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438B1 -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438B1
KR100476438B1 KR10-2001-0066077A KR20010066077A KR100476438B1 KR 100476438 B1 KR100476438 B1 KR 100476438B1 KR 20010066077 A KR20010066077 A KR 20010066077A KR 100476438 B1 KR100476438 B1 KR 10047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ower
drum
dry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896A (ko
Inventor
김상두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66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43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AU2002348592A priority patent/AU2002348592B2/en
Priority to EP02781983A priority patent/EP1438453B1/en
Priority to JP2003538452A priority patent/JP2005506165A/ja
Priority to DE60216953T priority patent/DE60216953T2/de
Priority to US10/451,340 priority patent/US20040055176A1/en
Priority to PCT/KR2002/002001 priority patent/WO2003035962A1/en
Priority to EP06006886.3A priority patent/EP1686211B1/en
Priority to CNB028033108A priority patent/CN1308535C/zh
Publication of KR2003003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896A/ko
Priority to US11/002,415 priority patent/US2005009187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38B1/ko
Priority to JP2008136178A priority patent/JP2008246219A/ja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용 히터의 출력 파워를 가변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량이 큰 히터를 두개 구비하고, 하나는 릴레이와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고정된 파워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는 트라이악과 같은 파워소자를 이용하여 출력파워의 가변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높은 히터의 파워가 필요할 때는 릴레이의 제어에 의한 히터를 온하고, 트라이악으로 파워를 가변 제어하므로서, 출력파워의 전대역에 걸쳐서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Heater control device for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용 히터의 출력 파워를 가변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상으로 양단부가 개방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 중간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쳄버(5)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에 있는 건조대상물을 뒤집어주는 배플(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헤드(7)와 후면헤드(9)는 상기 드럼(1)의 개방된 부분을 막아 건조쳄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전면헤드(7)와 드럼(1)의 사이 및 상기 후면헤드(9)와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헤드(7)에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후면헤드(9)에는 에어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 공기, 보다 정확하게는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헤드(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헤드(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쳄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구조립체(12)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14)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블로워(17)의 힘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덕트(12)와 연결되게 열풍덕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덕트(20)는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건조작용을 하는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풍덕트(20)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는 가스노즐(22)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노즐(22)은 공급된 가스를 분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노즐(22)에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23은 가스관이다.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24)이 상기 열풍덕트(20)의 입구에서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는 상기 가스노즐(22)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는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된 가스와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즉 1차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선단에는 스파크플러그(26)가 설치되어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구성을 히터라고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에 건조 대상물인 세탁포를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쳄버(5) 내부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로는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열풍덕트(20)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스파크플러그(26)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열풍덕트(20)의 내부로 상기 블로워(17)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들게 된다.
상기 열풍은 상기 에어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쳄버(5)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건조쳄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쳄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실밥 등의 이물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건조기에서 히터의 구동 제어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고 있는 형태로 제어하고 있다.
