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425A -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425A
KR20030085425A KR1020020023844A KR20020023844A KR20030085425A KR 20030085425 A KR20030085425 A KR 20030085425A KR 1020020023844 A KR1020020023844 A KR 1020020023844A KR 20020023844 A KR20020023844 A KR 20020023844A KR 20030085425 A KR20030085425 A KR 20030085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information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999B1 (ko
Inventor
안희자
Original Assignee
안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자 filed Critical 안희자
Priority to KR10-2002-002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9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4Access security using delegated authorisation, e.g. open authorisation [OAuth]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두절시에도 연속적으로 데이터 서비스 가능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존 내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와 백그라운드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규정한 혹은 액세스 선호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세션정보를 캐취하여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내 통신 두절된 단말기와 재접속시 등록된 세션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두절 이전의 서비스를 연속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METHOD FOR ACCOMPLISH DATA COMMUNICATION IN THE WLAN ENVIRONMEN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두절시에도 연속적으로 데이터 서비스 가능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랜(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컴퓨터와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기타 통신 시스템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전파(RF)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수행하는 랜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 랜은 최근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개발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빌딩간의 네트워크 접속이나 대형 사무실, 물류센터와 같이 유선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 유지보수의 간편함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으로 통칭되는 802.11계열과 블루투스 그리고 홈 RF 등이 있다. 이들은 짧게는 수 미터, 길게는 수십 미터 범위에서의 무선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만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을 완전하게 커버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지원되는 지역에서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서비스 스위칭 방법들이 논의되고는 있으나,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통신 사업자간의 사용료 배분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 관계로 짧은 시간 내에 서비스가 가능할지는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이에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이동성 제약을 극복하면서 보다 넓은 지역에서 이용자가 최대한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 끊김 없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아울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채팅이나 컨퍼런싱과 같은 쌍방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서비스 존의 이동 혹은 신호 미약 지역으로의 순간이동에 의해 통신 두절현상이 발생한다면, 이용자는 쌍방향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다시 밟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바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들의 저장매체는 그 사이즈면에서 제한되어 있으나,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데이터들의 사이즈가 방대해지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모바일 단말기들에 가상의 저장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이 개발된다면, 경박단소한 모바일 단말기들의 기술추세에 부응하면서도 대용량의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이동성 제약을 극복하면서 보다 넓은 지역에서 끊김 없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의 세션(session)정보를 통신 두절된 경우에도 일정시간 유지시킴으로서, 통신 재개시 이전에 서비스 제공하였던 정보 내지는 쌍방향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서비스하여 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들에 고유 저장영역을 부여하여 자유로이 액세스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망 구성도.
도 2는 도 1중 서비스 서버(30)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에서 수행되는 또 다른 데이터 처리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존 내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 가능하고 IP망에 접속 가능한 서버에서 실행되되,
서비스 존 내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와 백그라운드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규정한 혹은 액세스 선호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세션정보를 캐취하여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내 통신 두절된 단말기와 재접속시 등록된 세션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두절 이전의 서비스를 연속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망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크게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PDA, 노트북 등)들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수행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10,12,14)들과,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10,12,14)들을 IP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허브와 라우터(20), 그리고 I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서버(30)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들의 인증을 수행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거나 요청 데이터를 캐취(catch)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30)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심리스(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가 서비스 받고 있는 서비스의 세션정보를 관리하여 주는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비된 저장매체의 일 부분을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에 할당하여 가상의 저장매체를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3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2는 도 1중 서비스 서버(3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모듈과 IP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접속 모듈 및 기타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도 2에서 캐스팅 모듈(casting Module)(31)은 사용자 정보 관리 모듈(33)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심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캐스팅 모듈(31)은 전송 데이터를 압축하여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비압축상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스팅 