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849B1 -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 - Google Patents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849B1
KR100483849B1 KR10-2002-0040686A KR20020040686A KR100483849B1 KR 100483849 B1 KR100483849 B1 KR 100483849B1 KR 20020040686 A KR20020040686 A KR 20020040686A KR 100483849 B1 KR100483849 B1 KR 10048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unting plate
mold mounting
load recei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152A (ko
Inventor
다카노하시류이치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45/661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toggle mechanism for mould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29C45/661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toggle mechanism for mould clamping
    • B29C2045/662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using a toggle mechanism for mould clamping using toggles directly connected or linked to the fixed platen and indirectly to the movable plat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금형장착판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금형장착판의 편향(deflection)이나 금형장착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금형장착면을 구비하는 금형장착판(15)과, 가이드수단과 맞물리는 가이드부(45)와, 제1핀이 삽입되는 제1핀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하중받이부와,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하중받이부와,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와,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이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보다도 금형장착판(15)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背面)(20)에 접속되는 하중전달부재를 갖는다.

Description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Molding machine having a movable mold support}
본 발명은,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열실린더 내에 있어서 가열되고,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사출하여 금형장치의 캐버티공간에 충전하고, 이 캐버티공간 내에 있어서 수지를 냉각하고,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그를 위하여, 상기 금형장치는 고정금형 및 가동금형으로 이루어지고, 형체장치에 의해 상기 가동금형을 진퇴시키고, 상기 고정금형에 대하여 이접(離接)시킴으로써, 형개폐(型開閉), 즉, 형폐(型閉), 형체(型締) 및 형개(型開)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형체장치는, 일반적으로 고정금형을 유지하는 고정플래튼 및 가동금형을 유지하는 가동플래튼을 가지고, 이 가동플래튼을 진퇴시키는 개폐장치로서 토글기구가 설치되고, 이 토글기구는, 구동부에 설치된 전동모터, 서보모터 등을 구동함으로써 작동된다.
도 2는 종래의 가동플래튼에 있어서의 제1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가동플래튼에 있어서의 제2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7은, 미도시한 고정플래튼과 토글서포트의 사이에 가설(架設)된 복수, 예컨대, 4개의 타이바이고, 100은 상기 고정플래튼과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타이바(107)를 따라 진퇴(도면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플래튼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래튼에 있어서의 가동플래튼(100)과 대향하는 금형장착면에는 미도시한 고정금형이 장착되고, 또 상기 가동플래튼(100)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플래튼과 대향하는 금형장착판(101)의 금형장착면(101a)에는 가동금형(105)이 장착된다.
또, 상기 금형장착판(101)의 금형장착면(101a)과 반대측의 면, 즉 배면(背面)에는, 토글기구의 상측의 토글핀이 삽입되는 상부핀 삽입홀(102a)을 구비하는 상부하중받이부(102), 및 하측의 토글핀이 삽입되는 하부핀 삽입홀(103a)을 구비하는 하부하중받이부(10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02) 및 하부하중받이부(103)는, 상기 토글기구로부터, 도면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형폐 및 형체의 힘을 받는 강도부재이므로, 금형장착판(10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플래튼(100)에는, 상기 타이바(107)가 삽입되는 가이드홀(106)을 구비하는 가이드부(104)가, 타이바(107)의 수와 동일한 수만큼, 예컨대, 4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06)의 각각에는, 상기 타이바(107)와 슬라이딩하기 위한 부시(bush;108)가 끼워 넣어져 있다. 또, 상기 가이드홀(106)과 타이바(107)의 틈에는 윤활제로서의 그리스가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플래튼(100)이 미도시한 토글기구에 의해 앞쪽(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동금형(105)이 미도시한 고정금형에 눌려지고, 형폐 및 형체가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토글기구는, 상기 가동플래튼(100)의 뒤쪽(도면에 있어서 왼쪽)에 설치되고, 일반적으로 크로스 헤드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레버, 상기 토글서포트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레버, 및 상기 가동플래튼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아암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토글 레버 및 토글 아암의 사이가 링크결합되고,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한 추진력에 토글배율을 곱한 형체력을 상기 가동플래튼(100)의 상부하중받이부(102) 및 하부하중받이부(103)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형체 및 형폐에 의해 토글기구로부터 강한 힘을 받았을 때에, 금형장착판(101)이 휘어져서, 금형장착면(101a)이 변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02) 및 하부하중받이부(103)는, 각각, 가동금형(105)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동금형(105)은 미도시한 고정금형에 눌려져서, 이동불능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토글기구로부터 도면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의 강한 힘을 받으면, 금형장착판(101)에 휨모멘트(bending moment)가 작용하여, 이 금형장착판(101)이 휘어져, 101'와 같이 변형되어 버린다. 그에 따라, 금형장착면(101a)도 101'a와 같이 변형되어 버린다. 그리고, 도 2에 있어서의 금형장착판(101') 및 금형장착면(101'a)은, 설명의 편의상, 과장되게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금형장착면(101a)이 101'a와 같이 변형되면, 가동금형(105)도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성형품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종래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상기 금형장착판(101)의 휨 및 금형장착면(101a)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금형장착판(101)의 판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강성(剛性)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금형장착판(101)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면 가동플래튼(100)의 제조코스트가 높아지고, 게다가 상기 가동플래튼(100)의 중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사출성형기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고, 사출성형기 전체의 제조코스트도 높아져 버린다.
