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958B1 -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958B1
KR100480958B1 KR10-2002-7000616A KR20027000616A KR100480958B1 KR 100480958 B1 KR100480958 B1 KR 100480958B1 KR 20027000616 A KR20027000616 A KR 20027000616A KR 100480958 B1 KR100480958 B1 KR 10048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id
weight
momordica charanti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196A (ko
Inventor
칸나 푸시파
Original Assignee
칸나 푸시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칸나 푸시파 filed Critical 칸나 푸시파
Publication of KR2002002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몸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추출되고, 소염제, 관절염 치료제, 혈관 확장제 및 상처 치유제로서 사용되는 신규 오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오일은 카프르산 0.7 내지 1.2 중량%, 라우르산 0.6 내지 1 중량%, 팔미트산 4.2 내지 5.0 중량%, 스테아르산 59 내지 62 중량%, 올레산 13 내지 15 중량%, 알키드산 3 내지 5 중량%, 리놀레산 8 내지 10 중량% 및 다른 검출되지 않은 소량의 산들 6 내지 8 중량%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OIL FROM MOMORDICA CHARANTIA L.,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여주)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신규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소염제, 관절염 치료제, 혈관확장제 및 상처 치유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여주)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신규 오일에 관한 것이다. 모모르디카 카란티아는 아시아에서 널리 재배되는 박과의 다년생 초이다. 상기 약초는 인도, 남아프리카, 필리핀, 중국 및 미얀마와 같은 열대국가의 특산물이다. 서방 국가들에서 발견되는 모모르디카 종들은 상기 국가의 열대 종들과는 형태 및 감각수용 특성들이 다르다. 상기 식물의 다양한 부분들, 특히 열매는 혈당강하 약제 조성물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 열매의 추출물/즙은 혈당강하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종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혈당 수준을 낮추는데 권장되고 있다.
다양한 식물 원료들로부터의 천연 오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916,573 호에는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포도씨 오일이 개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미국 특허 제 5,900,240 호에는 약초 조성물 및 혈당강하제로서의 그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조성물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의 추출물을 하나의 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단지 혈당강하 조건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추출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약학 조성물들을 업계에서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들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이며 염증이나 상처와 같은 외부적인 징후 및 병적인 증상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비록 모모르디카 스페시즈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는 과제이기는 하나,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에 대한 문헌은 없다. 실제로, 업계에는 소염, 혈관확장, 관절염 치료 성질을 나타내는 오일이 부족하다.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 자체는 문헌에 보고되어 있지 않다. 즉, 본 발명은 모모르디카 오일과 그의 성질에 대한 최초의 자세한 연구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종자로부터의 오일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또 다른 목적은 인간 및 동물에서 당뇨병 및 혈관확장 증상으로 인해 나타난 염증, 상처, 관절염, 신경병증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또 다른 방법은 임의의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담체와 혼합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상기 및 기타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카프르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알키드산, 리놀레산, 기타 검출되지 않은 소수의 산과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로부터 제조된 오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당뇨 환자에게서 나타난 관절염, 당뇨병 및 다른 증상들의 치료에 있어서 상기 오일 조성물의 용도를 교시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환자들의 병적인 상태와 그의 개선에 대한 사진이다:
도 1은 치료 전, 실시예 5에 개시된 환자의 오른쪽 발바닥 상의 회저 상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로 2 개월 치료한 후의 상기 발바닥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치료 전, 실시예 6의 남성 환자의 왼쪽 다리의 회저 상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바른 지 1 개월 후의 동일 환자의 상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바른 지 2 개월 후의 동일 환자의 다리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인 실시태양으로서 제공된 하기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카프르산 0.7 내지 1.2%
2. 라우르산 0.6 내지 1%
3. 팔미트산 4.2 내지 5.0%
4. 스테아르산 59 내지 62%
5. 올레산 13 내지 15%
6. 알키드산 3 내지 5%
7. 리놀레산 8 내지 10%
8. 다른 검출되지 않은 소량의 산들 6 내지 8%
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i) 건조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를 적합한 분쇄기(mill)에서 미세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ii) 상기 분쇄된 종자를 비극성 용매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단계,
(iii)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정치시켜 오일을 분리시키는 단계,
(iv) 상기 오일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상등액 층으로부터 수거하는 단계,
(v) 상기 (iv)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임의의 비극성 용매와 환류시켜 오일의 마지막 잔량을 회수하는 단계, 및
(vi) 상기 오일중의 불순물을 갖는 염을 침전시킴으로써 상기 오일을 정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를 쪼개고, 물로 2 내지 3 회 철저히 세척하여 상기 중에 불순물이 실질적으로 없게 만들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킨 후에 오일 추출용 종자로 사용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오일의 추출에 사용되는 비극성 용매는 아세톤과, 벤젠, 헥산, 석유 에테르 및 에틸 에테르의 그룹 중에서 선택된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용매는 종자 부피를 기준으로 1 내지 10 부피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비극성 용매 혼합물은 아세톤 대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부피비는 2 : 1 일 수 있다.
