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596B1 -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596B1
KR100477596B1 KR1019970040743A KR19970040743A KR100477596B1 KR 100477596 B1 KR100477596 B1 KR 100477596B1 KR 1019970040743 A KR1019970040743 A KR 1019970040743A KR 19970040743 A KR19970040743 A KR 19970040743A KR 100477596 B1 KR100477596 B1 KR 10047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coil
bobbin
coil
optical pickup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728A (ko
Inventor
김영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4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59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7Orientating, locating, transpor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부에서 트랙킹 코일과 영구자석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트랙킹 코일이 감겨지는 제1 보빈과, 포커싱 코일이 감겨있고 제1 보빈과 체결됨으로서 가동부를 이루는 제2 보빈과, 가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제조 방법은 트랙킹 코일을 제1 보빈에 감는 제1 단계와, 제1 보빈을 포커싱 코일이 감겨진 제2 보빈에 체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은 가동부에서 트랙킹 코일과 영구자석의 간격을 일정하도록함과 아울러 트랙킹 코일의 접착위치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대물렌즈의 트랙킹 동작 및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동부에서 트랙킹 코일과 영구자석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디스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광디스크의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픽업의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광픽업에는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신호를 따라 움직이는 액츄에이터와 기록된 신호를 읽기 위한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다.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광디스크의 면진동과 편심 등에 대해서, 액츄에이터는 대물렌즈로부터 집광된 광빔을 광디스크의 신호트랙 중심을 추종하도록 한다. 액츄애이터의 포커싱(Focusing)동작은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의 광스폿(Spot)이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에서 초점심도 내에 들도록 대물렌즈를 수직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액츄애이터의 트래킹(Tracking) 동작은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의 광스폿(Spot)이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결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크게 가동부(10)와 고정부(20)로 이루어 지며, 가동부(10)는 보빈(Bobbin ; 1), 포커싱 코일(2), 트랙킹 코일(;3), 대물렌즈(8), 피씨비-보빈(PCB Bobbin ; 9)으로 구성된다. 고정부(20)는 요크(5), 영구자석(4), 프레임(6)으로 구성된다.
가동부(10)와 고정부(20)는 스프링 와이어(7)로 연결된다. 가동부(10)에서, 보빈(1)의 내경에는 원통형의 내경이 뚫려 있어서 그 내경에 대물렌즈(8)가 끼워진다. 보빈(1)의 외주변에는 포커싱 코일(2)이 감겨 있고, 포커싱 코일(2) 위에 트랙킹 코일(3)이 접착된다. 고정부(20)에서는 요크(5)의 내측 양쪽에는 영구자석(4)이 접착되고 요크(5)는 프레임(6)에 고정된다.
광학계에서 나오는 광빔을 대물렌즈(8)를 포커싱 또는 트랙킹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액츄에이터의 역할이다. 이러한 대물렌즈(8)의 구동은 가동부(10)의 구동에 의해서 이루어 지는데, 이를 상세히 하면 가동부(10)에서 포커싱 코일(2)에 전류가 흘러 포커싱 코일(2)과 영구자석(4)의 자기회로에서 발생한 로렌쯔힘(Lorentz force)을 이용하여 대물렌즈(8)는 수직방향으로 포커싱(Focusing)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트랙킹 코일(3)에 전류가 흘러 트랙킹 코일(3)과 영구자석(4)의 자기회로에서 발생한 로렌쯔힘을 이용하여 대물렌즈(8)는 수평방향으로 트랙킹(Tracking) 동작을 수행한다.
포커싱 코일(2)과 트랙킹 코일(3)의 전류는 스프링 와이어(7)에 의해 공급된다. 또한, 스프링 와이어(7)는 가동부(10)가 수직방향(포커싱)과 수평방향(트랙킹)으로 구동함에 따라 프레임(6)에 고정된 자신의 일측을 회전축으로하여 가동부(10)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포커싱 동작량과 트랙킹 동작량은 도 3과 같이, 영구자석(4)과 포커싱 코일(2), 트랙킹 코일(3)간의 간격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이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성능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이를 감도(Gain)라고 하는데 인가된 전류에 대한 가동 변위로 표현한다. 또한, 가동부(10)가 수직방향(포커싱)과 수평방향(트랙킹)으로 동작할 때, 대물렌즈(8)는 수평을 이루도록 해야 하는데 수평상태가 벗어나 기울어지는 경우 입/출력 특성이 저하된다.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10)에서, 각 가동부(10)마다 영구자석(4)과 트랙킹 코일(3)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또는 한 가동부(10)에서 4개로 구성되는 트랙킹 코일(3) 각각이 영구자석(5)과 간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흔히 있는데, 이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감도와 입/출력특성을 저하시키는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문제점은 특히, 가동부(10)에서 트랙킹 코일(3)의 조립수순에 기인한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10)에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가동부(10)의 조립수순은 보빈(1)에 포커싱 코일(2)을 감는 단계와, 포커싱 코일(2)이 감긴 보빈(1)에 트랙킹 코일(3)을 접착하는 단계와, 대물렌즈(8)를 보빈(1)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랙킹 코일(3)을 포커싱 코일(2)이 감겨진 보빈(1)에 접착하는 조립수순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와 같이 트랙킹 코일(3)이 트랙킹 코일틀(11)의 사각 돌출부가 자신의 내경에 끼워지는 제1 단계와, 도 5(B)와 같이 보빈(1)에 감겨있는 포커싱 코일(2)에 밀착시켜 간이 접착하고 트랙킹 코일틀(11)을 다시 빼내는 제2 단계와, 도 5(C)와 같이 조립된 후 트랙킹 코일(3)과 포커싱 코일(2)의 밀착면 주위로 재접착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 진다.
