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724B1 -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분리공급방법 - Google Patents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분리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724B1
KR100485724B1 KR10-2002-0036267A KR20020036267A KR100485724B1 KR 100485724 B1 KR100485724 B1 KR 100485724B1 KR 20020036267 A KR20020036267 A KR 20020036267A KR 100485724 B1 KR100485724 B1 KR 10048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ng
separation
electrode plate
suck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040A (ko
Inventor
후지노다카유키
이자와순이치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치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이켄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치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이켄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01M4/16Processes of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65G59/045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 B65H5/22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air-blast or suction device by suc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14Assembling a group of electrodes o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2Suction grippers being reciprocated in a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5Rotary suction gri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Belt Conveyor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용 극판의 적층체로부터 극판을 1매씩 분리, 반송하는 것을 중단하지 않고 고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며, 그 분리한 극판을 1매씩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할 수 있도록 한 신뢰성이 향상된 극판적층체의 분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승강기구(1)의 승강로드(1a)의 상단의 지지대(2)상에 지지된 극판의 다수 매를 수평상태로 수직방향에 적층하여 이루어진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위쪽에, 그 맨 위쪽의 극판(P)을 흡인·분리 유지하는 분리흡반(6)을 상하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흡반(6)에 인접하여 여러 개의 회전흡반(12)을 원주상에 일정간격을 두어 배치한 회전체(13)를 설치하여, 각 회전흡반 (12)에, 분리흡반(6)에 흡인·유지된 분리극판(P')을 흡인·탈취하는 흡인작용과 흡인작용을 단절하고 분리극판(P')을 개방하는 이탈작용을 주는 흡인이탈기구(25)를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 각 회전흡반(12)으로부터 이탈한 분리극판(P')을 반송하여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반송공급기구(19)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 분리공급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SUPPLYING PLATES FROM A STACKED PLATE ASSEMBLY}
본 발명은, 납축전지 등의 축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극판 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 분리·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전지의 전지의 구성요소인 음극판, 양극판 및 세퍼레이터 (separator)를 교대로 적층하는 '전지요소 적층공정(cell element stacking step)'의 전(前) 공정인 다수 매의 음극판의 적층체(stacked assembly) 혹은 다수 매의 양극판의 적층체로부터 1매씩 극판을 분리하여, 다음의 전지요소 적층공정에 공급하는 작업공정에서 사용되는 극판 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로서, 예컨대, 일본 특공소 42-321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장치는, 극판 피드 체인(plate feed chain)상에, 침목(枕木)을 두고, 그 침목의 앞면의 경사면에 다수의 극판을 기대어 세워 놓아 직립상태에서 약간 경사시킨 상태의 극판 적층체로서 점차 전방으로 반송하도록 하는 한편, 그 제일 앞에 위치한 경사상태의 극판을 요동(妖??)시키며 또한 극판과 같은 경사각도로 대면시킨 흡인장치에 의해 흡인·유지시켜, 흡인장치가 스토퍼(stopper)를 통과할 때, 그 스토퍼에 의해 빠져 그 아래쪽의 중간수납(intermediate receiver) 위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되풀이하여 해당 극판 적층체로부터 1매씩 극판을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요동식 흡인장치 대신에, 진공 드럼(vacuum drum)의 주위면에 흡반(suction disk)을 설치하고, 이 진공 드럼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각 흡반에, 상기의 극판 적층체의 제일 앞에 위치한 직립 또는 경사진 극판을 1매씩 흡인·유지하여, 그 진공 드럼의 아래쪽의 극판 반송 벨트에 낙하시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도록 한 회전식 흡인장치도 공지이다.
또한, 일본 특개평4-286515호 공보에는, 회전하는 벨트에 흡반을 설치하고, 해당 회전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하향이 된 각 흡반에 의해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한 극판 적층체의 맨 위쪽의 극판을 차례차례 흡인·유지시켜, 소정의 장소까지 회전하였을 때 감압(減壓)을 해제하도록 한 극판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특공소 42-3210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다수 매의 극판을 직립경사상태로 적층하여 구성된 극판 적층체는, 그 다수 매를 침목의 경사각도와 같은 경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자세로 반송하는 것이 곤란하고, 따라서 일정한 경사각도를 가진 흡인장치에 의해 흡인되는 맨 앞쪽의 극판의 경사각도가 일정하지 않고, 해당 흡인장치의 경사각도와 상이한 경우가 종종 생기고, 따라서 맨 앞쪽의 극판을 한 장 한 장 확실하게 흡인할 수 없어, 그 분리작업에 신뢰성이 결여된다. 또한, 흡인장치로 흡인·유지한 극판을 스토퍼에 대어 낙하시켜 옮겨 싣도록 하기 때문에, 극판의 활물질(active material)의 탈락이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회전식 흡인장치에서는, 진공 드럼의 주위면에 흡반을 설치할 때, 그 진공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해당 흡반을 연속적으로 대면하는 극판에 접촉시켜 이것을 흡인·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흡반은 원호형상으로 주행시키면서 극판의 평면에 순간적으로 접촉했을 때에 흡인·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 흡인·유지가 곤란하고, 그 진공 드럼의 회전속도를 현저히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혹은 진공 드럼을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켜, 그 회전정지 시에 흡인·유지시킬 필요가 있고, 어느 쪽의 경우라도, 흡인유지에 의한 1분당의 극판 분리 매수, 소위 쇼트수(short number)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따른다.
또한, 상기의 일본 특개평4-286515호 공보에 기재된 극판 이송장치도 마찬가지로, 회전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흡반을 수평으로 적층한 극판 적층체의 맨 위쪽의 극판의 표면에 압착시켜 흡인·유지시키는 것은 곤란하고, 회전 벨트를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켜, 그 정지 시에 흡반을 극판에 압착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그 극판 적층체로부터의 한 장 한 장의 극판을 흡인·분리시키는 효율은 저하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진공 드럼이나 회전 벨트를 연속회전시키면서, 고속도로 극판 적층체로부터 극판을 확실히 한 장 한 장 흡인·분리하여, 다음 공정으로 안정적이고 양호하게 이행시킬 수 없어, 극히 신뢰성이 결여되고, 불안정하며, 또한 비능률적이다.
