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432B1 -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432B1
KR100478432B1 KR10-2002-0028143A KR20020028143A KR100478432B1 KR 100478432 B1 KR100478432 B1 KR 100478432B1 KR 20020028143 A KR20020028143 A KR 20020028143A KR 100478432 B1 KR100478432 B1 KR 10047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terminal
mutua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189A (ko
Inventor
기꾸따게이이찌
쇼다시게오
오까무라다께시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2Scanning of subscriber line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3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5PIN / Access cod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6Digital apparatus individually associated with a subscriber line, digital li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7Numbering,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6Fault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9Modem,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7Release and resetting 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8Local loop systems, acc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장치가 최초로 액세스할 때, 서버는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 시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로 반송한다.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는, 단말 장치에서 전송되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시킨다.

Description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NETWORK CONNECTION RECOVERY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단말 장치가 장해에 의해서 접속 해제된 경우에, 그 접속을 복구시키기 위한 네트워크의 접속복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되어 왔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비스에서는, 서비스의 수신인인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이 어떠한 장해에 의해서 갑자기 접속 해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 경우, 노이즈 등의 원인으로 음질이 열화하면, 정보 처리 장치에 삽입된 데이터 통신용의 모뎀은 강제적으로 전화 회선과의 접속을 끊는다.
정보 처리 장치인 단말 장치에서 전화 회선을 통해 인터넷에 다이얼업 접속하는 경우, 통상, 단말 장치에는 접속할 때마다 매회 다른 IP 어드레스가 부여된다. 이것은, 인터넷에서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provider)로부터 사용자에게 할당 가능한 IP 어드레스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매회 동일한 사용자에게 할당하면, 그 사용자를 겨냥한 부정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IP 어드레스를 매회 바꾸는 것으로 시큐러티(security)를 높이는 효과도 겸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의 접속이 일단 접속 해제되면, 동일한 사용자가 다시 액세스하여 오더라도, 이전에 통신하고 있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롭게 액세스하여 온 사용자로서 취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에게 대하여 최초로 액세스했을 때와 마찬가지의 수속을 또 한번 처음부터 행할 필요가 있었다.
즉, 사용자는, 동일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인터넷에 다시 다이얼업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홈페이지 등에 액세스한 후, 예를 들면, 도중까지 받고 있는 서비스를 또 처음부터 받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ID나 패스워드의 전송 등의 초기 처리를 또 한번 행할 필요가 있어,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 처리 장치와의 재접속에 번잡한 처리를 반복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장해에 의해서 회선(통신 네트워크)과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라도, 번잡한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접속 해제 전에 통신하고 있는 단말 장치와의 재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 장치에서의 최초의 액세스 시에, 그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 시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생성하여, 그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송해 놓는다.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 후에 그 단말 장치에서 식별자를 전송시켜, 전송된 식별자에 의해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그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회복시킨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장해에 의해서 회선과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라도, 사용자는 번잡한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접속 해제 전에 사용자가 통신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와 재접속할 수 있다. 또한, 재접속의 수순이 간단하기 때문에, 접속 처리가 신속하게 행해져 서비스의 중단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특히, 재접속 절차 동안에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의 모두에 한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부정한 액세스가 방지됨과 함께, 그 사용자를 기만하는 다른 사람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보안 레벨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 서버 장치는 접속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및 그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각 단말 장치와 교환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서버 장치가 장해의 발생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해제 동안에도 단말 장치에 요금이 부과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해제된 경우라도 사용자의 실제의 접속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계약된 내용에 기초하여 접속 해제 시의 대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안을 제거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강사 및 학생이 소유하는 단말 장치 사이를 각각 접속하여, 음성이나 채팅 기능 등에 의해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면서, 사전에 제공된 교재를 이용하여 수업(이하, 레슨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음)을 행하는 교육 시스템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은, 이하에 기재하는 교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상품, 음악, 영상, 혹은 정보 등을 판매하는 판매 시스템과 같이, 소정의 보안 레벨을 확보하면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 혹은 임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쌍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서버 장치 및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육 시스템은 강사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인 강사 단말 장치(1)와, 학생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인 회원 단말 장치(2)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 액세스하여 온 사용자(강사 단말 장치(1) 및 회원 단말 장치(2))를 접수하는 웹 서버 장치(3)와,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의 접속/접속 해제를 제어하고, 접속 상태를 관리하는 호 제어 서버 장치(4)와, 학생이나 강사, 혹은 교육 시스템을 관리하는 스탭의 정보를 관리하는 DB 서버 장치(5)를 포함한다.
웹 서버 장치(3), 호 제어 서버 장치(4), 및 DB 서버 장치(5)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고, 강사 단말 장치(l) 및 회원 단말 장치(2)는 통신 네트워크(6)에 대한 접속 기능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웹 서버 장치(3), 호 제어 서버 장치(4), 및 DB 서버 장치(5)는 교육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도록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위임된 제3자에 의해서 관리된다.
