는 한쪽 끝에 와인드 릴(13)이, 타단에 언와인드 릴(14)이 각각 설치되고, 잉크 리본(C)는 언와인드 릴(14)로부터 언와인드 되어 반대 L자를 회전한 형상으로 굴곡하여 와인드 릴(13)에 감긴다. 상기 반대 L자를 회전한 형상의 잉크 리본(C)의 주행 경로에는, 그 짧은 변 부분에 후술하는 인자부(64)가 대향하고, 긴변 부분에 노광부가 대향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인자부(64)에는 상기 잉크 리본(C)과 상기의 제판 시트(B)가 동시에 대향하고, 노광부(65)에는 인자 후의 잉크 리본(C)이 대향한다.
잉크 리본(C)은 투명한 리본 테이프와 이것에 도포한 잉크로써 이루어지고, 실시 형태로는 6㎛ 두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인자부(64)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C)에 인자가 행하여지면, 잉크의 부분이 제판 시트(B)에 전사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 리본(C)의 리본 테이프에는 잉크 문자의 부분이 박리한 네거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제판 시트(B)에는 잉크 문자의 부분이 부착한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잉크 리본(C)은 이것을 마스크로서 이용할 상대편 노광부로 이송되는 한편, 제판 시트(B)는 인장 문자의 확인을 위해 또한 이것을 작성한 인장에 점착할 장치 외부로 이송된다.
제판 시트(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Ba)와 점착 시트(Bb)를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전체가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된다. 점착 시트(Bb)에는 장방형에 절단선(Bc)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선(Bc)을 따라 베이스 시트(Ba)에서 떼어낸 점착 시트(Bb)의 장방형 부분이, 상기의 인장 배면에 접착하는 인장 문자 라벨(Bd)로 된다. 인장 본체(A)는 인장으로서의 용도에 맞춰서 형상이 다른 다수 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판 시트(B)도 그 인장 문자 라벨(Bd) 부분의 형상(절단선의 형상)이 다른 복수 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한편, 인장 본체(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나무(실시 형태는 수지제) (Aa)의 선단에 얇은 스폰지(발포 우레탄) (Ab)가 부착되는 동시에, 스폰지(Ab)에 자외선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수지 베이스(Ac)가 부착되고, 또한 수지 베이스(Ac)에 인장면(Ad)을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인장 본체(A)의 자외선 경화 수지{인장면(Ad)} 부분에 잉크 리본(C)을 마스크로서 자외선 노광함으로써, 인장면(Ad)의 인장 문자에 상당하는 부분이 경화한다. 상기 상태에서 인장 본체(A)를 포켓(6)으로부터 취출하여 세정함으로써, 수용성의 미경화 부분이 씻겨지고 인장이 완성된다. 도면 중의 부호 Ae는 수지제의 캡이다.
다음에,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인자부(6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자부(64)는 제어부(300)의 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되어 있는 헤드 구동 회로(56a) 및 모터 구동 회로(57a)와, 헤드 구동 회로(56a)에 의해서 구동되며 잉크 리본(C)에 인장 문자를 인자하는 인자 헤드(서멀 헤드)(56)와, 모터 구동회로(57a)에 의해서 구동되어 인자 헤드(56)의 인자 작동에 대응하여 잉크 리본 C를 보내는 플라텐 롤러(platen roller; 57)와, 인자 헤드(56)의 헤드 표면에 설치된 헤드 온도 센서 5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자 헤드(56)와 플라텐 롤러(57)와의 접점 부분을 향한 장치 케이스(2)에는 상기의 제판 시트 B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181)와, 제판 시트(B)가 송출하는 송출 통로(182)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로(181)의 상류단에는 외부로 개방된 삽입구(9a)가 형성되고, 송출 통로(182)의 하류단에는 외부로 개방된 취출구(9b)가 형성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5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이며, 잉크 리본(C)을 언와인드 릴(14)로부터 감는 동시에, 인자 헤드(56)와의 사이에 제판 시트(B)를 끌여들여,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를 겹친 상태로 인자 헤드(56)에 대향하게 된다. 인자 헤드(56)는 서멀 헤드이며, 열전사에 의해 잉크 리본(C)의 리본 테이프에 도포된 잉크를 제판 시트(B)에 전사한다. 상기 전사에 의해 잉크 리본(C)에서 인장 문자에 상당하는 부분이 벗겨져, 그 부분에 투명한 리본 테이프의 면이 나타나는 한편, 제판 시트(B)에는 벗겨진 잉크가 인장 문자로서 부착한다. 또한, 헤드 표면 온도 센서(56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자 헤드(56)의 헤드 표면에 밀착하여 설치된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이고, 제어부(300)의 입력 인터페이스(304)에 접속되어, 인자 헤드(56)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고 보고한다.
삽입 통로(181)에는 제판 시트(B)의 삽입 및 이송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83)가 대향하고 있고, 삽입 통로(181)에 삽입된 제판 시트(B)는 상기 센서(183)의 검출 결과에 의해 플라텐 롤러(57)에 의해 이송되며, 그 인장 문자 라벨(Bd)의 선단부 위치에서 인자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송출 통로(182)를 구성하는 좌측의 벽에는, 그 선단(상류단)으로 분리 클릭(18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 클리부(184)에 의해, 겹친 상태로 이송되어 온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가 분리된다. 그리고, 잉크 리본(C)은 상대편의 노광부로 이송되고 제판 시트(B)는 송출 통로(182)를 통해 장치 외부로 송출된다.
다음에,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여 노광부(65)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광부(65)는 제어부(300)의 출력 인터페이스(305)에 접속된 광원 구동 회로(191a)와 포켓(6)에 세트한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에 대치하도록 설치되고, 광원 구동 회로(191a)에 의해서 구동되는 자외선 광원(191)과, 자외선 광원(191)과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 사이에 설치한 누름판(58)을 구비하고 있다. 자외선 광원(191)은 세미핫관이라고 불리는 자기 가열형 열음극관이며, 도시하지 않은 기판상에 설치한 형광관 홀더에 지지되어 있다.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과 누름판(58)과 자외선 광원(191)과는 각각 사이를 두고 서로 평형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면(Ad)과 누름판(58) 사이에 잉크 리본(C)이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58)은 투명한 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전진하여(도 2 중 하방으로 진행하여) 잉크 리본(C)을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노광 때는 누름판(58)에 의해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에 잉크 리본(C)을 눌러 접촉한 후, 자외선 광원(191)을 점등하고, 누름판(58) 너머로 잉크 리본(C)을 마스크로 한 노광이 행하여진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노광부(65)에는 제어부(300)의 입력 인터페이스(304)에 접속되어, 노광부(65)의 주위(환경) 온도를 검출하여 보고하는 서미스터 등의 주위 온도 센서(67)가 마련되어 있다.
또, 누름판(58)의 전진에 따라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은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 54) 사이에 당겨준 잉크 리본(C)이 당김을 느슨하게 하고, 잉크 리본(C)은 그 장력을 감소한 상태로, 즉 세로 구김이 생기지 않은 상태에서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에 접촉된다.
상기 상태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또한 상술하는데, 도 2에 있어서 주행하는 잉크 리본(C)에는 언와인 릴(13)에 의해 강한 장력이 작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C)은 극박의 테이프에 세로구김이 생긴다. 따라서, 이대로 잉크 리본(C)을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에 누르면, 잉크 리본(C)은 세로구김이 생긴 채로 인장면(Ad)에 눌리고, 인장 문자가 비뚤어져 노광되어 버린다. 한편, 잉크 리본(C)을 방심하면 인장 문자가 위치를 벗어나 노광되어 버린다. 그래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58)의 전진에 따라,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도 전진시켜, 잉크 리본(C)의 당김을 느슨하게 하는 동시에, 그 때 텐션핀(55)에 의해 잉크 리본(C)에 세로구김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약한 힘으로 당겨주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노광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C)은 텐션핀(55) 및 제 2 경로핀(52)에 의해 누름판(58)의 양단에 후방으로 구부려지고, 누름판(58)의 양단으로 형성한 챔퍼부(207)의 작용에 의해 잉크 리본(C)에 필요없는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자에 의해서 제판 시트(B)로 형성된 포지 화상과 잉크 리본(C)으로 형성된 네거티브 화상은 각각 인장 문자 라벨과 노광용 마스크로서 사용된다. 즉, 이것들의 화상의 성과가 인장으로서의 완성품 성과에 직접 반영된다. 특히, 노광용 마스크로서 사용되는 잉크 리본(C)이 비뚤어져 버리면, 인장 문자가 비뚤어져 노광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기의 장력에 대한 기계적인 구조상의 연구 이외에 열량에 대한 전기적인 기능상의 연구가 이루어져, 잉크 리본(C)에 필요없는 구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개폐 덮개(7)의 개폐에 연동하는 인장 검출부(6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장 검출부(66)는 포켓(6)에 인장 본체(A)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인장 본체(A)의 타입을 판별하는 것이다. 인장 본체(A)에는 각형인용, 성명인용, 비즈니스인용, 주소인용 등의 각종 형상이 다른 것이 분비되어, 이들 각종의 인장 본체(A)는 길이는 동일하지만 폭 및 두께가 다르다. 또, 「길이」는 인장면(Ad)과 반대측 면과의 사이의 인장 본체(A)의 치수를 의미하여, 「폭」은 포켓(6)에 장착된 위치에서의 양측면 사이의 치수를 의미하여, 「두께」는 포켓(6)에 장착된 위치에서의 인장 본체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치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폭 및 두께가 다른 각종의 인장 본체(A)를 폭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놓고, 포켓(6) 내의 일정한 위치에 세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6)의 저면(6b)에 장단 4개의 보스(251, 251, 251, 251)가 설치되어, 이것에 대응하여 인장 본체(A)에는 보스(251)가 맞물리는 결합 구멍(Af)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보스(251, 251, 251, 251)는 「T」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각형인으로서는 2개의 결합 구멍(Af, Af)이 (도 7a 및 7b) 비즈니스인에서는 4개의 결합 구멍(Af, Af, Af, Af)이 (도 7c 및 7d)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장 본체(A)의 결합 구멍(Af)의 수 및 깊이는 인장 본체(A)의 타입에 의해 가지각색이며, 상기 결합 구멍(Af)과 보스(251)의 조합에 의해 포켓(6)에 장착한 각종의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 중심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인장 본체(A)의 인장면(Ad)과 반대의 배면(Ag)에는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 횡 및 복수개의 작은 구멍(타입 검출 구멍) (Ah)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인장 검출부(66)가 스위치 어레이(262)와의 협동에 의해 인장 본체(A)의 타입이 판별된다(도 8a 내지 도 8g 참조). 또, 인장 본체(A)의 배면(Ag)에는 인자 후에 잉크 리본(C)에서 분리하여 장치 외부로 보내진 제판 시트(B)의 인장 문자 라벨(Bd)이 부착되어, 이것에 의해 작은 구멍(Ah)이 가리도록 되어 있다.