또, 상기 종래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부시(108)의 내주면과 타이바(107)의 외주면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109)가 흘러내려 금형장착면(101a)이나 가동금형(105)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104)의 가이드홀(106)과 타이바(107)의 틈에 수납되는 그리스가, 부시(108)의 내주면과 타이바(107)의 외주면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와 버린다. 이 경우, 금형장착판(101)의 배면측에 새어 나온 그리스(109)는, 흘러내려도 낙하하여 버리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금형장착면(101a)측에 새어 나온 그리스(109)는, 금형장착면(101a)의 넓은 범위에 부착되고, 또한 가동금형(105)에 부착될 가능성도 매우 높아진다.
그리고, 금형장착면(101a)이나 가동금형(105)에 부착된 그리스(109)가 성형된 성형품에 부착되면, 이 성형품은 불량품이 되어, 사출성형기의 불량품 발생률이 높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금형장착판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금형장착판의 휨이나 금형장착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가동금형을 장착할 수 있고, 구동원에 의해 발생하는 추진력에 근거하여 하중을 받아 가동하는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가지는 성형기로서,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상기 가동금형을 장착할 수 있는 금형장착면을 가지는 금형장착판과, 상기 하중을 받는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와,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제1단(端)과, 상기 금형장착판에 있어서의 상기 금형장착면의 반대측의 면인 배면(背面)에 접속되는 제2단(端)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서 받은 하중을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전달하는 하중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상기 제2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장착판은, 상기 금형장착면과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판두께를 가지고, 상기 배면 상의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제2단의 위치의 판두께는, 상기 배면 상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판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상기 하중을 주는 토글기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글기구는,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에 접속하는 제1핀 및 제2핀을 가지고, 상기 제1하중받이부는,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1핀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하중받이부는,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전달부재는, 제1하중전달부재와 제2하중전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중전달부재는,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제1단과,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에 접속되는 제2단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서 받은 하중을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전달하고,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상기 제2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제1하중받이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고, 상기 제2하중전달부재는,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제1단과,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에 접속되는 제2단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서 받은 하중을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전달하고,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상기 제2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제1하중받이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와 맞물리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또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또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상기 금형장착판, 상기 제1하중받이부, 상기 제2하중받이부, 상기 하중전달부재,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연결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통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축방향과 수직인 단면(斷面)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금형장착판에 면하는 단면(端面)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단면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타이바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타이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레일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리는 맞물림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레일이고, 상기 맞물림 가이드는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금형장착면 측에 단면(端面)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금형장착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방향에 이간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 수직인 방향의 면에 위치하는 측면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의 위치보다도 상기 구동원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과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당 성형기는 사출성형기인 것을 특징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1은 프레임, 23은 이 프레임(21)에 고정된 고정플래튼, 34는 이 고정플래튼(23)과의 사이에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프레임(21)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토글 서포트이다.
또, 12는 상기 고정플래튼(23)과 토글 서포트(34)의 사이에 가설(架設)된 복수, 예컨대 4개의 가이드수단으로서의 타이바이다.
그리고, 11은 상기 고정플래튼(23)과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타이바(12)를 따라 진퇴(도면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금형 지지장치로서의 가동플래튼이다. 또한, 상기 고정플래튼(23)에 있어서의 가동플래튼(11)과 대향하는 금형장착면(37)에 고정금형(25)이 장착되고, 또 상기 가동플래튼(11)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플래튼(23)과 대향하는 금형장착면(16)에 가동금형(24)이 장착된다.