이런한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트랙킹 코일의 접착수순은 트랙킹 코일틀(11)의 사각 돌출부에 트랙킹 코일(3)을 끼워야 하는 조립공정이 추가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그리고 트랙킹 코일(3)이 포커싱 코일(2)에 밀착시켜 간이 접착하므로 트랙킹 코일틀(11)을 뒤로 빼낼 때, 도 6과 같이 트랙킹 코일(3)이 회전하여 포커싱 코일(2) 접착면에 대해 비틀린 상태로 붙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트랙킹 코일 접착의 조립수순에서의 조립성 저하(즉, 생산성 저하)로 발생한 문제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특성인 감도(Gain)와 입/출력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감도를 저하시키는 제1 요인으로는 포커싱 코일(2)이 보빈(1)에 감기고 난 후 감긴 두께가 각 가동부(10)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포커싱 코일(2)면에 접착되는 트랙킹 코일(3)의 위치가 달라져 도 3과 같이 각 가동부(10)마다 영구자석(4)과 트랙킹 코일(3)의 간격 t가 서로 달라 질 수 있다. 감도를 저하시키는 제2 요인으로는 트랙킹 코일(3)이 포커싱 코일(2)에 밀착시켜 간이 접착하므로 트랙킹 코일틀(11) 접착을 뒤로 빼낼 때, 트랙킹 코일(3)이 포커싱 코일(2)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고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특성을 저하 시키는 요인으로는 한 가동부(10)에서 4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트랙킹 코일(3)이 영구자석(4)과 간격이 동일 하지 않을 때, 가동부가 수직방향(Focusing)과 수평방향(Tracking)으로 구동하면서 대물렌즈(8)가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부에서 트랙킹 코일과 영구자석의 간격을 일정하도록함과 아울러 트랙킹 코일의 접착위치에 정확성을 기하도록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동부에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조립수순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더 나아가 감도와 입출력 특성을 향상시키도록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트랙킹 코일이 감겨지는 제1 보빈과, 포커싱 코일이 감겨있고 제1 보빈과 체결됨으로서 가동부를 이루는 제2 보빈과, 가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제조 방법은 트랙킹 코일을 제1 보빈에 감는 제1 단계와, 제1 보빈을 포커싱 코일이 감겨진 제2 보빈에 체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포커싱 코일(22)이 감겨있는 보빈(21)과, 트랙킹 코일(23)이 감겨있는 트랙킹 코일 어세이(15)를 구비한다.
트랙킹 코일 어세이(15)는 트랙킹 코일(23)과, 트랙킹 코일(23)이 자신의 양측 사각형의 돌출부에 감겨지는 트랙킹 코일 보빈(14)으로 구성된다. 트랙킹 코일 어세이(15)는 보빈(21)의 좌우 양측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보빈(21)과 체결된다. 트랙킹 코일 어세이(15)와 보빈(21)의 체결이 끝나면, 보빈(21)의 중앙에 뚫려있는 원통형의 내경에 대물렌즈(28)가 끼워진다. 스프링 와이어(7)가 트랙킹 코일(23)과 포커싱 코일(2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피씨비 보빈(21)이 보빈(21)의 좌우 양측에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트랙킹 코일 어세이(15)의 일측과 포커싱 코일(22)이 감겨 있는 보빈(21)의 외주변은 체결되어 정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트랙킹 코일 어세이(15)의 양측에는 사각형의 홈의 형성되고 그 외주변에는 일정 높이로 단턱부가 형성되어 트랙킹 코일(23)이 감겨진다.
트랙킹 코일(23)이 트랙킹 코일 보빈(14)과 일체화되어 보빈(21)과 체결됨으로서 포커싱 코일(22)과의 접착면이 항상 일정하게 되고,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가동부가 고정부에 조립이 되면, 트랙킹 코일(23)과 고정부의 영구자석과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트랙킹 코일 어세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조립수순을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코일 어세이의 제조 방법에는 트랙킹 코일(23)을 성형하기 위한 제1 트랙킹 코일틀(12)과 제2 트랙킹 코일틀(13)이 마련되어 있다.