강사 단말 장치(1) 및 회원 단말 장치(2)는 제공자 등이 관리하는 도시되지 않는 원격 액세스 서버 장치에 다이얼업 접속함으로써 각각 통신 네트워크(6)에 접속되어, 그 원격 액세스 서버 장치를 통해 웹 서버 장치(3) 및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접속되거나 혹은 상호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강사 단말 장치(1) 및 회원 단말 장치(2)는 서비스 제공자 등이 구축한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6)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대의 강사 단말 장치(1)에는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 복수(예를 들면, 최대 4대)의 회원 단말 장치(2)가 접속 가능하다. 이 l대의 강사 단말 장치(1)와 그것에 접속되는 적어도 1대의 회원 단말 장치(2)는 각 교실 71 ∼7n(n은 자연수)을 구성한다. 또한, 강사 단말 장치(1)에 접속 가능한 회원 단말 장치(2)의 수는 통신 네트워크(6)의 전송 대역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고, 전송 대역이 넓으면 보다 많은 회원 단말 장치(2)를 강사 단말 장치(1)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강사 단말 장치(l) 및 회원 단말 장치(2)는 사전에 학생 및 강사에게 제공되는 교재 콘텐츠가 기록된 CD-ROM에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또한, 회원 단말 장치(2)의 프로그램 등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는, 음성에 의한 통신이나 채팅 기능, 레슨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표시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학생용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강사 단말 장치(l)의 기록 매체에는, 상기 학생용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의 기능 외에, 회원 단말 장치(2)의 표시 화면(CD-ROM 등에 기록된 동화상/정지 화상의 표시, 발언하는 회원의 지정 등)의 제어하는 기능, 및 레슨의 개시나 종료의 통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강사용의 프로그램(이하, 학생용 및 강사용의 프로그램을 "레슨 애플리케이션(lesson application)"이라 칭한다)이 기록되어 있다.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CD-ROM 등에 교재 콘텐츠와 같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교재 콘텐츠는, CD--ROM 뿐만 아니라, 자기 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그 밖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교재 콘텐츠 및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 웹 서버 장치(3) 등으로부터 강사 단말 장치(1) 및 회원 단말 장치(2)에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선택적으로, 교재 콘텐츠는 웹 서버 장치(3) 등으로 부터 배달됨으로써 각 단말 장치가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강사 및 학생은 각각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6)에 다이얼업 접속하여, 웹 서버 장치(3)에 액세스하고, 인증 처리, 예약된 레슨 확인 등을 한 후, 웹 서버 장치(3)로부터 소정의 정보 파일을 입수한다. 그 후, 그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하여, 상기 CD-ROM에 기록된 교재 콘텐츠 및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어 회화 등의 레슨을 행한다. 정보 파일에는, 회원 단말 장치(2) 및 강사 단말 장치(1)에 부여된 IP 어드레스, 장해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6)와 접속 해제된 경우에 이용하는 간단한 로그인용 패스워드, 레슨에 참가하는 강사 및 학생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는 사용 횟수 또는 사용 기간, 또는 이들 모두가 한정된 패스워드(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레슨 중에 회원 단말 장치(2)나 강사 단말 장치(1)가 통신 네트워크(6)와 접속 해제된 경우에만 사용하고, 각 레슨마다 변경되는 원 타임 패스워드이다.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이용 시간이 수업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원 타임의 패스워드가 최적이다. 원 타임의 패스워드는 수업 시간 중으로만 제한되는 유효성으로 인해 부정하게 사용되는 위험이 적다. 패스워드의 양수인이 정상적으로 수업을 받고 있을 때에, 그 패스워드를 입수한 다른자가 액세스하려고 하여도, 이 액세스는 시스템에 의해서 배척될 수 있다. 즉, 타인이 교육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회원 단말 장치가 어떠한 장해로 인해 통신 네트워크(6)로부터 접속 해제되어, 다시 리모트 액세스 서버 장치에 다이얼업접속하기를 시도하고 있는 짧은 시간 중에 패스워드를 부정하게 입수하고, 또한 대응하는 수업에서만 사용가능한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로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한 부정한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자를 속인 다른 자가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무단으로 레슨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원 단말 장치(2)나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등록 시에 부여되는 사용자 ID를 수취한 웹(Web) 서버 장치(3)는, 상기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조회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에 의해서 사용자를 인증하여,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 사이의 재접속에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통신 네트워크(6)에 다이얼업 접속하여, 단말 장치에서 웹 서버 장치(3)에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전송하거나, 또는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 사이가 재접속되어 중단하고 있는 레슨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장해에 의해서 단말 장치가 회선과의 접속이 접속 해제된 경우라도, 사용자는 번잡한 처리를 행하는 일없이 접속 해제 전에 통신하고 있었던 단말 장치와 접속을 다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사용하기 쉬운 시스템이 얻어진다. 또한, 재접속의 절차가 간단하기 때문에, 접속 처리가 신속하게 행해져 서비스의 중단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특히, 재접속 시에,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의 모두에 한정된 정보(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부정한 액세스가 방지되어, 사용자라고 속이는 다른 자가 임의의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으로써, 시스템의 시큐러티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웹 서버 장치(3)는, 레슨에 참가하는 사용자(학생 또는 강사)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액세스할 때에, 인증 정보 등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는 웹 서버 장치(3)를 통해, 예를 들면, 사용자 등록, 사용자의 인증, 레슨의 예약이나 내용 확인 등을 행한다. 웹 서버 장치(3)는 인증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TCP/IP 프로토콜의 HTTP 신호로부터 그 단말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또한,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데 필요한 각 단말 장치의 IP 어드레스나 상기 정보 파일 등을 강사 단말 장치(1)나 회원 단말 장치(2)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레슨 개시 시에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를 접속시키기 위한 처리 및 레슨 종료 시에 이들을 접속 해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관리를 위하여 각 사용자(학생 또는 강사)의 출결 상태 등을 DB 서버 장치(5)에 전송한다. 더욱, 레슨 중에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 및 회원 단말 장치(2)와 상호 감시 지시/결과 메시지를 교환하여 각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를 DB 서버 장치(5)에 전송한다. 또한,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장해에 의해 접속이 해제되면, 재접속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각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각각 감시하고 있을 때에, 예를 들어,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의 전송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단말 장치가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호 제어 서버 장치(4)가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를 소정 횟수 전송하였음에도 단말 장치가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장해에 의해서 해당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6)와의 접속이 해제된 것이라고 판정한다.