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2 내지 5% 농도의 아세트산 아연 수용액을 상기 오일 중의 단백질 및 다른 불순물들을 침전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아세트산 아연 수용액은 오일 부피 대비하여 동일 부피량에 해당하는 양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태양에서, 추출된 오일을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GLC)를 사용하여 그의 지방산 함량에 대해 분석한다.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불활성 기체를 흘려주는 조건에서 수행한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용출용매(eluent)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더욱 또 다른 태양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용출용매는 아세톤 대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의 부피비가 2 : 1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모모르디카의 대부분의 식물 부분은 다양한 정도로 본 발명에 개시된 오일을 함유함을 주목할 수 있다. 그 자체로서 상기 오일을 임의의 식물 부분,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수득한 오일은 짙은 붉은 색을 띤 오렌지색으로, 쓴맛을 갖는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출된 오일은 98.5%의 순도로 수득된다. 상기 오일은 수 불혼화성이다. 그러나, 상기는 벤젠, 석유 에테르, 에틸 에테르, 아세톤 및 헥산과 같은 비극성 용매에는 가용성이다.
본 출원인은 계속적인 사용을 통해 엄격하게 실험한 후에 상기 오일이 산화방지성과 소염 특성으로 유명한 리놀레산, 올레산 등과 같은 다수의 불포화 성분들을 함유하므로 소염, 관절염치료, 혈관확장 성질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은 매우 농후하며, 희석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을 다른 정유 또는 식물성 오일과 함께 혼합할 수도 있다. 모모르디카 카란티아의 오일과 혼합할 수 있는 정유는 코코넛 오일, 참깨 오일, 해바라기 오일, 올리브 오일, 팜 오일, 땅콩 오일 및 임의의 상기와 같은 식용 오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식용 오일을 모모르디카의 오일과 혼합하는 경우, 상기 오일 혼합물이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에 침투하는 것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모모르디카 오일 조성물은 75%의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을 코코넛 오일, 참깨 오일, 해바라기 오일, 팜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땅콩 오일 중에서 선택된 식물성 오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오일 조성물을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식물성 오일 및 정유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경우에 따라 라벤더 오일, 백단 오일 및 제라늄 오일과 같은 식물성 향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오일 조성물은 방향 성분 또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오일, 크림, 로션, 겔, 캡슐, 현탁액, 용액 또는 유화액,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이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인 모모르디카 카란티아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실온에서 정유와 12 시간 동안 철저히 혼합하고 교반한다. 이어서 향유, 방향 성분 또는 다른 첨가제들과 같은 나머지 성분들을 상기 조성물에 가하고 실온에서 10 시간 동안 와동시킨다. 상기 오일 조성물을 목적하는 깨끗하고 건조한 피부 영역에 손가락 끝이나 면봉을 사용하여 상기 영역을 뒤덮기에 충분한 양으로 바른다. 외부에 상해나 상처가 없는 부분에는, 상기 부분을 상기 오일 조성물을 바른 후 1 내지 2 분간 국소적으로 마사지할 것이 권장된다.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에 대한 상기 오일 조성물의 침투 효과는 소량의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E 함유 오일을 첨가함으로서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상기 오일 조성물의 국소적인 사용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부작용은 없다.