또, 상기 가동플래튼(11)의 후단(後端)(도면에 있어서의 좌단)에는 미도시한 이젝터 핀(ejector pin)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가동플래튼(11)과 토글 서포트(34)의 사이에는, 토글식 형체장치(型締裝置; mold clamping apparatus)로서의 토글기구(22)가, 상기 토글 서포트(34)의 후단(도면에 있어서의 좌단)에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용 구동수단으로서의 구동장치(30)가 장착된다. 이 구동장치(30)는, 서보 모터 등의 구동원(31)을 가지며, 피구동부재로서의 크로스 헤드(35)를 진퇴시킴으로써, 토글기구(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동플래튼(11)이 전진(도면에 있어서의 오른쪽방향으로 이동)되어 형폐(型閉; mold closing)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구동원(31)에 의한 추진력에 토글배율을 곱한 형체력이 발생되고, 이 형체력(型締力; mold clamping force)에 의해 형체가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글기구(22)를 작동시킴으로써 형체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토글기구(22)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원(31)에 의한 추진력을 그대로 형체력으로서 가동플래튼(11)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토글기구(22)는, 상기 크로스 헤드(35)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레버(36), 상기 토글 서포트(34)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레버(32), 및, 상기 가동플래튼(1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토글 아암(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글 레버(32)와 토글 레버(36)의 사이, 및, 토글 레버(32)와 토글 아암(33)의 사이가, 각각 링크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동플래튼(11)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화살표 A에서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화살표 B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의 화살표 C에서 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의 화살표 D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의 화살표 E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경우, 가동플래튼(11)에는, 복수의 상기 타이바(12)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수단인 타이바(12)와 맞물리는, 가이드홀로서의 타이바 가이드홀(46)을 구비하는 복수, 예컨대 4개의 가이드부(45)가 형성된다. 또,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46)의 각각에는 앞쪽과 뒤쪽에 미도시한 타이바 부시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이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이 타이바(1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46)과 타이바(12)의 틈에는, 윤활제로서의 그리스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바 부시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46)의 내주면이 타이바(12)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5)의 금형장착면(16)측의 면(50)은,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장착면(16)으로부터 더욱 안쪽으로 들어가서, 배면(20)측에 위치한다. 즉, 가동플래튼(11)의 금형장착면(16)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46)의 주위에는, 오목부(49)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오목부(49)는, 가동금형(24)과 반대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형성되고, 금형장착면(16)과 평행한 저면(底面)을 갖는다. 또, 상기 오목부(49)는, 예컨대 하나의 코너(角)가 둥글고 각 변의 길이가 타이바 가이드홀(46)의 직경보다 긴 직사각형과 같은 형상을 갖지만, 상기 오목부(49)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원형과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이로써,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가, 직접 금형장착면(16)으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동플래튼(11)은, 한쪽에 상기 금형장착면(16)이 형성된 금형장착판(15)을 갖는다. 여기서, 이 금형장착판(15)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에, 예컨대 금형 내의 캐버티에 돌출되는 이젝터 핀을 구동하기 위한 이젝터 로드 유닛 등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홀(51)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관통홀(51)은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금형장착판(15)의 두께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근이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로부터의 하중이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를 개재하여, 금형장착판(15)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의 배면(2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금형장착판(15)의 금형장착면(16)과 반대측의 면, 즉 배면(20)에는, 제1하중받이부로서의 상부하중받이부(13) 및 제2하중받이부로서의 하부하중받이부(17)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는, 각각 좌우로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지만, 하나로 된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3)는 토글기구(22)의 제1핀으로서의 상측 토글핀이 삽입되는 제1핀삽입홀로서의 상부핀 삽입홀(14)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하중받이부(17)는 토글기구(22)의 제2핀으로서의 하측 토글핀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홀로서의 하부핀 삽입홀(18)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핀 삽입홀(14) 및 하부핀 삽입홀(18)에는, 상측 토글핀 및 하측 토글핀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기 위한 부시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는,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이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는, 예컨대 단면(斷面)이 대략 직사각형인 통형상의 홀(44)을 구비하는 각통(角筒)모양의 형상을 갖는 것이지만,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의 상단은 상부하중받이부(13)에 접속되고, 하단은 하부하중받이부(17)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통형상 홀(44) 내의 공간에는,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장착된, 예컨대 이젝터 로드 유닛, 이젝터 로드 구동원 등의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3)는, 하중전달부재로서의 상부하중 전달부재(42)에 의해 상기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되고, 상기 하부하중받이부(17)는, 하중전달부재로서의 하부하중 전달부재(43)에 의해 상기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중 전달부재(42)의 금형장착판(15)측의 단부(端部)는,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3)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된다. 