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130B1 -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 Google Patents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130B1
KR100479130B1 KR10-2002-0069375A KR20020069375A KR100479130B1 KR 100479130 B1 KR100479130 B1 KR 100479130B1 KR 20020069375 A KR20020069375 A KR 20020069375A KR 100479130 B1 KR100479130 B1 KR 10047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
dough
roll
noodles
ki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300A (ko
Inventor
임승수
임영순
Original Assignee
임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수 filed Critical 임승수
Priority to KR10-2002-006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1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Filled, stuffed or multilayered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4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국수에 있어서, 조성물이 다르게 혼합된 2종류 이상의 복합분을 사용하여 각각 반죽하고, 면대(20)를 형성할 때 상기 반죽(30,30')들이 한 장의 면대(20)에 좌우로 등분되어 일정부분씩을 구성시킴으로써 상기 면대(20)를 선절하여 국수가락(40)을 제조하면 동시에 선절된 국수가락 한 손(41) 중에 조성 과 물성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이 혼합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多色)국수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서로 다른 조성을 갖는 두 종류 이상의 밀가루 복합분에 일정량의 염수를 가한 후 별개의 용기를 사용하여 각각 반죽하고, 반죽받이(10)에 내부를 좌우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단(11)을 구성시켜 상기 반죽(30,30')들을 서로 구분되게 담은 후 압연롤(50)에 좌우로 일정범위씩 차지한 상태로 압연되도록 좌우 반죽(30,30')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면대(20)를 만든다. 상기 면대(20)는 좌측부(21)와 우측부(22)가 조성 과 물성이 다른 한 장으로 구성되며, 선절롤(60)을 통하여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국수가락(40)으로 제조된다. 선절롤(60)을 통하여 제조되는 국수가락(40)은 일반적으로 폭에 따라 50내지 150가락으로 선절되면서 적정길이로 절단되어 한 손, 한 손씩 제조되는데 본발명에 의해 제조된 국수가락 한 손(41)은 조성 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이 혼합되어 구성된다.
본발명에 의하면 별개로 반죽한 반죽(30,30')들을 이용하여 한 개의 생산라인을 통해 연속공정으로 조성 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40)을 서로 혼합된 형태로 용이하게 양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process of manufacture of the many-colors noodle and its products}
국수는 밀가루 또는 밀가루와 여러 가지 곡물가루 등을 혼합한 복합분에 일정량의 물과 소금을 넣어 반죽하고, 중화면이 대표적인 손으로 늘여 뽑는 수인면 과, 우동, 칼국수 등이 대표적인 일정형태의 면대를 형성한 후 선절하는 선절면 그리고 당면, 냉면 등이 대표적이며 작은 구멍이 뚫린 일정크기의 틀에 반죽을 넣고 압력을 가하여 뽑는 압출면 등으로 제조된다.
국수는 밀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글루텐(gluten)의 독특한 성질에 의하여 만들어지는데 밀가루와 혼합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국수의 물성이 크게 변한다. 즉, 국수의 물성은 밀가루 복합분의 혼합비율과 기타 면질개량제의 첨가 등 복합분의 조성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선절면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면대를 형성 후 환인(丸刃) 또는 각인(角刃)이 구비된 선절롤을 사용하여 가늘게 세절하여 만드는데, 종래의 면대형성방법은 압연롤 한 대당 한 통의 호퍼 또는 반죽받이만이 연결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 한번의 면대형성공정시에는 동일한 조성으로 혼합된 한 종류만의 반죽을 담아 압연시키는 방법으로 동일한 조성으로만 반죽된 면대를 형성하였다.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면대를 이용하여 선절면을 제조할 경우 동일한 조성을 갖는 국수가락만을 제조할 수 있었다.
종래 제조되고 있는 국수는 밀가루의 고유 색상인 흰색이 일반적이며, 메밀가루, 갈근분말 등 일부 기능성가루 등이 첨가된 유색국수가 생산되어 왔다. 최근 들어서는 소득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다시마분말, 클로렐라분말, 인삼분말 등 특정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국수의 영양가치를 향상시킨 제품들의 생산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조리기술의 발달과 소비성향의 고급화에 따라 조리식품의 외관적 품질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고 있으며, 국수 특유의 조직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종래의 단일형태의 원료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조성과 물성을 갖는 국수들을 혼합하여 조리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한 장의 면대를 조성과 물성이 다른 반죽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하여 국수가락한 손에 조성과 물성이 다른 국수가락이 혼합된 형태로 선절되도록 제조하는 방법은 아직 제시된 바 없다. 종래 다색(多色)국수의 제조는 각각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유색국수를 다시 수작업에 의하여 적량씩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왔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자동화가 어려워 산업적으로 양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서로 다른 조성과 물성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반죽들을 구분한 상태에서 동시에 압연롤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반죽받이에 일정형태의 분리단을 내설하고, 외관적 품질 뿐만아니라 물성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을 같은 생산라인을 통하여 동시에 선절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조성과 물성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반죽이 한 장의 면대에 좌우로 연결된 형대로 구성될 수 있는 면대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같은 선절롤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색국수를 양산할 수 있는 국수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압연롤(50)상부에 구성되는 반죽받이(10)에 일정형태의 분리단(11)을 내설하여 구성하고, 조성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복합분을 사용하여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반죽(30,30')들을 각각 제조하는 반죽 제조공정과, 상기 반죽(30,30')들을 분리칸(12,12')에 각각 담은 후 압연롤(5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반죽(30,30')들을 좌우로 일정량씩 동시에 투입하여 면대(20)의 좌측부(21)와 우측부(22)의 조성과 물성을 서로 다르게 구성시키는 면대 형성공정과, 상기 면대(20)를 선절롤(60)을 통과시켜 국수가락(40)으로 뽑는 선절공정과 선절된 국수를 일정크기의 용기에 담에 포장하는 포장공정을 통하여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이 동시에 선절되어 제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참고도 이고, 도2는 본발명의 면대를 보인 것으로(가)는 정면을 보인 것이며 (나)는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3은 본발명의 다른 구성형태를 보인 것이다.
