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696B1 -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696B1
KR100478696B1 KR10-2003-0013590A KR20030013590A KR100478696B1 KR 100478696 B1 KR100478696 B1 KR 100478696B1 KR 20030013590 A KR20030013590 A KR 20030013590A KR 100478696 B1 KR100478696 B1 KR 10047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wall
unit
stand
photograp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754A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기술
Priority to KR10-2003-001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6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내벽의 불량이나 마멸 정도를 고깔형 미러면을 통해 반사시킨 후 반사된 실린더 내벽을 촬영하여 모니터로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불량 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되고 전면으로 세로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탠드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와, 상기 내벽촬영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되며 상측 단부에 실린더 내벽을 상기 내벽 촬영부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 반사부고정대와, 상기 내벽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실린더 내벽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Inside injure detector for cylinder}
본 발명은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주조 및 도금과정이나 마멸량 측정과정에서 실린더 내경의 손상을 검출하여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는 피스톤 행정의 약 2배의 길이가 되는 진원통형으로 그 내부를 피스톤이 기밀을 유지하면서 왕복운동하여 제동력 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물로서, 보통 내마멸성이나 내식성이 좋고 주조와 기계 가공이 비교적 쉬운 주철이나, 특수주철, 예를 들면 Si, Mn, Ni, Cr 등을 포함하는 경합금의 일체 주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린더의 내경은 주조과정에서 정밀하게 연마다듬질 되어 있으며 벽의 마멸을 작게 하기 위하여 크롬 도금(Cr-Plating)을 하는데, 이 주조 및 도금과정에서 내벽이 정밀하게 연마다듬질 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되거나, 피스톤 행정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마멸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내벽의 불량이나 마멸된 실린더를 각종 동력기기의 브레이크나 엔진 등에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작동될 때 과열되어 고온으로 인해 그 기능이 저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내시경 등과 같은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벽의 불량이나 마멸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브레이크나 엔진 등에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 중 적당한 시기에 실린더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내시경 등의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벽의 불량이나 마멸 정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내시경으로 검출이 가능한 검출범위가 부분적이라 부정확하고, 검출장치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 내벽의 불량이나 마멸 정도를 고깔형 미러면을 통해 반사시킨 후 반사된 실린더 내벽을 촬영하여 모니터로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검출이 가능한 검출범위를 확대시켜 불량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되고 전면으로 세로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탠드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와, 상기 내벽촬영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되며 상측 단부에 실린더 내벽을 상기 내벽 촬영부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 반사부고정대와, 상기 내벽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실린더 내벽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된 스탠드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 고정되며 상측 단부에 실린더 내벽을 상기 내벽 촬영부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 반사부고정대와, 상기 반사부고정대의 하측 단부로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부고정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와, 상기 내벽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실린더 내벽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1)는, 스탠드부(20) 및 반사부고정대(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수직 고정되는 스탠드부(20)와, 스탠드부(20)에 장착되어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30)와, 베이스부(10)에 수직 고정되어 실린더(2) 내벽을 내벽촬영부(30)로 반사하는 반사부(41)를 고정하는 반사부고정대(40)와, 내벽촬영부(3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50)와, 내벽촬영부(30)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61)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스탠드부(20) 및 반사부고정대(40)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지지 및 고정한다.
상기 스탠드부(20)는 베이스부(10)에 수직 고정되는데, 이때, 몸체 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촬영부(3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안내하는 세로방향의 가이드홈(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부(20)의 일측 측면에는 후술되는 반사부고정대(40)의 반사부(41)와 동일한 높이에 제1 위치감지센서(71)가 부착된다.
상기 내벽촬영부(30)는 스탠드부(20)의 가이드홈(21)에 장착되고, 가이드홈(21)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2)의 내벽을 촬영한다.
특히, 상기 내벽촬영부(30)는 몸체 후면이 스탠드부(20)의 가이드홈(21)에 장착되는 촬영부지지대(31)와, 촬영부지지대(31)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실린더(2)가 안치되는 실린더안치대(32)와,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3)와, 실린더(2) 내부로 일정 조도 이상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부(3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영부지지대(31)의 몸체 후면이 스탠드부(20)의 가이드홈(21)에 장착되어 가이드홈(2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이동한다. 이때, 상기 촬영부지지대(31)의 일측 측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촬영부지지대(31)를 가이드홈(21)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61)의 이동기어(63)가 형성되고, 실린더안치대(32)에 놓여진 실린더(2)의 길이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72)(73)가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안치대(32)는 촬영부지지대(31)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2)가 안치되며, 그 중앙으로 상기 반사부고정대(40)가 관통하는 관통공(36)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부(33)는 촬영부지지대(31)의 전면 상부에 고정되어 반사부(41)로부터 반사되는 실린더(2)의 내벽을 촬영하여 모니터부(5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부(34)가 카메라부(33)의 하부로 촬영부지지대(31)에 고정되어 실린더안치대(32)에 안치된 실린더(2) 내부로 일정 조도의 광을 조사한다.