인장 검출부(66)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본체(A)의 배면(Ag)에 대향하도록 설치한 스위치 홀더{포켓(6)의 벽면을 겸하고 있다}(261)와 스위치 홀더(261)에 지지시킨 6개의 검출 스위치(263)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어레이(262)를 구비하고 있다. 각 검출 스위치(263)는 푸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스위치 본체(264)와 선단이 포켓(6) 내에 대향하는 스위치 톱(2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톱(265)은 평판부(266)와 평판부(266)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검출 돌기부(267)로써 이루어지고, 평판부(266)의 하부에서 스위치 홀더(261)로 형성한 가이드 돌기(268)에 또한 검출 돌기부(267)에서 스위치 홀더(261)로 형성한 가이드 구멍(269)으로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본체(264)는 기판(270)의 이면에 고정되어 그 플런저(271)를 스위치 톱(265)의 평판부(266)에 부딪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플런저(271)는 그 스프링힘으로 스위치 톱(265)을 포켓(6)측에 힘을 더하고 있고, 그 힘에 의해 검출 돌기부(267)의 선단이 스위치 홀더(261)의 가이드 구멍(269)으로부터 포켓(6) 내로 돌출하는 상태와, 상기 힘에 저항하여 가이드 구멍(269)에 몰입하는 상태가 검출 스위치(263)의 ON-OFF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스위치 어레이(262) 내의 어느 것인가 1개의 검출 스위치(263)가 ON 상태가 되었을 때,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모든 검출 스위치(263)가 OFF 상태가 되었을 때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스위치 어레이(262)의 각 검출 스위치(263)는 대응하는 인장 본체(A)의 작은 구멍(Ah)의 유무에 의해 ON 또는 OFF 중의 어느 상태가 된다. 따라서, 6개의 검출 스위치(263)의 ON-OFF의 패턴에 의해 인장 본체(A)의 타입이 판별된다.
도 8a 내지 도 8g는 인장 본체(A)의 작은 구멍(Ah)과, 6개의 검출 스위치(검출 돌기부)(263)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6개의 검출 스위치(263)와 작은 구멍(Ah)의 유무의 관계로부터, 26-1 종류 즉 63종의 판별 패턴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각형인 등의 폭이 좁은 인장 본체(A)에 대하여는 양외측 단부의 2개의 검출 스위치(263, 263)에 대한 작은 구멍(Ah)이 없고, 상기 2개의 검출 스위치(263, 263)는 인장 본체(A) 양측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한다. 즉, 각형인 등의 폭이 좁은 인장 본체(A)에서는 인장 본체(A)의 최상 외측 단부에 가공의 작은 구멍(Ah)이 있는 판별 패턴으로서 인식된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제어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며, CPU301, ROM302, RAM302, 입력 인터페이스(304), 출력 인터페이스(305) 및 이 들을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306)를 구비하고 있다.
ROM302에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가나 한자 변환용 사전 데이터, 문자·기호 등을 폰트데이터, 소정의 인장 테두리 데이터 등의 고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AM303은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관계되는 고정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RAM303의 입력 데이터는 전원 오프시에도 백업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04)는 상술한 기능 스위치(8), 조작부(21)의 푸시 버튼군(22), 조작 다이얼(23), 인자부(64)의 헤드 표면 온도 센서(56b), 노광부(65)의 주위 온도 센서(67), 인장 검출부(66) 등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시스템 버스(306)를 통해 CPU301나 RAM에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행한다. 출력 인터페이스(305)는 CPU301, ROM302 또는 RAM303으로부터의 각종 제어 신호나 각종 제어용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306)를 통해 입력하고, 상술한 발광 소자(12), 조작부(21)의 표시부 구동 회로(24a), 인자부(64)의 헤드 구동 회로(56a), 모터 구동 회로(57a), 노광부(65)의 광원 구동 회로(191a) 등에 대하여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행한다.
CPU301은 입력 인터페이스(304)로부터의 입력 신호나, 그때의 처리 내용에 따라서 정해지는 ROM302 내지 처리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RAM303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고, 또한, 필요한 때 ROM302이나 RAM303 내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 데이터를 적당히 사용하여 처리한다.
상기 인장 작성 장치(1)의 경우, CPU301은 이하에 설명하는 멀티 태스크 처리를 행하고 있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멀티 태스크 처리의 개념도이고, 처리하여야 할 복수의 태스크를 우선 순위 RDYO~RDYn (도시의 경우, n=7)로 분류하고, 그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처리 순서를 결정하여 각 태스크를 기동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장 높은 우선 순위 RDY0로 분류된 태스크를 TCBOi (i=0, 1, 2, …), 가장 낮은 우선 순위 RDY7로 분류된 태스크를 TCB7i, 그밖의 우선 순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 RDYj (j=0~7)로 분류된 태스크를 TCBji로 나타낸다. 또한, 우선 순위 RDYj로 분류된 분류 중에서의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예를 들면 태스크 TCBm0이 TCBj0로서 등록되었다고 표현한 것으로 하고, 우선 순위 RDYj에 1개 이상 태스크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RDYj로 「태스크 유」라고 표현한다.
또한, 같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태스크 처리에서는, 푸시 버튼군(22) 중의 어느 푸시 버튼의 가압이나 조작 다이얼(23)의 조작에 의한 개입 등의 이벤트 발생에 의해 새로 필요하게 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태스크명(도시의 TCBm0 등)을 등록하기도 하고, 각 태스크 간의 통신(도시의 Mailm1 등 : 이하 「메일」이라고 약칭한다)을 등록하는 영역이 확보되어 있고, 이하 상기 영역을 「우편함 MBX」라고 표현한다. 또한, 현재 실행 중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태스크명을 TCBr0로 표현하여, 상기 태스크를 실행하여 처리하는 것을 「현 태스크 실행 처리」 또는 생략하여 「RUN 처리」라고 표현하며, 예를 들면, TCB00을 선택하여 기동할 때는 「TCB00을 TCBr0로서 등록하여 기동한다」라고 표현한다. 상기의 경우 등록을 후술하는 계층 처리 다이어그램이나 플로우 챠트상에서는 「TCBr0←TCB00」과 같이 나타낸다. 우편함 MBX 내의 태스크 TCBm0 등은 현재 실행 중의 태스크 TCBr0의 강제 중단의 가부 또는, 어떤 우선 순위 RDYj에 등록할까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MBX 처리에 있어서는 이것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태스크 TCBm0를 처리한다.
도 13은 통상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려고 시도한 것이다. 같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 등의 의해 처리가 스타트하면 우선, 인장 작성 장치(1) 내의 각부에 초기 설정을 행하고(S01) 다음에, 태스크 감시·교체(RDY) 처리를 행한(S02) 후, 우편함(MBX) 처리를 행한다(S03). 다음에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체크하여(S04) 발생하고 있을 때는 그 발생하고 있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고(S05), 그 후 현 태스크 실행(RUN) 처리를 행한다(S06). 그리고, RDY 처리(S02)에서 RUN 처리(S06)까지를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의 처리에서는 상기의 RDY 처리, MBX 처리는 정기적으로 정해진 타이밍에서만 처리되고, 또한, 각 이벤트 대응의 처리는 그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기동되는 처리이고, 다른 타이밍에서는 RUN 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플로우 챠트의 기술로서는 정확히 표현하기 어렵고, 또한, 프로그램의 계층 구조도 이해하기 어렵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1개의 연속하는 처리를 설명할 때는, 별도의 태스크를 기동하는 등의 실제의 멀티 태스크의 작동에 불구하고, 그 태스크 처리를 서브 루틴으로서 나타낸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이벤트 구동 타입, 즉 이벤트 발생 등에 의해 기동되는 태스크 등의 설명에는 도 14에 도시된 기술 방법(이하, 「계층 처리 다이어그램」이라고 약칭한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계층 처리 다이어그램상, ◇ 부호가 있는 처리 분기는 이벤트 구동형의 태스크, 프로그램 또는 서브 루틴인 것을 나타내고, 개입이나 다른 태스크로부터의 태스크 기동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실행된다. 도 14의 태스크 감시·교체(RDY) 처리는 리얼타임 모니터 등으로부터 일정 간격의 타이밍으로 개입이 발생하여, 그 타이밍에서만 기동된다. 또한, 우편함(MBX) 처리도 RDY 처리와의 별도의 일정 간경의 타이밍 개입에 의해서 기동된다. 이벤트 발생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23)의 조작 등의 여러 가지의 이벤트에 의해 기동되는 태스크를 우편함 MBX 내에 등록하는 처리이고, 실제로는 각 이벤트 발생마다 독립하여 우편함 MBX에 액세스하여, 그 이벤트의 처리에 대응한 태스크명을 등록하지만, 도 14에서는 그것들을 대표적으로 하나만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 등에 의해 처리가 스타트하면, 우선 처리 분기(In)의 초기 설정(이하, 「초기 설정(In)과 같이 표현한다」를 행한다. 초기 설정(In)에서는 인장 작성 장치(I) 전체의 처리 흐름을 결정하기 위한, 후술하는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의 태스크 TCBin를 MBXDP 등록한다(In1). 초기 설정(In)이 종료하고, 가령 RDY 처리의 타이밍이 아니고, MBX 처리의 티이밍도 아닌 어떠한 이벤트 발생도 없으면, 다음에 RUN 처리(CT)로 이동하지만, 여기에서는 아직 아무 것도 등록되지 않고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RDY 처리 또는 MBX 처리의 기동 타이밍 대기가 된다.