본발명에 적용되는 밀가루 복합분은 밀가루 한가지 만으로 구성되거나, 밀가루에 일정량의 메밀가루, 쑥가루, 미역가루, 치자가루, 전분 등 제면에 사용 가능한 천연 원료들을 한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고유의 색상을 갖는 밀가루 복합분이 2종류 이상 사용된다.
반죽 제조공정은 조성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밀가루 복합분을 각각 물, 소금 등과 함께 일정시간 동안 혼합하여 2종류 이상의 반죽(30,30')을 각각 제조한다.
본발명의 특징부는 면대(20)의 좌측부(21)와 우측부(22)를 서로 다른 조성과 물성을 갖는 반죽으로 구성시키는 면대형성공정에 있다. 본발명에 적용되는 반죽받이(10)의 형태는 내측에 일정형태의 분리단(11)이 구성되어 조성과 물성이 서로 다른 반죽(30,30')들을 섞이지 않는 분리된 상태로 담을 수 있게 하여준다. 압연롤(50)은 폭 25 cm내외, 직경 20 cm내외의 원통형롤 2개가 맞물려 회전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면대 형성공정은 상기 압연롤(5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반죽받이(10)에 담겨진 2종류 이상의 좌우측 반죽(30,30')들을 동시에 투입하면 압연롤(50)의 압력으로 각 반죽(30,30')들이 서로 연결 부착되어 조성과 물성이 다른 각각의 반죽(30,30')들이 좌우로 같이 구성되어 좌측부(21)와 우측부(22)가 다른 물성과 조성을 갖는 한 장의 면대(20)를 제조한다.
한편 반죽받이(10)를 대신하여 호퍼통이 구성된 시설인 경우 호퍼통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조성과 물성이 다른 반죽(30,30')들을 각각 담을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호퍼통 배출구와 압연롤 사이에 서로의 반죽(30,30')들이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일정형태의 분리단을 부설하여 각각의 반죽(30,30')들이 압연되면서 좌측부(21)와 우측부(22)를 구성하여 한 장의 면대(20)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선절공정은 상기와 같이 좌측부(21)와 우측부(22)가 조성과 물성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상기 면대(20)를 5단 로울러를 통과시켜 두께를 점차 얇은 형태로 연연한 후 선절롤을 통과시켜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국수가락(40)으로 뽑는다.이때 선절공정을 통한 한 번의 절단으로 생산된 50내지 150가락의 국수가락 한 손(41)중에는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이 같이 구성된다.포장공정은 선절된 국수가락들을 용기형 또는 필름형의 일정용기에 담아 포장하거나, 건조, 유탕등 연속공정을 위한 중간산물로 포장된다.또한 상기 반죽제조공정, 면대형성공정과 선절공정을 별개의 라인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면대를 형성 및 선절한 다음,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시에는 각각의 국수가락들이 합쳐질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를 연결구성하고, 동시에 이송시킴으로써 포장공정에서는 한 손 중에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의 국수가락이 합쳐져 포장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도 있다.