한편, 또한, 상기의 일본 특공소 42-3210호 공보의 장치에 의해, 연속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경사상태의 극판 적층체를 유지시키면서 해당 침목(枕木)을 제거하여, 그 후에 새로운 극판적층체를 보급하는 작업은 숙련을 요하여, 담당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 극판 적층체로부터 고속도(高速度)로, 한 장 한 장 확실하게 분리하여, 다음 공정에 공급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더욱이, 작업자의 숙련을 요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극판 적층체로부터의 한 장 한 장의 극판 분리작업을 정지하지 않고 계속해서 원활하고 양호하게 극판적층체를 차례차례 보급할 수 있어 원활하고 또한 고능률로 연속작업을 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고, 상기의 요망을 만족시키며, 고속운전에서도 한 장 한 장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다음 공정에 공급할 수 있는 고능률적인 작업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극판 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분리용 극판적층체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시키는 지지대(support table)를 구비한 승강기구 (elevation mechanism)와, 상기 승강기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승강기구의 지지대에 지지되는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맨 위쪽의 극판을 흡인·유지하여 상기 적층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흡반(separation suction disk)과, 상기 분리흡반을 구비한 통풍 로드(blast rod)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분리기구와, 상기 분리흡반의 옆쪽에 위치하고, 또한 원주(圓周)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회전흡반을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각 회전흡반에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통풍구멍을 통해 상기 분리흡반으로부터 분리극판을 흡인·탈취시키는 흡인작용과 상기 흡인작용을 끊어 상기 분리극판을 이탈시키는 이탈작용을 주는 흡인이탈기구(suction release mechanism)와, 이탈한 분리극판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시키는 반송공급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장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안정적이고 또한 고능률인 극판적층체의 분리공급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새로운 극판적층체의 보급보충을 기계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을 요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에,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용 극판적층체를 상기 승강기구의 하강한 지지대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보급반송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의 지지대상에 지지되는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옆쪽에,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된 단계에서 그 잔존한 극판적층체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수평받이부재(horizontal reception member)를 전진후퇴이동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중계왕복이동기구(relay-reciprocating mechanism)와,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를 승강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중계승강기구(relay-elevating mechanism)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적층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된 단계에서, 상기 수평받이부재를 전진시켜, 그 잔존한 극판적층체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사이에, 상기 승강기구의 상기 지지대를 일단 상기 보급반송기구의 반송 벨트의 아래쪽까지 하강시키고, 그 위쪽에 상기 보급반송기구에 의해 보급되는 보급용 극판적층체를 상기 지지대를 다시 상승시켜 상기 보급용 극판적층체를 지지하고, 더욱 상승시켜 해당 잔존한 극판적층체의 아랫면에 합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극판 분리·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한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맨 위쪽으로부터 극판을 위쪽으로 흡인·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극판을 회전하는 흡반으로 흡인탈취하고, 이어서 상기 흡반으로부터 극판을 이탈시켜,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극판 분리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할 수 있는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리용 극판적층체는, 상기 적층체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그 아래쪽으로부터 새로운 분리용 극판적층체를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의 일례를, 납축전지의 양극판 또는 음극판에 대하여 그 극판적층체로부터 한 장 한 장 극판을 분리하여, 1매씩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것을 고능률적으로 하는 장치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은, 그 실시의 일례의 일부를 생략한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1은, 바닥면에 설치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도시하지 않음)와 스테핑 모터로부터 수직 위쪽으로 연장되는 승강로드(elevation rod)(1a)로 구성된 승강기구를 나타내고, 그 승강로드(1a)의 상단에는 각기둥형상의 지지대(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2)는, 가로로 설치된 보급반송장치(3)의 전후에 좌우 한 쌍 배치된 벨트차(belt wheel)(3a,3a,3b,3b)에 걸린 좌우 한 쌍의 고리형상의 무한 극판반송벨트(3c,3c) 사이의 스페이스(4)를 관통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지지대(2)를 상기 반송 벨트(3c,3c)보다도 아래쪽에 위치시켜두고, 극판 반송벨트(3c,3c) 사이에 걸쳐 다수 매의 양극판 또는 음극판(이하, 간단히 극판이라 함)을 수평인 자세로 원하는 매수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분리용 극판적층체(A1)를 상기 지지대(2)의 위쪽에 반송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승강로드(1a)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대(2)상에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A1)를 아래에서부터 지지하고, 또한 밀어올려 그 극판적층체(A1)의 맨 위쪽의 극판(P)이 소정의 높이 위치에 올 때까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 위쪽의 극판(P)이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광 센서(5)를 차광하는 레벨까지 상승시킨 상태로 설정해 둔다.
상기 승강기구(1)의 위쪽에는, 아래로 이동할 때, 그 극판적층체(A1)의 맨 위쪽의 극판(P)의 윗면에 압착하는 데에 적합한 위치에 분리흡반(6)과, 상기 분리흡반(6)을 구비하고 또한 진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수평자세의 통풍 로드(blast rod)(7)를 배치하고, 상기 분리흡반(6)을 상기 통풍로드(7)를 통해 상하이동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분리기구(8)를 설치한다. 상기 분리기구(8)는, 모터(9)의 회전축(9a)에 고정된 캠(cam)(8a)과, 그 일끝단이 피봇부착(pivotally connect)되어, 중간부에서 상기 캠(8a)과 접하고, 상기 캠(8a)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봇부착부(8c)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아암(arm)(8b)과, 상기 아암(8b)의 다른 끝단부에 하단을 연결한 수직연결로드(vertical connection rod)(8d)와, 상기 연결로드(8d)의 상단부에 연결한 프레임형상의 연결부(8e)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를 통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풍로드(7)의 기단부(proximal end portion)의 아랫면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모터(9)를 구동할 때, 상기 캠(8a)의 회전에 따라 아암(8b)이 상하방향으로 요동하여, 상기 수직연결로드(8d) 및 상기 프레임형상 연결부(8e)를 통해 상기 수평의 통풍로드(7)는 상하이동되고, 따라서 그 통풍로드(7)의 선단부(先端部)에 하향으로 설치한 분리흡반(6)을 상기 극판적층체(A1)의 맨 위쪽의 극판(P)의 윗면에 대하여 접착·분리 자유롭게 상하이동하도록 하여, 그 아래로 이동할 때에, 맨 위쪽의 극판(P)을 흡착시키고, 위로 이동할 때에, 상기 극판(P)을 상기 극판적층체(A1)로부터 분리하여, 흡인·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리흡반(6)은 1개라도 좋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를 전후로 배치하여, 극판(P)에 대한 흡인분리를 안정하고 양호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 분리흡반 (6)은, 상기 통풍로드(7)의 상기 통풍로(7a)에 연이어 통하고 또한 그 아랫벽 (lower wall)을 관통하여, 돌출 관형상부(6a)의 선단에 부착한 나팔형상의 탄성고무로 된 흡반본체(6b)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y는, 극판의 귀(ear)를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형상의 연결부(8e)는, 상기 수평통풍로드(7)의 아랫면에 고정되고 또한 그 수평통풍로드(7)에 대하여 직교하여 좌우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상의 상판부(upper plate portion)(8e1)와, 상기 연결로드(8d)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상판부(8e1)와 평행하게 좌우로 연장되는 사각형상의 하판부(lower plate portion) (8e2)와, 이들 상·하판부(8e1 및 8e2)를 서로 연결하며 가로방향에서 쌍을 이루는 전후(前後)의 수직로드(8e3,8e3 및 8e4,8e4)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풍로드(7)내의 통풍로(7a)는, 그 기단부에 설치한 개구부(7b)를 흡기관(suction pipe)(10)을 통해 진공펌프 등의 배기감압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통풍로드(7)의 선단부의 분리흡반(6)에 흡인작용이 주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통풍로드(7)와 상기 흡기관(10)의 접속수단은, 상기 통풍로드 (7)가 상하이동할 때, 그 개구부(7b)는 항상 흡기관(10)과의 접속이 유지되고, 따라서 그 선단부의 분리흡반(6)에 진공펌프의 배기감압에 의한 흡인작용이 항상 주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통풍로드(7)가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흡기관 (10)과의 접속이 단절되고, 따라서 그 분리흡반(6)이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이것에 진공펌프에 의한 흡인작용이 단절되도록 하거나, 어느 쪽의 수단이라도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통풍로드(7)의 그 상하이동에 있어서 항상 흡기관(10)과의 접속이 유지되며, 그 상하이동에 있어서, 항상 분리흡반(6)은 진공펌프에 의한 흡인작용이 주어지도록 하였다.
