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933B1 -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 Google Patents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933B1
KR100476933B1 KR10-2002-0061718A KR20020061718A KR100476933B1 KR 100476933 B1 KR100476933 B1 KR 100476933B1 KR 20020061718 A KR20020061718 A KR 20020061718A KR 100476933 B1 KR100476933 B1 KR 100476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wafer
identification mark
wide area
upper side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529A (ko
Inventor
최삼종
김기정
조규철
김연숙
한신혁
정회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933B1/ko
Priority to US10/684,343 priority patent/US7372150B2/en
Publication of KR2004003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0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mprising alphanumer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93Peripheral marks on wafers, e.g. orientation flats, notches, lot nu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한다. 이 반도체 웨이퍼는 웨이퍼 식별 표시가 기록되는 마킹 영역을 구비하고, 그 측면은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으로 구분된다. 이때, 하부 측면에는 상부 측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넓은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마킹 영역은 상기 넓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반도체 웨이퍼의 단면은 비대칭적 모양, 즉 넓은 영역은 상부 측면보다 폭은 넓고 두께는 두껍다.

Description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Semiconductor Wafer Having Identification Indica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실시되는 다양한 공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반도체 웨이퍼(semiconductor wafer)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각각의 반도체 웨이퍼에는 문자, 숫자 또는 바코드 등과 같은 식별 표시(identification indication)가 표시된다. 상기 식별 표시는 각각의 반도체 웨이퍼에 적용된 공정 조건과 그에 따른 결과를 인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은 반도체 제품의 불량 분석(failure analysis) 및 공정 피드백(process feedback)을 가능하게 하여, 반도체 제품의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동일한 오류(error)를 반복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식별 표시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 상에 반도체 회로를 형성하기 전에,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부면에 각인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킹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마킹에 의해 형성된 점들을 I-I'을 따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웨이퍼(10)의 상부면 가장자리(15)에는 식별 표시가 표시되는 마킹 영역(2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킹 영역(20)의 면적 만큼, 반도체 제품이 형성될 칩 영역(25)의 면적은 감소한다. 상기 칩 영역(25)의 면적이 감소할 경우, 반도체 제품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별 표시는 통상적으로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형성한 점들(dots, 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들(30)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평탄하지 않은 모양을 갖기 때문에, 후속 반도체 회로 형성을 위한 제조 공정에서 파티클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점들(30)의 평탄하지 않은 모양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척(chuck) 불량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웨이퍼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별 표시의 불균일한 모양에 의한 파티클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측면이 상부 측면보다 넓은 비대칭적인 단면을 갖는 반도체 웨이퍼를 제공한다. 이 반도체 웨이퍼는 웨이퍼 식별 표시가 기록되는 마킹 영역을 구비하고, 그 측면은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하부 측면에는 상기 상부 측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넓은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마킹 영역은 상기 넓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단면은 비대칭적 모양이다. 즉, 상기 넓은 영역은 상기 상부 측면보다 폭은 넓고, 두께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넓은 영역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원주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웨이퍼 식별 표시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코드 등과 같이 정보를 포함하는 무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반도체 웨이퍼(100)는 상부면(130), 하부면(135) 및 측면(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면(130)에는 칩영역(110, chip region) 및 가장자리 영역(edge region)이 배치된다. 상기 칩 영역(110)은 반도체 제품이 제조되는 영역으로, 스크라이브 라인(scribe line)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칩 영역(110)을 제외한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상부면(130) 전체이며, 상기 측면(120)에 접한다.
상기 측면(120)은 상기 상부면(130) 및 상기 하부면(135)과 수직하게 만나지 않고, 밖으로 볼록한 모양(outward convex shape)을 이루면서 만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면(130)에 접하는지 또는 상기 하부면(135)에 접하는지에 따라, 상기 측면(120)은 상부 측면(122)과 하부 측면(124)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면(122) 및 하부 측면(124)을 구분하는 경계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폭이 가장 넓어지도록 정의하는 점들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상부 측면(122)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원주(circumference) 전체에서 동일한 폭(L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 측면(124)은 좁은 영역(150)과 넓은 영역(1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넓은 영역(160)은 그 폭(L3)이 상기 좁은 영역(150)의 폭(L2) 및 상기 상부 측면(122)의 폭(L1)보다 넓은 영역이다.
상기 하부 측면(124)의 넓은 영역(160)에는 마킹 영역(200)이 배치된다. 상기 마킹 영역(200)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표시(300)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상기 식별 표시(300)를 상기 넓은 영역(160)에 형성함으로써, 도 3에서 설명한 불균일한 모양의 점들(30)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들이 상기 칩영역(110)으로 전사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 영역(200)은 반도체 제품이 생산되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부면(130)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칩영역(110)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를 고정하기 위해 진공 상태를 이용하는 진공 척킹(vacuum chucking)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척킹의 방법은 진공척(vacuum chuck)과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 사이의 밀착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마킹 영역(200)을 상기 하부면(135)에 경사진 상기 하부 측면(124)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식별 표시(300)의 불균일한 모양에 따른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고정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하부 측면(124)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원주 전체에서 동일한 폭(L3')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측면(124)은 원주 전체에 걸쳐 넓은 영역(160)을 형성한다. 상기 폭(L3')은 상기 상부 측면(122)의 폭(L1)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킹 영역(200)은 상기 하부 측면(124)에 배치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킹 영역(200)이 배치되는 상기 하부 측면(124)은 상기 상부 측면(122)보다 넓은 폭을 갖기 때문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측면 모양은 비대칭적일 수 있다. 즉, 상기 마킹 영역(200)을 따라 보여지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100)의 단면은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 측면(124)이 상기 상부 측면(122)보다 넓은 비대칭적인 모양을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 측면(122)의 두께(h1)는 상기 하부 측면(124)의 상기 넓은 영역(160)에서의 두께(h2)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h1<h2).
상기 마킹 영역(200)에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의 기호가 각인된 식별 표시(300)가 형성된다. 상기 식별 표시(300)를 구성하는 기호들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새겨진 복수개의 점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식별 표시(300)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늬, 예를 들면 바코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측면(120)의 단면 모양은 대칭적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부 측면(122) 및 상기 좁은 영역(150)은 폭 및 두께가 동일할 수도 있다(즉, L1=L2, h1'=h2'). 이처럼 대칭적인 단면의 측면(120)은 상기 좁은 영역(15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웨이퍼의 하부 측면에는 상부 측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넓은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넓은 영역에는 식별 표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웨이퍼의 상부면을 제품 생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식별 영역의 불균일한 모양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 문제 및 고정 불량의 문제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불량은 최소화하면서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있는 반도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별 표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별 표시를 I-I'을 따라 보여지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의 측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7)