실시예 1(오일 제조예)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의 오일의 추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익은 과일로부터 건조 종자 100 g을 취하였다. 상기 종자를 쪼개었다. 이어서 상기 쪼개진 종자를 물로 3 내지 4 회 철저히 세척하여 상기에 모든 불순물들이 실질적으로 없도록 만들었다. 이어서 상기 종자를 진공 하에서 건조시키고 분쇄 장치를 사용하여 미세 분말로 분쇄시켰다.
임의의 다른 통상적인 장치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미세 분말을 1.5 부피배에 해당하는 양의 아세톤-헥산 혼합용매(2:1, v/v)로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철저히 교반하고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오일 층을 분리시켰다. 상등액 층으로서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오일을 동일 부피비에 해당하는 양의 2 내지 5% 아세트산 아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염, 단백질의 최종 잔량 및 다른 불순물들을 침전시켰다. 상기 오일을 원심분리시키고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상(아세톤:헥산 혼합용매 = 2:1, v/v; 아르곤 기체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한 오일은 하기 지방산들의 존재를 보였다 :
카프르산 0.8%
라우르산 0.70%
팔미트산 4.8%
스테아르산 60.3%
올레산 13.0%
알키드산 3.0% 및
리놀레산 10.0%.
다른 소량의 검출되지 않은 성분 및 산 6.4%.
상기 오일은 또한 에스테르 및 다른 검출되지 않은 소량 성분들을 함유한다.
실시예 2: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의 오일의 추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익은 과일로부터 건조 종자 200 g을 취하였다. 상기 종자를 쪼개었다. 이어서 상기 쪼개진 종자를 물로 3 내지 4 회 철저히 세척하여 상기에 모든 불순물이 실질적으로 없도록 만들었다. 이어서 상기 종자를 진공 하에서 건조시키고 분쇄 장치를 사용하여 미세 분말로 분쇄시켰다.
임의의 다른 통상적인 장치를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미세 분말을 1.5 부피배에 해당하는 양의 아세톤-벤젠 혼합용매(2:1, v/v)로 처리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철저히 교반하고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상등액 층 중의 오일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분리시켰다. 여액을 아세톤-벤젠과 환류시키고 상기 과정을 2 내지 3 회 반복하여 최종 잔량의 오일을 분리시켰다. 상등액 층으로서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오일을 동일 부피비에 해당하는 양의 2 내지 5% 아세트산 아연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염, 단백질의 최종 잔량 및 다른 불순물들을 침전시켰다. 상기 오일을 원심분리시키고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상에서 분석하였다.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톤:벤젠 혼합용매 = 2:1, v/v; 아르곤 기체 조건)를 사용하여 정제한 오일은 하기 지방산들의 존재를 보였다 :
카프르산 0.9%
라우르산 0.70%
팔미트산 4.8%
스테아르산 60.1%
올레산 13.81%
알키드산 3.28% 및
리놀레산 10.0%.
다른 소량의 검출되지 않은 산 6.11%.
상기 오일은 또한 에스테르 및 다른 검출되지 않은 소량 성분들을 함유한다.
실시예 3: 오일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내지 2에 논의된 바와 같이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비이커에서 보관하였다. 순수한 참깨 오일을 상기에 3:1의 비로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연속해서 철저히 4 내지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에, 백단 오일과 같은 향유뿐만 아니라 방향 성분을 상기 혼합물에 가하고 연속해서 철저히 4 내지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배합물을 시원하고 건조한 장소에서 용기 중에 보관하였다.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용액, 로션, 크림, 오일, 겔, 스틱, 스프레이, 연고, 밤제, 페이스트, 에어로졸 등을 포함한 광범위하게 다양한 물리적인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연고의 제조를 위해서, 상기 오일 조성물의 유효 성분들을 인간 피부에 국소 투여하기 적합한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에 혼입시킬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자체는 상기를 인간에게 투여하기 적합하게 만들기에 충분한 순도와 낮은 독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담체는 조성물 전체 부피의 대부분인 8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합한 담체 시스템을 사용하여 크림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조성물을 바세린 브랜드의 인텐시브 케어 로션으로서 통상 알려진 글리세린, 광물성 오일,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및 다른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로션 비히클에 도입시킴으로써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카프르산 0.9%
라우르산 0.8%
팔미트산 4.2%
스테아르산 60.90%
올레산 13.30%
알키드산 3.20% 및
다른 소량의 검출되지 않은 성분 및 산 6.90%.