상기 상태로, RDY 처리의 타이밍이 되면 RDY 처리(R)가 실행되지만, RDY0~RDY7에 태스크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즉 RDY0~RDY7에 태스크 유(R1~R8)가 아니기 때문에 아무 것도 처리되지 않고 종료한다. 한편, MBX 처리의 타이밍이 되면 MBX 처리(M)가 실행되어, MBX 내에는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용의 태스크 TCBin가 TCCm0으로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MBXDP 태스크 유(M1)」의 처리가 되어 MBX 내의 태스크 TCB를 RDYDP 등록한다(M11). 즉, 예를 들면 태스크 TCBin의 지정된 우선 순위가 RDY4에 상당하면, 태스크 TCBin이 TCB40으로서 RDY4에 등록된다.
상기 상태로, RDY 처리의 타이밍이 되어, RDY 처리(R)가 실행되면, 예를 들면 「RDY4에 태스크 유(R3)」의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RDYi에 태스크 유(R(i-1))」의 처리를 설명한다. 상기 처리에서는 크게는 새로운 태스크를 기동하는 경우와, 태스크는 기동하지 않고 현재 실행 중의 태스크에 대하여 중단 의뢰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와,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의 어느 것인가로 분기한다.
우선, 현 실행 태스크가 없는 경우 즉 TCBr0으로서 아무 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고, RUN 처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현재 실행 중의 태스크 TCBr0의 우선 순위가 RDY(i+1) 이하이고 또한 그 현 실행 태스크가 중단 가능인 경우에는 신 태스크가 기동된다. 상기 중단 가능한 경우란 신 태스크가 현 실행 태스크를 강제 중단 가능한 것인가, 후술의 중단 의뢰 메일에 대한 회신 메일의 내용이 중단 가능 메일인가, 또는 이미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종료 메일인 경우가 상당한다. 상기 조건이 성립할 때, 즉, (현 실행 태스크 무)+{현 실행 태스크 RDY(i+1)이하} & {(강제 중단 가능)+(MBX에 회신 메일 유)} & {(중단 가능 메일)+(종료 메일)}의 조건이 성립할 때 {R(i-1)1}에 신 태스크가 기동된다{R(i-1)11}. 여기에서 「+」는 논리합, 「&」는 논리곱을 나타낸다.
한편, 현 실행 태스크의 우선 순위가 RDY(i+1) 이하이고, 또한, 그 태스크로부터의 회신 메일이 없고 중단 가능인가 불가능인가 불명인 경우 또는, 이전에 한번 의뢰했을 때는 중단 불가능이고, 상황에 의해 재의뢰하는 경우에는 중단을 요청하는 중단 의뢰 메일을 우편함 MBXDP 송신한다. 즉, {현 실행 태스크 RDY(i+1) 이하} & (강제 중단 불가) & {(MBXDP 회신 메일무)+(중단 불가 메일)}의 조건이 설입할 때 {R(i-1)2}에는 중단 의뢰 메일 송신을 행한다{R(i 11) 21}. 그리고, 이것들의 조건이 쌍방과도 성립하지 않을 때 즉, 현 실행 태스크의 우선 순위가 RDYi 이상일 때는 아무 것도 처리를 하지 않고서 「RDYi에 태스크 유(R(i-1))」를 종료한다.
「신 태스크 기동{R(i-1)11}」인 경우, 상기 처리 이전에, 예를 들면,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태스크를 기동하기 위해서 중단되어 있기도 하고, 또한, 2차 태스크를 기동하여, 그 2차 태스크의 처리 결과 대기의 상태로 중단되어 있던 태스크 등이 있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재개 정보 등에 의해 그 재개의 가부를 판단하고, 재개 가능인 경우에는 「중단 태스크 유 & (재개 가){R(i-1)111}」의 처리가 실행되나. 상기 처리에서는 현 실행 태스크명 TCBr0으로서 중단되어 있던 태스크명을 등록하고{R(i-1)1111}, 퇴피하고 있는 데이터 등이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을 복귀하여{R(i-1)1112} 새롭게 RUN 처리를 기동한다{R(i-1)1113}. 상기 이벤트 발생에 의해 후술의 RUN 처리(CT)에 있어서 신 태스크 기동(CT1) 처리가 기동된다.
중단되어 있던 태스크가 없는 경우에는 「중단 태스크 무{R(i-1)112}」가 처리되어 「TCBr0←신 태스크명{R(i-1)1121}」의 후에, 새롭게 RUN 처리를 기동한다{R(i-1)1122}. 예를 들면,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의 태스크 TCBin일 때는 신 태스크 기동(R311) 처리에 있어서 중단 태스크 무(R3112)의 「TCBr0←TCBin(R31121)」 후에, RUN 처리 기동(R31122)이 실행된다.
다른쪽, 중단 태스크가 있는 것의 재개불가인 경우에는 재개 가능하게 될 때까지 대기하기 위해서 아무 것도 처리를 하지 않고 신 태스크 기동{R(i-1)11}을 종료한다. 또, 상기의 2차 태스크는 통상 1차 태스크보다도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기 때문에, 상기 신 태스크 기동{R(i-1)11}이 처리될 때는 2차 태스크는 종료하고 재개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우편함(MBX)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처리에서는, MBX에 태스크 유(M1)인 경우에는 MBX 내의 태스크 TCBm0를 그 태스크의 지정된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우선 순위의 RDYj에 등록한다(M11). 또한, MBXDP 메일 유(M2)인 경우에는 중단 의뢰 메일일 때(M21)는 최신 의뢰 메일로서 등록하여(M211) 현 실행 태스크 TCBr0에 송신(M212)하는 동시에 (회신 메일)+(종료 메일)일 때(M22)는 최신 의뢰 메일에 대한 회신 메일로서 등록하여(M221) 회신 대기 RDY에 송신한다(M222).
다음에, 이벤트 발생 처리(E)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초기 설정(In)은 설명의 편의상 별도의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실제로는 상기 이벤트 발생 처리(E)의 일종이다. 즉 이벤트 처리(E)는 조작 다이얼(23)의 조작 등의 장치 외부에서의 이벤트에 의해 기동되는 태스크나 내부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상 발생시키는 태스크 등을 MBX에 등록하는 처리(E1)를 행한다.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의 태스크 TCBin는 상기 MBX에 등록 후 RDY에 등록되어 신 태스크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RUN 처리(CT)로 실행된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여 현 태스크 실행(RUN) 처리(CT)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처리는 상술해 온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때 현 실행 태스크 TCBr0를 계속하여 처리하는 것이며 상기 처리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로서는 신 태스크 기동(CT1), 「중단 의뢰 메일 유(CT2)」 및 「현 실행 태스크 종료(CT3)」가 있고, 이것들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때는 현 실행 태스크 처리를 계속한다(CT4). 신 태스크를 기동(CT1)할 때는 현재 실행 중의 태스크를 위한 데이터의 퇴피 등을 행하며(CT11) 현 실행 태스크를 중단하고(CT12) 재개 계속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CT13)에는 재개 정보를 태스크 정보로서 기록하여(CT131) RM 정보와 동시에 그 태스크를 원래의 RDY에 재등록한다(CT132).
중단 의뢰 메일 유(CT2)일 때는 그 때의 현 실행 태스크의 상태가 중단 가능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별하여, 중단 가능(CT21)일 때는, 중단 가능 메일을 MBX에 송신하고(CT211) 중단 불가(CT22)일 때는 중단 불가 메일을 송신한다(CT221). 또, RUN 처리(CT) 중에 상술한 RDY 처리(R), MBX 처리(M) 또는 이벤트 발생 처리(E)로 교체할 때도 일시적으로 RUN 처리가 중단되기 때문에 같은 것이 행하여지지만 다른 태스크와의 교체와 다르고, 리얼 타임 모니터의 기본적인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현 실행 태스크 TCBr0의 처리가 종료할 때(CT3)에는 종료 메일을 MBX에 송신하여(CT31) 다음 신 태스크 기동까지 대기한다(CT32).
도 17은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의 일례를 보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 태스크 TCBin가 기동하면 우선 워크(작업) 영역 확보(S11)의 태스크를 우편함 MBX에 등록하고 계속해서 표시 처리(S12) 및 유닛(인장 본체) 판정 처리(S13)의 태스크를 등록하며, 다음에 입력 에러 판정 처리(S14), 캐릭터 등 립력 처리(S15), 제판(인장) 화상 작성 처리(S16), 시트 처리(S17) 및 버저 처리(S18) 등의 태스크를 등록하고, 그 후, 인쇄 처리(S19)의 태스크를 등록한 뒤, 노광 처리(S20)의 태스크를 등록한다. 이것들의 2차 태스크는 MBX 처리에 의해서, 각각 우선 순위 RDYjfh 분류 등록 되며, RDY 처리에 의해서 잇달아 기동된다. 또한, 이것들의 2차 태스크가 기동되면, 필요에 따라서 또한 3차 태스크가 우편함 MBX에 등록되며, 각각 RDY 처리에 의해 기동된다.즉, 초기 설정의 태스크 TCBin을 포함시킨 복수의 태스크는 각각 어떠한 처리 대기 상태가 될 때까지 처리가 진행된다. 인장 작성 장치(1) 내의 내부 처리는 처리 대기의 요인으로 되어 있는 다른 태스크의 처리가 진행하여 대기 상태가 해제되면, 상술한 멀티 태스크 처리에 의해서 다음 처리로 진행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사용자의 입력 그 밖의 조작 대기가 된다. 반대로 말하면 사용자의 조작이 행하여진 후는, 또한 다음 조작 대기가 될 때까지 에러 처리를 포함시킨 각 태스크의 처리가 차례 차례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 결과 조작시의 실감으로서 여러가지의 처리가 병렬 또한 동시에 행하여진다. 즉, 상기 인장 작성 장치(1)의 처리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하나하나 기다리고 나서 다음 처리로 이동하는데 비해서 후에 필요하게 되는 여러가지의 처리를 선행하여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인간의 대기 시간을 크게 삭감할 수 있으며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멀티 태스크 처리와 같은 병렬 처리는 프로그램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태스크 처리를 모두 개입 처리하여, 발생한 개입의 우선 순위를 제어하는 개입 제어 회로를 채용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도 17에 있어서 점선의 표시는 외견상 동시에 병행 처리되어 있는 태스크 처리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캐릭터 등 입력 처리(S15), 입력 에러 판정처리(S14) 및 제판 화상 작성 처리(S16)는 동시에 처리된다. 구체적으로는 최초의 캐릭터 등(문자ㆍ기호ㆍ도형 등)의 입력을 행하고 나서, 다음 캐릭터 등의 입력을 행할 때까지(S15)의 사이에, 텍스트 내에 입력된 문자수 등에 불편함이 없는지 판단하고(S14), 제판용의 화상을 작성한다(S16). 이것들의 처리 도중에서 캐릭터의 입력이 행하여지면(S15), 입력 에러 판정 처리(S14) 및 제판 화상 작성 처리(S16)는 즉시 중지되어 다시 최초에서 각 처리를 재개한다. 그리고 이것들의 기간 중에도 표시 처리(S12)나 버저 처리(S18) 및 제판 시트(B)의 삽입시에는 시트 처리(S17)가 병행하여 실행되어 있다.