모듈(31)은 사용자 정보 관리 모듈(33)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심정보와는 무관하게 현재 서비스 제공중인 정보와 관련된 잔여 데이터들을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전송하여 줌으로서, 서비스 존 이탈 혹은 신호의 미약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신 두절시에도 사용자가 계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심정보 선호도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 모듈(33)은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규정하여 놓은 관심정보를 관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정보, 즉 방문 웹 사이트의 액세스 빈도, 혹은 입력 텍스트등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를 누적하고, 누적된 선호도가 높은 정보를 관심정보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선호도가 높은 관심정보가 캐스팅 모듈(31)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세션 정보 관리 모듈(35)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접속되어 있거나 일시적 통신두절 상태인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연결정보(MAC 어드레스, IP주소)와 세션정보를 관리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세션정보는 고성능 데이터베이스(37)에 저장되어 상기 세션 정보 관리 모듈(35)에 의해 고속으로 액세스 제어된다. 이러한 세션 정보 관리 모듈(35)에 의해 서비스 서버(30)는 재접속이 이루어진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통신두절 이전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저장매체 관리모듈(38)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모바일 휴대용 단말기들 각각에게 데이터 서버(39)에 구비된 일정한 스토리지 영역을 구분 할당하여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 서버(39)에 저장될 데이터의 라이트 혹은 저장된 데이터의 리드를 대행한다. 이러한 저장매체 관리모듈(38) 및 데이터 서버(39)의 구비에 의해 각각의 단말기들은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저장매체를 마치 자신에게 구비되어 있는 저장매체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모바일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이동성의 제약 없이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 존 이동 혹은 신호의 미약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통신두절상황에서도 계속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휴대용 모바일(이동) 단말기와 서비스 서버(30) 사이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단말기 인증이 우선적으로 수행(50단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말기 인증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일실시예로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전원이 켜진 단말기가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AP:10) 서비스 존내에 위치하게 되면 액세스 포인트(AP:10)는 단말기로부터 MAC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는 전송된 MAC 어드레스가 인증된 MAC 어드레스인지를 확인하여 접근승인여부를 액세스 포인트(AP:10)에 전송한다. 만약 접근 승인된 경우라면 서비스 서버(30)는 IP 주소를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에 할당하여 준다. 이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는 서비스 존 내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개인정보의 활용을 요하는 경우라면 단말기 사용자는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접속을 시도하며, 서비스 서버(30)에서는 MAC 어드레스에 대한 처리와 유사한 방법으로 개인인증을 수행하여 접근승인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와 서비스 서버(30)사이에는 상술한 단말기 인증 혹은( 및) 개인인증을 수행함으로서 이후로는 포그라운드(foreground) 채널을 통해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수행이 완료되면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서비스 서버(30)로 백그라운드 채널을 요청(52단계)한다.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30)로 백그라운드 채널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는 자동 혹은 수동으로 서비스 서버(30)와 백그라운드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서버(30)는 그에 응답하는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응답(good,fail)을 해당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54단계)하여 준다. 만약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에 승낙하는 응답을 전송하였다면 서비스 서버(30)는 단말기에게 프로파일(profile) 전송을 요청(56단계)한다. 단말기 프로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이유는 백그라운드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 통신 수행하는 단말기의 사양에 맞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프로파일 전송 요청이 있으면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가 취합되어 서비스 서버(30)로 전송(58단계)된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30)는 전송된 프로파일 정보를 사용자 정보 관리모듈(33)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30)와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는 특정 포트를 통해 가상의 백그라운드 채널이 형성된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는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규정하여 놓은 정보(예를 들면 뉴스 혹은 광고, 증권정보 등)들 혹은 선호도가 높은 정보들을 취합하여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60단계)한다. 하기에서는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는 압축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비압축 상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만약 압축상태로 전송되었다면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 해제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적으로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단말기로 전송된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는 단말기의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그리고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의 정상수신여부를 알리는 백그라운드 채널 응답을 발생하여 이를 서비스 서버(30)로 전송(62단계)한다. 서비스 서버(30)는 단말기로부터 백그라운드 채널 응답이 없으면 규정된 횟수 범위내에서 반복하여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를 전송하여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된 상태에서, 만약 모바일 사용자가 서비스 존 밖으로 이동하여 인접 서비스 존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혹은 모바일 사용자가 지하철과 같은 신호 미약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라면 포그라운드 채널의 커넥션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서버(30)가 액세스 포인트(AP:10)를 통해 단말기와의 연결해제 정보를 수신(64단계)하게 되면 현재 사용자가 받고 있는 서비스의 세션정보를 네트워크 연결정보(단말기 MAC 어드레스, 단말기 IP주소, 액세스 포인트 IP주소 등)와 함께 고성능 데이터베이스(37)에 저장(66단계)하여 둔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연결 해제된 단말기가 또 다른 액세스 포인트 혹은 연결 해제된 액세스 포인트와 재연결이 이루어지는가를 검사(68단계)한다. 이러한 연결정보 역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전송 받게 된다. 만약 일정 시간 동안 인접 지역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 두절된 단말기와 연결이 다시 이루어졌다면 서비스 서버(30)는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갱신하고 고성능 데이터베이스(37)에 저장된 서비스 세션정보를 액세스하여 이전에 제공하였던 서비스의 재개(70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가 재접속되지 않으면 서비스 서버(30)는 저장한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세션정보를 소거하면 될 것이다.