즉, 상기 상부하중 전달부재(42)는, 한쪽 끝이 상부하중받이부(13)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이 상부하중받이부(13)보다도 금형장착판(15)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된다. 또, 상기 하부하중 전달부재(43)의 금형장착판(15)측의 단부는, 상기 하부하중받이부(17)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상기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된다. 즉, 상기 하부하중 전달부재(43)는, 한쪽 끝이 하부하중받이부(17)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이 하부하중받이부(17)보다도 금형장착판(15)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는, 각각 좌우로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지만, 하나로 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중 전달부재(42)와 하부하중 전달부재(43)를 결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하나로 된 하중전달부재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의 금형장착판(15)측의 단부(端部)의 배면(20)에 접속되는 부분, 즉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 있어서는, 금형장착판(15)의 판두께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껍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금형장착판(15)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은,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로부터의 하중이,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를 개재하여 배면(20)에 전달되어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45)를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부 연결부재(48)가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5)는 복수, 예컨대 4개이므로, 상기 가이드부 연결부재(48)도 대응하는 수, 예컨대 4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가이드부 연결부재(48)의 한쪽 끝은 가이드부(45)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또는 하부하중 전달부재(43)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의 금형장착판(15)측의 단면(端面)은, 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으로부터 이간(離間)되어 있어서, 예컨대 이젝터 로드 유닛, 이젝터 로드 구동원 등을 설치하거나 점검하기 위한 작업에 적합한 작업홀(47)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작업홀(47)은, 예컨대 4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성형기의 오퍼레이터는,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장착된 이젝터 로드 유닛, 이젝터 로드 구동원 등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점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장착판(15), 상부하중받이부(13), 하부하중받이부(17), 상부하중 전달부재(42), 하부하중 전달부재(43),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 가이드부(45) 및 가이드부 연결부재(48)는, 형폐 및 형체의 힘을 받는 강도부재(强度部材; strong member)이기 때문에, 주조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가동플래튼(1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4에 나타낸 구동장치(30)의 구동원(31)이 작동하여, 크로스 헤드(35)를 전진시킴으로써, 토글기구(22)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가동플래튼(11)이 전진되어 가동금형(24)이 고정금형(25)에 접합(接合)되어 형폐가 행하여지고, 이어서 형체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미도시한 사출장치로부터 수지가 고압으로 사출되어, 상기 가동금형(24) 및 고정금형(25)의 캐버티공간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가 냉각하여 고화됨으로써 성형품이 성형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원(31)이 작동하여, 크로스 헤드(35)를 후퇴시킴으로써, 가동플래튼(11)이 후퇴되어 가동금형(24) 및 고정금형(25)으로부터 이간시켜서, 형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미도시한 이젝터 로드를 전진시키면, 이젝터 핀이, 상기 가동금형(24) 내부의 캐버티에 돌출하여 성형품을 이젝트한다. 이로써, 성형품이 꺼내어진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성형품이 성형된다.
그리고, 가동플래튼(11)은, 타이바(12)를 따라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바(12)의 각각에 대응하는 타이바 가이드홀(46)에는 앞쪽과 뒤쪽에 미도시한 타이바 부시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앞쪽의 타이바 부시와 뒤쪽의 타이바 부시와의 사이 부분에 그리스가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리스가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조금씩 진입하므로, 상기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윤활이 항상 양호하게 되어, 매끄럽게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플래튼(11)이 타이바(12)를 따라 부드럽게 진퇴할 수 있다.
여기서, 형폐 및 형체를 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글기구(22)의 상하 토글 아암(33)으로부터의 미는 힘(F1) 및 힘(F2)이, 가동플래튼(11)의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에 작용한다. 한편, 금형장착판(15)의 금형장착면(16)에는, 가동금형(24) 및 고정금형(25)을 통하여, 고정플래튼(23)으로부터의 반력이 미는 힘(F3)으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 이 힘(F3)의 중심은 금형장착면(16)의 중심축선(L3)을 따라 작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고, 상하 토글 아암(33)으로부터의 힘(F1) 및 힘(F2)은,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에 선(L1) 및 선(L2)을 따라 작용한다.
그런데,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의 금형장착판(15)측의 단부는 이 금형장착판(15)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하 토글 아암(33)으로부터의 힘(F1) 및 힘(F2)은,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에 전달되어, 힘(F1&apos;) 및 힘(F2&apos;)으로서, 선(L6) 및 선(L7)을 따라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의 점(P1) 및 점(P2)에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선(L6) 및 선(L7)은,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의 중심선(L4) 및 중심선(L5)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과 교차하는 점(P1) 및 점(P2)을 통과하고, 중심축선(L3)과 평행한 직선이다. 또, 힘(F1&apos;) 및 힘(F2&apos;)의 크기는, 힘(F1) 및 힘(F2)과 각각 같다.
이 경우, 선(L6) 및 선(L7)과 중심축선(L3)과의 거리(R2)는 짧기 때문에, 힘(F1') 및 힘(F2')에 의해 금형장착판(15)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는 작아진다.
