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862Y1 -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862Y1
KR200144862Y1 KR2019960042072U KR19960042072U KR200144862Y1 KR 200144862 Y1 KR200144862 Y1 KR 200144862Y1 KR 2019960042072 U KR2019960042072 U KR 2019960042072U KR 19960042072 U KR19960042072 U KR 19960042072U KR 200144862 Y1 KR200144862 Y1 KR 200144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actuator
outer yoke
fixing structure
obje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018U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2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8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862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트(130)를 접착제의 사용없이 외측 요크(112)에 고정 설치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을 절감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측 요크(112)의 양측면에 마그네트(130)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선단에 절곡부(118)를 가진 탄성편(116)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은 탄성편(116)이 마그네트(130)를 측면에서 탄성적으로 고정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그네트(130)를 외측 요크(112)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절감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의 외측 요크에 마그네트를 고정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측 요크의 양측에 마그네트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탄성편을 형성시켜 접착 공정을 하지 않고 마그네트를 외측 요크에 고정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나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와 같은 각종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기록 매체인 디스크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그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디스크 상에서 원하는 트랙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트랙 위치에서 디스크면 상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 광을 입사시킨 다음 그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디스크면 상의 기록 내용을 재생하는 장치이다.
한편, 액츄에이터는 상기한 광픽업 장치의 광학계에서 트랙킹 및 포커싱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레이저 광을 디스크 면상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를 래디얼 방향 및 광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레이저 광으로 디스크면 상에 정확한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34)를 고정하는 대물렌즈 홀더(30)와, 이 대물렌즈 홀더(3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플레이트(10)로 구성되어 있는데, 더욱 상세히는 다음과 같다.
대물렌즈 홀더(30)에는 중심부에 레이저 통과공(32)이 형성되고, 이 레이저 통과공(32)의 상방에 디스크 반사면에 초점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34)가 접착되어 있으며, 대물렌즈 홀더(30)의 둘레에는 대물렌즈(3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커싱 코일(40)이 권선 되어 있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40)의 양측에 대물렌즈(34)를 래디얼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트랙킹 코일(42)이 각각 접착되어 있다.
또한, 대물렌즈 홀더(30)의 양측에는 트랙킹 코일(42)과 포커싱 코일(40)이 접착되는 코일 피씨비(5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 피씨비(50)에는 포커싱 코일(40)과 트랙킹 코일(42)에 서보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하며 대물렌즈 홀더(30)의 요동을 지지해 줌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작용 시에 그 진동을 감쇄하는 서스펜션 와이어(54)가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0)의 상측에는 대물렌즈 홀더(30)에 권선된 포커싱 코일에 유동되게 끼워지는 한 쌍의 내측 요크(12)가 형성되고, 이 내측 요크(12)의 외측으로 마그네트(13)가 설치되는 한 쌍의 외측 요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외측 요크(14)의 외측에는 서스펜션 피씨비(58)가 접착되는 제 2요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요크(16)에는 점성이 강한 댐핑겔(57)이 주입된 홀더겔(56)이 설치되는데, 대물렌즈 홀더(30)의 서스펜션 와이어(54)가 이 홀더겔(56)을 지나 서스펜션 피씨비(58)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빈(20)에 접착된 대물렌즈(34)가 포커싱 코일(40) 및 트랙킹 코일(42)에 의해 디스크 상에서 기록 피트에 초점을 형성하기 위해 이동하면서 진동할 때, 이 보빈(20)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54)가 댐핑겔(57)에 의해 그 진동이 급속하게 감소되므로 대물렌즈(34)가 디스크 상에서 초점을 안정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액츄에이터의 외측 요크(14)에 마그네트(13)가 설치되는 구조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13)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외측 요크(14)의 하단 일측 플레이트(10)에 마그네트(13)를 지지할수 있는 한 쌍의 받침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13)를 받침돌기(15) 위에 올려 외측 요크(14)에 마그네트(13)의 자력으로 접착시킨 상태에서 마그네트(13)가 외부의 접촉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돌기(15)와 이에 접촉하는 마그네트(13)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마그네트(13)를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마그네트(13) 고정 구조에 있어서는 외측 요크(14)에 접착된 마그네트(13)가 유동하지 않게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착 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 및 공정이 별도로 추가되므로 액츄에이터의 조립 생산성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그네트를 접착제의 사용없이 외측 요크에 고정 설치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을 절감하여 액츄에이터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측 요크의 양측면에는 선단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마그네트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탄성편이 각각 돌출 형성된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마그네트의 고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고정 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 고정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0 : 플레이트 112 : 외측 요크
114 : 받침돌기 116 : 탄성편
118 : 절곡부 130 : 마그네트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픽업 커버 착탈 구조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3 에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외측 요크(112)의 양측면에 마그네트(130)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탄성편(116)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116)의 선단에는 마그네트(130)를 조립할 때 쉽게 끼우기 위하여 둥근면을 제공하는 절곡부(118)가 형성된다.