한편 통신 두절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신 두절시 단말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통신 두절이 발생하더라도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미리 백업 받아 놓은 자신의 관심정보를 액세스하여 볼 수 있어, 마치 끊김이 없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존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백업 받아 놓은 데이터에 한해서는 끊김 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정보를 통신 두절 상황에서도 계속 액세스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채널의 정보를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로 설정하여 백업 받아 놓을 수 있다. 즉, 포그라운드 채널의 커넥션이 해제되었다하더라도 사용자는 서비스 받고 있던 관심정보에 뒤이어지는 정보들을 이미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백업 받아 놓았기 때문에, 끊김 없이 계속적으로 관심정보를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곧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이동성 제약을 극복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30)를 통해 상대방과 채팅을 수행하던 중이라면, 통신 두절시 서비스 서버(30)는 채팅 상대방에게 일시적인 서비스 지연상태를 통보해야 할 것이다. 이는 통신 재개시 계속적인 채팅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백그라운드 채널은 서비스 서버(30)의 채널소거요청(72단계)과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의 채널소거 응답(74단계)에 최종적으로 소거된다. 이러한 채널소거요청은 모바일 사용자가 규정하여 놓은 관심정보가 완전 전송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백그라운드 채널소거요청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어 서비스 서버(3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백그라운드 채널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백그라운드 채널응답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백그라운드 채널응답에 뒤이어 백그라운드의 채널소거를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스토리지(즉, 데이터 서버)를 각 모바일 단말기에 할당하여 줌으로서, 모바일 단말기들에게 가상의 저장매체를 제공하여 주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0)의 데이터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서비스 존 내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수행(80단계)중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정보가 수신되는가를 검사(82단계)한다. 검사결과 서비스 서버(30) 내부에 구비된 스토리지의 사용요청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서비스 서버(30)는 가상 스토리지 사용 응답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84단계)하여 준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스토리지인 내부 저장매체, 즉 데이터 서버의 일 부분을 요청 단말기의 스토리지 영역으로 할당하여 준다. 이후 서비스 서버(30)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가상 스토리지의 데이터 액세스 요청(86단계)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가상 스토리지의 데이터 액세스 요청은 크게 데이터 라이트 요청과 데이터 리드 요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데이터 리드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데이터 라이트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86단계에서 수신된 가상 스토리지의 데이터 액세스 요청이 데이터 라이트 요청이라면, 서비스 서버(30)는 데이터 라이트 요청정보에 포함된 라이트 요구 데이터를 취합 혹은 인터셉트하여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영역의 지정 어드레스에 라이트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이트 요청정보에는 적어도 라이트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파일명 혹은 저장할 주소와 라이트 요구 데이터명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파일명 혹은 저장할 주소는 데이터 리드를 위해 필요하고 라이트 요구 데이터명은 데이터의 취합 혹은 인터셉트를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외부 노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단말기 저장용 데이터라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직접 모바일 단말기로 이동되지만, 서비스 서버(30)에 저장될 데이터라면 서비스 서버(30)에 의해 인터셉트되어 서비스 서버(30)에 저장될 것이다. 아울러 소정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던중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상태가 감지되면, 서비스 서버(30)는 다운로드중인 데이터를 인터셉트하여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30)는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기에 할당된 스토리지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노드로 업로드하거나 외부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이트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의 라이트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30)는 가상 스토리지 데이터 액세스 응답을 단말기로 전송(88단계)하여 준다. 이러한 응답에는 데이터 라이트 결과정보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가상 스토리지 데이터 액세스 요청이 데이터 리드 요청이라면, 서비스 서버(30)는 수신된 데이터 리드 요청정보(파일명 포함)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하여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면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는 내부에 구비된 데이터 서버의 일 부분을 단말기에 할당하여 줌으로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스토리지를 마치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의 스토리지 장치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서비스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로 가상 스토리지의 사용정지를 요청(90단계)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사용정지 응답이 수신(92단계)되면 모바일 단말기는 더 이상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스토리지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스토리지의 사용정지 요청은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요청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그라운드 채널의 커넥션이 해제되었다하더라도 사용자는 서비스 받고 있던 정보에 뒤이어지는 정보들, 혹은 미리 규정하여 놓은 관심정보들, 혹은 단말기 사용자의 액세스 빈도에 따라 선호도가 높게 조사된 정보들을 이미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백업 받아 놓았기 때문에, 끊김 없이 계속적으로 정보를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30)에 구비된 스토리지를 마치 단말기에 구비된 스토리지 장치와 같이 이용토록 함으로서, 경박단소화 경향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저장매체 용량제한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이동성 제약을 극복하면서 보다 넓은 지역에서 끊김 없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세션(session)정보를 통신 두절된 경우에도 일정시간 유지시킴으로서, 통신 재개시 이전에 서비스 제공하였던 정보 내지는 쌍방향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서비스하여 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들에게 고유 저장영역을 부여하여 자유로이 액세스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분산되어 있던 정보들을 가상의 스토리지 영역에 취합하여 중앙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들의 저장매체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존 내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 가능하고 IP망에 