이에 반하여, 가동플래튼(11)이, 만약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가동플래튼(100)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선(L1) 및 선(L2)이 금형장착판(15)의 배면과 교차하는 점(点)에 힘(F1) 및 힘(F2)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선(L1) 및 선(L2)과 중심축선(L3)과의 거리(R1)가 상기 거리(R2)보다도 훨씬 길기 때문에, 금형장착판(15)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커져 버린다.
이와 같이, 금형장착판(15)에 작용하는 상하 토글 아암(33)으로부터의 미는 힘(F1&apos;) 및 힘(F2&apos;)의 작용점과, 반력이 미는 힘(F3)의 작용점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금형장착판(15)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작아진다. 그 때문에, 금형장착판(15)은 휨모멘트에 의해 휘지 않는다. 또, 금형장착판(15)의 중심부근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껍게 되어 있는 경우, 힘(F1&apos;) 및 힘(F2&apos;)에 의해, 금형장착판(15)이 변형되지도 않는다.
그리고,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는,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를 개재하여, 금형장착판(15)의 배면의 점(P1) 및 점(P2)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힘(F1) 및 힘(F2)에 의해, 점(P1) 및 점(P2)을 중심으로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밀어 넓히는 것과 같은 힘을 받게 된다. 즉,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를 서로 이간시키는 것과 같은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는, 하중받이부 연결부재(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토글 아암(33)으로부터의 힘은, 상부하중 전달부재(42) 및 하부하중 전달부재(43)에 전달되어,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의 중심에 가까운 점(P1) 및 점(P2)에 작용한다.
이로 인하여, 금형장착판(15)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작아지기 때문에, 금형장착판(15)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금형장착판(15)이 휘지 않는다. 따라서, 금형장착면(16)의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금형(24)이 변형되지 않고, 성형품의 성형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 가이드부(45)의 금형장착면(16)측의 면(50)은, 상기 금형장착면(16)보다도 배면(20)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타이바 가이드홀(46)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가, 직접 금형장착면(16)을 흘러내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의 것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3의 화살표 F에서 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3의 화살표 G에서 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화살표 H에서 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화살표 I에서 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화살표 J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금형 지지장치로서의 가동플래튼(11)에는, 복수의 상기 타이바(1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수단인 타이바(12)와 맞물리는 가이드홀로서의 타이바 가이드홀(57)을 구비하는 복수, 예컨대 4개의 가이드부(55)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 가이드부(55)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45)와 거의 동일하여,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57)의 각각에는 앞쪽과 뒤쪽에 미도시한 타이바 부시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이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이 타이바(1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57)과 타이바(12)와의 틈에는, 윤활제로서의 그리스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바 부시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57)의 내주면이 타이바(12)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55)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부(45)보다도 짧아, 상기 가이드부(55)의 금형장착면(16)측의 면(56)은,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보다도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측으로 들어가 있다. 즉,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55)의 금형장착면(16)측의 면(56)과 상기 배면(20)과의 사이에는 틈이 생긴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는, 상기 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금형장착면(16)을 흘러내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구동장치(30)의 구동원(31)이 작동하여, 크로스 헤드(35)를 전진시킴으로써, 토글기구(22)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가동플래튼(11)이 전진되어 가동금형(24)이 고정금형(25)에 접합되어 형폐가 행하여지고, 이어서, 형체가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미도시한 사출장치로부터 수지가 고압으로 사출되어, 상기 가동금형(24) 및 고정금형(25)의 캐버티공간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가 냉각하여 고화됨으로써 성형품이 성형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원(31)이 작동하고, 크로스 헤드(35)를 후퇴시킴으로써, 가동플래튼(11)이 후퇴되어서 가동금형(24)이 고정금형(25)으로부터 이간하여, 형개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미도시한 이젝터 로드를 전진시키면, 이젝터 핀이, 상기 가동금형(24) 내부의 캐버티에 돌출하여 성형품을 이젝트한다. 이로써, 성형품이 꺼내어진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성형품이 성형된다.
또한, 가동플래튼(11)은, 타이바(12)를 따라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플래튼(11)의 상기 타이바(12)의 각각에 대응하는 타이바 가이드홀(57)의 각각에는 앞쪽과 뒤쪽에 미도시한 타이바 부시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앞쪽의 타이바 부시와 뒤쪽의 타이바 부시와의 사이 부분에 그리스가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리스가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조금씩 진입하므로, 상기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윤활이 항상 양호하게 되고, 매끄럽게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플래튼(11)이 타이바(12)를 따라 부드럽게 진퇴할 수 있다.
