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185B1 -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185B1
KR100482185B1 KR10-2004-0034099A KR20040034099A KR100482185B1 KR 100482185 B1 KR100482185 B1 KR 100482185B1 KR 20040034099 A KR20040034099 A KR 20040034099A KR 100482185 B1 KR100482185 B1 KR 10048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ormwork
concrete
delete dele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108A (ko
Inventor
노봉석
Original Assignee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filed Critical 종합건축사사무소세림(주)
Priority to KR10-2004-003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1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32Collecting of condensation water; Drainage ; Removing soli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7/00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파타이와 연결너트를 일체화하여 규격화함으로써 현장작업이 능률적이고 고품질의 공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스페이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되 미리 설치된 세파타이에 맞도록 현장에서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내, 외측 거푸집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양생 후에도 마무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AN APPARATUS FOR FORMING THE CONCRETE-WALL FOAM}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면 타설 시, 성형틀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양생틀인 거푸집을 체결하는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파타이와 스페이스를 개량한 것이다.콘크리트 벽면 거푸집의 체결구는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일정 형틀을 구성하는 거푸집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게 고정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내부에 체결구의 일부(세파타이)가 매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내부에 매설되는 세파타이, 연결너트, 내측 거푸집을 고정하는 본체볼트, 거푸집과 결합되어 벽면 성형 후 콘크리트벽면에서 이탈하는 스페이스로 대별된다.고정부를 갖는 세파타이는 연결너트와 연결되어, 현장에서 벽면에 맞도록 일정길이로 조절하여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스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벽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상기 세파타이와 연결너트를 콘크리트 벽면의 두께에 맞도록 일일이 짐작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세파타이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며, 현장에서 일일이 연결너트를 결합하는 작업공정이 필요하다.스페이스의 결합에 있어, 상기 스페이스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거푸집의 표면에 용접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거푸집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세파타이의 연결너트와 본체볼트를 정확하게 일치시킨 다음, 현장에서 용접 결합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공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파타이와 연결너트를 일체화하여 규격화함으로써 현장작업이 능률적이고 고품질의 공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페이스에는 탄성 걸림구를 구비하여 현장에서 거푸집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세파타이에 맞도록 현장에서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내, 외측 거푸집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양생에도 마무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콘크리트 벽면 거푸집의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파타이에는 본체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연결너트가 나사결합되고, 관체의 스페이스는 중간부분에 거푸집에 결합되도록 탄성 걸림구가 형성된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를 제공한다.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체결구를 사용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세파타이는 거푸집 체결시에 널리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그 한쪽은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부(1)가 형성되는 데, 고정부에는 쐐기핀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멍과, 콘크리트 타설 후 절단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거푸집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벽면 거푸집 체결구는 일단에 거푸집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과 절개홈이 형성된 고정부(1)가 구성되고 타단은 내부에 나사부(2)가 형성된 연결너트(3)가 결합된 세파타이(10), 관체(41)로 형성되며 관체(41) 전면에 완만한 경사면(42a)을 가지는 넓은 후렌지(42)로 구성되고 중앙은 관통공(43)이 있으며 관체(41)의 중간부분에는 탄성 걸림구(44)가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인 플라스틱재로 구성되어 있는 스페이스(40), 상기 스페이스(40)의 내부 관통공(43)을 통해서 상기 세파타이(10)의 연결너트(3)와 나사결합되는 본체볼트(30), 및 상기 본체볼트(30)를 타단과 결합하는 조임너트(5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걸림구(44)는 스페이스의 성형시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탄력성이 양호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내, 외 거푸집(A)(B) 사이에 본 발명인 체결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단면 표시한 것이며, 내·외 거푸집(A)(B) 사이에 콘크리트 몰탈(d)이 충전된다.도 3은 스페이스(40)의 확대 단면도로써 <가>도는 스페이스의 걸림구(44)에 거푸집 판넬이 삽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나>도는 도 2의 점선부분의 확대도로써 거푸집에 스페이스(40)가 삽지되고, 본체볼트(30)로서 중간너트(20)를 통해 세파타이(1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걸림구(44)의 선단의 후렌지(42)는 표면에 경사면(42a)이 구비되어 있어 콘크리트벽면의 표면과 밀접되지 않으며 양생 후에도 이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 두께에 맞는 치수의 세파타이(10)를 선택하여, 알려진 바와 같이 고정부(1)측에는 거푸집(A)를 고정하고, 타측 거푸집(B)에는 스페이스(40)를 결합하며 본체볼트(30)를 이용하여 세파타이(10)와 나사결합된 연결너트의 나사부(2)와 결합하여 양 거푸집(A)(B)사이를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설치한다.건설현장에서 세파타이와 연결너트를 일일이 조립할 필요가 없으며, 거푸집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콘크리트벽면 두께가 동일하다.스페이스(40)와 거푸집(B)의 결합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거푸집 판넬의 구멍에 끼우기만 하면 탄성 걸림구(44)에 의해 결합되므로, 현장에서 세파타이 위치에 알맞게 위치하여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스페이스(40)의 표면의 경사면(42a)은 매끄럽고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양생 후 콘크리트표면에서 이탈이 용이하다.상기와 같이 설치된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몰탈(d)을 충전하여 양생한 후 본체볼트(30)를 풀고 양측 거푸집을 떼어내면 고정부(1)의 절단부(c)와 스페이스의 이탈부(e)가 발생되며 이 공간에 콘크리트 충전물(F)을 채워 마무리한다.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스페이스(40)에는 관체와 일체로 구성된 탄성력이 우수한 탄성 걸림구(4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거푸집판넬의 정확한 위치에 끼우기만 하면 쉽게 고정되므로 현장에서 즉시 삽지하기만 하면 세파타이의 전방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스페이스의 결합이 용이하며, 또한, 스페이스는 관체로 형성됨으로 뒷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본체 볼트를 관통공 내부로 타격하여 삽입하거나 거푸집 판의 구멍 주변에 형성된 구멍형성시 발생된 잔재돌기(일명 "gang form"이라 함)에 의해서 스페이스가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단단하고 견고하다. 세파타이는 그 길이가 일정하므로 콘크리트벽면 두께가 일정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스페이스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므로 저가로 공급 할 수 있으며, 녹에 의한 오염의 염려가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면이 균일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스페이스가 관체로 형성되어 단단하고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파손될 위험이 없으며, 현장에서 세파타이의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어 유용하며 저가로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후 해체된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분리된 후 마무리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1 : 고정부 2 : 나사부3: 연결너트 10 : 세파타이30 : 본체볼트 40 : 스페이스41 : 관체 42 : 후렌지42a : 경사면 43 : 관통공
44 : 걸림구 50 : 조임너트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