상기 인장 작성 장치(1)인 경우 본 발명은 제어부(300), 조작부(21) 및 인장 검출부(66)에 의해 실시되고, 그 특징은 주로 상술한 도 17의 각 처리 중의 제판 화상 작성 처리(S16)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제판 화상 작성 처리(S16)에 대하여 도 18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또, 본 발명 중 화상 작성 방법 및 그 장치는 제판 화상 작성 처리(S20) 중 주로 후술하는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에 적용되어 문자 할당 방법 및 그 장치는 주로 후술하는 문자 할당 처리(S60)에 적용되고 또한 인장 작성 방법 및 그 장치는 주로 후술하는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에 적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판 화상 작성 처리(S16)는 캐릭터 등 입력 처리(S15)로 새로운 캐릭터 등이 입력될 때마다 재개하는 처리이다. 또한, 도 18의 최초의 2개 처리, 인장 종류 판별(S30)과 인장 화상 데이터 도트수 결정(S31)은 본 처리 개시 전에 이미 유닛 판정 처리(S13)로 실행되며, 또한 그 다음 스타일 폼 지정 취득(S32)은 캐릭터 등 입력 처리(S15)로 실행되고, 여기에서는 그것들로 얻어진 정보를 참조할 뿐이지만 설명상 처리 플로 중에 포함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판 화상 작성 처리(도 17의 S16)가 개시하면 인장 검출부(66)에 의해 인장 본체(A)가 세트(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타입을 판별하고(S30) 인장 화상 데이터의 도트수 결정을 한(S31) 후, 스타일 폼 지정 취득을 행한다(S32). 상기 스타일 폼 지정 취득(S31)에서는 문자 사이즈, 폼(form), 종서ㆍ횡서, 할당 또는 외측 테두리 등의 사용자의 지정 내용을 RAM303로부터 리드한다.
상기 인장 작성 장치(1)로 작성하는 인장의 폼으로서는 복수의 형상의 것이 ROM302에 준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성명인, 비지니스인 대(大), 비지니스인 소(小), 각형인, 주소인(도 21a 내지 EH 23d 및 도 31a 내지 도 33참조) 등이 있고, 이들도 또한 종서ㆍ횡서 혹은 삽화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것 등 복수로 분리되어 있다.
캐릭터 등 입력 처리(도 17의 S15)에 있어서 푸시 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누르면, 상기의 스타일 폼 지정의 선택 갈래가 표시기(24)에 표시되며, 커서/변환키(32)에 의해 표시를 전환함으로써 각 선택 갈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폼 지정에서는, 표시기(24)에 「폼」이 표시된 시점에서 조작 다이얼(23)의 실행키(31)를 누르면 표시기(24)에 「성명인」, 「비지니스인」, …, 「폼 지정 없슴」, 「지정 종료」 등의 선택 갈래의 어느 것인가가 표시되기 때문에, 커서/변환키(32)로 선택하여 실행키(31)를 누르면, 또한 그 선택 갈래 중의 선택 내용, 예를 들면 문자 사이즈, 종서ㆍ횡서, 각 입력 항목마다의 할당 방법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그것들의 선택 갈래 중 선택하고자 한 내용을 조작 다이얼(23)에 의해서 표시시키고 나서 실행키(31)를 누르면 또한 그 선택 갈래의 선택 내용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최종 계층까지 선택을 행함으로써 각 지정이 설정된다. 각 계층에 있어서 「지정 종료」의 선택 갈래를 선택하여 실행키(31)를 누르면 된다. 또, 푸시 버튼군(22)에 복귀용의 소정의 기능키를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폼 지정이 설정되면 도 21a 내지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폼 지정에 대응하는 입력 안내가 ROM302로부터 판독되고, 표시기(24)에 표시된다. 즉, 같은 도면의 입력 항목, 예를 들면 도 21a인 경우의 "성 ["이나 "이름 [", 도 22b인 경우의 그림 문자 [", " 1 행째 [", "2 행째 [" 등의 " [ "의 입력 안내 뒤에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을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조작 순서서 등을 참조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표시기(24)에서 최초인 항목 입력 안내가 표시되었을 때 문자 입력키(33)나 커서/변환키(32)에 의해 원하는 인장 문자를 입력하며, 표시지(24)상에 작성하였어도 확정함으로써 최초의 항목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최초의 항목 입력이 종료하면, 다음 항목의 입력 안내가 표시되기 때문에, 이하, 이와 같이 필요로 되는 항목의 입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는 RAM303에 기억되어, 후술하는 인장 화상의 기초 화상 데이터의 작성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입력 안내의 " [ "의 뒤에 예를 들면 전번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 또는 디폴트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상들을 수반하는 입력 안내를 표시함으로써 입력 작업을 용이화한 폼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2c인 경우 입력 안내의 " [ "의 뒤에 「매우 잘 되었습니다」라고 표시되므로, 그대로 사용할 때는 그대로 확정하면 좋고, 일부 수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경우 입력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폼 지정 없음」을 선택할 때, 또는 「폼」을 선택하지 않을 때는, 「폼」과 같은 계층에서 자유로운 폼에 있어서의 문자 사이즈, 종서·횡서, 할당, 또는 외측 테두리 등의 다른 지정을 선택할 수 있다. 문자 사이즈는 인장 본체(A)의 타입이나 상기 폼의 종류에 의해서 입력하는 행수에 따라서 각 행마다 표시기(24)에 표시된 소정의 범위 내(예를 들면, 「폼」인 경우의 도 31c참조) 중에서 상기의 폼 지정과 같이 선택하기도 하고, 도트수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지정할 수 있다. 종서·횡서도, 폼 지정과 같은 방법으로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할당도 같은 방법으로 표시기(24)에 「압쪽으로 감」, 「중간쪽으로 감」, 「뒤쪽으로 감」 및 「할당」의 어느 것인가를 표시시켜서 지정할 수 있다(도 24 내지 도 31c참조). 외측 테두리도 마찬가지로 인장 본체(A)의 타입이나 상기 폼의 종류에 따른 범위 중에서 지정할 수 있다(도 32 내지 도 33참조).
폼 지정이 없을 때도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지정의 설정이 종료하면, 표시기(24)에 입력 안내가 표시되기 때문에, 문자 입력키(33)나 커서/변환키(32)에 의해 원하는 인장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기(24)상에 작성하였어도 확정함에 따라 인장 화상의 원인이 되는 문자, 숫자, 삽화 등의 도형의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스타일 폼 지정 취득(S32)이 종료하면 인장 화상의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배치 처리를 행하고(S50), 다음에, 인장 화상의 문자를 인장의 제판 화상의 영역에 적절히 할당하는 문자 할당 처리(S60)를 행하고, 마지막으로 인장의 외측 테두리나 장식용 데이터를 중첩하여, 목적의 인장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를 행하며, 제판 화상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S90). 그리고, 여기에서 작성된 인장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 17의 다음 처리 즉 인쇄 처리(S19) 및 노광 처리(S20)가 행하여짐에 따라 원하는 인장이 작성된다. 이하, 제판 화상 작성 처리(S20)의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 문자 할당 처리(S60) 및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에 대해 순서에 따라 상술한다.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가 개시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폼 지정인가의 여부를 판별하고(S501), 폼 지정일 때(S501 : Yes)에는 다음에 폼 지정용 항목 영역 결정 처리를 행한다(S502).
상기 폼 지정용 항목 영역 결정 처리(S502)에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입력 항목 체크를 행한다(S520). 예를 들면, 도 23a에 도시된 주소인과 같이 주소, 성명, 전화번호 등 복수의 항목에 대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되지 않은 항목을 그대로 공백으로 하여 그것을 그대로 인장 화상으로 하였다면, 화상의 구성 요소의 균형있는 배치가 악화되는 동시에, 압인되는 면적의 인장 전체의 면적에 대한 비율, 즉, 흑색 비율이 적은 불균형한 화상이 되어 버린다.
그리고, 도 20의 입력 항목 체크(S520)에서는, 상술한 도 17의 캐릭터 등 입력 처리(S15)로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 즉 실제로는 그 항목의 입력 안내에 대하여 문자 등의 입력을 하지 않고 실행키(31)에 의해 확정시킨 경우(이하, 「공백 입력」이라고 한다.)에 어떤 항목이 공백 입력이었는가를 체크한다. 예를 들면, 도 23a에 도시된 5개의 항목, 즉 우편번호, 주소(1), 주소(2), 성명 및 전화번호 항목의 전체를 입력한 도 23b에 대하여 도 23c는 주소(2)의 항목이 공백 입력이고, 도 23d는 전화번호의 항목이 공백 입력인 경우에 해당한다. 또, 도 23a 내지 도 23d의 각 항목 간의 괘선이나 외측 테두리는 실제로는 후술하는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로 작성되고 나서 인장 화상으로서 중첩되지만, 도면을 보기 쉽게 하고 또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공백 입력이 있는 경우에도 도 23c 및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의 화상을 균형있게 배치하기 위해서, 다음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폼의 종류나 공백 입력에 따라서(S521), ROM302 내에 기억되어 있는 폼 지정용의 각 테이블을 참조하여(S522∼S526), 각 항목의 배치 영역의 치수나 위치의 규정 데이터를 입수하여, 폼 지정용 항목 영역 결정 처리를 종료한다(S530). 상기의 각 테이블에는 전 항목을 입력한 경우 각 항목의 영역의 치수나 위치 뿐만 아니라, 각 입력 항목이 공백 입력인 경우의 치수나 위치가 각각의 항목에 대응하여 규정되고, 공백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한 치수나 위치의 규정 데이터가 판독된다.