DB 서버 장치(5)는 학생, 강사, 및 교육 시스템을 관리하는 스태프의 정보(사용자 ID, 패스워드, 그 밖의 개인 정보 등)을 각각 관리하여, 웹 서버 장치(3) 및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의 인증 및 확인 지시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인증 처리와 레슨의 예약 상황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또한, DB 서버 장치(5)는 강사와 학생의 스케줄, 각 교실마다의 시간표와 같은 레슨 스케줄의 관리를 행하고, 레슨 중에 각 사용자(학생 또는 강사)의 출결이나 접속 상태 등을 기록하여, 한 레슨이 종료할 때마다 각 학생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도 1에서는, 웹 서버 장치(3), 호 제어 서버 장치(4) 및 DB 서버 장치(5)의 3대의 서버 장치를 갖는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들 서버 장치의 기능은, 1대, 2대, 혹은 4대 이상의 서버 장치에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장치(10)와,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커맨드나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20)와,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행되어진 처리 결과를 모니터하기 위한 출력 장치(30)를 갖는 구성이다.
처리 장치(10)는 CPU(11)와; CPU(11)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주기억 장치(12)와; CPU(11)에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의 접속/접속 해제를 제어하고 접속 상태를 관리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13)와;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에 전송하는 정보 파일의 내용 등이 기록되는 데이터 축적 장치(14)와; 주기억 장치(12), 기록 매체(13), 및 데이터 축적 장치(14)와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 인터페이스부(15)와; 입력 장치(20)를 출력 장치(30)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장치인 I/O 인터페이스부(16)와;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 혹은 웹 서버 장치(3)나 DB 서버 장치(5)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인 통신 제어 장치(17)를 구비한다. 이 구성 요소들은 버스(18)를 통해 접속된다.
처리 장치(10)는 기록 매체(13)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하에 기재하는 호 제어 서버 장치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록 매체(13)는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광 디스크 혹은 그 밖의 기록 매체일 수도 있다.
웹 서버 장치(3) 및 DB 서버 장치(5)는 기록 매체 및 데이터 축적 장치에 기록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면, 각각 호 제어 서버 장치(4)와 유사한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강사 단말 장치(1)와 회원 단말 장치(2)도,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및 데이터 축적 장치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다르고, 교재 콘텐츠가 기록된 CD-ROM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각각 호 제어 서버 장치(4)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들 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에 대하여,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4를 참조하여, 강사 단말 장치(1) 및 회원 단말 장치(2)가 정상적으로 기동되어, 레슨을 개시하고 종료하기까지 수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생(회원)이 회원 단말 장치(2)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6)에 다이얼 업 접속하면, 상술한 리모트 액세스 서버 장치에 의해 그 회원 단말 장치(2)에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통신 네트워크(6)에 접속된다. 그 후, 그 회원 단말 장치(2)에 대하여 IP 어드레스가 반송된다.
다음에, 학생이 브라우저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회원 단말 장치(2)로부터 웹 서버 장치(3)를 액세스하면, 웹 서버 장치(3)는 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가 등록된 회원의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회원 등록 시에 학생에게 부여되었던 사용자 ID나 패스워드와 같은 인증 정보를 반송시키기 위한 로그인 페이지의 데이터를 회원 단말 장치(2)로 반송한다.
로그인 페이지 화면(WEB 화면) 상의 지시에 따라서 학생이 회원 단말 장치(2)에 ID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면, 회원 단말 장치(2)는 입력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웹 서버 장치(3)로 전송한다.
웹 서버 장치(3)는 전송된 인증 정보 및 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가 회원의 것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로그인 인증지시를 DB 서버 장치(5)에 전송한다. DB 서버 장치(5)는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축적된 회원 정보를 참조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여, 그 인증의 결과(여기서는, 인증 처리 결과(OK))를 웹 서버 장치(3)에 반송한다. 또한, 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의 회원 정보를 "상태 갱신"(로그인 중에)으로 설정한다.