즉, 릴레이를 이용한 히터 제어와 트라이악을 이용한 히터 제어를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2a에 도시되고 있는 형태는, 직렬 연결된 릴레이(RY1,RY2)와 히터(124a,124b)를 다수개 병렬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릴레이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다단 제어는 할 수 있었지만, 히터의 출력 파워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는 없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 제시된 도 2b의 구성은, 트라이악(T1)이나 SCR, SSR 등의 파워소자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히터(124c)의 출력파워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는 있었으나, 히터 용량이 큰 경우, 상기 파워소자의 방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쿨링팬을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건조기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히터 제어에 있어서는 히터의 출력파워를 가변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트라이악을 이용한 히터 제어에 있어서는 방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열판의 취부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 및 제조비용의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의 출력파워를 가변 제어할 수 있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는,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두개의 히터와; 상기 히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고정된 히터의 출력파워를 발생하도록 하는 고정 파워 스위칭소자와; 상기 히터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가변된 히터의 출력파워를 발생하도록 하는 가변 파워 스위칭소자와; 상기 두개의 스위칭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변 파워 스위칭소자와 제어수단 사이에 전원분리를 위한 전원분리수단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파워 스위칭소자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 상기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는 트라이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분리수단은, 트라이악의 열림정도를 제어하는 포토 트라이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은, 상기 히터들의 출력파워 중 제 1 설정파워 이상이 요구될 때, 상기 고정파워 스위칭소자와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를 모두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은, 상기 히터들의 출력파워 중 제 2 설정파워 이하가 요구될 때, 상기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만을 온 시키며, 상기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를 제어하여 출력파워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아웃케이스(53)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전면플레이트(41)가 아웃케이스(53)의 선단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아웃케이스(53)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내부에 투입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드럼(4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44)은 그 외면을 둘러 있는 드럼구동벨트(54)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41)의 내면에 해당되고 상기 드럼(44)의 내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배기구(43)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43)는 상기 드럼(44) 내부의 공기를 드럼(44) 외부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입구에는 상기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린트필터(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43)의 일측에 건조동작시에 드럼(44) 내부의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센서(38)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전극센서(38)는 세탁물이 터치되었을때, 전극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건조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한 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배기구(43)와 연결되게 상기 전면플레이트(3)의 내측에는 배기유로(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로(45)와 연통되게 블로워조립체(3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유로(45)에는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블로워조립체(30)에는 상기 배기유로(45)를 통해 나온 공기를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3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블로워조립체(30)에는 드럼(4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흡기시켜서 후술되는 히터(42)의 열을 드럼(44)으로 유입시키고 의류의 습기를 배기구(43)로 배출시켜주기 위한 블로워(31)가 포함되고 있다. 상기 블로워(31)는 속도가변형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53)의 내부 중 상기 드럼(44)의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46)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덕트(46)는 상기 드럼(44)의 후방을 통해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급덕트(46)의 일측에는 히터(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덕트(46)의 일측에는 드럼(44)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48)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웃케이스(53)의 내부 일측에 건조기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메인보드(52)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은 상기 메인보드(52)에 포함된 건조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어하에 건조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건조기 내부에 전기적인 제어를 받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는 각 센서들은 검출한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에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우선,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전원공급신호, 건조동작신호, 건조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신호 등을 입력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로 전송하는 키입력부(103)와, 현재 세탁물의 건조 정도를 검출하는 전극센서(38)의 검출신호도 전극센서신호변환부(106)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로 전송된다.
이 외에 드럼(44)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8)의 검출신호는, 온도센서1신호변환부(109)에서 신호 변환되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로 전송된다. 그리고 드럼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온도센서2(32)에서 검출되어져서 신호변환부(112)에서 신호변환되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로 전송된다. 또한, 건조 동작 중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감지부(115) 등의 검출신호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드럼(44)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드럼모터의 구동을 위한 드럼모터구동부(118)와, 블로워(31)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블로워 모터의 구동을 위한 블로워모터구동부(121)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어하에 동작과 정지가 이루어져서 드럼의 회전과 블로워(31)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열원을 공급하는 히터의 구동을 위한 히터구동부(124,127)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진다.