도 19로 되돌아가, 폼 지정용 항목 영역 결정 처리(S502)가 종료하면 다음에 결정된 항목 영역의 치수나 위치에 따라서 각 항목의 배치 영역을 확보하여(S504, 도 31a 내지 도 31c 참조), 그 배치 영역 내에 입력된 문자 등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를 1개씩 ROM302로부터 판독하여(S505) 배치한다(S506). 이것을 각 항목의 종료까지 반복(S507), 또한 그것을 입력되어 있는 전 항목만 반복(S508)함에 따라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RAM302에 기억하고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를 종료한다(S509).
한편, 상술한 폼 지정 판별(S501)에 있어서 폼 지정이 아닌 것을 판별할 때(S501 : No)에는 프리폼용 항목 영역 결정 처리를 행한다(S503). 상기 처리에서는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의 행수를 항목수라고 간주하고 각 행에 대하여 지정된 문자 사이즈에 따라서 항목 영역의 치수나 위치를 결정한다. 인장 본체(A)의 타입에 의해 인장 화상 데이터의 도트수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도 18의 S31) 각 행의 문자 사이즈에 근거하여 폼 지정용 항목 영역 결정 처리(S502)와 같이 테이블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경우 각 행의 문자 사이즈로부터 직접 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에 의하면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입력하고 불필요한 항목의 입력을 행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그 항목은 삭제되어 다른 항목의 영역이 확대된다. 그리고, 다른 항목의 영역 내에 입력한 구성 요소, 즉 주소, 성명, 전화번호 등의 문자나, 삽화 등의 도형이 예를 들면 도 23c 내지 도 23d와 같이 확대되어, 흑색 비율이 많은 화상이 되어 규정된 영역의 화상으로 균형을 갖게 된다.
또한, 공백 입력의 항목 영역이 삭제된 경우의 다른 항목의 영역 치수나 위치를 규정한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판독만으로 삭제되지 않은 각 항목의 영역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입력한 문자나 도형 등은 상기 치수에 따라서 매우 좋은 크기로 변환된다.
또한, 상술한 폼 지정의 각 폼의 하위 계층의 선택 갈래에는 「공백 입력 유지」의 선택 갈래가 있고, 이것을 선택하고 지정해두면 상기 공백 입력의 항목 삭제를 행하지 않고서 공백 입력의 항목 영역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다음 번에 그 때의 폼을 지정하면, 다른 항목에는 전번 입력이 끝난 내용이 기억된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공백 입력되어 있는 항목만 입력하고 입력을 종료할 수 있다. 즉, 뒤에서 기록 등을 행할 수 있는 부분으로 하고 싶은 경우의 처리로서 공백 입력의 항목 삭제를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문자를 확대하지 않고 위치 관계만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가 종료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문자 할당 처리를 행한다(S60). 문자 할당 처리(S60)가 개시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RAM302로부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읽어낸다(S601).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문자 등의 캐릭터, 즉 화상의 근본이 되는 데이터가, 1행째에 「문자폭 통상」, 그리고 2행째에 「보통 처리」의 경우 텍스트 데이터는 도 28a와 같이 단지 2행 나열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인장 화상 데이터 중의 제판 화상용의 영역은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에 있어서 세트된 인장 본체(A)의 타입, 폼 지정의 유무 인장 외측 테두리의 유무에 의해서 결정된다(도 31a 내지 도 31c 참조). 또한, 도 31a 및 도 31b 중, AF의 거리는 각 인장의 타입마다 입력된 문자를 할당함이 가능한 영역의 최대폭을 나타내고, BE의 거리는 AB 간 및 EF 간에 각각 도 32 내지 도 33에 도시된 프레임의 앞 부분(도면 중간 좌단)의 캐릭터 및 뒷부분(도면 중간 우단)의 캐릭터를 할당할 때의 입력된 문자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의 폭을 나타낸다. 도 31c에는 소정의 인장 본체의 타입마다 타입 A와 타임 B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1b는 문자 할당 처리에 의해서 변경된 상기 할당 가능한 영역의 폭을 나타낸다. 도 31b 중 BC와 DE의 각 거리는 상기 문자 할당 처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여백을 나타낸다. 따라서, CD 간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할당 가능한 영역의 폭이다.
폼 지정이 없는 경우 제판 가능 영역의 폭을 A로 하면, 도 28b와 같은 방향의 윤곽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인장으로서 외측 테두리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도 28b의 제판 화상용의 영역의 주위에 후술하는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에 의해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가 배치된다. 상기의 경우 인장 화상 데이터 전체는 도 28d와 같이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둘러싸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외측 테두리가 없는 경우 또는 외측 테두리가 있어도 문자를 크게 하여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온 부분을 삭제하기 좋은 경우에는,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의 영역 전체를 제판 화상용의 영역으로 하여도 좋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고, 또한, 이해하기 쉽게, 도 28b의 제판 화상 영역에 배치하여, 외측 테두리를 붙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도 외측 테두리를 붙인 상태로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기초 화상 배치 처리(S50)에서는 디폴트 지정으로 후술하는 할당, 중간쪽으로 감, 뒤쪽으로 감 등의 배치를 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단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와 같이 모든 행에 대하여 앞쪽으로 감 상태로 배치된 도 28e의 기초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폼 지정의 경우에는 각 항목마다 배치 영역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문자 할당의 각 처리는 그 항목마다 행하여진다. 다만, 예를 들면 상술한 도 23의 주소(1)와 주소(2)와 같이 같은 항목의 복수 행으로 취급함으로써, 같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이 하이쯔…」를 '뒤쪽으로 감'으로 하기도 하고 또는 '앞쪽으로 감' 이나 '중간쪽으로 감' 등으로 하여도 좋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화상 데이터 리드(S601)가 종료하면 다음에 최고 긴 행 판별·할당 처리(S602)를 행한다.
여기에서 우선 텍스트 데이터가 1행인 경우, 즉 최고 긴 행만의 경우의 할당 방법에 대하여, 도 25a 내지 도 2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폼 지정인 경우의 각 항목에 텍스트 데이터도 상술한 복수 행 취급을 하지 않은 통상의 경우에는 상기 1행인 경우에 해당한다. 또, 도 25a 내지 도 28g 및 도 43에 있어서 A는 제판 가능 영역 폭, B는 문자간 여백, C는 문자 폭, D는 단부 여백, E는 실질 할당 영역 폭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2 문자의 할당을 행하는 경우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할당 방법에서는 문자간 여백(B)이 넓게 되어 중후함이 결여되어 공백 부분이 눈에 띄는 궁상스러운 인장 문자가 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문자 할당 처리(S60)에서는 문자간 여백(B)에 대하여 단부 여백(D)을 B>D>0 (도시의 경우, D=B/2) 이 되도록 할당하므로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문자간 여백(B)만이 지나치게 넓지 않고 균형있는 문자의 배치가 된다.
단부 여백(D)의 문자간 여백(B)에 대한 비율 D/B는 상기한 도 25B의 경우에는 D/B=1/2로 하였지만,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의 캐릭터 등 입력 처리(S15)에 있어서, 소정의 버튼(22a)에 의해, 소정의 9/10, …, 5/6, 4/5, 3/4, 2/3, 1/2, 7/10, …, 2/5 등의 비율(D/B)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기 좋은 비율(D/B)은 예를 들면 도 26a 내지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판 가능 영역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에 의해 다르다. 즉, 도 26a와 같이 문자 높이(F)나 문자 폭(C)이 크고,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가 큰 문자열 「중자」와 같은 비율 D/B=1/2이 되도록 면적비의 작은 문자열 「극소」를 배치하면, 도 26B와 같이 또한 공백 부분이 눈에 띄게 중앙부가 한산해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율(D/B)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비율 D/B=5/6로 설정함으로써, 도 26c와 같이 면적비가 작더라도 균형있게 배치된다.