즉, 단면이 각형인 통풍로드(7)의 일 측벽에 개구부(7b)를 개구하는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로드(7)의 상하이동하는 범위를 커버할 만한 긴 쪽의 박스형의 중간접속부재(11)의 배면(背面) 벽에 돌출형성한 통형상부 (cylindrical portion)(11a)에 흡기관(10)의 선단을 끼워맞춤 부착하는 동시에 그 앞면벽을 상기 개구부(7b)가 개구한 상기 일 측벽면에 미끄럼접촉(sliding contact)시켜, 상기 앞면벽에 설치한 상기 통풍로드(7)가 상하이동하는 범위를 커버하는 긴 쪽의 개구부(11b)를 상기 통풍로드(7)의 개구부(7b)와 정합(整合)시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통풍로드(7)의 상하이동에 있어서, 그 개구부(7b)는 항상 상기 박스형 중간접속부재(11)의 상기 긴 쪽(직사각형)의 개구부(11b)와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진공펌프의 작동 시에는, 분리흡반(6)의 상하이동에 있어서 항상 흡인작용이 주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통풍로드(7)의 개구부(7b)를 통형상의 개구부로 하고, 이것에 흡기관(10)의 선단부를 직접 끼워맞춤 부착하도록 하더라도, 분리흡반(6)에 항상 흡인작용을 주도록 하더라도 좋지만, 통풍로드(7)의 상하이동과 같이 흡기관(10)도 상하이동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박스형의 중간접속부재(11)를 개재(介在)시켜, 상기 통풍로드(7)의 상하이동에 영향 받지 않고, 상기 흡기관(10)을 안정된 정치상태(settling state)로 둘 수 있어 유리하고, 또한 상기 통풍로드(7)가 아래로 이동하였을 때만 상기 분리흡반 (6)은 아래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 흡인작용이 주어지지만, 상기 통풍로드(7)가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7b)와 상기 긴 쪽의 박스형의 중간접속부재와의 접속, 이에 따른 흡기관(10)과의 연통이 단절되고,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는 분리흡반(6)의 흡인작용이 단절되도록, 그 긴 쪽의 박스형 중간접속부재(11)의 상기 긴 쪽의 개구부(11b)에 대신하여 설계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통풍로드(7)가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개구부(7b)는 외기와 연이어 통하고, 아래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만, 흡기관(10)과 연이어 통하여 흡인작용이 주어지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상기의 분리흡반(6)에 인접한 위치에, 주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박스형의 회전흡반(12,12,…)을 배치한 회전체(13)를 적어도 1개 설치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전후로 배치한 분리흡반(6,6)의 양측에 인접하여 4개의 박스형의 회전흡반(12,12,12,12)을 각기 배치하였다. 한 쌍의 회전체(13,13)를 대향하여 배치하였다. 상기 대향하는 한 쌍의 회전체(13,13)는, 상기 통풍로드(7)의 분리흡반(6,6)의 바로 위의 소정의 높이의 위치에서 상기 통풍로드(7)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회전축(14)상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4)의 일끝단에 고정설치한 벨트차(15)의 회전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벨트차(15)는, 도 2에 명시한 바와 같이, 매개의 전도장치(conduction device)(16)를 통해 상기 모터(9)에 접속시켰다.
상기 전도장치(16)는, 상기 벨트차(15)의 후방에 위치하여 설치한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6a)에, 그 내측에 상기 벨트차(15)와 대향하여 설치한 안내풀리 (guide pulley)(16b)와 그 외측에 상기의 모터(9)의 회전축(9a)에 고정설치한 안내풀리(16c)에 대향하여 설치한 안내풀리(16d)와, 상기 벨트차(15) 및 안내풀리(16b) 사이에 가로로 걸쳐진 무한 고리형상 벨트(endless annular belt)(16f)와, 안내풀리(16d) 및 안내풀리(16c) 사이에 가로로 걸쳐진 무한 고리형상 벨트(16g)로 이루어진다. 이리하여, 상기 모터(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도장치(16)를 통해 상기 벨트차(15)는 회전되고, 그 회전축(14)에 고정설치된 좌우 한 쌍의 회전체(13,13)는 회전되는 한편, 동시에, 상기 모터(9)의 상기 회전축(9a)에 의해 고정설치된 상기 캠(8a)이 회전되고, 따라서 상기 극판 분리기구(8)를 통해 상기 통풍로드(7)의 상하이동, 이에 따른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이 행하여지도록 하였다.