여기서, 형체장치가 장시간에 걸쳐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 상기 타이바 가이드홀(57) 또는 타이바 부시의 내주면과 타이바(12)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그리스가 조금씩 새어 나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55)의 금형장착면(16)측의 면(56)은,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보다도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측으로 들어가 있어서, 상기 면(56)과 배면(20)의 사이에는 틈이 생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금형장착면(16)측의 면(56)에 있어서, 상측의 두 개의 타이바(12)의 외주면과 타이바 가이드홀(57)의 내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는, 상기 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따라서, 상기 새어 나온 그리스는, 금형장착면(16)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금형장착면(16)이나 이 금형장착면(16)에 장착된 가동금형(24)이 상기 그리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새어 나온 그리스는 낙하하여, 프레임(21)의 면이나 형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닥면 등에 부착되지만, 이들 면은 가동금형(24)이나 고정금형(25)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면에 부착된 그리스가 성형품에 부착될 염려는 없다. 또, 상기 새어 나온 그리스는 미량(微量)이기 때문에, 형체장치나 그 주변의 환경 오염이라는 관점에서 보아도, 특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금형장착면(16)에 있어서의 상기 면(56)과 반대측의 면인 타이바(12)의 외주면과 타이바 가이드홀(57)의 내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도 흘러내려 낙하하지만, 상기 반대측의 면은 가동금형(24)이나 고정금형(25)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 면에 부착된 그리스가 성형품에 부착될 염려는 없다. 또, 상기 새어 나온 그리스는 미량이기 때문에, 형체장치나 주변의 환경 오염이라는 관점에서 보아도, 특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폐 및 형체를 할 때에 가동플래튼(11)에 작용하는 힘에 관해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55)의 금형장착면(16)측의 면(56)은, 금형장착판(15)의 배면(20)보다도 상부하중받이부(13) 및 하부하중받이부(17)측으로 들어가 있어서, 상기 면(56)과 배면(20)의 사이에는 틈이 생긴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금형장착면(16)측의 면(56)에 있어서, 상측의 두 개의 타이바(12)의 외주면과 타이바 가이드홀(57)의 내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는, 상기 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금형장착면(16)이나 이 금형장착면(16)에 장착된 가동금형(24)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해, 상기 금형장착면(16)이나 가동금형(24)에 부착된 그리스가 성형된 성형품에 부착되어 이 성형품이 불량품이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의 것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21)의 상면에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가이드 레일(63)이 장착되고, 가동플래튼(11)의 하단에 장착된 베이스부재(61)의 하면에 가이드부로서의 맞물림 가이드(6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61)를 생략하여, 상기 가동플래튼(11)의 하단면에 맞물림 가이드(62)를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63)은, 프레임(21) 이외의 부재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63)은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레일이고, 상기 맞물림 가이드(62)는,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캐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 웨이는, 리니어 시스템, 리니어 가이드, 또는 LM(Linear Motion)가이드라고도 하며, 캐리지가 레일에 맞물리고,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시스템이다. 이 경우, 캐리지와 레일의 사이에는, 롤러, 볼 등의 전동(轉動)부재가 다수 설치되고, 이 전동부재가 전동함으로써, 캐리지는 레일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상기 전동부재는, 캐리지에 지지되어, 순환경로 내를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는, 레일에 맞물려 있어서, 이 레일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레일의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캐리지에 레일의 축에 수직인 방향의 하중이 가해진 경우이어도, 캐리지는, 흔들거리지 않고, 레일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상기 가이드 레일(63) 및 맞물림 가이드(62)는,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레일 및 캐리지가 아니어도 좋다. 이 경우도, 상기 가이드 레일(63) 및 맞물림 가이드(62)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고, 맞물림 가이드(62)가 가이드 레일(63)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 가이드 레일(63)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63)과 맞물림 가이드(62)의 슬라이딩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공급되어, 마찰저항을 낮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맞물림 가이드(62)는, 가이드 레일(63)의 축에 수직인 방향(도 19에 있어서의, 예컨대 상하좌우방향)의 가중(加重)을 받아도, 가이드 레일(63)의 축방향(도 19의 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맞물림 가이드(62)는, 가동플래튼(11), 이 가동플래튼(11)에 장착된 가동금형(24) 등의 중량을 받으면서, 가이드 레일(63)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한다. 또, 가동플래튼(11)에 횡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이어도, 상기 맞물림 가이드(62)는, 흔들거리지 않고, 가이드 레일(63)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이, 타이바(12)가 가이드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플래튼(11)은,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은 가이드부(45) 및 가이드부(55)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타이바(12)가 통과하기 위한 노치(切缺; notch part)(58)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노치(58)는, 타이바(12)와 간섭하지 않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 및 크기의 것이어도 좋고, 또한 타이바(12)가 가동플래튼(11)의 바깥테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폐 및 형체를 할 때의 가동플래튼(11)의 동작, 및, 이 가동플래튼(11)에 작용하는 힘에 관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플래튼(11)의 하단에 장착된 맞물림 가이드(62)가, 가이드 레일(63)에 맞물려, 이 가이드 레일(63)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레일(63)은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레일이고, 상기 맞물림 가이드(62)는,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캐리지이다.