한편, 상기 반사부고정대(40)는 스탠드부(20)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베이스부(10)에 수직 고정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41)가 구비된 상측 단부가 내벽촬영부(30)의 실린더안치대(32)에 형성된 관통공(36)을 관통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직 고정된다.
특히, 상기 반사부고정대(4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된 반사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촬영부(30)의 실린더안치대(32)에 안치된 실린더(2)의 내벽을 반사하는 고깔형 미러면(Mirror Face)(42)과, 고깔형 미러면(42)을 하부에서 고정하는 미러면고정부(43)와, 미러면고정부(43)를 반사부고정대(40)에 체결하는 체결스크류(44)가 구비된다.
상기 고깔형 미러면(42)은 내벽촬영부(30)의 촬영부지지대(31)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안치대(32)의 관통공(36)을 관통하여 실린더안치대(32)에 놓인 실린더(2) 내부를 통과하면서 실린더(2) 내부 벽을 상부의 카메라부(33)로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미러면(42)이 고깔형이라 실린더(2)의 원형 내벽을 그대로 반사시킴으로써 카메라부(33)에는 원형의 실린더(2) 내벽이 촬영된다.
상기 체결스크류(44)는 상부에 구비된 고깔형 미러면(42)을 고정하는 미러면고정부(43)를 반사부고정대(40)의 측면에서 단단히 체결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부(50)는 카메라부(33)와 연결되어 내벽촬영부(30)의 카메라부(33)로부터 촬영된 실린더(2) 내벽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린더 내부의 손상 및 마모 정도를 검사하는 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부(50)에 디스플레이 되는 실린더 내벽은 고깔형 미러면(42)에 반사되어 카메라부(33)에 촬영된 원형의 실린더(2) 내벽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이동장치부(61)는 모터(6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60)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기어(62)와, 촬영부지지대(31)의 일측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기어(62)와 맞물려 내벽촬영부(30)를 가이드홈(21)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기어(6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60)는 촬영부지지대(31)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이동기어(63)를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기어(62)를 회전시켜 상·하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60)는, 스탠드부(20)의 일측 측면에 부착된 제1 위치감지센서(71)와, 촬영부지지대(31)의 일측 측면에 실린더(2) 길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72)(73)의 위치가 일치되면 그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즉, 상기 모터(60)는 제1 위치감지센서(71)와 제3 위치감지센서(73)가 동일한 위치가 되면 촬영부지지대(31)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1 위치감지센서(71)와 제2 위치감지센서(72)가 동일한 위치가 되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촬영부지지대(31)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100)는, 스탠드부(120) 및 반사부고정대(1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수직 고정되는 스탠드부(120)와, 스탠드부(120)에 장착되어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130)와, 베이스부(110)에 수직 고정되어 실린더 내벽을 내벽촬영부(130)로 반사하는 반사부(141)를 고정하는 반사부고정대(140)와, 내벽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150)와, 내벽촬영부(130)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161)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0), 스탠드부(120), 내벽촬영부(130), 반사부고정대(140) 및 모니터부(150)의 기능 및 구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내벽촬영부(130)를 스탠드부(120)의 가이드홈(121)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촬영부(130)의 촬영부지지대(131) 하부에 구비된 볼트스크류(162) 및 웜기어(Worm Gear)(163)로 구성된 이동장치부(16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장치부(161)의 볼트스크류(162)는 촬영부지지대(131)의 하측 단부로부터 몸체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촬영부지지대(131)를 상기 스탠드부(120)의 가이드홈(121)을 따라 상·하 이동시킨다.
상기 웜기어(163)는 볼트스크류(162)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어 볼트스크류(162)를 회전시키는 웜휠(Worm Wheel)(164)과, 상기 웜휠(164)과 맞물려 후술되는 모터(1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Worm)(165)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모터(16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되고, 웜기어(163)를 구동시켜 볼트스크류(16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벽촬영부(130)의 촬영부지지대(131)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160)는 스탠드부(120)의 일측 측면에 반사부고정대(140)의 반사부(141)와 동일높이에 부착되는 제1 위치감지센서(171)와, 촬영부지지대(131)의 일측 측면에 실린더안치대(132)에 안치된 실린더(2) 길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172)(173)의 위치가 일치되면 그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즉, 상기 모터(160)는 제1 위치감지센서(171)와 제3 위치감지센서(173)가 동일한 위치가 되면 촬영부지지대(131)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1 위치감지센서(171)와 제2 위치감지센서(172)가 동일한 위치가 되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촬영부지지대(131)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200)는, 스탠드부(220) 및 반사부고정대(2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에 수직 고정되는 스탠드부(220)와, 스탠드부(220)에 고정 장착되어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230)와, 내벽촬영부(230)로 실린더 내벽을 반사하는 반사부(241)를 고정하는 반사부고정대(240)와, 내벽촬영부(23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250)와, 반사부고정대(2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261)로 구성된다.