상술한 것은 복수 행인 경우에도 같고, 예를 들면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행의 문자열을 배치하는 경우, 문자 높이(F)가 작게 되기 때문에 그 문자 높이(F)와 균형있는 문자폭(C)으로 설정하면, 특히 1행의 문자수가 적을 때는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가 작게 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할당 방법에서는 도 27a와 같이 중앙부가 한산하다고 하는데 대하여 상기 문자 할당 처리(S60)에서는 단부 여백(D)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도 27b와 같이 면적비에 따라서 단부 여백(D)을 적절한 치수로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중앙의 문자간 여백만이 너무 넓지 않고, 또한, 한산하다고 하는 느낌을 주지 않는 균형있는 문자의 배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정 방법 외에, 예를 들면 문자간 여백(B) 및 단부 여백(D)을 도트수로 직접 입력하기도 하고, 1 미만의 임의의 비율(D/B)을 수치로 입력함으로써, B>D>0의 범위에서 외관이 양호하다라고 생각되는 비율(D/B)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적 데이터에 근거하는 참조 테이블을 준비하여 기억해 두고, 인장 본체(A)의 타입, 문자 사이즈, 문자수 등에 의해 그 테이블을 참조하여 자동적으로 보기 좋은 비율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비율(D/B)의 설정은 이하의 설명에 사용하는 여러가지의 문자열에 대하여도 같게 할 수 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각 할당 방법의 개개의 특징점을 명확히 하고, 또한, 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비율 D/B=1/2 즉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2로 설정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28e의 1행째의 「문자폭 통상」의 5 문자를, 상술한 할당 방법으로 할당하면,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판 가능 영역의 폭 A=40의 경우, 문자의 폭 C=6으로 할 때, 문자간 여백 B=2에 대하여 단부 여백 D=B/2=1이 된다. 본 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실질 할당 영역(E)의 치수와 인장 본체(A)의 타입과의 관계는, 도 31b와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도트 매트릭스로 표현한 경우의 도트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판 가능 영역 폭 A=41 (도트)의 경우 문자수 F=5에 대하여 (A-C×F)/F=(41-6×5)/5=11/5 의 몫(2)을 문자간 여백 B=2로 하고 나머지의 1(도트)은 최고 앞부분의 문자간 여백에 할당한다. 이것에 의해 인장 문자의 읽는 방향에서의 문자간 여백(B)이 3, 2, 2 및 2(도트) 가 된다. 이와 같이, 제판 가능 영역 폭 A=42일 때는 문자간 여백(B)을 3, 3, 2 및 2 로 한다. 실제로는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 할당 영역(E)은 도 25c의 예보다도 매우 큰 값이기 때문에, 상기 1 도트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값이다. 따라서, 상기 할당 방법에 의하면 인장 문자의 할당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동시에 문자간 여백 치수의 차이를 눈에 띄게 하지 않고 각 문자를 할당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도 28e와 같이 복수 행(같은 도면의 경우 2 행)의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될 때의 최고 긴 행 판별·할당 처리(S602)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고 긴 행의 판별의 각 행에 대하여 상기의 1행인 경우의 식, 즉 제판 가능 영역 폭을 A, 각 문자폭을 C 및 문자수를 F 로 할 때의 (A-C×F)/F의 몫 G를 구하고, 상기 몫(G)이 최소의 행을 최고 긴 행이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최고 긴 행의 몫(G)을 기준 문자간 여백(B)으로서 상술한 1행인 경우와 같이 도 28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고 긴 행의 할당 처리를 행한다.
도 28e의 경우에는 인장 외측 테두리의 형상이 단순하고, 복수 행에 대한 제판 가능 영역의 전체가 1 개의 장방형의 윤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문자수에 의해서도 최고 긴 행을 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인장 작성 장치(1)의 경우, 도 32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본체(A)의 종별에 따라서 각종의 인장 외측 테두리가 준비되어 있고, 사용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에 의해서는 문자열의 전후 등으로 장식이 있기 때문에, 문자수는 적지만 그 문자열의 전후 등에 장식이 있어서, 실질적인 문자의 할당 영역이 적은 경우가 있다. 또한, 인장 작성 장치(1)로서는 통상의 워드 프로세서 등과 같이 각 문자에 음영, 강조, 이탤릭체, 윤곽, 반전 등의 문자 장식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수가 적더라도, 그와 같은 장식이 있기 위해서 실질적인 여백이 작은 경우가 있다.
이것들의 경우, 예를 들면 도 28e의 2행째가 「보통 처리」의 4 문자라도 「문자간 통상」의 5 문자가 할당되는 1행째보다 상기의 몫(G)이 작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문자수만에 의해서 최고 긴 행을 판별하고, 상기 최고 긴 행의 문자간 여백을 기준 문자간 여백(B)으로서 다른 행에 적용하려고 하여도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겨난다. 이것에 대하여, 몫(G)이 최소의 행을 최고 긴 행과 판별하도록 하면, 단지 문자수로부터 판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적절한 최고 긴 행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그 행을 여백의 할당 등의 기준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행의 인장 화상, 나아가서는 복수 행을 갖는 인장면에 대해 균형있는 문자의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긴 행 판별·할당 처리(S602)가 종료하면, 다음에 앞쪽으로 감 지정인가의 여부 판별(S603)을 하고, 앞쪽으로 감 지정일 때(S603: 예)에는 앞쪽으로 감 처리(S604)를 행한다. 또한, 앞쪽으로 감 지정이 아닐 때(S603: 아니오)에는 다음에 중간쪽으로 감 지정인가의 여부 판별(S605)을 하여, 중간쪽으로 감 지정일 때(S605: 예)에는 중간쪽으로 감 처리(S606)를 행한다. 또한, 중간쪽으로 감 지정이 아닐 때(S605: 아니오)에는, 다음에 뒤쪽으로 감 지정인가의 여부 판별(S607)을 하여, 뒤쪽으로 감 지정일 때(S607: 예)에는 뒤로 가도록 처리(S608)를 행한다. 또한, 뒤쪽으로 감 지정이 아닐 때(S607: 아니오)에는 할당 처리(S609)를 행하여 할당 타입별 처리(S60)를 종료한다(S610).
도 2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4의 앞쪽으로 감 처리(S604)에서는 예를 들면 도 28f의 2행째, 즉 최고 긴 행이 아닌 행의 「보통 처리」의 각 문자의 문자간 여백을 1행째, 즉 최고 긴 행의 「문자폭 통상」의 5 문자의 문자간 여백인 기준 문자간 여백(B)에 맞춘 문자열의 최고 앞부분의 문자 「보」가 최고 긴 행의 최고 앞부분의 문자 「문」과 전단이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이때의 문자열「보통 처리」의 문자간 여백은 예를 들면 1행째의 「문자폭 통상」의 제판 가능 영역 폭 A=40일 때는, 도 2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간 여백(B)을 앞으로부터 2, 2 및 2로 하고 또한, 같은 폭 A=41일 때는 앞으로부터 3, 2 및 2로 한다.
또한, A=41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1 도트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값이므로, 실제로는 문자간 여백(B)을 2에 맞추어도 위화감은 생기지 않는다. 앞쪽으로 감 처리(S604)에 의한 할당 후 다른 열이 되는 도 29B에서도 알도록 앞쪽으로 감 처리(S604)를 행함으로써 복수 행의 인장 화상, 나아가서는 복수 행을 갖는 인장면에 대해, 각 행의 최전단과 문자간 여백이 일치하여 정연하게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4의 중간쪽으로 감 처리(S606)에서는 상기와 같이 문자간 여백이 최고 긴 행의 기준 문자간 여백(B)과 동일한 문자열 「보통 처리」를 그 중앙 위치가 최고 긴 행의 「문자폭 통상」의 중앙 위치에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도 29C는 같은 할당 방법의 의한 별도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8g와 도 29C의 양 도면에서 알 수 있도록, 중간쪽으로 감 처리(S606)에 의해, 복수 행의 인장 화상(복수 행을 갖는 인장면)에 대하여 각 행의 중앙 위치가 일치하여 안정성이 있는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4의 뒤쪽으로 감 처리(S608)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자열 「보통 처리」의 최고 뒷부분의 문자 「리」가 최고 긴 행의 최고 뒷부분의 문자 「상」과 후단이 일치하도록 할당한다. 도 29d는 같은 할당 방법의 의한 별도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8g와 도 29d의 양 도면에서 알 수 있도록, 뒤쪽으로 감 처리(S608)에 의해 복수 행의 인장 화상(복수 행을 갖는 인장면)에 대하여 각 행의 최후단과 문자열 여백이 일치하여 정연하게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4의 할당 처리(S609)에서는 2행째의 「보통 처리」의 4 문자에 대하여도, 1행째의 「문자폭 통상」의 5 문자에 대하여 구한 실질 할당 영역 폭(E) (도 25c 참조)을 종래의 제판 가능 영역(A)으로 보고, 종래와 같은 균등한 할당(도 25a 참조)을 한다. 즉 최고 긴 행의 문자열 「문자폭 통상」과 동일한 문자열 치수(E)가 되도록 또한, 양단이 일치하도록 문자열 「보통 처리」를 할당한다. 도 29a는 동일한 할당 방법에 의한 별도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8g와 도 29a의 양 도면에서 알 수 있도록 할당 처리(S609)에 의해 복수 행의 인장 화상(복수 행을 갖는 인장면)에 대하여도 문자열 치수가 일치하여 즉 각 행의 양단의 위치가 일치하여 안정성 있는 보기 좋은 할당을 할 수 있다.
상기 할당 처리(S609)에서는 상기 다른 처리에서는 행하지 않은 문자폭 최고 적합한 확대 처리도 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상기 문자폭 최적 확대 처리에 대하여, 도 30a 내지 도 30d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0a는 도 25c에서 설명한 할당 방법의 제판 가능 영역 폭 A=41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0B는 그것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확대 처리 결과의 인장 문자가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0C는 그 확대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의 인장의 인장면 전체를 나타내고 있고, 도 30d는 그것에 확대 처리를 한 경우의 인장면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문자폭의 최적 확대 처리에서는 우선 외측 테두리 내의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비를 구한다. 여기에서는, 단부 여백(D)은 그대로 하여 실질 할당 영역 폭 E=39 내를 대상으로 한 확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0a의 예의 경우 문자 부분의 도트수의 총계는 6 ×5=30 도트, 그것에 대하여, 문자간 여백 부분의 도트 수의 총계는 (39-30=) 3+2+2+2=9 도트, 따라서 그 비는 30/9=10/3=3.333…. 여기에서, 일정값을 가령 4로 하면 현재의 비는 일정값 이하로 되기 때문에 다음에 확대비를 결정한다.
전체가 39에 대하여 현재 문자 부분의 도트수가 30이므로, 39/30=1.3배까지는 확대할 수 있겠지만, 문자간 여백이 없어지므로 문자간 여백 B를 최저 각 1 도트의 계 4 도트로 하면 (39-4)/30=35/30=7/6=1.166…. 이에 따라 문자폭 C=7로서 할당한 결과가 도 30B와 같이 된다. 또, 상기 문자폭의 최적 확대 처리의 상기 확대 처리에 들어가는 조건의 일정값이나 확대 가부 판별의 조건은 인장 본체의 타입이나 실정에 맞춰서 설정하면 좋으며, 또한 디폴트치에 의한 자동 확대비를 결정해 놓고, 그 확대를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확대되는 모드와, 임의로 확대치를 입력하는 모드와의 선택 수단을 갖는 등, 여러 가지의 연구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문자폭의 최고 적합한 확대 처리의 이점은, 도 30C와 도 30d를 비교해 보면, 일목요연하고 인장 문자의 각 문자의 글씨체에 위화감을 생기게 하지 않고, 인장의 공백 부분을 적게 할 수 있어 인장 문자를 중후감이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확대 처리를 도트수에 근거하여 처리함으로써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비율을 간단히 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비율에 근거하여 각 문자를 가로 길이로 적절하게 신장할 수 있다.