본 발명의 히터구동부는, 도 6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용량이 큰 두개의 히터(124a,127a)가 릴레이(130)와 트라이악(133)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트라이악(133)의 온/오프 제어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로부터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트라이악(133)은 위상제어에 의하여 그 출력이 제어되며, 상기 트라이악(133)과 마이크로컴퓨터(100) 사이의 전원분리를 위해서 파워 트라이악(136)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드럼(44)의 내부에 건조를 위한 세탁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를 닫고, 키입력부(103)에서 건조동작신호를 선택하면, 이 신호는 메인보드(52) 내 마이크로컴퓨터(100)에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는 드럼모터구동부(118)에 드럼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후, 드럼모터가 구동되면서 드럼벨트(54)가 회전되고 따라서 상기 드럼(44)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100)는 블로워구동부(121)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조립체(30)가 동작되어 블로워(31)가 구동되면, 린트필터(36)를 통해서 상기 배기덕트(34)로 상기 드럼(44) 내의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상기 드럼(44)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시점 전후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0)는 히터구동부(124)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00)는, 현재 필요한 히터의 출력파워를 판단한다. 즉, 건조정도에 따라서 상기 히터의 출력파워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100)는 현재 히터의 출력파워량을 판단하고, 두개의 히터(124a,127) 중에서 어느 하나만 또는 두개 전부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히터(124a)는 릴레이(130)의 동작에 의해서 고정적인 파워량을 발생한다. 그리고 또 하나의 히터(127a)는 트라이악(133)의 열림정도에 따라서 가변적인 파워량을 발생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00)는, 포토 트라이악(136)을 통해서 트라이악(133)의 열림정도를 제어하고, 이러한 제어로 상기 히터(127a)에 공급되는 전원량이 조절되므로서, 상기 히터(127a)의 출력파워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두개의 히터 동작상태에 따른 출력 파워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두개의 히터를 완전하게 동작시킬 때, 발생 가능한 출력 파워가 약 6000W이고, 3000W 이하에서는 트라이악(133)의 위상을 제어하여 필요한 열에너지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3000W에서 6000W 사이의 출력 파워가 필요한 경우에는 트라이악(133)의 위상을 제어하고 릴레이(130)를 온 동작시키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릴레이(130) 및 트라이악(133)의 구동으로, 히터가 구동되면서 건조동작에 필요한 열에너지가 발생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드럼(44)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공급덕트(46)를 통해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데, 상기 공급덕트(46)의 입구에 있는 히터(42)의 발열에 의해 상기 공기는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로 되어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때에도 상기 블로워(31)의 구동에 의한 흡인력으로 흡입된 공기가 히터(42)에 의해서 가열되어 드럼(44)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세탁물에 있는 수분을 흡수하고 상기 블로워조립체(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기구(43)를 통해 상기 배기유로(45)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로(45)에서 상기 블로워조립체(30)를 통해 배기덕트(3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43)를 통해 공기가 드럼(44)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31)의 흡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기구(43)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36)에 의해 정화되어,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예를 들면 세탁물의 실밥이나 보푸라기 등)이 상기 블로워조립체(3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메인보드(52) 내 마이크로컴퓨터(100)는 건조물의 종류 및 건조정도에 따라 상기 전극센서(38)의 검출값을 기설정해두고 있다. 따라서 건조동작이 시작될때, 건조물의 종류에 따른 검출값을 기설정해둔 값에 기초해서 인식한다. 그리고 히터(42)의 동작을 제어하여 발열시킨다. 상기 히터(42)가 발열된 후, 상기 공급덕트(46)를 통해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의 유입 공기는 상기 공급덕트(46)의 입구에 있는 히터(42)의 발열에 의해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로 되어 상기 드럼(44)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드럼(44)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는 상태에서 전극센서(38)는 건조물의 건조정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압신호로서 마이크로컴퓨터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극센서(38)는, 센서에 건조물이 터치될 때, 전극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건조정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된 온도를 전압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전극센서(38)의 감지값은 계속해서 신호변환부(106)을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00)에 입력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전극센서(38)에서 감지되는전압값의 변화로 현재 진행된 건조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는, 상기 온도센서1신호변환부(109)와, 온도센서2신호변환부(112)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의해서 드럼(44)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와 드럼(44)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극센서(38)에서 감지된 건조정도와 함께 세탁물의 건조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되는 값이 일정값에 도달했을 때, 상기 히터구동부(124,127)로 공급하던 신호를 차단하면서, 히터의 구동을 차단한다.
상기 동작과 연동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0)에서 블로워모터구동부(121)로 인가되던 신호가 차단되고 따라서 블로워모터(31)도 정지상태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량이 큰 히터를 두개 구비하고, 하나는 릴레이와 같은 소자를 이용하여 고정된 파워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하나는 트라이악과 같은 파워소자를 이용하여 출력파워의 가변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높은 히터의 파워가 필요할 때는 릴레이의 제어에 의한 히터를 온하고, 트라이악으로 파워를 가변 제어하므로서, 출력파워의 전대역에 걸쳐서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터의 출력파워의 전대역에 걸쳐서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라이악과 같은 파워소자로 전체 히터용량의 50%만을 제어하므로서, 방열문제를 50% 절감할 수 있으므로 방열판의 크기 및 취부 구조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제품의 제조비용 상승을 방지하고, 나아가 출력파워를 제어부의 제어하에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히터의 소비전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잇점을 얻게 된다.