제1 트랙킹 코일틀(12)은 원통형의 받침부와 받침부의 일측 원형면을 이루는 바닥면의 중심에 일정높이로 막대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제2 트랙킹 코일틀(13)은 원통형을 이루고 중앙에는 사각형의 홈이 관통되어 제1 트랙킹 코일틀(12)의 막대모양의 돌출부가 홈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트랙킹 코일 어세이(15)의 제조 방법은 도 8(B)와 같이 제1 트랙킹 코일틀(12)의 막대모양 돌출부에 트랙킹 코일 어세이(15)의 사각홈이 끼워지는 단계와, 도 8(C)와 같이 제2 트랙킹 코일틀(13)이 자신의 사각형의 홈이 제1 트랙킹 코일틀(12)의 돌출부에 끼워짐으로서 트랙킹 코일 어세이(15)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도8(D)와 같이 제2 트랙킹 코일틀(13)을 회전시켜 트랙킹 코일(23)을 트랙킹 코일 보빈(14)에 직접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9는 트래킹 코일 어세이(15)가 트래킹 코일(23)이 감겨 있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때, 트랙킹 코일(23)은 트래킹 코일 어세이(15)에 일정한 장력이 가해지면서 성형되므로 밀착성이 좋아진다. 결과적으로, 트래킹 코일(23)이 감겨진 트랙킹 코일 어세이(15)를 도 7과 같이 보빈(21)에 체결하면 트랙킹 코일(23)의 접착위치가 일정하고 고정부의 영구자석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감도 및 입출력 특성을 향상 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은 가동부에서 트랙킹 코일과 영구자석의 간격을 일정하도록함과 아울러 트랙킹 코일의 접착위치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그 제조 방법은 조립수순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더 나아가 감도와 입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트랙킹 코일과 영구자석의 간격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에 트랙킹 코일을 접착하는 조립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트랙킹 코일의 접착위치가 비틀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트랙킹 코일 어세이의 조립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트랙킹 코일 어세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 : 보빈 2,22 : 포커싱 코일
3,23 : 트랙킹 코일 4 : 영구자석
5 : 요크 6 : 프레임
7 : 스프링 와이어 8,28 : 대물렌즈
9,29 : 피씨비 보빈 10 : 가동부
11,12,13 : 트랙킹 코일틀 14 : 트랙킹 코일 보빈
15 : 트랙킹 코일 어세이 20 : 고정부

Claims (4)

  1. 트랙킹 코일과 포커싱 코일을 구비한 가동부로 이루어진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이 감겨지는 트랙킹코일 보빈과,
    상기 포커싱 코일이 감겨있고 상기 트랙킹코일 보빈과 체결됨으로서 상기 가동부를 이루는 보빈과,
    상기 가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은 상기 보빈에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트랙킹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의 간격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3. 트랙킹 코일과 포커싱 코일을 구비한 가동부로 이루어진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을 트랙킹코일 보빈에 감는 제1 단계와,
    상기 트랙킹코일 보빈을 상기 포커싱 코일이 감겨진 보빈에 체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트랙킹 코일틀에 상기 트랙킹코일 보빈을 끼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제조방법.
KR1019970040743A 1997-08-25 1997-08-25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KR10047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43A KR100477596B1 (ko) 1997-08-25 1997-08-25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43A KR100477596B1 (ko) 1997-08-25 1997-08-25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28A KR19990017728A (ko) 1999-03-15
KR100477596B1 true KR100477596B1 (ko) 2005-07-11

Family

ID=3730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43A KR100477596B1 (ko) 1997-08-25 1997-08-25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588A (ko) * 2001-07-13 2003-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픽업 엑츄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861A (ja) * 1994-03-04 1995-09-19 Pioneer Electron Corp ピックアップ
JPH08212573A (ja) * 1994-11-17 1996-08-20 Daewoo Electron Co Ltd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970071542A (ko) * 1996-04-26 1997-11-07 배순훈 컴팩트형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56377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861A (ja) * 1994-03-04 1995-09-19 Pioneer Electron Corp ピックアップ
JPH08212573A (ja) * 1994-11-17 1996-08-20 Daewoo Electron Co Ltd 光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970071542A (ko) * 1996-04-26 1997-11-07 배순훈 컴팩트형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56377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28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020B1 (ko) 광픽업의 렌즈홀더 조정장치
KR100708093B1 (ko) 광픽업 조립체
US20040130999A1 (en) Actuator for optical pickup,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KR100477596B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US8009523B2 (en) Optical picku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135294Y2 (ko)
KR0178596B1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235189Y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보빈어셈블리구조
JPH09306003A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3401774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3415445B2 (ja) 光ピックアップ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の製造方法
JP4002355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ピッアップ
JP366235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200144862Y1 (ko)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KR970000644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용 광픽업엑츄에이터의 서스펜션
KR200143188Y1 (ko) 액츄에이터의 코일 피씨비 조립 구조
JP3111407U (ja) 光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
JP3290952B2 (ja) 光学系駆動装置
KR200171090Y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999001645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30050752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057772B2 (ko)
JP2000113478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381634A (ja) 対物レンズの駆動装置
JPH01317232A (ja) 光学系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