접속 가능한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존 내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와 백그라운드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백그라운드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규정한 혹은 액세스 선호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데이터 통신 수행중인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세션정보를 캐취하여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함께 등록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내 통신 두절된 단말기와 재접속시 등록된 세션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두절 이전의 서비스를 연속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채널 요청한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두절시 일정 시간 동안 통신 상대방 시스템의 리퀘스트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에 응답하여 내부 저장매체의 일 부분을 요청 단말기의 스토리지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와;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라이트 요청정보를 수신받아 그 요청정보에 포함된 라이트 요구 데이터를 취합하여 지정 어드레스에 라이트 저장하는 단계와;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리드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독출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이트 요청정보에는 라이트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파일명 혹은 저장 주소와 라이트 요구 데이터명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 단말기와 데이터 다운로드 중 해당 단말기와의 통신 두절이 감지되면 다운로드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스토리지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상 스토리지 사용요청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스토리지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노드로 업로드하거나 외부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KR10-2002-0023844A 2002-04-30 2002-04-30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KR10046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44A KR100463999B1 (ko) 2002-04-30 2002-04-30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44A KR100463999B1 (ko) 2002-04-30 2002-04-30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425A true KR20030085425A (ko) 2003-11-05
KR100463999B1 KR100463999B1 (ko) 2005-01-03

Family

ID=3238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44A KR100463999B1 (ko) 2002-04-30 2002-04-30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9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432B1 (ko) * 2001-05-21 2005-03-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KR100654618B1 (ko) * 2004-01-09 2006-12-08 임효택 무선 환경에서의 iSCSI 기반 원격 스토리지 서비스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및 서비스 시스템
KR100713647B1 (ko) * 2005-06-28 2007-05-0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28B1 (ko) * 2014-10-01 2020-12-22 엘에스일렉트릭(주) 에코넷-라이트 방식의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6938A (ja) * 1991-01-31 1992-09-02 Nec Corp 時分割多重伝送回路
JP3770929B2 (ja) * 1994-11-09 2006-04-2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KR100661540B1 (ko) * 2001-04-03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의 신호링크방법
KR100474742B1 (ko) * 2001-11-22 2005-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432B1 (ko) * 2001-05-21 2005-03-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네트워크의 접속 복구 방법 및 시스템
KR100654618B1 (ko) * 2004-01-09 2006-12-08 임효택 무선 환경에서의 iSCSI 기반 원격 스토리지 서비스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및 서비스 시스템
KR100713647B1 (ko) * 2005-06-28 2007-05-0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999B1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074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for providing a CPNS service
US9300706B1 (en) Digital photograph group editing and access
CN109756915B (zh) 一种无线网络管理方法及系统
EP23428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ppling history information of terminal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and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and end device therefor
US7286838B2 (en) Communal discovery of network coverage
US20020019829A1 (en) Community co-presence system and method having virtual groups
CN102571863A (zh) 实现移动终端之间内容共享的方法和装置
JP2003536129A (ja) 専用通信ポータルにおいてワイヤレス命令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製品及び方法
CN103618663A (zh) 一种信息分享系统及其信息分享方法
EP2709337B1 (en) Service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5961607A (en) System for transmission of data flow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s
KR20130026540A (ko) 통신 시스템에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 디바이스 컨텍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EP4096328A1 (en) Network function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function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medium
KR100463999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방법
CN10820011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1194098B (zh) 链路建立方法、装置、通信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US9549296B2 (en) Optimizing backhaul and wireless link capac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KR101441403B1 (ko) 컨텐츠 전송 서비스 시스템, 그의 장치 및 컨텐츠 전송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03739B1 (ko) 액세스 노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방법 및 장치
US20100190491A1 (en) Association of a mobile user identifier and a radio identifier of a mobile phone
JP2017103785A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無線信号検知装置及びサーバー
EP0998101A2 (en) Wireless server,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30047042A (ko) 복수개의 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한 데이터 분할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3047B1 (ko) 풀 브라우징 서비스의 다중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03335A1 (en) Hyperlocal edge cac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