  1. 웨이퍼 식별 표시가 기록되는 마킹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웨이퍼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는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 측면에는 상기 상부 측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넓은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마킹 영역은 상기 넓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단면은 비대칭적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의 두께는 상기 넓은 영역에서의 상기 하부 측면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넓은 영역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원주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식별 표시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식별 표시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KR10-2002-0061718A 2002-10-10 2002-10-10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KR100476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18A KR100476933B1 (ko) 2002-10-10 2002-10-10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US10/684,343 US7372150B2 (en) 2002-10-10 2003-10-10 Semiconductor wafer having identification ind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718A KR100476933B1 (ko) 2002-10-10 2002-10-10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529A KR20040032529A (ko) 2004-04-17
KR100476933B1 true KR100476933B1 (ko) 2005-03-16

Family

ID=3265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718A KR100476933B1 (ko) 2002-10-10 2002-10-10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72150B2 (ko)
KR (1) KR100476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9099B1 (en) 2007-06-01 2013-03-05 Rubicon Technology, Inc. Asymmetrical wafer configurations and method for creating the same
US8822141B1 (en) 2013-03-05 2014-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ont side wafer ID processing
KR20180033193A (ko) * 2015-07-24 2018-04-02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적층 기판, 적층 기판의 제조 방법, 적층체, 곤포체, 및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6105A (ja) * 1997-03-11 1998-09-25 Super Silicon Kenkyusho:Kk レーザマークを付けたウェーハ
KR20000057827A (ko) * 1999-01-28 2000-09-25 고마쓰 덴시 긴죠꾸 가부시기 가이샤 반도체 웨이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512A (ja) * 1982-07-30 1984-02-07 Toshiba Corp 半導体ウエハ−のレ−ザマ−キング方法
US6963867B2 (en) * 1999-12-08 2005-11-08 A9.Com, Inc. Search query processing to provide category-ranked presentation of search results
DE10131246C2 (de) * 2001-06-28 2002-12-19 Wacker Siltronic Halbleitermat Verfahren zur materialabtragenden Bearbeitung der Kanten von Halbleiterscheib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6105A (ja) * 1997-03-11 1998-09-25 Super Silicon Kenkyusho:Kk レーザマークを付けたウェーハ
KR20000057827A (ko) * 1999-01-28 2000-09-25 고마쓰 덴시 긴죠꾸 가부시기 가이샤 반도체 웨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529A (ko) 2004-04-17
US20040124502A1 (en) 2004-07-01
US7372150B2 (en)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476B2 (ja) 半導体ウェーハ及び半導体ウェーハの製造方法
US20060118916A1 (en) Semiconductor waf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wafer
KR20200104061A (ko) 프로브 카드용 가이드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 카드
US4442188A (en) System for specifying critical dimensions, sequence numbers and revision levels on integrated circuit photomasks
KR100476933B1 (ko) 식별 표시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JP2000235636A5 (ko)
JP3970546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30036025A1 (en) Method of recording identifier and set of photomasks
JP2007081123A (ja) 半導体装置の形成方法
CN102044541B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7227953A (ja) 半導体ウェーハ、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ウェーハの製造方法
KR0147672B1 (ko) 웨이퍼를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한 라벨
JPS61142734A (ja) 半導体装置
CN115008027B (zh) 一种覆铜陶瓷基板产品的追溯方式
KR20080021392A (ko) 식별부를 갖는 반도체 웨이퍼
CN214669226U (zh) 一种探针基板组合件
KR20020022232A (ko) 복수개의 모니터 패턴이 하나의 스크라이브 라인에 형성된웨이퍼
JPS63288009A (ja) ウエハとウエハ処理工程管理方法
JP2004240189A (ja) 識別情報記録方法
JPS5996717A (ja) ウエハおよびその処理方法
JP2000021694A (ja) 半導体装置
JPS6017747A (ja) 半導体集積回路製造用レチクル
JP200927247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54930A (ko) 웨이퍼 식별부호 마킹방법
JPH0513529A (ja) 半導体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