문자 할당 처리(S60)가 종료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장식 화상 배치 처리를 한다(S70).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가 개시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처리를 한다(S701).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처리(S701)에서는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술한 도 17의 캐릭터 등 입력 처리(S15)에 있어서 지정된 인장 외측 테두리의 종류를 취득하는 동시에 그 인장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괘선의 종류를 판별한다(S711). 즉,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도 32 내지 도 33에 도시된 다종 다양한 인장 외측 테두리가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형성하는 선 요소 부품으로서, 다종 다양한 괘선 데이터가 ROM303 내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우선, 지정된 인장 외측 테두리의 종류와 그 인장 외측 테두리에 대응하는 괘선의 종류를 판별한다(S711).
외측 테두리 종류 취득(S711)이 종료하면 다음에 상술한 인장 화상 데이터 영역(도 28a 내지 도 28d 및 도 31a 내지 도 31c 참조)과 같은 사이즈의 영역에 인장 외측 테두리의 양단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다(S712). 즉, 인장 외측 테두리의 양단의 화상을 형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여 배치한다(S712). 상기 배치 처리에 의해 작성된 화상 데이터의 (주소인인 경우의) 예가 도 35b 우측의 화상 데이터 C712이다. 또, 상기 화상 데이터 C712와 외측 테두리 양단 화상 데이터 배치(S712)가 대응하고 있도록 이하 특히 거절하지 않은 한, 처리(Sxxx)와 화상 데이터(Cxxx)를 대응시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외측 테두리 양측 화상 데이터 배치(S712)가 종료하면, 다음에 그 양측의 화상을 괘선 데이터로 이음으로써,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나머지의 괘선 데이터를 배치하며(S713)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S714). 또, 도 39에는, 각형인의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 동시에 참조한다.
인장 작성 장치(1)는 ROM302 내에 예를 들면,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괘선의 부품이 되는 여러 가지의 괘선 데이터를 준비하여 기억하고 있다. 도 36a의 ①은 실선용 및 도중에 절단선용 3의 부품이 되는 괘선 데이터이고, 이와 같이 ②는 점선용, ③은 한점 점선용, ④는 도중에 절단선용 1, ⑤는 도중에 절단선용 2 등의 특징이 되는 괘선 데이터이다. 이들을 화상 데이터상에 순차 배치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실선은 ①을 복수개 접속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고, 점선은 ②를 복수개, 한점 점선은 ③을 복수개 접속하면 좋다. 또한 인장 특유의 연출을 위한 도중에 절단선은 예를 들면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④, ⑤, ④, ①, ③, ④, ①, …, 등과 랜덤으로 선택하여 접속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인장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괘선을 외측 테두리 전체로서가 아니라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의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것들의 괘선을 가능하게 접속하면서 다양한 외측 테두리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는 상술한 인장 화상 데이터 영역과 같은 사이즈의 영역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즉, 제판 대상의 인장 본체(A)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하도록 작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인장 본체(A)의 타입, 예를 들면, 각형인, 환인, 세로길이인, 가로길이인 등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고 풍부한 여러 가지의 인장을 작성할 수 있다.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처리(S701)가 종료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처리를 행한다(S702).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처리(S702)에서는, 도 37a 내지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술한 도 18의 문자 할당 처리(S60)까지 종료한 {도 24의 종료(S610) 시의} 기초 화상 데이터 C721을 판독한다(S721). 그리고 다음에 상술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처리(S701)로 작성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C722(C713에 상당)를 판독하여(S722)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 연산을 행함(S723)으로써, 가산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S724).
즉, 상기 논리합 연산(S723)에서는 기초 화상 데이터 C721의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 도트로 표현하고,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 도트로 표현하며, 이와 같이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C722의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할 때의 기초 화상 데이터 C721과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C722의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함으로써, 양의 도트 우선으로 양 데이터의 화상을 겹친 가산 화상 데이터 C723을 작성한다. 이것에 의해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처리(S702)가 종료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처리를 행한다(S703).
상기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처리(S703)에서는,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C713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여,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 C731을 작성한다(S731). 그리고 다음에, 상술한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처리(S702)로 작성한 가산 화상 데이터 C732(C723에 상당)를 판독하고(S732)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 연산을 행함(S723)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온 화상 부분(도 39의 화상 부분 g에 상당)을 삭제하여, 인장 화상 데이터 C733을 작성하며,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처리를 종료한다(S734).
즉, 상기 논리곱 연산(S733)에서는 가산 화상 데이터 C732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할 때의 상기의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을 연산함으로써, 음의 도트 우선으로 양데이터의 화상을 중첩하고,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온 화상 부분을 삭제한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에서 초과하지 않는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처리(S703)가 종료하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작성한 인장 화상 데이터(도 38b 및 도 39의 인장 화상 데이터 C734에 상당)를 RAM302에 입력하여 기억하고(S704)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를 종료한다(S705). 그리고, 이상에 의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판 화상 작성 처리(S16)를 종료하고(S90) 여기에서 작성된 인장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도 17의 다음 처리 즉 인쇄 처리(S19) 및 노광 처리(S20)가 행하여짐에 따라 원하는 인장이 작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인장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나서 제판함에 따라 인장 화상 내의 각 화상을 균형있게 배치하기도 하고, 흑색 비율을 높이도록 조정하기도 하여 복잡한 인장 화상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인장을 작성할 때 일괄 인자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고속 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정 속도에서의 제판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이 되는 잉크 리본(C)의 주행이 안정하고 구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장 외측 테두리를 포함하는 인장 화상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 내에 각 화상을 균형있게 배치하기도 하고, 각 화상의 크기를 인장 외측 테두리 한계점까지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큰 화상의 일부를 삭제하여 외측 테두리 내로 받아들이는 등의 세공(細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흑색 비율이 높고, 화상이 보기 쉽고, 외관이 양호한 인장을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 34의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에서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고 나서(S702) 기초 화상 데이터가 중첩되었지만(S702),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인장 외측 테두리의 괘선 데이터를 거듭 배치해 감으로써 가산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4의 처리에서는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를 작성 후(S702)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온 화상 부분을 삭제하였지만(S703),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미리 기초 화상 데이터의 초과 화상 부분을 삭제하고 나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중첩하도록 하여도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이것들 중의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도 좋고 양쪽을 채용하여도 좋다.
도 40 내지 도 42는 상기의 채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경우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에서는 우선 상술한 도 37a의 기초 화상 데이터 리드(S721)와 같이 기초 화상 데이터 리드를 행하고(S751), 다음에, 도 35a의 외측 테두리 종류 취득(S711)과 같이 외측 테두리 종류 취득을 행한(S752) 후, 외측 테두리 부가 등의 장식 전의 기초 화상 데이터 C751가 그 장식용의 외측 테두리에서 초과하는지의 여부 판별을 행한다(S753). 상기 판별은 지정된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기초 화상 데이터 C751의 양의 도트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예를 들면, 그 부분의 모든 도트의 논리합 등을 연산함으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지 않을 때(S753: 아니오)에는 기초 화상 데이터 C751의 영역의 양단에 도 35a 또는 도 35b의 외측 테두리 양단 화상 데이터 배치(S712)와 같이 괘선 데이터를 배치한다(S756). 다음에, 우선 그 양측의 화상을 괘선 데이터로 이음으로써 (도 41a 내지 도 41d의 화상 C757s 참조)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나머지의 괘선 데이터를 배치하여(S757)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를 종료한다.
한편, 외측 테두리에서 밀려나올 때(S753: 예)에는 다음에 도 38a의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 작성(S731)과 같이 도 42의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 C754를 작성하여(S754), 기초 화상 데이터 C751과의 논리곱 연산을 행함으로써, 인장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면 예측되는 화상 부분(도 42의 화상 부분 g에 상당)을 기초 화상 데이터 C751로부터 삭제하여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C755를 작성한다(S755). 그리고, 다음에 그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의 영역의 양단에 괘선 데이터를 배치하고 (S756) 다음에 괘선 데이터를 배치하여(S757)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0의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에 의하면, 도 34의 장식 화상 배치 처리(S70)와 같이 원하는 화상이 외측 테두리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는 외측 테두리 부착 인장 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흑색 비율이 높고, 화상이 보기 쉽고, 외관이 양호한 인장을 작성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로는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흑색 비율이 높고, 화상이 보기 쉽고, 외관이 양호한 인장을 작성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상기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인장 작성 장치의 기계 장치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인장 본체의 구조도.
도 4는 제판 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기계 장치부의 노광 장치 주변의 평면도.
도 6은 개폐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포켓 주변의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각형인(square stamp)의 인장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포켓에 장착한 상태의 각형인의 인장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각형인의 인장 본체의 저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7c 및 도 7d는 비지니스 각형인의 인장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c는 포켓에 장착한 상태의 비지니스인의 인장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d는 비즈니스인(business stamp)의 인장 본체의 저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작은 각형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b는 큰 각형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c는 성명인(personal name stamp)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d는 작은 비지니스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e는 큰 비지니스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f는 주소인(address stamp)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g는 가장 큰 인장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인장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도시한단면도.
도 10은 포켓 및 인장 검출부 주변의 부분 평면도.
도 11은 인장 작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12는 인장 작성 장치의 멀티 태스크 처리(multitasking)의 개념도.
도 13은 인장 작성 장치의 처리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4는 인장 작성 장치의 주요 태스크 처리(main task)를 도시한 계층 (hierarchical) 처리 다이어그램.
도 15는 인장 작성 장치의 태스크 감시·교체 처리를 도시한 계층 처리 다이어그램.
도 16은 인장 작성 장치의 현 태스크 실행 처리의 계층 처리 다이어그램.