웹 서버 장치(3)는 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가 회원의 것임을 확인하면, 회원 등록, 레슨의 예약, 스케줄 확인, 레슨 개시 등의 메뉴로부터 학생에게 항목을 선택하게 하기 위한 메인 페이지의 데이터를 회원 단말 장치(2)로 반송한다.
회원 단말 장치(2)에 표시된 메인 페이지 화면의 지시에 따른 메뉴로부터 학생이 항목을 선택하면, 회원 단말 장치(2)는 그 선택 결과(메뉴 선택)를 웹 서버 장치(3)로 전송한다.
웹 서버 장치(3)는 회원 단말 장치(2)로부터 전송된 선택 결과를 수신하여, 그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메뉴 페이지의 데이터를 회원 단말 장치(2)로 반송한다. 여기서는, 회원 단말 장치(2)에 표시된 메뉴 페이지 화면의 지시에 따라서, 학생이 레슨 개시의 메뉴를 선택하여, 사용자 ID나 레슨의 예약 정보 등을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회원 단말 장치(2)는 학생이 선택한 선택 결과(레슨 개시 메뉴 선택)를 웹 서버 장치(3)로 전송한다.
웹 서버 장치(3)는 그 선택 결과의 HTTP 신호로부터 그 회원 단말 장치(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회원 단말 장치(2)로부터 전송된, 학생이 선택한 레슨의 예약 번호, 및 학생이 시스템에 로그인한 것을 나타내는 로그인 정보 통지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웹 서버 장치(3)로부터 수신한 레슨의 예약 번호, 해당 사용자 ID, 및 예약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 처리 지시를 DB 서버 장치(5)에 전송한다.
DB 서버 장치(5)는 수신한 사용자 ID 및 예약 번호 등으로부터 학생이 선택한 레슨을 확인하고(인증 처리), 인증 결과(여기서는, 인증 처리 결과(OK))를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반송한다. 또한, 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의 회원 정보를 "상태 갱신"(레슨 로그인 중)으로 설정한다.
레슨 내용의 인증을 종료한 후에,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상술한 간이 로그인용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축적 장치에 기록하고, 정보 파일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DB 서버 장치(5)로부터 수집하여, 이들 데이터와 정보 파일의 작성 지시를 웹 서버 장치(3)에 전송한다.
웹 서버 장치(3)는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 파일을 작성하여, 작성한 정보 파일을 회원 단말 장치(2)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DL 페이지의 데이터를 회원 단말 장치(2)로 전송하고,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정보 파일의 작성 종료(여기서는, 정보 파일 작성 결과(OK))를 통지한다. 그 다음에, 회원 단말 장치(2)로부터의 다운로드 개시(DL 개시) 지시에 응답하여 정보 파일을 회원 단말 장치(2)에 전송한다(정보 파일 DL 실행).
회원 단말 장치(2)는, 다운 로드한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레슨용 애플리케이션(APL)을 기동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성공적인 기동의 통지(APL 기동 통지)를 웹 서버 장치(3)에 반송한다.
웹 서버 장치(3)는 회원 단말 장치(2)로부터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종료 통지를 수취하면, 보유하고 있는 회원 단말 장치(2)에 대한 정보 파일을 삭제하고,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종료의 통지(APL 기동 통지)를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었던 회원 단말 장치(2)를 액세스(접속)하고, 회원 단말 장치(2)에 애플리케이션 기동 통지 확인 OK를 반송한다(메시지 통지). 그 후,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접속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상호 감시 지시/결과 메시지를 소정의 시간 마다 교환함으로써, 장해 감시를 기동한다. 회원 단말 장치(2)는 강사 단말 장치(1)로 접속될 때까지 이 상태에서 기다린다.
상기 수순은 회원 단말 장치(2)가 레슨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한편, 동일한 수순이 강사 단말 장치(1)가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취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슨 애플리케이션이 강사 단말 장치(1)에서 시작할 때, 강사 단말 장치(1)는 웹 서버 장치(3)로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 기동 통지를 반송한다(APL 기동 통지). 웹 서버 장치(4)는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애플리케이션 기동 통지를 전송한다.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의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 기동 통지를 수취했을 때,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시작하였던 회원 단말 장치(도 4에서의 회원 단말(1) 및 회원 단말(2))와 접속을 한다.
강사 단말 장치(1)는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접속 지시 메시지를 수취할 때마다, 강사 단말 장치(1)는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 레슨을 요청하는 회원 단말 장치(2)와 접속하고,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접속 결과(여기서, 접속 결과(OK))를 반송한다. 최초로 제1 회원 단말 장치(회원 단말(1))와 접속하여, 계속해서 제2 회원 단말 장치(회원 단말(2))와 접속하는 수순을 보이고 있지만,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호 제어 서버 장치(4)가 레슨에서 다른 멤버가 참석할 때마다 강사 단말 장치(1)에 접속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접속 순서는 임의적이다.
모든 학생이 레슨을 받기 위해 참석할 때(도 4에서는 2), 강사는 강사 단말 장치(1)에서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레슨 시작 요청을 전송한다.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의 레슨 시작 요청에 응답하여,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로 레슨 개시 지시 메시지를 반송한다.