그 좌우 한 쌍에 배치한 회전체(13,13)의 설치위치는 다음과 같다. 그 각각의 원주면의 최하부의 위치는, 도 3의 반 절개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분리흡반(6,6)의 흡반본체(6b,6b)의 아랫면보다 조금 위쪽 위치에 두는 동시에, 이들 회전체(13,13)에 배치한 박스형의 회전흡반 (12,12,…)의 각각은, 그 회전에 의해 맨 아래쪽에 올 때에, 그 박스형의 회전흡반 (12)의 외단벽(outer end wall)에 설치한 흡인구(suction port)(12a)도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분리흡반(6,6)의 흡반본체(6b,6b)의 아랫면보다 조금 아래쪽의 위치에 두도록 하여, 상기 분리흡반(6,6)의 위로 이동시에, 이것에 흡인·유지되어 있는 분리극판(P')은, 좌우의 회전체(13,13)의 회전에 의해 맨 아래쪽에 오는 좌우 한 쌍의 회전흡반(12,12)의 외단벽면에 접촉하고, 그 좌우 한 쌍의 흡인구(12a,12a 및 12a,12a)에 의해 분리극판(P')을 안정하고 양호하게 흡인유지하고, 그 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흡반(6,6)으로부터 상기 분리극판(P')은 상기 회전체(13,13)에 전이(轉移)하여, 회전·반송시키도록 하였다.
회전흡반(12,12)에는, 회전체(13,13)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개의 진공펌프에 의해 작동되는 흡인이탈기구에 의해 흡인작용과 흡인해제작용이 교대로 주어지지만, 상기의 분리흡반(6,6)에 흡인력이 걸려 있는 경우에는, 회전흡반(12,12)에 걸리는 흡인력, 즉 진공도를 상기 분리흡반(6,6)에 걸리는 흡인력, 즉 진공도보다도 크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분리흡반(6,6)에 흡착되어 있는 분리극판(P')을 각각 좌우 한 쌍의 회전흡반(12,12)에 흡인전이를 양호하게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리하여, 회전체(13,13)의 회전에 의해, 각각 좌우 한 쌍의 회전흡반 (12,12)이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있는 좌우 한 쌍의 상기 분리흡반(6,6)의 양측에 인접하는 최하단에 올 때에, 상기 분리흡반(6,6)에 흡인·유지되어 있는 분리극판 (P')은 상기 분리흡반(6,6)으로부터 상기 회전흡반(12,12)에 흡인·전이시켜지고, 계속되는 회전체(13,13)의 회전에 의해 회전·반송시켜지고, 회전흡반(12,12)이 회전체(13,13)의 최상단에 올 때에 흡인작용은 해제되어, 흡인유지하고 있는 분리극판(P')을 개방하도록 하여, 개방된 분리극판(P')은 후술하는 반송기구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되도록 하였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회전체(13,13)는 벨트차로 하고, 그 V자 형상 홈에는, 도 3에 명시한 바와 같이, V벨트(17,17)를 그 바깥둘레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이 되도록 그 후방에 좌우 한 쌍의 회전체(13,13)와 대향하여 좌우에 한 쌍 배치한 것과 같은 안내풀리(18,18)와의 사이에 무한 고리형상으로 또한 상기 회전체(13,13)로부터 멀어지는 반송벨트(17,17)는 수평상태가 되도록 가로질러 극판의 반송공급기구(19)를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반송공급기구(19)로서, 그 반송공급로를 더욱 연장시키도록, 상기 좌우 한 쌍의 안내풀리(18,18)와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추가의 반송공급기구(19')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용 모터(driving motor)(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구동풀리 (driving pulley)(20) 및 그 전후의 안내풀리(guide pulley)(21,22)에 반송벨트 (17'a)를 무한 고리형상으로 걸고 또한 그 스페이스 내에 일부 삽입함과 동시에, 반송방향의 벨트부(17'a)를 상기 좌우의 반송벨트(17,17)와 동일 레벨에 두도록 하여 배치하고, 추가의 반송공급기구(19')를 연장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반송 벨트(17'a)의 바깥둘레면에는, 한 장 한 장 분리극판(P')을 걸어멈춤하여 반송하도록, 그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걸어멈춤용 멈춤쇠(anchor pawl)(23)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리하여, 모터(9)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과 상기 회전체(13,13)의 회전은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분리흡반(6,6)이 아래로 이동하는 위치로부터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올 때, 상기 회전체(13,13)의 각각 한 쌍의 회전흡반(12,12)이 회전체(13,13)의 맨 아래쪽에, 즉 상기 분리흡반(6,6)의 양측에 나란한 인접하는 위치에 오도록 동기(同期) 작동시키기 위해, 미리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의 스트로크(stroke), 회전체(13,13)의 회전속도, 원주상에 배치되는 회전흡반(12)의 수나 간격 등이 미리 설정됨은 물론이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회전체(13)에 4개의 회전흡반(12)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분리흡반(6,6)이 위로 이동하는 위치에 올 때에, 각 회전흡반 (12)은 맨 아래쪽에 오고 상기 분리흡반(6,6)에 인접하도록, 극판분리기구 (8)에 의한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의 스트로크와 합치되도록 모터(9) 및 전도장치(16)를 통한 회전체(13,13)의 회전속도를 맞추어 동기(同期) 작동시키도록 하였다.
좌우 한 쌍의 회전체(13,13)의 안둘레면에 각각 배치된 4개의 회전흡반 (12,12,12,12)의 각각의 내부 통풍로(12b)는, 상기 회전체(13,13)에 형성한 각 통풍구멍(24)과 연이어 통하고, 각 해당 통풍구멍(24)을 통하여, 회전체(13,13)의 흡인이탈기구(25,25)에 접속하고 있고, 상기 흡인이탈기구(25,25)는, 각각 도출된 흡기관(26)을 통해 진공펌프 등의 배기감압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각각의 상기 흡인이탈기구(25,25)는, 각각의 회전체(13,13)의 회전에 따라 각 회전흡반(12)에 각각의 회전체(13,13)에 형성된 통풍구멍(24,24)을 통하여, 상기 분리흡반(6,6)으로부터 분리극판(P')을 흡인·탈취시키는 흡인작용과 상기 흡인작용을 끊어, 상기 분리극판을 이탈시키는 이탈작용이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각각의 흡인이탈기구(25,25)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한편의 흡인이탈기구(25)에 관하여 이하 상술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흡인이탈기구(25)는, 중심에 벨트차(15)의 회전축(14)보다 큰 직경의 관통구멍(27a,27b)을 각기 설치한 내외 2장의 두께의 원형, 각형 등의 원하는 형상, 치수로 성형된 반체(disk body)(25a 및 25b), 도시한 예에서는 원형으로 또한 상기 회전체(13)에 의해 작은 직경으로 성형된 반체(25a 및 25b)를 상호 대향면에서 나사(28)등에 의해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이것을 도 3에 명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의 관통구멍(27a,27b)이 회전축(14)으로부터 고리형상의 틈을 두고 또한 그 안쪽의 반체(25a)의 안둘레면을 회전체(13)의 외면에 미끄럼접촉 (sliding contact)시킨 상태로 배치한다. 한편, 바깥쪽의 반체(25b)는, 그 외면에 회전축(14)과의 사이에 베어링(29)을 개재(介在)시킨 원통형의 축받이(30)를 일체로 돌출형성하여, 그 축받이(30)의 바깥둘레면에 전후 한 쌍의 지주(support pole)(31)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하였다. 더욱, 바깥쪽의 반체(25b)는, 그 외면에 개구한 개구부(32)에, 도시한 예에서는, 외부의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도출시킨 상기의 흡기관(26)을 접속하고, 또한 상기 반체(25b)의 내면에는, 상기 개구부(32)와 연이어 통하여 해당 전체 주위에 걸쳐 통풍용 고리형상의 홈(33)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의 반체(25a)에는,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 반원호 형상의 통풍용 관통구멍(34)을 형성하여 상기 흡인이탈기구(25)를 구성하였다.