도 17은 인장 작성 장치의 주요 태스크 기동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 18은 도 17의 제판 화상 작성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9는 도 18의 기초 화상 배치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 20은 도 19의 폼 지정용 항목(form specification item) 영역 결정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 21a 내지 도 21d는 성명인의 인장 이미지와 폼 지정시의 입력 항목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 22a는 작은 비지니스인의 인장 이미지와 폼 지정시의 입력 항목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 22b는 큰 비지니스인의 인장 이미지와 폼 지정시의 입력 항목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c 및 도 22d는 각형인의 인장 이미지와 폼 지정시의 입력 항목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a 내지 도 23d는 주소인의 인장 이미지와 폼 지정시 입력되지 않는 항목이 있을 때 처리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18의 문자 할당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25a 내지 도 25c는 인장 문자의 1 행분의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6a 내지 도 26c는 공백 부분에 대한 문자 부분의 면적비가 다른 경우의 도 25a 내지 도 25c와 같은 도면.
도 27a 및 도 27b는 복수 행인 경우의 도 26a 내지 도 25c와 같은 도면.
도 28a 내지 도 28g는 제판 화상 영역,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인장 화상 데이터 영역, 텍스트 데이터, 기초 화상 데이터 및 문자 할당 후 위치 등의 인장 작성 장치에서의 일련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9a 내지 도 29d는 문자 할당 후 인장 화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a 내지 도 30d는 문자폭의 가장 적합한 최대 처리의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1a 내지 도 31c는 문자 할당 영역과 인장 본체 타입(type)의 치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인장 작성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장 본체의 타입마다의 인장 외측 테두리(frame)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32와 유사한 도면.
도 34는 도 18의 장식 화상 배치 처리(decorative image positioning processing)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5a는 도 34의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5b는 도 35a 스텝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6a 및 도 36b은 괘선(ruled line)의 부품이 되는 괘선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7a는 도 34의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7b는 도 37a의 스텝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8a는 도 34의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처리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8b는 도 38a의 스텝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도 35a, 도 37a 및 도 38a의 플로우챠트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별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0은 별도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 34와 유사한 플로우챠트.
도 41a 내지 도 41d는 도 40의 플로우챠트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별도의 예를 도시한 도 41a 내지 도 41d와 같은 도면.
도 43은 종래의 문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인장 작성 장치 2 : 장치 케이스
3 : 전자 장치부 4 : 기계 장치부
5 : 장치 본체 6 : 포켓
12 : 발광 소자 33 : 문자 입력키
56 : 인자 헤드 181 : 삽입 통로

Claims (34)

  1.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에,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여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고,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작성 방법.
  2.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항목 내용을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 출력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 항목마다의 소정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이들을 판독하여 이것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입력·수정하여 화상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작성 방법.
  3.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여,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는 항목 영역 변경 수단과,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위치를 확대·변경하는 구성 요소 확대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작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영역 변경 수단은 상기 다른 항목의 영역의 확대한 치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확대한 치수를 읽어내는 판독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작성 장치.
  5.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항목 내용을 조작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 출력으로서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 항목마다의 소정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정보, 상기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항목마다의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내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 읽기 시작한 상기 정보, 상기 입력이 끝난 텍스트 데이터 및 상기 항목마다의 텍스트 데이터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를 입력·수정하는 입력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작성 장치.
  6. 화상의 구성 요소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각각의 항목마다 해당하는 구성 요소의 입력을 행하여 규정된 영역의 화상을 작성하는 화상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화상의 구성 요소가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있는 경우에, 그 항목의 영역을 삭제하여, 그 만큼만 다른 항목의 영역을 확대하고, 확대한 영역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항목에 입력한 구성 요소의 치수를 확대하는 처리를 행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작성 장치.
  7. 인장 본체의 인장부에 대하여 인장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장 화상을 제판하는 인장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기억 공정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 후,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인장 화상 데이터 출력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시키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에 초과한 부분을 삭제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여,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데이터와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가산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line element part)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공정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작성 공정은, 지정된 상기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은,
    제판 대상의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공정은,
    제판 대상의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13. 인장 본체의 인장부에 대하여 인장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장 화상을 제판하는 인장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 화상의 모든 제판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 후, 상기 인장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인장 화상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가산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의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에 초과하는 부분을 삭제하고,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입력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외측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하는 논리합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두리 외측 데이터 삭제 수단은,
    상기 가산 화상 데이터의 입력 화상과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가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을 연산하는 논리곱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지정된 상기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제판 대상의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외측 초과 판별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가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가산 수단은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논리합 연산에 의해 작성하는 논리합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가지며,
    상기 논리합 데이터 연산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의 초과된 부분을 삭제한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그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내측과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외측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하고,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볼록부에 대응하는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그 화상의 공백 부분을 오목부에 대응하는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기초 화상 데이터와,
    상기 양각 외측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합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기초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을 연산하는 논리곱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작성 수단은 지정된 상기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5. 제 14 항, 제 15 항,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지정된 상기 괘선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조합에 의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7. 제 14 항, 제 15 항, 제 19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작성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2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공정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여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2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공정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공정과,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공정을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공정에서는,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고,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읽어내고,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공정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방법.
  3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3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복수 종의 괘선 데이터를 화상의 선 요소 부품으로서 기억부에 기억하는 괘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입력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한 기초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초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그 초과 부분을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과,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인장 외측 테두리의 화상에 대응하는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고,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괘선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서 판독하고,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에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여 상기 전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외측 삭제 화상 데이터 작성 수단은,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으로 초과할 때,
    상기 기초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다른 공백 부분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양각 기초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의 인장 외측 테두리와 그 내측을 양의 도트로 표현하고,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의 외측을 음의 도트로 표현한 인장 외측 테두리 외측형 데이터와,
    서로 대응하는 도트끼리의 논리곱을 연산하는 논리곱 데이터 연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 부가 수단은 제판 대상의 상기 인장 본체의 타입에 대응하여 각각 인장부의 치수에 적합한 인장 외측 테두리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작성 장치.
KR1020030075910A 1995-12-28 2003-10-29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인장 작성 방법 및 그장치 KR100487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199695 1995-12-28
JPJP-P-1995-00341991 1995-12-28
JPJP-P-1995-00341998 1995-12-28
JP34199195 1995-12-28
JP34199895 1995-12-28
JPJP-P-1995-00341996 1995-12-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225A Division KR100485196B1 (ko) 1995-12-28 1996-12-26 문자할당방법,화상작성방법,인장작성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187B1 true KR100487187B1 (ko) 2005-05-04

Family

ID=2734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910A KR100487187B1 (ko) 1995-12-28 2003-10-29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인장 작성 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38509B1 (ko)
KR (1) KR100487187B1 (ko)
CN (1) CN1131775C (ko)
HK (1) HK1003509A1 (ko)
TW (1) TW3620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530A (zh) * 2020-08-25 2020-12-18 浙江巧巧教育科技有限公司 儿童画画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9711A1 (en) * 2001-12-17 2004-02-26 Peng Joseph Y. Personalized delivery payment coding
JP4100132B2 (ja) * 2002-10-31 2008-06-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70812B2 (en) * 2005-03-17 2011-06-28 Microsoft Corporation Redistribution of space between text segments
JP5842517B2 (ja) * 2011-09-30 2016-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9734132B1 (en) * 2011-12-20 2017-08-15 Amazon Technologies, Inc. Alignment and reflow of displayed character images
JP6132260B2 (ja) 2013-07-30 2017-05-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JP6079595B2 (ja) * 2013-12-06 2017-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019555B1 (en) * 2013-12-20 2015-04-28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ally conforming printed labels
KR102240279B1 (ko) * 2014-04-21 2021-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7052233A (ja) * 2015-09-11 2017-03-16 ニスカ株式会社 印刷装置
CN106649245B (zh) * 2015-10-30 2021-08-17 方正国际软件(北京)有限公司 一种页面布局方法及装置
CN115620299B (zh) * 2022-12-14 2023-03-21 深圳思谋信息科技有限公司 图像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172A (en) * 1986-04-30 1989-01-17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layout of sign text
JP2536322B2 (ja) * 1991-03-28 1996-09-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プ印字装置
JPH05188919A (ja) * 1992-01-14 1993-07-30 Hitachi Ltd 文書可視化処理方法
JP3212039B2 (ja) 1992-02-21 2001-09-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DE69530134T2 (de) * 1994-12-07 2003-11-06 King Jim Co Ltd Zeicheninformationsprozessor zum Drucken von Zeichen
WO1997017309A1 (en) 1995-11-08 1997-05-15 Marco Brighenti A process for making decorated ceramic ti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2530A (zh) * 2020-08-25 2020-12-18 浙江巧巧教育科技有限公司 儿童画画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38509B1 (en) 2002-08-20
CN1165083A (zh) 1997-11-19
TW362070B (en) 1999-06-21
HK1003509A1 (en) 1998-10-30
CN1131775C (zh)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187B1 (ko) 문자 할당 방법, 화상 작성 방법, 인장 작성 방법 및 그장치
KR0179221B1 (ko) 레이아웃 표시기능이 부착된 문자정보 처리장치
KR100483424B1 (ko) 문자정보처리장치및문자정보처리방법
US5644136A (en) Seal making device
US6181433B1 (en) Stamp-making method and apparatus
US6247860B1 (en) Image-printing method and device
KR100485196B1 (ko) 문자할당방법,화상작성방법,인장작성방법및그장치
JP3523969B2 (ja) 印章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3481799B2 (ja) 文字割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3850057B2 (ja) 文字情報処理装置
KR100407086B1 (ko) 인장화상작성방법및그장치와인장작성장치
JP2004103036A (ja) 画像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5374131A (en) Printer capable of spacing characters within frame
JP3689550B2 (ja) 画像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6587216B1 (en) Image-forming method and device
US6283654B1 (en) Image-form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evice
US6298159B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processing character string image
KR100442158B1 (ko) 전자기기와, 전자기기에 의한 가공대상물 가공방법 및, 조작자의 조작 안내방법
JPH11198504A (ja) 印章画像の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234847A (ja) 画像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88053A (ja) 文字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3455094B2 (ja) 印章文字割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138907A (ja) 文字サイズ決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146191A (ja) 縮小画像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232266A (ja) 画像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