삭제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a,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히터의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제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특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블로워조립체 31 : 블로워 모터
32,48 : 온도센서 34 : 배기덕트
36 : 린트필터 38 : 전극센서
42 : 히터 44 : 드럼
46 : 공급덕트 52 : 메인보드
54 : 벨트 200 : 마이크로컴퓨터
103 : 키입력부 106,109,112 : 신호변환부
115 : 도어감지부 118 : 드럼모터구동부
121 : 블로워모터구동부 124,127 : 히터구동부
130 : 릴레이 124a,127a : 히터
133 : 트라이악 136 : 포토 커플러
R1,R2 : 저항

Claims (7)

  1.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두개의 히터와;
    상기 히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고정된 히터의 출력파워를 발생하도록 하는 고정 파워 스위칭소자와;
    상기 히터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가변된 히터의 출력파워를 발생하도록 하는 가변 파워 스위칭소자와;
    상기 두개의 스위칭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파워 스위칭소자와 제어수단 사이에 전원분리를 위한 전원분리수단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워 스위칭소자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는 트라이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리수단은, 트라이악의 열림정도를 제어하는 포토 트라이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들의 출력파워 중 제 1 설정파워 이상이 요구될 때, 상기 고정파워 스위칭소자와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를 모두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들의 출력파워 중 제 2 설정파워 이하가 요구될 때, 상기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만을 온 시키며, 상기 가변파워 스위칭소자를 제어하여 출력파워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KR10-2001-0066077A 2001-10-25 2001-10-25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KR10047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077A KR100476438B1 (ko) 2001-10-25 2001-10-25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EP02781983A EP1438453B1 (en) 2001-10-25 2002-10-25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JP2003538452A JP2005506165A (ja) 2001-10-25 2002-10-25 乾燥機およびそのための乾燥制御方法
DE60216953T DE60216953T2 (de) 2001-10-25 2002-10-25 Trockner und gezieltes trocknungsverfahren dafür
AU2002348592A AU2002348592B2 (en) 2001-10-25 2002-10-25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US10/451,340 US20040055176A1 (en) 2001-10-25 2002-10-25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PCT/KR2002/002001 WO2003035962A1 (en) 2001-10-25 2002-10-25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EP06006886.3A EP1686211B1 (en) 2001-10-25 2002-10-25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B028033108A CN1308535C (zh) 2001-10-25 2002-10-25 干燥机及其干燥控制方法
US11/002,415 US20050091878A1 (en) 2001-10-25 2004-12-03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JP2008136178A JP2008246219A (ja) 2001-10-25 2008-05-26 乾燥機およびそのための乾燥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077A KR100476438B1 (ko) 2001-10-25 2001-10-25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896A KR20030033896A (ko) 2003-05-01
KR100476438B1 true KR100476438B1 (ko) 2005-03-16

Family

ID=2956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077A KR100476438B1 (ko) 2001-10-25 2001-10-25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309B1 (ko) * 2001-10-25 2005-09-0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652A (ko) * 1990-08-31 1992-03-27 이헌조 의류건조기 건조시간 자동제어방법
KR920006568A (ko) * 1990-09-19 1992-04-27 이헌조 건조겸용 세탁기 제어장치
JPH05329298A (ja) * 1992-06-04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20076589A (ko) * 2001-03-29 2002-10-11 엘지전자주식회사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652A (ko) * 1990-08-31 1992-03-27 이헌조 의류건조기 건조시간 자동제어방법
KR920006568A (ko) * 1990-09-19 1992-04-27 이헌조 건조겸용 세탁기 제어장치
JPH05329298A (ja) * 1992-06-04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20076589A (ko) * 2001-03-29 2002-10-11 엘지전자주식회사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896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46219A (ja) 乾燥機およびそのための乾燥制御方法
AU2002348592A1 (en)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KR100461637B1 (ko) 건조기의 히터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76438B1 (ko) 건조기의 히터제어장치
KR20030033900A (ko) 건조기의 건조도측정장치
KR100756446B1 (ko) 린트필터 막힘감지방법
KR100512309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702992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507030B1 (ko) 건조기의 히터구동장치
KR101063652B1 (ko)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안전 제어장치 및 방법
CN100375817C (zh) 烘干机的加热器控制装置
KR20030012415A (ko) 드럼모터 정상동작 감지방법
KR101308636B1 (ko)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751800B1 (ko)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4097B1 (ko) 가스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429251B1 (ko) 의류 건조기 겸용 가스레인지
AU2004208685B2 (en)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KR20030012418A (ko) 드럼 밸트 끊김감지방법
JP2946813B2 (ja) 衣類乾燥機
JP2940200B2 (ja) 衣類乾燥機
KR100445471B1 (ko) 건조기의 연소제어장치
JP2940201B2 (ja) 衣類乾燥機
KR200361091Y1 (ko) 건조기의 건조도측정장치
JP2940202B2 (ja) 衣類乾燥機
KR101308470B1 (ko) 건조기의 가스히터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