레슨 개시 지시 메시지를 수취하였을 때, 강사는 레슨 받으려 하는 학생들의 각 회원 단말 장치(2)로, 예를 들어,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강사 단말 장치(1) 상에 표시된 스크린 상의 레슨 개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레슨 기동 통지를 전송한다. 또한, 강사는 수업 시작 시의 출결 상황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 레슨 개시 결과를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 수신된 레슨 개시 결과 및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DB 서버 장치(5)로 전송하여, 회원 정보 갱신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DB 서버 장치(5)는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축적 장치에서 축적된 회원 정보 등을 갱신하고(출석 갱신 처리), 상기 갱신 결과(여기서는 DB 개신 결과(OK))를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반송한다.
DB 서버 장치(5)에 의해 행해진 회원 정보의 갱신 완료시,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접속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소정 시간 마다 모든 단말 장치들 간의 상호 감시 지시/결과 메시지를 교환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또한, 각 단말에, 통신 품질 및 접속 환경(트래픽 데이터) 상에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전달하도록 지시한다. 트래픽 데이터는 강사 단말 장치(1)가 회원 단말 장치(2)를 접속하였을 때,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전송된 접속 결과(OK)의 수신 이후에 모아진다.
레슨 완료시, 강사는 강사 단말 장치(1)에서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레슨 종료 요청을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의 레슨 종료 요청에 응답하여, 레슨 종료 지시 메시지를 반송한다. 레슨 종료 지시의 수신시, 강사는 레슨을 받고 있던 각 학생에게, 예를 들어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된 강사 단말 장치(1)의 스크린 상의 레슨 종료 버튼을 누름으로써, 레슨 종료 통지를 전송하고, 동시에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레슨 종료 결과를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 수신된 레슨 종료 결과를 DB 서버 장치(5)로 전달하여, 회원 정보 갱신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DB 서버 장치(5)는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축적 장치에 축적된 회원 정보 등을 갱신하고((로그-온 동안) 갱신된 상태),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갱신 결과(여기서는 DB 갱신 결과(OK))를 반송한다.
DB 서버 장치(4)에 의한 갱신을 종료할 때,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에 접속 해제 지시를 전송하여, 회원 단말 장치(2)를 접속 해제한다. 접속 해제 지시에 응답하여, 강사 단말 장치(1)는 각 회원 단말 장치(2)를 접속 해제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어떤 장해로 레슨 동안 통신 네트워크(6)로부터 회원 단말 장치(2) 혹은 강사 단말 장치(1)의 접속 해제를 야기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레슨용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였던 회원 단말 장치(2)와 호 제어 서버 장치(4) 간에 소정 시간마다 상호 감시 지시/결과 메시지가 교환되었으므로,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회원 단말 장치(2)와 통신 네트워크(6)간의 장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회원 단말 장치(회원 단말(1))와 통신 네트워크(6) 간에 어떤 장해로 인해 접속 해제가 야기되었다면, 제1 회원 단말 장치는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전송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다. 결국,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소정 시간 후 타임 아웃을 검출하고, 제1 회원 단말 장치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를 재송한다. 도 5의 예에서, 호 제어 서버 장치(4)가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를 2번 재송하지만, 제1 회원 단말 장치는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재송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으면(재시도 오버),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제1 회원 단말 장치가 어떤 장해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6)로부터 접속 해제되었음(접속 해제)을 판단한다. 그 후,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 회원 단말 장치(2)의 접속 해제를 나타내는 알람을 전송하고(로그, 알람 추력), 접속 해제되었던 회원 단말 장치(2) 상에서 회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DB 서버 장치(5)로 갱신 지시(DB 갱신 지시)를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갱신 지시의 수취시, DB 서버 장치(5)는 지시 내용에 따라 회원 정보(상태 갱신(빈))를 갱신하고, 호 제어 서버 장치(4)로 DB 갱신 결과를 반송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 서로 접속되었을 때 접속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와, 단말 장치와 호 제어 서버 장치(4) 간의 상호 감시 결과를 교환함으로써,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장해 발생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접속 상황 등을 관리할 수 있어서, 심지어 통신 네트워크(6)로부터의 접속 해제 동안이라도 단말 장치에 과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원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었더라도, 호 제어 서버 장치(4)가 회원이 실제로 받은 레슨 시간(레슨을 받을 수 없었던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와 회원에 의해 사전에 계약된 내용에 기초하여, 레슨을 받을 수 없었던 시간의 비율에 따라 요금을 감액하거나, 재레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접속 해제 시의 데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회원의 불안을 제거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레슨 중에 통신 네트워크(6)와의 접속이 해제된 학생는, 접속 해제의 원인을 해소하여, 회원 단말 장치(2)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6)에 다시 다이얼업 접속한다. 다이얼업 접속이 종료한 회원 단말 장치(2)는, 웹 서버 장치(3)에 대하여 최초로( 레슨 개시 시에) 로그인했을 때에 다운로드한 정보 파일 중의 로그인용 패스워드와 사용자 ID를 웹 서버 장치(3)에 전송하여 로그인을 행한다.