따라서, 가동플래튼(11)은,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매끄럽게 전진 또는 후퇴하기 때문에, 형폐, 형체 등일 때의 금형(金型)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되어, 고정밀도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또, 타이바(12)가 가이드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동플래튼(11)은,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은 가이드부(45) 및 가이드부(55)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타이바(12)의 외주면과 타이바 가이드홀의 내주면과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가, 금형장착면(16)이나 이 금형장착면(16)에 장착된 가동금형(24)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타이바(12)에 가동플래튼(11), 이 가동플래튼(11)에 장착된 가동금형(24) 등의 중량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기 타이바(12)가 변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금형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되어, 고정밀도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플래튼이 횡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횡치형의 사출성형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가동플래튼이 종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종치형의 사출성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사출성형기 이외에, 다이캐스트머신(die-cast machine), IJ실링프레스(injection sealing press machine) 등의 성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금형장착면을 구비하는 금형장착판과, 가이드수단과 맞물리는 가이드부와, 제1핀이 삽입되는 제1핀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하중받이부와,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하중받이부와,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하중받이부 연결부재와,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이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보다도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접속되는 하중전달부재를 갖는다.
이 경우, 금형장착판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 작용하므로 휨모멘트가 작아지고, 금형장착판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금형장착판이 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금형장착판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금형장착판의 휨이나 금형장착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하중전달부재는,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이 제1하중받이부보다도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접속되는 제1하중전달부재와, 한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이 제2하중받이부보다도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에 접근한 위치에서 이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접속되는 제2하중전달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금형장착판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은,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로부터의 하중이, 하중전달부재를 개재하여 배면에 전달되어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금형장착판, 가이드부, 제1하중받이부, 제2하중받이부, 하중받이부 연결부재 및 하중전달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강성이 더욱 높아져서, 금형장착판이 휘지 않는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하중받이부 연결부재는, 통모양의 형상을 구비한다.
이 경우, 통모양의 공간에는,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장착된, 예컨대 이젝터 로드 유닛, 이젝터 로드 구동원 등의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통모양의 형상은 각통모양의 형상이다.
이 경우, 하중받이부 연결부재의 강성이 높아져서, 변형되지 않는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하중받이부 연결부재의 금형장착판측의 단면(端面)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이 경우, 통모양의 공간에서는,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장착된, 예컨대 이젝터 로드 유닛, 이젝터 로드 구동원 등의 장치의 보수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타이바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타이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다.
이 경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가이드를 위한 수단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아도, 타이바를 따라 매끄럽게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가이드레일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리는 맞물림 가이드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어, 금형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되어, 고정밀도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바의 외주면과 가이드홀의 내주면의 사이로부터 새어 나온 그리스가, 금형장착면이나 이 금형장착면에 장착된 가동금형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레일이고, 상기 맞물림 가이드는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캐리지이다.
이 경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매끄럽게 전진 또는 후퇴하므로, 형폐, 형체 등일 때의 금형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되어, 고정밀도의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금형장착면측의 면은, 상기 금형장착면보다도 배면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새어 나온 그리스가, 직접 금형장착면을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그리스가 금형장착면이나 가동금형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장착면이나 가동금형에 부착된 그리스가 성형된 성형품에 부착되어 이 성형품이 불량품이 되지 않는다.