한편, 각 회전흡반(12)은, 그 대응하는 회전체(13)의 안둘레면에, 그 각 통풍구멍(24)과 연이어 통하는 상태로, 접착제에 의해, 혹은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등으로 고정·부착된다.
이리하여, 진공펌프를 작동한 상태로, 좌우의 회전체(13,13)를 회전하였을 때, 그 각 회전체(13)에 배치한 각 회전흡반(12)은, 맨 아래쪽으로부터 맨 위쪽위까지 반회전(半回轉)하는 동안에는, 상기 회전흡반(12,12)의 흡인구(12a,12a)에,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생기는 배기감압, 즉 흡인력(suction force)이 상기 흡기관(26,26)을 통하여, 각각의 외측의 반체(25a,25b)의 개구부(32,32), 통풍용 고리형상 홈(33,33), 상기 통풍용 고리형상 홈(33,33)과 각기 연이어 통하는 상기 안쪽의 반체(25a)의 반원호 형상의 통풍용 관통구멍(34,34), 상기 반원호 형상의 통풍용 관통구멍(34,34)과 연이어 통하는 회전흡반(12,12)에 형성된 통풍로(12b,12b)를 통해 흡인작용이 주어지기 때문에, 그 좌우 한 쌍의 회전흡반(12,12)에 의해 분리용 극판적층체(A1)로부터 극판(P)을 흡착분리하고 또한 분리극판(P')을 안정하고 양호하게 흡인·유지한 상태로 반회전 반송한다. 회전체가 더욱 회전하여 그 좌우 한 쌍의 회전흡반(12,12)이 최상위치를 넘을 때에는, 상기 회전흡반(12,12) 내부의 통풍로(12b,12b)는 안쪽의 반체(25a)의 반원호 형상 통풍용 관통구멍(34,34)이 없는 반원형의 구멍없는 판면에 대면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의 흡인작용은 단절되므로, 상기 회전흡반(12,12)에 의한 분리극판(P')의 흡인유지는 해제되고, 상기 분리극판(P')은 상기 회전흡반(12)으로부터 개방·이탈하고, 또한 회전체(13,13)의 회전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공급기구(19)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반송 벨트(17,17)에 전이한다. 그 반송 벨트(17,17)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더욱 반송하고, 추가된 반송공급기구(19')의 반송 벨트(17')에 의해 멈춤쇠(pawl)(23)에 걸어멈춤된 상태(anchor state)로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된다.
좌우 한 쌍의 회전체(13,13)가 회전하고, 각기 한 쌍의 회전흡반(12,12)을 통하여 상기의 분리흡반(6,6)이 상하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기구(1)의 지지대(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맨 위쪽의 극판(P)이 상기와 같이 일정한 스트로크로 상하이동을 되풀이하는 분리흡반(6,6)에 의해 흡인·제거된 후, 이어서 맨 위쪽이 된 극판(P)이 상기 분리흡반(6)에 의해 흡인·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옆쪽에 소정의 높이 위치에 대향하여 광 센서(optical sensor)(5,5)를 배치하고 맨 위쪽의 극판(P)이 제거될 때마다 그 제거흔적에 생기는 공간을 통해 차광이 해제되기 때문에, 광 센서(5)는 작동하여, 그 신호를 상기 승강기구(1)에 전하고 지지대(2)를 극판 한 장분의 거리만큼 상승하였을 때, 다시 차광되기 때문에 그 상승은 멈추고, 이렇게 분리흡반(6,6)에 의해 맨 위쪽의 극판(P)이 제거될 때마다, 지지대(2)는 극판(P)의 한 장 분의 두께로 분단속적으로(interruptedly) 상승하고, 항상 맨 위쪽의 극판(P)이 일정한 높이 위치에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의 반복에 의해 차례차례 극판의 흡인분리가 이루어져, 이것에 동기(同期)하여 회전체 (13,13)의 회전에 의한 각 회전흡반(12,12)에 의한 분리극판(P')의 흡인전이, 반송, 공급이 차례로 한 장 한 장 행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13)와는 별개로, 독립하여 상하이동하는 분리흡반(6)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라 수평상태로 적층한 극판적층체 (A1)의 맨 위쪽의 극판(P)에 압착시켜 흡인·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음에 상기 분리흡반(6)으로 분리된 극판(P')을 상기 회전체(13)에 배치한 각 회전흡반(13)을 그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흡반(6)에 인접한 위치에 올 때, 상기 흡인이탈기구(25)에 의해 주어지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분리흡반(6)으로부터 분리극판(P')을 흡인·탈취하여 반송하고, 그 반회전(半回轉)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상기의 흡인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분리극판(P')은 상기 회전흡반(12)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회전체 (13)에 걸린 반송공급기구(19)의 좌우 한 쌍의 반송공급 벨트(17a,17a)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하는 것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실시한 고속안정처리의 시험예에 의하면, 1분간 적어도 150장의 극판을 분리(쇼트수)하여 반송·공급할 수 있었지만, 상기 종래의 일본 특개평4-286515호에 개시된 장치로는, 회전 벨트를 최대로 하여도 100 쇼트(shot)였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라서, 간헐적으로 회전이동시켜, 정지 시에 흡반에 의한 흡인분리를 한 바, 최대로도 100쇼트였다. 연속회전인 채로 흡반에 의해 흡인분리를 할 경우는, 극판의 흡인분리가 곤란해져, 회전속도를 매우 떨어뜨렸을 때, 그 쇼트수는 더욱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기구(1)의 지지대(2)상의 분리용 극판적층체(A1)로부터 1매씩 극판을 분리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하는 연속작업을 고능률적으로 할 수 있지만, 이 극판 분리공급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새로운 극판적층체를 기계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차례차례 원하는 매수를 보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음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의 요망을 만족시켰다.