웹 서버 장치(3)는 로그인을 행한 회원 단말 장치(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해당 IP 어드레스,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로그인 정보로서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통지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데이터 축적 장치에 기록된 정보와 전송된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들이 일치한 경우에는(데이터 해석 OK), 해당 회원 단말 장치(2)에 액세스하여(접속), 접속 OK의 메시지를 통지한다. 또한, DB 서버 장치(5)에 재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의 회원 정보의 갱신 지시(DB 갱신 지시)를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DB 갱신 지시를 수취했을 때의 DB 서버 장치(5)는 그 지시 내용에 따라서 회원 정보를 갱신하여(상태 갱신(레슨 로그인 중)), 갱신 결과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반송한다.
DB 서버 장치(5)의 갱신이 종료했을 때의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에 재액세스한 회원 단말 장치(2)와 접속하도록 접속 지시를 전송한다. 강사 단말 장치(1)는, 회원 단말 장치(2)로 새롭게 부여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해당 회원 단말 장치(2)에 접속하여, 접속 결과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반송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떠한 장해에 의해서 강사 단말 장치(강사 단말)(1)와 통신 네트워크(6) 사이가 접속 해제된 경우, 강사 단말 장치(1)는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전송된 상호 감시 지시에 대하여 상호 감시 결과를 응답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경우,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소정 시간 후에 타임아웃을 검출하여, 상호 감시 지시를 강사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재송한다. 도 6의 예에서, 상호 감시 지시의 재송을 2번 행하여, 재송한 상호 감시 지시에 대하여 강사 단말 장치(1)로부터 상호 감시 결과의 응답이 없는 경우(재시도 오버)에,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가 어떠한 장해에 의해서 통신 네트워크(6)와 접속 해제되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각 회원 단말 장치(2)에 대하여 강사 단말 장치(1)와의 접속 해제를 나타내는 알람을 전송하여(로그, 알람 출력), DB 서버 장치(5)로, 접속 해제된 강사 단말 장치(1)의 회원 정보의 갱신 지시(DB 갱신 지시)를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갱신 지시를 수취했을 때의 DB 서버 장치(5)는, 그 지시 내용에 따라서 회원 정보를 갱신하여(상태 갱신(빈)), 갱신 결과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반송한다.
레슨 중에 통신 네트워크(6)와의 접속이 해제된 강사는, 접속 해제의 원인을 해소하여, 강사 단말 장치(1)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6)에 다시 다이얼업 접속한다. 다이얼 업 접속이 종료한 강사 단말 장치(l)는, 웹 서버 장치(3)에 최초로 로그인했을 때에 다운로드한 정보 파일 중의 로그인용 패스워드와 사용자 ID를 웹 서버 장치(3)에 전송하여 로그인을 행한다.
웹 서버 장치(3)는, 로그인을 행한 강사 단말 장치(1)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해당 IP 어드레스,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로그인 정보로서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통지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데이터 축적 장치에 기록된 정보와 전송된 로그인용 패스워드 및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들이 일치한 경우에는(데이터 해석 OK), 해당 강사 단말 장치(1)에 액세스(접속)하여, 접속 OK의 메시지를 통지한다. 또한, DB 서버 장치(5)로 재액세스한 강사 단말 장치(1)의 회원 정보의 갱신 지시(DB 갱신 지시)를 전송한다.
호 제어 서버 장치(4)로부터 DB 갱신 지시를 수취했을 때의 DB 서버 장치(5)는 그 지시 내용에 따라서 회원 정보를 갱신하여(상태 갱신 (레슨 로그인 중)), 갱신 결과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반송한다.
DB 서버 장치(5)의 갱신이 종료했을 때의 호 제어 서버 장치(4)는, 강사 단말 장치(1)에 레슨 도중의 각 회원 단말 장치(2)와 재접속하도록 접속 지시를 순차 전송한다. 강사 단말 장치(1)는 각회원 단말 장치(2)와 순차 접속하여, 접속 결과를 호 제어 서버 장치(4)에 반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한 예시적 목적일 뿐,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또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몇 변화가 이루어져야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해에 의해서 회선(통신 네트워크)과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라도, 번잡한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접속 해제 전에 통신하고 있는 단말 장치와의 재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시스템의 일례인 교육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호 제어 서버 장치의 일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강사 단말 장치 및 회원 단말 장치가 정상적으로 기동되기까지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교육 시스템을 이용하여 레슨이 정상적으로 개시/종료하기까지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회원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가 접속 해제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강사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가 접속 해제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강사 단말 장치
2 : 회원 단말 장치
3 : 웹 서버 장치
4 : 호 제어 서버 장치
5 : DB 서버 장치
6 : 통신 네트워크 장치
71 ∼7n : 교실

Claims (16)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임의의 단말 장치가 장해에 의해서 접속 해제된 경우에 접속을 복구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복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최초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 상기 식별자는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 모두가 한정된 정보를 포함함 - 생성하여 반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단말에 재접속된 후에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단계; 및
    전송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상기 단말 장치와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복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동안 접속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및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상기 각각의 단말 장치와 교환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소정 횟수로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대하여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복구 방법.