특히,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상기 촬영부지지대(231)가 스탠드부(220)에 고정 장착되는 대신, 반사부고정대(240)가 이동장치부(261)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내벽촬영부(230)로 실린더(2) 내측 벽을 반사시킨다.
상기 스탠드부(220)는 베이스부(210)에 수직 고정되는데, 이때, 몸체 전면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촬영부(230)가 고정 장착된다.
상기 내벽촬영부(230)는 몸체 후면이 스탠드부(220)에 고정 장착되는 촬영부지지대(231)와, 촬영부지지대(231)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실린더(2)가 안치되는 실린더안치대(232)와,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33)와, 실린더(2) 내부로 일정 조도 이상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부(234)로 구성된다.
상기 촬영부지지대(231)의 몸체 후면은 스탠드부(220)에 고정 장착되고, 일측 측면에는 실린더안치대(232)에 놓여진 실린더(2)의 길이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272)(273)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안치대(232)는 촬영부지지대(231)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2)가 안치되며, 그 중앙으로 상기 반사부고정대(240)가 관통하는 관통공(236)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부(233)는 촬영부지지대(231)의 전면 상부에 고정되어 반사부(241)로부터 반사되는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여 모니터부(25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부(234)가 카메라부(233)의 하부로 촬영부지지대(231)에 고정되어 실린더안치대(232)에 안치된 실린더(2) 내부로 일정 조도의 광을 조사한다.
상기 반사부고정대(2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부(220)의 전면으로 반사부(241)가 구비된 상측 단부가 실린더안치대(232)의 관통공(236)을 관통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직 고정되는데, 그 하측 단부에 반사부고정대(2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261)가 베이스부(210)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장치부(261)는 반사부고정대(240)의 하측 단부로부터 몸체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반사부고정대(240)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트스크류(262)와, 볼트스크류(262)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어 볼트스크류(262)를 회전시키는 웜휠(264)과 이 웜휠(264)과 맞물려 후술되는 모터(2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265)으로 이루어진 제2 웜기어(263)와, 제2 볼트스크류(262)의 회전시 반사부고정대(240)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봉(26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고정대(240)의 몸체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봉(266)이 관통됨으로써 반사부고정대(240)가 가이드봉(266)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24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고정대(240)는 상측 단부에 내벽 촬영부(230)에 안치된 실린더(2)의 내벽을 반사하는 고깔형 미러면(242)과, 고깔형 미러면(242)을 하부에서 고정하는 미러면고정부(243)와, 미러면고정부(243)를 반사부고정대(240)에 체결하는 체결스크류(24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고정대(240)는 상측 단부의 측면에 제1 위치감지센서(271)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고정대(240)는 이동장치부(261)에 의해 상·하 이동됨으로 그 상측 단부에 구비된 반사부(241)가 실린더(2) 내부로 진입하여 빈 공간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실린더 내벽을 내벽촬영부(230)의 카메라부(233)로 반사시킨다.
상기 모니터부(250)는 내벽촬영부(230)로부터 촬영된 실린더(2) 내벽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린더(2) 내부의 손상 및 마모 정도를 검사하는 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반사부고정대(240)를 상·하 이동시키는 모터(260)는 베이스부(210)에 고정되고, 웜기어(263)를 구동시켜 볼트스크류(26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사부고정대(24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260)는 반사부고정대(240)의 상측 측면에 부착되는 제1 위치감지센서(271)와, 촬영부지지대(231)의 일측 측면에 실린더안치대(232)에 안치된 실린더(2) 길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272)(273)의 위치가 일치되면 그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즉, 상기 모터(260)는 제1 위치감지센서(271)와 제3 위치감지센서(273)가 동일한 위치가 되면 반사부고정대(24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1 위치감지센서(271)와 제2 위치감지센서(272)가 동일한 위치가 되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사부고정대(24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는 브레이크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또는 사용중인 실린더(2)를 내벽촬영부(30)(130)의 실린더안치대(32)(132)에 올려놓는다.