즉, 상기의 장치에, 더욱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용 극판적층체(standby stacked plate assembly)(A2)를 상기 승강기구(1)가 하강한 지지대(2)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보급반송기구(supplying-conveying mechanism )(36)와, 상기 승강기구(1)의 지지대(2)상에 지지되는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옆쪽에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된 단계에서 그 잔존한 극판적층체(A1')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수평받이부재(37)를 전진후퇴이동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중계왕복이동기구(relay reciprocating mechanism)(38)와,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38)를 승강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중계승강기구(relay elevating mechanism)(39)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적층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된 단계에서, 상기 수평받이부재(37)를 전진시켜, 그 잔존 극판적층체(A1')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사이에, 상기 승강기구(1)의 상기 지지대(2)를 일단 상기 보급반송기구(36)의 반송벨트(3c,3c)의 아래쪽까지 하강시키고, 그 위쪽에 상기 보급반송기구(36)에 의해 보급되는 보급용 극판적층체(A2)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2)를 다시 상승시키고 상기 보급용 극판적층체(A2)를 지지하여, 더욱 상승시켜 상기 잔존한 극판적층체(A1')의 아랫면에 합체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을 되풀이하여, 원하는 보급용 극판적층체(A2,A3,A4)를 합체시켜 극판 분리공급작업을 계속해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술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반송 벨트(3c,3c) 상에, 상기의 승강기구(1) 앞에 미리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하여 구성된 대기용 극판적층체(A2)의 적어도 1 로트(lot)를 얹어 놓아 보급반송기구(36)로서 상기 극판적층체 반송기구 (3)를 준비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구(1)의 지지대(2)상에 지지되는 원하는 매수가 겹쳐진 분리용 극판적층체(A1)를, 도시한 바와 같이, 극판 분리작업을 하는 소정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의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옆쪽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상하이동하는 통풍로드(7)의 아래쪽에서, 상기 프레임형상 연결부(8e)의 프레임공간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받이부재(37)를 배치하고, 이것을 가로로 설치한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로 이루어진 중계왕복이동기구(38)의 피스톤로드(38a)의 선단에 설치하여, 전진후퇴이동 자유롭게 하고, 전진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마 남지 않은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아랫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평받이부재(37)는, 도 6과 도 7 등에 명시한 바와 같이, 극판을 안정하고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2개의 긴 쪽 수평판으로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승강기구(1)의 지지대(2)의 윗면에는, 도 2에 명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에 관통하여 연장되는 2개의 홈(40,40)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2)가 얼마 남지 않게 된 분리용 극판적층체(A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 지지를 이어받기 위해서 전진하는 상기 2개의 수평받이부재(37,37)를 각 홈(40,40)에 받아 들여 상기 지지대(2)의 지지를 이어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중계승강기구(39)는, 스테핑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고, 그 중계승강로드(relay elevation rod)(39a)를,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38)의 실린더부(38b)의 아랫면에 연결하고 있고, 상기 중계승강기구(39)를 승강이 자유롭게 구동하는 동시에, 전진한 상기 수평받이부재(37,37)에 의해 잔존한 극판적층체 (A1')를 지지하였을 때는, 상기 광 센서(5)의 신호를 단속적(斷續的)으로 받아 극판 한 장 분을 간헐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작동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은, 모든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로 동작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시퀀스회로(sequence circuit)(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퀀스제어(sequence control)된다.
즉, 상기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을 되풀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구(1)의 지지대(2)의 상승에 의해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맨 위쪽의 극판(P)이 한 장 한 장 분리·제거되어 가고, 지지대(2)상의 극판이 얼마 남지 않은 소정 위치까지 지지대(2)가 상승하면, 그 지지대(2)를 지지하는 승강로드(1a)의 측면에 미리 형성하여 둔 돌기(41)가 미리 소정의 높이 위치에 설치하여 둔 리미트 스위치 (42)에 접촉하여 이것을 ON 하고, 그 신호에 의해 중계왕복이동기구(38)를 작동하여, 그 수평받이부재(37,37)를 전진시키고, 도 7에 명시한 바와 같이 상승위치에 있는 지지대(2)의 윗면의 홈(40,40)을 끼워 통한 상태로 상기 수평받이부재(37,37)에 의해 상기 잔존한 극판적층체(A1')의 중계지지를 하지만, 수평받이부재(37,37)가 전진하고 그 중의 어느 한 편의 선단이 그 전방의 리미트 스위치(43)에 접촉하고, 이것을 ON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38)의 구동을 정지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중계승강기구(39)의 중계승강로드(39a)를 시동하고, 광 센서 (5,5)의 신호를 받으면서, 상기 잔존한 극판적층체(A1')를 1단씩 상승시키기 때문에,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의 반복에 의해 계속해서 상기 잔존한 극판적층체 (A1')를 1매씩 극판분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중계받음(relay)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승강기구(1)의 승강로드(1a)가 하강하여, 상기 지지대(2)가 미리 보급반송기구(36)의 반송 벨트(3c)보다 아래위치까지 하강하였을 때, 미리 그 무한 고리형상 반송벨트(3c)보다 아래쪽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고 있는 리미트 스위치(44)에 상기 지지대(2)의 하단이 접촉하여, 이것을 ON 한다. 이리하여, 그 신호에 의해, 상기 보급반송기구(36)는 시동하여, 그 반송벨트(3c)를 화살표방향으로 구동하고, 대기용 극판적층체(A2)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한 지지대(2)의 위쪽의 소정 위치까지 반송한다.
상기 대기용 극판적층체(A2)가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되면, 상기 적층체(A2)는, 그 옆쪽에 미리 설치해 둔 리미트 스위치(45)에 접촉하여, 이것을 ON으로 하고,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기구(1)의 승강로드(1a)의 상승이 행하여져, 그 상승과 함께 상기 지지대(2)에 의한 상기 대기용 극판적층체(A2)의 지지상승이 행하여져, 위쪽의 잔존한 극판적층체(A1')의 아랫면에 합체한다. 즉, 새로운 극판적층체의 보급이 완료한다. 이후는, 상기 지지대(2)에 의해 그 합체로서 구성되는 전체의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지지, 상승이 재개(再開)되어, 중단이 없고, 이리하여, 분리흡반(6,6)에 의한 극판의 분리가 반복된다.