본발명의 청구 범위는 아래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발명의 사상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내용들을 포함한다 할 수 있으며, 본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한 대의 반죽기를 이용하여 물 5리터에 소금 500g을 녹여 염수를 만든 후 밀가루 11Kg과 혼합하여 15분 동안 반죽하고, 다른 한 대의 반죽기를 이용하여 물 4.9리터에 소금 500g을 녹여 염수를 만든 후 밀가루 9Kg에 메밀가루 2Kg을 같이 혼합하고 15분 동안 반죽하여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의 반죽(30,30')들을 각각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만든 반죽(30,30')들을 반죽받이(10)에 분리단(11)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분리하여 분리칸(12,12')에 담은 다음 압연롤(5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반죽(30,30')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좌측부(21)와 우측부(22)가 서로 다른 조성을 갖는 두께 10 mm의 한 장의 면대(20)를 제조하고 25℃에서 60분간 숙성시킨다. 상기 면대(20)를 5단로울러를 통과하여 최종 두께 2 mm로 연연한 후 칼날 폭이 3 mm인 선절롤(60)을 통과시켜 40 cm길이로 잘라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의 국수가락(40)이 혼합된 형태의 다색국수를 제조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국수가락 한 손(41) 즉, 선절하면서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한 번의 공정을 통하여 생산할 수 있는 적정길이를 갖는 50내지 150가락의 국수가락(40) 중에 조성과 물성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이 혼합되어 구성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국수가락 한 손(41)중에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40)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조리국수의 외관적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뿐만아니라 견고한 조직과 부드러운 조직등이 혼합되어 구성된, 조직감을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국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다색국수 제조는 각각 조성이 다른 국수가락들을 제조한 후, 대부분 수작업을 통하여 그 국수가락들을 다시 일정량씩 서로 혼합하는 방법으로 다색국수를 제조하였는데 본발명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속공정을 통하여 한 손 단위로도 다색국수를 양산할 수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참고도 이고,
도2는 본발명의 면대를 보인 것으로
(가)는 정면을 보인 것이며
(나)는 측면을 보인 것이고,도3은 본발명의 다른 구성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반죽받이 11. 분리단 12,12'. 분리칸
20. 면대 21. 좌측부 22. 우측부
30, 30'. 반죽 40. 국수가락 41. 국수가락 한 손
50. 압연롤 60. 선절롤

Claims (2)

  1. 압연롤(50) 상부에 구성되는 반죽받이(10)에 일정형태의 분리단(11)을 내설하여 구성하고, 조성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복합분을 사용한 반죽 제조공정과, 상기 반죽(30,30')들을 분리칸(12,12')에 각각 담은 후 압연롤(5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반죽(30,30')들을 좌우로 일정량씩 동시에 투입하여 면대(20)의 좌측부(21)와 우측부(22)의 조성과 물성을 서로 다르게 구성시키는 면대 형성공정과, 상기 면대(20)를 선절롤(60)을 통과시켜 국수가락(40)으로 뽑는 선절공정을 통하여 조성과 물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국수가락을 동시에 선절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국수 제조방법.
  2. 압연롤(50) 상부에 구성되는 반죽받이(10)에 일정형태의 분리단(11)을 내설하여 구성하고, 조성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복합분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한 반죽 제조공정과, 상기 반죽(30,30')들을 분리칸(12,12')에 각각 담은 후 압연롤(5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반죽(30,30')들을 좌우로 일정량씩 동시에 투입하여 면대(20)의 좌측부(21)와 우측부(22)의 조성과 물성을 서로 다르게 구성시키는 면대 형성공정과, 상기 면대(20)를 선절롤(60)을 통과시켜 국수가락(40)으로 뽑는 선절공정을 통하여 국수가락 한 손(41)에 조성과 물성이 다른 국수가락이 함께 구성되어 제조된 다색국수.
KR10-2002-0069375A 2002-11-08 2002-11-08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KR100479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75A KR100479130B1 (ko) 2002-11-08 2002-11-08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75A KR100479130B1 (ko) 2002-11-08 2002-11-08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00A KR20020092300A (ko) 2002-12-11
KR100479130B1 true KR100479130B1 (ko) 2005-03-31

Family

ID=2772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375A KR100479130B1 (ko) 2002-11-08 2002-11-08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69B1 (ko) 2006-04-04 2008-04-14 구명서 무지개 칼국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224A (ko) * 2004-08-10 2006-02-15 고현수 다색(多色)냉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69B1 (ko) 2006-04-04 2008-04-14 구명서 무지개 칼국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00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45C (zh) 玉米馒头粉及其生产方法
KR100479130B1 (ko) 다색(多色)국수 제조방법 및 그 국수
JP3739070B2 (ja) 麺類用穀粉組成物
CN105613935A (zh) 威化冰淇淋筒及其制备方法
CN105285005A (zh) 一种铁皮石斛鲜花饼干及其制作方法
CN1379997A (zh) 冷面面条及其制造方法
KR100541166B1 (ko) 다색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색식품
JP3168547B2 (ja) ポテト生地用ミックス、ポテト生地の製造法およびポテト生地を用いたフライ食品
CN1228269A (zh) 食用包芯粉圆及其制作方法
KR960005055B1 (ko) 보리 가공면 제조방법
US3082092A (en) Method of making an alimentary paste product
KR200305713Y1 (ko) 복층(複層)구조를 가진 유색(有色)국수
EP4136977A1 (en) Method for producing bread and baked goods
JPS58209938A (ja) 金粉入りアメの製造方法
JPH1033131A (ja) 海老入り麺類の製造方法
CN107996659A (zh) 威化壳及其制备方法
CN107087796A (zh) 养生面及其加工方法
JP3642880B2 (ja) 着色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86399A (ko) 복층(複層)구조를 가진 유색(有色)국수
KR100653901B1 (ko) 해리성이 없는 식이섬유 인공미
KR20020093746A (ko) 복층(複層)구조를 가진 유색(有色)국수
RU41957U1 (ru) Пряник с обсыпкой (варианты)
CN112544654A (zh) 一种速冻油条及其制作方法
KR850000369B1 (ko) 꽃 과자의 제조방법
CN108740738A (zh) 茉莉花香面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