  4. 네트워크 접속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최초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 상기 식별자는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 모두가 한정된 정보를 포함함 - 생성하여 반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시키는 서버 장치;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장치와 통신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단말과 재접속 후에 상기 식별자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복구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복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동안, 접속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및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와 교환하고,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소정의 횟수로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시스템.
  7.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임의의 단말 장치가 장해에 의해서 접속 해제된 경우에 접속을 복구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최초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 상기 식별자는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 모두가 한정된 정보를 포함함 - 생성하여 반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시키는 처리 장치; 및
    각각의 상기 단말 장치마다 생성된 상기 식별자를 유지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동안, 접속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및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와 교환하고;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소정의 횟수로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서버 장치.
  10.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임의의 단말 장치가 장해에 의해서 접속 해제된 경우에 접속을 복구시키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최초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 상기 식별자는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 모두가 한정된 정보를 포함함 - 생성하여 반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시키는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동안, 접속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및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와 교환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소정의 횟수로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임의의 단말 장치가 장해에 의해서 접속 해제된 경우에 접속을 복구시키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최초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재접속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 상기 식별자는 사용 횟수, 사용 기간, 또는 이들 모두가 한정된 정보를 포함함 - 생성하여 반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장해에 의해 끊어진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시키는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동안, 접속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 및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와 교환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소정의 횟수로 전송된 상기 상호 감시 지시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상호 감시 결과 메시지의 전송과 같은 응답을 상기 단말 장치가 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임의의 단말 장치가 장해에 의해서 접속 해제된 경우에 접속을 복구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최초 액세스할 때,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재접속 시에 이용하는 식별자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끊어진 경우에 상기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식별자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인증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해제되기 직전에 접속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접속을 복구하는 네트워크 접속 복구 시스템.
KR10-2002-0028143A 2001-05-21 2002-05-21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KR100478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1339A JP2002344484A (ja) 2001-05-21 2001-05-21 ネットワークの接続復旧方法及びシステム
JPJP-P-2001-00151339 2001-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89A KR20020089189A (ko) 2002-11-29
KR100478432B1 true KR100478432B1 (ko) 2005-03-24

Family

ID=1899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143A KR100478432B1 (ko) 2001-05-21 2002-05-21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74232A1 (ko)
EP (1) EP1261231A1 (ko)
JP (1) JP2002344484A (ko)
KR (1) KR100478432B1 (ko)
TW (1) TW5715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8537T3 (es) * 2002-02-20 2008-05-16 Pharos Systems International, Inc. Sistema para la monitorizacion del uso y la reserva de ordenadores y procedimientos relacionados.
US7917638B1 (en) * 2002-05-31 2011-03-29 Barry Appelman Transparent reconnection
US7831247B2 (en) * 2002-11-12 2010-11-09 Nokia Corpo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4100182B2 (ja) * 2003-01-30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0311004D0 (en) 2003-05-13 2003-06-18 Nokia Corp Charg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JP3904533B2 (ja) * 2003-05-29 2007-04-11 京セラ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株式会社 ログイン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8000284B2 (en) 2003-07-15 2011-08-16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autonomous and scheduled resource allocation for a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US7933235B2 (en) 2003-07-15 2011-04-26 Qualcomm Incorporated Multiflow reverse link MAC for a communications system
CN1856798A (zh) 2003-09-30 2006-11-01 索尼株式会社 属性信息获取方法
US7594018B2 (en) * 2003-10-10 2009-09-22 Citrix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persistent application sessions
AU2003284438A1 (en) * 2003-11-21 2005-06-08 Softbank Bb Corp.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7287081B1 (en) * 2003-12-17 2007-10-23 Nortel Networks Limited Controlled calls in a transmission network
US7698394B2 (en) * 2003-12-23 2010-04-13 Alcatel Lucent Global network management configuration
JP3892031B2 (ja) * 2004-06-30 2007-03-14 株式会社吉田鎌ヶ迫 ピアツーピア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82446B2 (ja) * 2005-03-15 2011-09-28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CN100334842C (zh) * 2005-07-01 2007-08-29 倚天资讯股份有限公司 与服务器间断线自动重连方法
JP4894241B2 (ja) * 2005-11-21 2012-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認証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
JP2007172213A (ja) * 2005-12-21 2007-07-05 Third Networks Kk 認証装置及び認証プログラム
CN101163113B (zh) * 2006-10-12 2011-01-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即时通信的断线重连系统及方法
JP4587229B2 (ja) * 2007-04-12 2010-11-24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データ送受信方法