또 다른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금형장착면측의 면은, 상기 배면보다도 토글식 형체장치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새어 나온 그리스는, 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하므로, 금형장착면이나 이 금형장착면에 장착된 가동금형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기 금형장착면이나 가동금형에 부착된 그리스가 성형된 성형품에 부착되어 이 성형품이 불량품이 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가동플래튼(platen)에 있어서의 제1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가동플래튼에 있어서의 제2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출성형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화살표 A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6의 화살표 B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의 화살표 C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의 화살표 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7의 화살표 E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3의 화살표 F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3의 화살표 G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화살표 H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화살표 I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4의 화살표 J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동플래튼(platen)
12 : 타이바
13 : 상부하중받이부
14 : 상부핀 삽입홀
15 : 금형장착판
16, 37 : 금형장착면
17 : 하부하중받이부
18 : 하부핀 삽입홀
20 : 배면(背面)
22 : 토글기구
41 : 하중받이 연결부재
42 : 상부하중 전달부재
43 : 하부하중 전달부재
45, 55 : 가이드부
49, 57 : 타이바 가이드홀
50, 56 : 면(面)
62 : 맞물림 가이드
63 : 가이드 레일

Claims (18)

  1. 가동금형을 장착할 수 있고, 구동원에 의해 발생하는 추진력에 근거하여 하중을 받아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가동하는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가지는 성형기로서,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상기 가동금형을 장착할 수 있는 금형장착면을 가지는 금형장착판과,
    상기 하중을 받는 제1하중받이부 및 제2하중받이부와,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제1단(端)과, 상기 금형장착판에 있어서의 상기 금형장착면의 반대측의 면인 배면(背面)에 접속되는 제2단(端)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서 받은 하중을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전달하는 하중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상기 제2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착판은, 상기 금형장착면과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판두께를 가지고, 상기 배면 상의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제2단의 위치의 판두께는, 상기 배면 상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판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1하중받이부 및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상기 하중을 주는 토글기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글기구는,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에 접속하는 제1핀 및 제2핀을 가지고, 상기 제1하중받이부는,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제1핀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하중받이부는, 상기 제2핀이 삽입되는 제2핀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달부재는, 제1하중전달부재와 제2하중전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중전달부재는,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제1단과,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에 접속되는 제2단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서 받은 하중을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전달하고,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상기 제2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제1하중받이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고,
    상기 제2하중전달부재는, 상기 제2하중받이부 에 접속되는 제1단과,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에 접속되는 제2단을 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2하중받이부 에서 받은 하중을 상기 금형장착판의 배면에 전달하고,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하중전달부재의 상기 제2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중심과 상기 제2하중받이부 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가동금형 지지장치의 가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와 맞물리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또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 지지장치는 또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한쪽 끝이 상기 제1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제2하중받이부에 접속되고,
    상기 금형장착판, 상기 제1하중받이부, 상기 제2하중받이부, 상기 하중전달부재,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연결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통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축방향과 수직인 단면(斷面)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금형장착판에 면하는 단면(端面)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단면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타이바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타이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가이드레일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리는 맞물림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레일이고, 상기 맞물림 가이드는 리니어 가이드 웨이의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금형장착면 측에 단면(端面)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금형장착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방향에 이간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 수직인 방향의 면에 위치하는 측면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은,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의 위치보다도 상기 구동원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단면과 상기 금형장착판의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해당 성형기는, 사출성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
KR10-2002-0040686A 2001-07-13 2002-07-12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 KR100483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2985 2001-07-13
JPJP-P-2001-00212985 2001-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152A KR20030007152A (ko) 2003-01-23
KR100483849B1 true KR100483849B1 (ko) 2005-04-15

Family

ID=2803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686A KR100483849B1 (ko) 2001-07-13 2002-07-12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3849B1 (ko)
TW (1) TW5234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8975B2 (ja) * 2014-08-28 2018-06-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7196A1 (en) * 1995-06-07 1996-12-1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Uniformly compressible pla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7196A1 (en) * 1995-06-07 1996-12-1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Uniformly compressible pl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3453B (en) 2003-03-11
KR20030007152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5246B2 (ja) 射出成形機の可動金型支持装置
CN107538700B (zh) 合模装置
US6524095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nozzle touch mechanism
CN101323155A (zh) 合模装置
CN107107426B (zh) 打开/关闭装置和成型装置
JP4146855B2 (ja) 射出成形機の可動金型支持装置
JP3910389B2 (ja) 成形機の可動金型支持装置
KR100483849B1 (ko) 가동금형 지지장치를 구비한 성형기
CN215903873U (zh) 注射台结构及具有其的注塑机
TW202336880A (zh) 樹脂密封裝置
JP3958537B2 (ja) 成形機の型締装置
JP5976568B2 (ja) 射出成形機
CN207388207U (zh) 抽芯机构
JP3945207B2 (ja) 射出成形装置
JP2002327826A (ja) ボールねじ装置及び射出成形機の電動型開閉装置
JP2671356B2 (ja) 成形装置
JP3843801B2 (ja) ダイカスト装置の型開装置
JP2003266503A (ja) 成形機の可動プラテンサポート装置
WO2020233861A1 (en) Injection mold comprising slide
CN101497228B (zh) 注塑机注射机构
KR100763537B1 (ko) 금형 지지장치, 성형기 및 성형방법
CN209336020U (zh) 塑料模具中的斜导柱纵向分型装置
JP4667184B2 (ja) 射出成形機
CN217622126U (zh) 吹塑机电动合模结构
KR101206303B1 (ko) 사출압축 성형 장치 및 사출압축 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