다음, 모터(60)(160)를 구동시키면 이동장치부(61)(161)가 동작하여 촬영부지지대(31)(131)를 스탠드부(20)(120)의 가이드홈(21)(121)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실린더안치대(32)(132)의 관통공(36)(136)을 통해 반사부고정대(40)(140)의 반사부(41)(141)가 실린더(2) 내부의 빈 공간으로 진입하면서 고깔형 미러면(42)(142)을 이용해 실린더(2) 내벽을 카메라부(33)(133)로 반사시킨다. 이때, 카메라부(33)(133) 하부에 구비된 조명장치부(34)(134)는 일정 조도 이상의 광을 실린더안치대(32)(132)에 놓인 실린더(2) 내부로 조사함에 따라 고깔형 미러면(42)(142)에 실린더(2) 내벽이 용이하게 반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카메라부(33)(133)는 고깔형 미러면(42)(142)으로부터 반사된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정보를 모니터부(50)(150)로 전송하며, 모니터부(50)(150)는 촬영된 실린더(2) 내벽을 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촬영부지지대(31)(131)가 스탠드부(20)(120)의 가이드홈(21)(12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탠드부(20)(120)에 부착된 제1 위치감지센서(71)(171)와 촬영부지지대(31)(131)에 부착된 제2 위치감지센서(72)(172)가 동일선 상에 위치하면 모터(60)(160)의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하부로 이동하던 촬영부지지대(31)(131)는 그 이동방향이 바뀌어 다시 제1 위치감지센서(71)(171)와 제3 위치감지센서(73)(173)가 동일선 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부로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는 브레이크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또는 사용중인 실린더(2)를 내벽촬영부(230)의 실린더안치대(232)에 올려놓는다.
다음, 모터(260)를 구동시키면 반사부고정대(240)의 하측 단부에 구비된 이동장치부(261)가 동작하여 반사부고정대(24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실린더안치대(232)의 관통공(236)을 통해 반사부고정대(240)의 반사부(241)가 실린더(2) 내부의 빈 공간으로 진입하면서 고깔형 미러면(242)을 이용해 실린더(2) 내벽을 카메라부(233)로 반사시킨다.
그리고, 카메라부(233)는 고깔형 미러면(242)으로부터 반사된 실린더(2) 내벽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정보를 모니터부(250)로 전송하며, 모니터부(250)는 촬영된 실린더(2) 내벽을 검사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반사부고정대(240)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단부에 부착된 제1 위치감지센서(271)와 촬영부지지대(231)에 부착된 제2 위치감지센서(272)가 동일선 상에 위치하면 모터(260)의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던 반사부고정대(240)는 그 이동방향이 바뀌어 다시 제1 위치감지센서(271)와 제3 위치감지센서(273)가 동일선 상에 위치할 때까지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실린더 내벽의 불량 또는 마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엔진이나 브레이크 등에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중 적당한 시기에 실린더를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시경 등과 같은 고가의 검출장치가 없이도 실린더 내벽의 불량 또는 마멸 정도를 용이하게 검출함으로써 실린더의 내부손상을 브레이크나 엔진 등에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중 적당한 시기에 교체하여 이상 발생시 파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깔형 미러면을 통해 원형의 실린더 내벽을 전체적으로 카메라부에 반사시켜 촬영함으로써 검출이 가능한 실린더의 검출범위를 확대시켜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실린더 10, 110, 210 : 베이스부
20, 120, 220 : 스탠드부 21, 121, 221 : 가이드홈
30, 130, 230 : 내벽촬영부 31, 131, 231 : 촬영부지지대
32, 132, 232 : 실린더안치대 33, 133, 233 : 카메라부
34, 134, 234 : 조명장치부 40, 140, 240 : 반사부고정대
41, 141, 241 : 반사부 42, 142, 242 : 고깔형 미러면
50, 150, 250 : 모니터부 60, 160, 260 : 모터
61, 161, 261 : 이동장치부

Claims (11)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되고 전면으로 세로방향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의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
    상기 내벽촬영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되며, 상측 단부에 실린더 내벽을 상기 내벽 촬영부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 반사부고정대;
    상기 내벽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실린더 내벽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촬영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가이드홈에 몸체 후면이 장착되는 촬영부지지대;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가 안치되며, 그 중앙으로 상기 반사부고정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실린더안치대;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전면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하부로 촬영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안치대에 안치된 실린더 내부로 일정 조도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부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일측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상기 내벽촬영부를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기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부는,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하측 단부로부터 몸체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촬영부지지대를 상기 스탠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볼트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웜휠(Worm Wheel)과, 상기 웜휠과 맞물려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Worm)으로 이루어진 웜기어(Worm Gear)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내벽촬영부에 안치된 실린더의 내벽을 반사하는 고깔형 미러면;
    상기 고깔형 미러면을 하부에서 고정하는 미러면고정부;