상기 오일 조성물의 크림, 로션, 겔 및 다른 형태들을 제조하고 하기의 실시예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개인 사례:
하기는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로 치료한, 관절염, 당뇨병, 개방창, 염증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일련의 확인 사례들이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는 오일 조성물(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겔, 로션, 현탁액, 크림 등)의 국소 적용을 포함하였다. 상기 환자들의 연령 그룹은 30 세에서 80세의 범위였다. 상기 집단의 평균적인 발병 지속 기간은 5 내지 6 년 이상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치료하기 전의 모든 환자들은 표준적인 근거의 요법, 운동 등을 사용하였다. 본 원에 개시된 오일 조성물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상기 환자들은 요가와 운동을 제외한 다른 약물들의 사용을 삼갔다. 각 개인 사례로부터의 구체적인 발췌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개시한다.
실시예 4:
접수원으로 일하는 30 세 된 여성은 오른쪽 팔꿈치에 타박상이 있었다. 오일 조성물을 상기 팔꿈치에 생성된 타박상에 적용하였다. 먼저 상기 팔꿈치를 깨끗하게 하고 건조시키고 상기 오일 조성물을 면봉을 사용하여 서서히 적용하였다. 상기 오일 조성물을 약 3 내지 5 주간 매 4 시간 후에 규칙적으로 적용하였다. 15 일의 끝에, 상기 타박상은 완전히 치유되었다.
실시예 5:
환자는 65 세 된 남성이었다. 상기 환자는 그의 오른쪽 발에 회저 상처가 있었다. 상기 회저는 진행된 상태였다. 이는 회저 고통이 심각한 경우였다. 새로운 혈액 공급이 없으므로, 어떤 치유도 정맥을 구성하지 못했다. 상기 환자는 본 발명의 오일 제형을 약 10 내지 12 주간 국소적으로 적용하였다. 각각의 적용 후에, 상기 환자는 그가 겪은 통증의 경감을 기록하였다. 6 주 자체의 끝에서, 상기 상처는 건조되기 시작하였고 결국 12 주 후에는 상기 상처가 완전히 치유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일 제형을 사용하여 치료를 개시한 때의 회저 상처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치료의 12 주의 끝에서 건조된 상처를 나타낸다.
실시예 6:
45 세 된 여성 환자였다. 상기 환자는 만성 당뇨병 환자였다. 그녀는 왼쪽 다리에 괴사 상처가 있었다. 상기 환자는 본 발명의 오일을 1997년 7월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1 개월 사용 후에, 상기 환자는 크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상처는 건조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고 상기 환자는 또한 통증의 경감을 경험하였다. 14 주 자체의 끝에서, 상기 상처는 완전히 치유되고 건조되었다.
실시예 7:
한가지 사례로, 52 세 된 남성이 3 내지 4 in. 직경의 다리 궤양을 갖고 있었다. 상기 궤양은 상기 영역에 세포 성분들의 파괴로 인한 것이었다. 상기 환자는 표준적인 약물 치료 중이었다. 상기 환자는 상처를 깨끗하게 하고 오일 조성물을 매일 4 시간마다 환부에 적용하였다. 상기 치료를 4 개월 간 계속하였다. 두 번째 달의 끝에서, 상기 상처는 제한적으로 건조되었고 치유의 징후가 나타났다. 3 개월 후에, 상기 치유는 훨씬 진행되었다. 4 개월의 끝에 상기 상처는 완전히 치유되었고 조직은 재생되기 시작하였다.
실시예 8:
다음 사례는 인도 델리에 기반을 둔 53 세 시장 조사원으로, 신경성 손톱 바닥과 함께 두 번째 발가락에 습성 회저가 있었다. 상기 환자는 걸을 수가 없었으며 통증이 심했다. 그는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를 하루에 약 3 회 적용시켰다. 상기 치료를 2 개월 간 계속하였으며, 상기 기간의 끝에서 상기 손톱, 손톱 바닥뿐만 아니라 발가락이 완전히 치유되었다. 3 개월 후에, 상기 환자는 정상적인 발가락을 갖게되었다.