이러한 마그네트(130) 고정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130)를 외측 요크(112)에 조립시킬 때에는 마그네트(130)를 잡고 외측 요크(112)의 정면에서 마그네의 양측면이 외측 요크(112)의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편(116)의 절곡부(118)에 끼워지도록 위치시킨 다음, 마그네트(130)를 밀어 넣어 마그네트(130)의 전면이 외측 요크(112)의 내측 면에 닿도록한다. 그런 다음 마그네트(130)의 상측에서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 마그네트(130)의 저면이 플레이트(110)의 상측 면에 형성된 받침돌기(114)에 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마그네트(130)는 자력에 의해 외측 요크(112)에 접착되고, 외측 요크(112)에 형성된 탄성편(116)에 의 측면이 탄성 압력을 받으며, 저면은 받침돌기(11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강한 자력을 가진 마그네트(130)는 상당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외측 요크(112)에 고정된 자세가 변형되거나, 외측 요크(112)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의 외측 요크(112) 양측에 마그네의 측면을 고정하는 한 쌍의 탄성편(116)을 형성 시킨 구조로서, 이 탄성편(116)이 마그네트(130)를 측면에서 탄성적으로 고정하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그네트(130)를 외측 요크(112)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절감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홀더(140)에 접착된 트랙킹 코일(142) 및 포커싱 코일(144)에 자속을 제공하는 마그네트(130)가 외측 요크(112)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요크(112)의 양측면에는 선단에 절곡부(118)가 형성되어 마그네트(130)의 양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탄성편(116)이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KR2019960042072U 1996-11-26 1996-11-26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KR200144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072U KR200144862Y1 (ko) 1996-11-26 1996-11-26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072U KR200144862Y1 (ko) 1996-11-26 1996-11-26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18U KR19980029018U (ko) 1998-08-05
KR200144862Y1 true KR200144862Y1 (ko) 1999-06-15

Family

ID=5398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072U KR200144862Y1 (ko) 1996-11-26 1996-11-26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8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9878A (ja) * 1998-03-12 1999-09-24 Alps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の光ピックアップにおける磁石装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18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4862Y1 (ko)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 구조
JPH0521701Y2 (ko)
KR1998008618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143188Y1 (ko) 액츄에이터의 코일 피씨비 조립 구조
KR200147219Y1 (ko) 액츄에이터 고정지그
KR100199838B1 (ko) 액츄에이터의 픽업 커버 조립지그
JP366235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644603B1 (ko) 광픽업 조립체
JP2503403Y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ピツクアツプ装置
JPH0310093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477596B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와그제조방법
KR19980083599A (ko) 광픽업장치의 일체형 엑츄에이터
KR200159905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0178596B1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159904Y1 (ko) 액츄에이터 픽업 커버의 자속 인도 구조
KR19980018698U (ko)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피씨비 조립 구조
KR100207268B1 (ko) 광픽업 장치의 렌즈 홀더 위치 조정구조
KR200144864Y1 (ko) 액츄에이터의 픽업 커버 탈착 구조
KR0162575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용 광픽업엑츄에이터
KR0177332B1 (ko) 대물렌즈 접착용 대물렌즈 누름장치
KR19980049999U (ko) 액츄에이터의 이중 댐핑구조
KR0167933B1 (ko) 광픽업 액추에이터의 픽업구조
KR19980086187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90082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0181822B1 (ko)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