  1. 일단에 거푸집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과 절개홈이 형성된 고정부(1)로 구성되고, 타단은 내부에 나사부(2)가 형성된 연결너트(3)가 결합된 세파타이(10),
    관체(41)로 형성되며, 관체의 전면에 완만한 경사면(42a)을 가지는 넓은 후렌지(42)로 구성되고, 중앙은 관통공(43)이 있으며 관체(41)의 중간부분에는 탄성 걸림구(44)가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인 플라스틱재로 구성되어 있는 스페이스(40),
    상기 스페이스(40)의 내부 관통공(43)을 통해서 상기 세파타이(10)의 연결너트(3)와 나사결합되는 본체볼트(30), 및
    상기 본체볼트(30)를 타단과 결합하는 조임너트(50)를 포함되는 콘크리트 벽면 거푸집 체결구.
KR10-2004-0034099A 2004-05-14 2004-05-14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KR10048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99A KR100482185B1 (ko) 2004-05-14 2004-05-14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99A KR100482185B1 (ko) 2004-05-14 2004-05-14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30U Division KR200314580Y1 (ko) 2003-01-29 2003-01-29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108A KR20040070108A (ko) 2004-08-06
KR100482185B1 true KR100482185B1 (ko) 2005-04-14

Family

ID=3735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99A KR100482185B1 (ko) 2004-05-14 2004-05-14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039B1 (ko) * 2013-09-30 2014-07-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108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185B1 (ko)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KR101465514B1 (ko) 철근 이음용 슬리브
KR200314580Y1 (ko) 콘크리트벽면 거푸집의 체결구
EP2009299A2 (en) Anchor bolt
US6910672B2 (en) Corner assembly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0291490Y1 (ko) 거푸집용 콘너트
KR200464075Y1 (ko) 콘크리트 기둥 형틀 조임구
JP3831069B2 (ja) 雄抜型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型および雄抜型の取付方法
KR101755373B1 (ko) 거푸집 고정 장치
JP4676447B2 (ja) 外装コンクリート管の製造方法及び外装コンクリート管製造用型枠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354534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
JP2003253881A (ja) コネクタ兼用壁係止補助具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KR200277931Y1 (ko) 거푸집 연결용 스페이서
JP2778533B2 (ja) 型枠構造体の間隔設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型枠構造体施工法
JP2001011869A (ja) 基礎断熱型枠取付用巾止部材および基礎断熱型枠の取付構造
KR200392006Y1 (ko) 세파타이
KR200337177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JPH0734109Y2 (ja) 鉄筋継手スリーブ固定治具
KR200381298Y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47368Y1 (ko) 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장치
JP2004027612A (ja) 断熱材の取付け構造及び取付け方法
JPH06108640A (ja) コンクリート壁の断熱支持具とこの支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構造
JP3056344U (ja) コンクリート型枠対向間隔保持固定用具および締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