JP5092629B2 (ja) * 2007-08-30 2012-1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112690B2 (en) * 2008-02-26 2012-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on state recovery after fault
JP4999736B2 (ja) 2008-03-13 2012-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KR101383573B1 (ko) * 2008-08-01 201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웹 정보 제공방법
JP2010093585A (ja) * 2008-10-08 2010-04-22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プログラム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プログラム及び方法、認証装置
TWI478529B (zh) * 2010-08-31 2015-03-21 Hon Hai Prec Ind Co Ltd 用戶端裝置及其恢復網路連接的方法
JP2013089077A (ja) * 2011-10-19 2013-05-13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JP5887507B2 (ja) 2011-11-28 2016-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機器間の接続確立方法、通信機器、及びサーバ装置
CN103516587B (zh) * 2012-06-30 2017-02-15 北京神州泰岳软件股份有限公司 即时通信客户端断线重连的方法和装置
US9038060B2 (en) * 2012-10-02 2015-05-19 Nextbit Systems Inc. Automatically installing operating system specific to a detected network
US9106721B2 (en) 2012-10-02 2015-08-11 Nextbit Systems Application state synchronization across multiple devices
CN104219072B (zh) 2013-05-31 2018-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控制器sc的恢复方法和装置
WO2014205827A1 (zh) * 2013-06-29 2014-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恢复的方法、装置及系统
US10277700B2 (en) * 2016-04-12 2019-04-30 Dell Products L.P. Control plane redundancy system
CN111200620B (zh) * 2018-11-16 2022-07-19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更新网络连接配置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2017082B (zh) * 2020-07-28 2023-12-05 安徽鸿程光电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22056845A (ja) * 2020-09-30 2022-04-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5065799B (zh) * 2021-09-03 2023-05-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246A (ja) * 1994-09-02 1996-03-2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分散型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障害回復方法
JPH10133971A (ja) * 1996-10-25 1998-05-22 Nec Corp ファイル転送処理方式
US6006331A (en) * 1997-07-29 1999-12-21 Microsoft Corporation Recovery of online sessions for dynamic directory services
KR20000020634A (ko) * 1998-09-22 2000-04-15 구자홍 이더넷과 모뎀의 자동 연결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353990B1 (ko) * 1999-12-15 2002-09-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정보 전송 방법
KR20020077961A (ko) * 2001-04-03 2002-10-18 (주)무한넷 인터넷 원격교육의 강의 진행 부분 알림 방법
KR20030085425A (ko) * 2002-04-30 2003-11-05 안희자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926A (en) * 1985-12-27 1987-12-01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Fault recovery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5553239A (en) * 1994-11-10 1996-09-03 At&T Corporation Management facility for server entry and application utilization in a multi-node server configuration
US5881239A (en) * 1995-01-23 1999-03-09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Network system with resilient virtual fault tolerant sessions
US5812819A (en) * 1995-06-05 1998-09-22 Shiva Corporation Remote access apparatus and method which allow dynamic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management
GB2358548B (en) * 1999-05-18 2003-09-10 Bob Tang Methods for fast establishment of modem-to-modem data link via PSTN bypassing present lengthy modem negotiat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246A (ja) * 1994-09-02 1996-03-2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分散型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障害回復方法
JPH10133971A (ja) * 1996-10-25 1998-05-22 Nec Corp ファイル転送処理方式
US6006331A (en) * 1997-07-29 1999-12-21 Microsoft Corporation Recovery of online sessions for dynamic directory services
KR20000020634A (ko) * 1998-09-22 2000-04-15 구자홍 이더넷과 모뎀의 자동 연결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353990B1 (ko) * 1999-12-15 2002-09-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웹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정보 전송 방법
KR20020077961A (ko) * 2001-04-03 2002-10-18 (주)무한넷 인터넷 원격교육의 강의 진행 부분 알림 방법
KR20030085425A (ko) * 2002-04-30 2003-11-05 안희자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74232A1 (en) 2002-11-21
KR20020089189A (ko) 2002-11-29
EP1261231A1 (en) 2002-11-27
TW571544B (en) 2004-01-11
JP2002344484A (ja)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432B1 (ko)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EP1428368B1 (en) Managed access to information over data networks
US8909704B2 (en) Network-attached display device as an attendee in an online collaborative computing session
US6912573B2 (en) Method for acquiring content information, and software product, collaboration system and collaboration server for acquiring content information
US7979519B2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rotocol environments cooperative with each other and a method therefor
KR101042745B1 (ko) 클라이언트 단말장치와 서버 사이의 세션 재설정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EP2472452A1 (en) Method of providing assistance to the end-user of a software application
US20070286387A1 (en) Browsing management apparatus, browsin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product thereof
JPH10135949A (ja) 情報共有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共有システム管理装置と方法
CN107612900A (zh) 用于在经由网络进行通信的装置之间建立连接的系统和方法
CN109347795A (zh) 登录验证方法、装置及设备、介质
CN103703767A (zh) 一种视讯会议的实现方法、业务管理设备及视讯会议系统
US200100519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specific chat room access
CN112634102A (zh) 远程课堂系统、加入远程课堂的方法、电子设备及介质
CN109218115A (zh) 一种用户端设备cpe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13747247B (zh) 直播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020107922A1 (en) Processing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computer system, and memory medium and program
JP2009048226A (ja) 情報送受信システム、情報管理装置、申込受付装置、情報送受信方法、情報管理処理プログラム、及び申込受付処理プログラム
JP2004070517A (ja) Webページ表示画面共有システム
CN114035880A (zh) 一种远程的协助方法、系统及设备
JP2006236178A (ja) 通信管理システム
JP2002009868A (ja)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管理装置、および設定情報配信方法
JP6892294B2 (ja) サイネージ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101111A (ja) Www階層クライアント・サーバ型システムのユーザ管理方法
NZ532756A (en) Surveillance system via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