상기의 합체의 순간, 동시에, 상기 수평받이부재(37)의 아랫면 근방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쪽의 리미트 스위치(46)에 상기 대기용 극판적층체(A2)의 상단면이 접촉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46)를 ON하여,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38)는 본래의 위치까지 후퇴하기 때문에, 상기 잔존한 극판적층체(A1')의 아랫면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그 아랫면 전체면에 상기 대기용 극판적층체(A2)는 합체하고, 보급된 분리용 극판적층체(A1)를 지지대(2)상에 얻을 수 있다.
한편, 참조번호 47은, 리미트 스위치(46) 등을 시퀀스제어하는 시퀀셜회로 (sequential circuit)를 내장함과 동시에 그 외면에 상기의 2개의 수평받이부재 (37,37)를 고정설치한 금속 케이싱(metal casing)을 나타낸다.
이리하여, 보급된 분리용 극판적층체(A1)의 잔존 극판의 수가 적어지면, 상기의 중계보급의 동작이 행하여져, 분리흡반(6,6)의 상하이동의 반복에 의한 분리와 회전흡반에 의한 반송공급과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 다음의 대기용 극판적층체 (A2)의 보급이 행하여지고, 따라서, 원하는 로트수(lot number)의 대기용 극판적층체(A2,A2,…)를 차례차례 보급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극판적층체의 분리, 반송공급작업을 중단없이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명백하듯이, 청구항 1 및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분리흡반과 회전흡반을 배치한 회전체를 별개로 서로 인접하여 설치하여, 분리흡반을 구비한 통풍로드를 분리기구에 의해 상하이동을 되풀이하는 것에 의해, 그 아래쪽의 승강기구의 지지대에, 다수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된 극판적층체로부터 그 맨 위쪽의 극판을 차례차례 흡인·분리하여, 상기 분리흡반에 의해 흡인·유지된 분리극판을,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각 회전흡반에 흡인이탈기구로부터 주어지는 흡인작용에 의해, 차례차례 흡인탈취 전이시키고, 이어서 그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반송과정에서 흡인작용이 단절되었을 때, 각 회전흡반은 분리극판을 해방·이탈시키도록 하여, 그 회전체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그 각 이탈한 극판을 차례차례 한 장 한 장을 반송공급기구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극판적층체로부터의 분리흡반에 의한 극판의 분리에 있어서, 회전체를 일단 정지시키는 일없이,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또한 고능률적으로 극판적층체로부터의 극판 분리공급을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 및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작업 중, 승강기구의 지지대상의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때, 그 잔존한 적층체를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의 수평받이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기구의 지지대에 대신하여 지지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사이에, 상기 승강기구의 승강로드를 일단 하강시켜, 반송보급기구에 의해 대기용 극판적층체를 그 지지대에 보급한 후, 다시 상승시켜 상기 잔존 극판적층체에 합체시켜 보급할 수 있고, 종래의 사람 손에 의한 번거롭고 비능률적인 극판 보급작업을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원하는 로트수의 대기용 극판적층체의 보급작업을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원하는 연속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례의 장치의 일부를 잘라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도 1의 Ⅱ-Ⅱ선의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좌우의 회전체와 흡인이탈기구를 반 절개(semi-cut)한 중앙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분리흡반을 구비한 통기관과 흡기관의 접속기구를 중심으로 하는 일부를 잘라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장치의 중계왕복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중계왕복이동기구의 수평받이부재에 의한 중계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대기용 극판적층체의 보급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기구 1a : 승강로드
2 : 지지대 3 : 보급반송장치
4 : 스페이스 5 : 광 센서
6 : 분리흡반 7 : 통풍로드
8 : 분리기구 8a : 캠
9 : 모터 10 : 흡기관
11 : 중간접속부재 12 : 회전흡반
13 : 회전체 14 : 회전축
15 : 벨트차 16 : 전도장치
19 : 반송공급기구 20 : 구동풀리
21, 22 : 안내풀리 24 : 통풍구멍
25 : 흡인이탈기구 36 : 보급반송기구
37 : 수평받이부재 38 : 중계왕복이동기구
39 : 중계승강기구 40 : 홈
42, 43, 44, 45, 46 : 리미트 스위치
P : 극판 P' : 분리극판
A1, A2, A3, A4 : 극판적층체

Claims (4)

  1.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분리용 극판적층체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승강기구의 지지대에 지지되는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맨 위쪽의 극판을 흡인·유지하여 상기 적층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흡반과,
    상기 분리흡반을 구비한 통풍로드를 상하이동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분리기구와,
    상기 분리흡반의 옆쪽에 위치하고, 또한 원주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회전흡반을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각 회전흡반에,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통풍구멍을 통하여, 상기 분리흡반으로부터 분리극판을 흡인·탈취시키는 흡인작용과, 상기 흡인작용을 단절하여 상기 분리극판을 이탈시키는 이탈작용을 주는 흡인이탈기구와,
    이탈한 분리극판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시키는 반송공급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대기용 극판적층체를 상기 승강기구가 하강한 지지대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보급반송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의 지지대 상에 지지되는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옆쪽에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된 단계에서 그 잔존 극판적층체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수평받이부재를 전진후퇴이동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중계왕복이동기구와, 상기 중계왕복이동기구를 승강이 자유롭게 구동시키는 중계승강기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적층극판이 얼마 남지 않게 된 단계에서, 상기 수평받이부재를 전진시켜, 그 잔존 극판적층체를 아랫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사이에, 상기 승강기구의 상기 지지대를 일단 상기 보급반송기구의 반송벨트의 아래쪽까지 하강시키고, 그 위쪽에 상기 보급반송기구에 의해 보급되는 보급용 극판적층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다시 상승시켜 상기 보급용 극판적층체를 지지하고, 더욱 상승시켜 상기 잔존한 극판적층체의 아랫면에 합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3. 다수 매의 극판을 수평상태로 적층한 분리용 극판적층체의 맨 위쪽으로부터 극판을 위쪽으로 흡인·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극판을 회전하는 흡반으로 흡인·탈취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흡반으로부터 극판을 이탈시키는 단계와,
    상기 극판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분리용 극판적층체는, 상기 적층체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그 아래쪽으로부터 새로운 분리용 극판적층체를 보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방법.