실시예 9:
35 세 된 남성 공인 회계사로, 6 년 이상 골관절염을 앓고 있었다. 그는 오른쪽 무릎에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했으며 지팡이 없이는 걸을 수 없었다. 상기 무릎이 거의 뻣뻣해졌을 때 그의 움직임은 제한되었다. 검사 결과 활액이 건조되어 근육이 압박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경구 약물과 진통제를 사용했지만 전혀 효과가 없었다.
상기 환자는 약 3 개월 간 하루에 3 내지 4 회 상기 무릎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계속해서 적용하였다. 첫째 주 후에, 통증이 대단히 감소되었다. 상기 환자에게는 가능한 정도로 운동이 권장되었다. 2 주 후에, 상기 환자는 무릎을 통증없이 45°까지 구부릴 수 있었다. 6 주 후에, 그는 무릎을 전 범위로 구부리고 회전할 수 있었다. 그는 계속해서 상기 조성물을 적용했고 8 주 후에는 자유롭게 걸을 수 있었다.
실시예 10:
또 다른 사례로, 52 세 된 가정주부가 비만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또한, 상기 환자는 염증으로 인해 무릎과 발목 통증을 호소했다. 상기 환자는 거의 걸을 수가 없었다. 그녀는 약물과 주사를 포함한 표준 약물 치료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그녀에게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
상기 환자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하루에 4 회 무릎과 발목에 적용), 그녀는 첫 번째 주 자체에 말할 수 없을 정도의 지속적인 통증이 완화되었다. 2 내지 3 주 후에, 그녀는 서있을 수 있었고 제한된 정도로 걷기 시작하였다. 3 주의 끝에서, 발목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했다. 무릎은 45°까지 구부릴 수 있었다. 8 주 후에, 상기 환자는 규칙적으로 걷기 시작했고, 무릎과 발목의 완전한 움직임/회전이 개시되었다.
실시예 11:
32 세 된 타이피스트 여성이 1 년 이상 척추염을 앓고 있었다. 상기 환자는 환부를 마사지하면서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상기 부위에 하루에 3 내지 4 회 규칙적으로 적용할 것이 권장되었다. 상기 약물 치료는 2 주 자체에 그녀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었다. 3 내지 4 주 후에, 상기 환자는 목운동을 탈환할 수 있었다. 완전한 움직임은 12 주 후에 관찰되었다.
실시예 12:
하나의 사례로, 42 세 된 여성 실험실 보조원에게 정맥류가 나타났다. 그녀는 직업 특성 상 장시간 서 있어야 했으며 굽이 높은 구두를 신는 습관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다리 근육이 이완 없이 장시간 동안 신장되었다. 전체 체중이 그녀의 관절과 발목에 집중되었다.
압박은 종아리의 모세혈관을 파열시키고 다리에 축적된 혈액은 푸른 얼룩으로 나타나며 정맥을 두껍게 할 수 있었다.
상기 환자는 운동이 권장되었으며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로 하루에 4 회 이상 마사지할 것이 권고되었다. 3 주 후에, 상기 푸른 얼룩은 흩어졌고 10 주 치료 후에 상기 얼룩이 사라졌다.
실시예 13:
상사 관리인으로 일하는 48 세 된 여성이 골관절염을 호소했다. 그녀는 왼쪽 집게손가락의 근위 지관절이 단축되는 중이었다. 양손의 지골에서 최소의 융합이 관찰되었다.
상기 환자는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하루에 약 4 회 적용할 것이 권장되었다. 상기 환자는 2 주 후에 통증의 완화와, 양손의 기능이 복원되었음을 보고했다.