    상기 미러면고정부를 상기 반사부고정대에 체결하는 체결스크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스탠드부의 일측 측면에 상기 반사부와 동일높이에 부착되는 제1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일측 측면에 상기 실린더안치대에 안치된 실린더 길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의 위치가 일치되면 그 회전방향이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7.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 고정된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내벽촬영부;
    상기 스탠드부의 전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 고정되며, 상측 단부에 실린더 내벽을 상기 내벽 촬영부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 반사부고정대;
    상기 반사부고정대의 하측 단부로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부고정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부;
    상기 내벽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실린더 내벽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벽촬영부는,
    상기 스탠드부에 몸체 후면이 고정되는 촬영부지지대;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전면 하부에 고정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가 안치되며, 그 중앙으로 상기 반사부고정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실린더안치대;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전면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실린더의 내벽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하부로 촬영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안치대에 안치된 실린더 내부로 일정 조도의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부는,
    상기 반사부고정대의 하측 단부로부터 몸체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반사부고정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볼트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웜휠(Worm Wheel)과, 상기 웜휠과 맞물려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웜(Worm)으로 이루어진 웜기어(Worm Gear);
    상기 볼트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반사부고정대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내벽촬영부에 안치된 실린더의 내벽을 반사하는 고깔형 미러면;
    상기 고깔형 미러면을 하부에서 고정하는 미러면고정부;
    상기 미러면고정부를 상기 반사부고정대에 체결하는 체결스크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반사부고정대의 상측 단부에 부착되는 제1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촬영부지지대의 일측 측면에 상기 실린더안치대에 안치된 실린더 길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및 제3 위치감지센서의 위치가 일치되면 그 회전방향이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KR10-2003-0013590A 2003-03-05 2003-03-05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KR10047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590A KR100478696B1 (ko) 2003-03-05 2003-03-05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590A KR100478696B1 (ko) 2003-03-05 2003-03-05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38U Division KR200317721Y1 (ko) 2003-03-05 2003-03-05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54A KR20040078754A (ko) 2004-09-13
KR100478696B1 true KR100478696B1 (ko) 2005-03-28

Family

ID=3736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590A KR100478696B1 (ko) 2003-03-05 2003-03-05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91B1 (ko) * 2019-05-21 2020-09-16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변형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88B1 (ko) * 2008-02-21 2010-05-07 (주)레이나 자동차의 엔진 실린더 오일홈 자동 측정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측정방법
KR101259346B1 (ko) * 2011-11-18 2013-04-30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단면 불량검사장치
CN110296825B (zh) * 2019-08-02 2021-02-02 浙江致远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水泥管材内部缝隙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91B1 (ko) * 2019-05-21 2020-09-16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변형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54A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3815B2 (ja) 薄肉大型軸受の試験装置
JP6297373B2 (ja) 薄肉大型軸受の試験装置
CN101644658A (zh) 瓶内异物检测设备及其抓瓶旋转装置
JP2017044476A (ja) 物品検査装置
KR100478696B1 (ko)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KR101751985B1 (ko) 광학장치를 이용한 관내부 검사 시스템
CN210005448U (zh) 一种应用于线路板缺陷检测的集成系统
KR101960913B1 (ko) 비전 베어링 검사장치
KR200317721Y1 (ko) 실린더의 내부손상 검출장치
JP3789761B2 (ja) グラビアシリンダー検査装置
KR100912651B1 (ko) 자동 영상 검사 장치
CN112161986A (zh) 一种光源角度可调的工件表面检测装置
JPS61144551A (ja) 長孔周壁検査装置
JP5128344B2 (ja) オイルシールの検査装置
CN1177217C (zh) 制动主缸体光电检测仪
KR100622264B1 (ko) 원전 수조내 중수로형 핵연료다발 제원측정 및 검사기기
JP5150316B2 (ja) エックス線分析装置用支持台
CN216081338U (zh) 光纤预制棒自动化检测设备
CN117570854B (zh) 一种齿轮加工精度检测装置
CN217304950U (zh) 外形检测设备
CN212255115U (zh) 一种通过计算机视觉技术对微小轴承表面缺陷检测的装置
CN219320126U (zh) 一种汽车驱动盘多向视觉缺陷检测装置
CN212872244U (zh) 一种内壁缺陷检测装置
CN219957395U (zh) 一种密封圈图像采集装置
CN217465725U (zh) 一种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