KR10-2002-0036267A 2001-06-28 2002-06-27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분리공급방법 KR100485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96245A JP3862973B2 (ja) 2001-06-28 2001-06-28 極板積層体の極板分離供給装置
JPJP-P-2001-00196245 200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040A KR20030003040A (ko) 2003-01-09
KR100485724B1 true KR100485724B1 (ko) 2005-04-27

Family

ID=1903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267A KR100485724B1 (ko) 2001-06-28 2002-06-27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분리공급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30424B2 (ko)
JP (1) JP3862973B2 (ko)
KR (1) KR100485724B1 (ko)
CN (1) CN1189965C (ko)
MY (1) MY134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84B1 (ko) * 2012-07-24 2014-09-18 한화테크엠주식회사 극판 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2302B2 (ja) * 2004-04-01 2008-05-28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サクション装置
AT500466A2 (de) * 2004-07-12 2006-01-15 Bm Battery Machines Gmbh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plattenförmig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batterieplatten
EP1999049B1 (en) * 2006-03-10 2010-01-13 Tbs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placing battery plates
GB0604831D0 (en) * 2006-03-10 2006-04-19 Tbs Eng Ltd Apparatus for placing battery plates
US8152160B2 (en) * 2006-11-28 2012-04-10 Ouellette Machinery Systems, Inc. Tier sheet dispensing apparatus for a conveyor system
JP5189758B2 (ja) * 2006-11-30 2013-04-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電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DE502007004682D1 (de) * 2007-01-04 2010-09-16 Bm Battery Machines Gmbh Vorrichtung zum vereinzeln plattenförmiger gegenstände
CN102001523B (zh) * 2010-11-08 2012-10-31 南京熊猫电子制造有限公司 Pcb生产线用上板机
US20120121372A1 (en) * 2010-11-15 2012-05-17 Raque Glen F Top unloading tray dispenser
MX350625B (es) * 2011-11-10 2017-09-12 Sasit Ind Gmbh Instalación para procesar placas de batería y para disponerlas en carcasas de batería suministradas.
CN102556616A (zh) * 2012-01-16 2012-07-11 崔锋 一种用于铅酸电池包片机的极板送料机构
CN103144797B (zh) * 2013-03-04 2014-09-17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用于发篮机的分取装置
DE102013102454A1 (de) 2013-03-12 2014-09-18 Krone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einzelung von auf einem Stapel bereitgestellten Zwischenlagen
JP2014177316A (ja) * 2013-03-14 2014-09-25 Nidec Sankyo Corp 媒体スタッカおよび媒体供給装置
DE102013106012A1 (de) 2013-06-10 2014-12-11 Krone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gang mit Zwischenlagen
CN104249487B (zh) * 2013-06-26 2018-04-24 杭州彼特环保包装有限公司 上袋体机构及袋体上料方法
CN104670940B (zh) * 2013-12-03 2017-06-16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板材供料机构
KR101662179B1 (ko) * 2014-03-25 2016-10-11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CN104261126B (zh) * 2014-08-28 2016-05-04 昆山威创精密机械有限公司 智能搬运装置
CN104773539B (zh) * 2014-10-17 2017-02-15 朱海鹏 一种左右交替的连续供板机构及方法
KR101624609B1 (ko) * 2014-11-19 2016-06-07 주식회사 엠플러스 극판 스태킹 효율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CN104868153B (zh) * 2015-04-23 2017-04-26 宁波大学 铅蓄电池极板吸盘分离机构
CN104925511B (zh) * 2015-06-19 2017-02-01 苏州石丸英合精密机械有限公司 功放组件的mos管供给机构
EP3156368A1 (en) * 2015-10-15 2017-04-19 Rhodia Operations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licate,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ecipitated silica
GB2545180B (en) * 2015-12-07 2018-08-29 Tbs Eng Lt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attery components
EP3275816B1 (en) * 2016-07-26 2021-03-31 Aida Engineering, Ltd. Material supply apparatus
CN106542309B (zh) * 2017-01-10 2023-05-02 荣旗工业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一种载具供应机
JP7023181B2 (ja) * 2018-05-17 2022-02-21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電池材料積層装置
CN109346782B (zh) * 2018-08-29 2022-10-04 广州倬粤动力新能源有限公司 蓄电池压紧用方法
KR102075058B1 (ko) * 2018-09-28 2020-03-03 신용섭 포장용 포대 자동공급장치
CN110804748A (zh) * 2019-11-29 2020-02-18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种板始极片开口剥离一体机
CN111038980A (zh) * 2019-12-31 2020-04-21 安徽科大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铜板自动整形分离输送装置
CN111186167A (zh) * 2020-03-25 2020-05-22 陕西鑫融包装有限责任公司 一种瓦楞纸箱分切装置及生产方法
US20240136591A1 (en) * 2022-10-20 2024-04-25 Dwfritz Automation, Llc Electrode and separator stacking machines for high-speed battery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6515A (ja) 1991-03-18 1992-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極板移送装置
US6062807A (en) * 1998-04-08 2000-05-16 Tekmax, Inc. Battery plate feeder having oscillating pick-up he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84B1 (ko) * 2012-07-24 2014-09-18 한화테크엠주식회사 극판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0424B2 (en) 2004-12-14
CN1189965C (zh) 2005-02-16
MY134164A (en) 2007-11-30
US20030012636A1 (en) 2003-01-16
JP3862973B2 (ja) 2006-12-27
CN1395333A (zh) 2003-02-05
KR20030003040A (ko) 2003-01-09
JP2003017114A (ja) 200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724B1 (ko) 극판적층체의 극판 분리공급장치 및 그 극판분리공급방법
JP2012174389A (ja) 極板積載装置
CN115489801B (zh) 一种用于料管的上料、传送及装箱一体化机构
KR101769139B1 (ko) 필름 박리 시스템
CN109994574B (zh) 电池串构件上料装置及上料方法
CN112520418B (zh) 一种玻璃取片装置及方法
JPH02225225A (ja) 板ガラスの入込み装置
KR100736860B1 (ko)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간지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0495939B1 (ko) 종이컵 제조장치의 옆지이송장치
CN208790689U (zh) 一种取片装置
CN211945388U (zh) 带有真空吸盘的码垛拆垛机
CN111824736A (zh) 一种扁平物料的搬运装置
JP2001328044A (ja) ワークの供給装置
CN217417405U (zh) 片料转运装置及叠片设备
JP3745479B2 (ja) 表面実装機のエア供給回路
KR101654277B1 (ko) 연료전지 스택 적층을 위한 단위셀 부품 정렬 이송 컨베이어
CN211831359U (zh) 一种pcb板打孔装置
WO2022233231A1 (zh) 片料转运装置及叠片设备
CN219602316U (zh) 一种极片下料装置
CN212655053U (zh) 一种扁平物料的搬运装置
JP3397837B2 (ja) 吸着ノズルの圧力供給装置
CN213201459U (zh) 用于锂电池极片的上料装置及叠片设备
JPH05152790A (ja) プリント基板搬送装置
CN117465970A (zh) 电池转移系统
JPH06329286A (ja) 板状物体の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