실시예 14:
58 세 된 은행 지점장이 당뇨병을 앓고 있었다. 그는 또한 혈액 수준이 상승하는 신경병 증상을 보고하였다. 상기 환자에게는 그의 다리에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매일 4 회 적용할 것이 권장되었다. 그는 완화를 경험했으며 18 주 후에 상기 증상들이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실시예 15:
3 세 된 개가 개싸움에서 상처를 입었다. 상기 개는 그의 왼쪽 앞다리에 심한 상처를 갖고 있었다. 상기 상처는 직경이 약 1 ㎝이고 깊이는 약 1/2 ㎜이었다. 상기 상처를 깨끗하게 하고 거기에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매 4 시간 후에 규칙적으로 적용하였다. 10 일 후에, 상기 상처는 건조되어 상처 부위의 조직이 재생되기 시작했다. 30 일 후에, 상기 상처는 완전히 치유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6:
4 세 된 말이 마구간에서 못에 의해 상처를 입었다. 상기 상처는 길이가 3 ㎝이고 깊이는 약 1/2 ㎜이었다. 상기 상처를 철저히 세척하고 거기에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거의 하루에 3 내지 4 회 적용하였다. 10 일 후에, 상처 난 부위에 걸쳐 충분 량의 조직이 자랐으며 25 일 후에는 완전한 치유가 관찰되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한 환자들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하는 표이다:

Claims (25)

  1. 소염제, 관절염 치료제, 혈관 확장제 및 상처 치유제로서 유용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Momordica charantia L.)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로,
    카프르산 0.7 내지 1.2 중량%
    라우르산 0.6 내지 1 중량%
    팔미트산 4.2 내지 5.0 중량%
    스테아르산 59 내지 62 중량%
    올레산 13 내지 15 중량%
    알키드산 3 내지 5 중량%
    리놀레산 8 내지 10 중량% 및
    다른 검출되지 않은 소량의 산들 6 내지 8 중량%
    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오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들의 바람직한 범위가 하기와 같은 오일:
    카프르산 0.9 중량%
    라우르산 0.8 중량%
    팔미트산 4.2 중량%
    스테아르산 60.90 중량%
    올레산 13.30 중량%
    알키드산 3.20 중량% 및
    리놀레산 9.80 중량%.
    다른 소량의 검출되지 않은 산들 6.90 중량%.
  3.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 70 내지 80 중량%
    하나 이상의 식물성 오일 15 내지 25 중량%
    향유 3 중량%
    정유 1 중량% 및
    하나 이상의 방향 성분 2 중량%
    를 포함하는 소염진통제용 오일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이 참깨 오일, 코코넛 오일,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팜 오일 및 다른 식용 오일 중에서 선택된 소염진통제용 오일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향유가 로즈 오일, 백단 오일, 제라늄 오일 및 라벤더 오일 중에서 선택된 소염진통제용 오일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크림, 겔, 로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물리적 형태인 소염진통제용 오일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소염진통제용 오일 조성물.
  8. (i) 건조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를 적합한 분쇄기에서 미세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ii) 상기 분쇄된 종자를 비극성 용매들의 혼합물로 처리하는 단계,
    (iii)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48 시간 동안 정치시켜 오일을 분리시키는 단계,
    (iv) 상기 오일을 분별 깔때기를 사용하여 상등액 층으로부터 수거하는 단계,
    (v) 상기 (iv)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임의의 비극성 용매와 환류시켜 오일의 마지막 잔량을 회수하는 단계,
    (vi) 수중에 용해된 2 내지 5%의 아세트산 아연을 가하여 상기 오일로부터 불순물을 갖는 염을 침전시킴으로써 상기 오일을 정제시키는 단계, 및
    (ⅶ) 상기 추출된 오일을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분쇄 전에 모모르디타 카란티아 엘의 종자를 쪼개고, 물로 2 내지 3 회 철저히 세척하여 상기 종자에 불순물이 실질적으로 없게 만들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키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비극성 용매로 아세톤과, 벤젠, 헥산, 석유 에테르 및 에틸 에테르의 그룹 중에서 선택된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비극성 용매로 아세톤에 대한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부피비가 2:1인 혼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오일 70 내지 80 중량%
    하나 이상의 식물성 오일 15 내지 25 중량%
    향유 3 중량%
    정유 1 중량% 및
    하나 이상의 방향 성분 2 중량%
    를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제용 오일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이 참깨 오일, 코코넛 오일,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팜 오일 및 다른 식용 오일 중에서 선택된 관절염 치료제용 오일 조성물.
  18. 제 16 항에 있어서,
    향유가 로즈 오일, 백단 오일, 제라늄 오일 및 라벤더 오일 중에서 선택된 관절염 치료제용 오일 조성물.
  19. 제 16 항에 있어서,
    크림, 겔, 로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물리적 형태인 관절염 치료제용 오일 조성물.
  20. 제 16 항에 있어서,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관절염 치료제용 오일 조성물.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2-7000616A 1999-07-15 1999-07-15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0480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N1999/000030 WO2001005416A1 (en) 1999-07-15 1999-07-15 Oil from momordica charantia l.,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96A KR20020025196A (ko) 2002-04-03
KR100480958B1 true KR100480958B1 (ko) 2005-04-07

Family

ID=1107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616A KR100480958B1 (ko) 1999-07-15 1999-07-15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4786B1 (ko)
KR (1) KR100480958B1 (ko)
CN (1) CN100366245C (ko)
AU (1) AU1293600A (ko)
WO (1) WO2001005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6579B1 (fr) * 2001-06-29 2005-08-05 Pharmascience Lab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au moins une huile extraite de graines de cucurbitacees, son utilisation cosmetique, therapeutique et alimentaire
JP2004165152A (ja) 2002-10-21 2004-06-10 Canon Inc 気密容器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接合方法
FR2873295B1 (fr) * 2004-07-26 2006-12-01 Expanscience Sa Lab Utilisation d'au moins un triene d'acide gras conjugue pour la preparation d'un medicament destine au traitement de l'inflammation
US8071844B1 (en) 2007-09-13 2011-12-06 Nutritional Health Institute Laboratories, Llc Cultivated momordica species and extract thereof
KR20090040670A (ko) * 2007-10-22 2009-04-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상처 치료 촉진 효과를 갖는 목별자 추출물
CN101470077B (zh) * 2008-05-14 2011-06-15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采用拉曼光谱特征峰信号强度比值的橄榄油快速检测方法
JP6113954B2 (ja) * 2008-10-31 2017-04-12 リピッド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ーエイチエフ. 医薬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脂肪酸
WO2011054801A1 (en) * 2009-11-03 2011-05-12 Dsm Ip Assets B.V. Vegatable oil comprising a polyunsaturaded fatty acid having at least 20 carbon atoms
KR101229062B1 (ko) * 2012-09-28 2013-02-15 (주) 오베론코스메틱 여주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5012203B (zh) * 2015-08-21 2017-07-28 汕头市雅蒂化妆品有限公司 一种祛痘组合物及采用该组合物制得的面霜
CN105123021A (zh) * 2015-08-29 2015-12-09 固镇县益民养殖专业合作社 一种苦瓜种子快速催芽处理方法
KR102127570B1 (ko) * 2018-10-19 2020-06-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TR202009156A2 (tr) * 2020-06-12 2020-08-21 Emre Akman Enes Yara iyileşmesini ve iltihabın azalmasını destekleyici bitkisel takviye kremi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6573A (en) * 1995-08-21 1999-06-29 Spiers; Samantha M. Topical treatment of the skin with a grapeseed oil composition
US5900240A (en) * 1998-03-06 1999-05-04 Cromak Research, Inc. Herbal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hypoglycemic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96A (ko) 2002-04-03
WO2001005416A1 (en) 2001-01-25
AU1293600A (en) 2001-02-05
CN1361699A (zh) 2002-07-31
CN100366245C (zh) 2008-02-06
US6964786B1 (en)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958B1 (ko)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엘 오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961608B1 (ko) 말캉니 오일과 시프리올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CA3082615A1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KR20190056815A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Belkhodja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eucalyptus globulus essential oil
CS224620B2 (en) Cosmetic ag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RU2314120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нормализации структуры ткани щитовидной железы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WO2021236108A1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large-scale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US7361373B2 (en) Antipyrot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5320063A (ja) 活性酸素抑制剤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44086B1 (ko)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Suryawansh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Cold Cream By Using Aegle Marmelos
Lohdip et al. Som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hexadec-12-enoic acid isolated from Chenopodium ambrosioides linn
AT505085A1 (de) Pflanzenextrakt und seine verwendung
KR20090130905A (ko) 피탄트리올과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RU2128990C1 (ru) Мазь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ая и ранозаживляющая "вундэхил"
Jayaprakash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ultipurpose Herbal Cream
ZA200200111B (en) Novel oil from momordica charantia L.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s.
KR100507323B1 (ko)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0165938B1 (ko) 청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KR20070073251A (ko) 승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